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점선과 주변자극의 추가가 cafe wall 착시에 미치는 효과

        정우현 ( Woo Hyun Jung ),차한님 ( Han Nim Cha ) 한국감성과학회 2011 감성과학 Vol.14 No.4

        점선의 추가와 주변 자극의 추가가 cafe wall 착시에서 지각된 착시량과 착시에 대한 확신도에 미치는 효과를 알아보기 위해 두 편의 실험을 수행하였다. 실험 1에서는 흰 색과 검은 색 벽돌이 나열된 세 줄의 벽돌층의 수평 경계에 흰색 벽돌과 검은색 벽돌의 중간 밝기를 가지는 회색 선분(모르타르:mortar)과 벽돌과 반대밝기의 점선을 추가하였을 때 착시에 미치는 효과를 알아보았다. 실험 2에서는 실험 1에서 사용한 자극에 벽돌 층을 추가하여 주변자극의 추가에 따라 cafe wall 착시가 어떻게 달라지는지 살펴보았다. 실험 결과 회색경계선에 점선을 추가하는 것은 착시 지각의 확신도에는 가산적으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나 지각된 착시량에서는 가산적 영향이 나타나지 않았다. 반면 벽돌 층의 추가는 지각된 착시량에는 영향을 미쳤지만 착시지각의 확신도에는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논의에서는 이러한 결과가 시각피질의 방위선별적 세포의 반응과 관련이 있을 가능성에 대해 제안하였다. Two experiments were conducted to examine how additional dotted lines and peripheral stimulus to the cafe wall illusion affect on the degree of perceived tilt (amount of illusion) and confidency of illusionary perception. The experiment 1 tested the effects of adding mortar (solid line) and bright contrast dotted lines to the borderline of 3 layers of blocks, which are consisted of black and white blocks. On the experiment 2, effects of adding peripheral stimulus on cafe wall illusion were tested. The results of experiment 1 showed that adding dotted line on the borderline mortar between blocks has additive effects on confidency of illusory perception. However, no effect on perceived amount of illusion was noted. On the other hand according to the results of experiment 2, adding blocks did increase amount, but not confidency of illusory perception. These results imply that the perception of cafe wall illusion is related with response of orientation selective neurons.

      • KCI등재

        논문 : 사진의 시각적 속성 평가와 감성반응의 비교를 통한 감성모형 검증

        정우현 ( Woo Hyun Jung ),한재 ( Jae Hyun Han ),박수진 ( Soo Jin Park ),신수진 ( Sue Jin Shin ) 한국사진학회 2006 AURA Vol.0 No.15

        In this study, the 109 affective words were evaluated on the three dimension of the affective impression space for the photographs; the ``positive-negative``, the ``dynamic-static``, and the ``light-heavy`` affective dimension. The words ``cool-warm``, ``bright-dark``, and ``soft-sharp`` were selected to compare the response about the perceptual impression with the response about the affective impression. The results showed that the perceived lightness were in proportion to the ``bright-dark`` affective impression but the ``soft-sharp`` affective impressions were not dependent on the perceived sharpness. In addition, the relationship of these scales and the variation of color tone were analyzed. Both of the perceptual impression and affective impression on the ``soft-sharp`` scale were not influenced by overall color tone, while the two kinds of impression on the ``bright-dark`` dimension were highly correlated to the ``light-heavy`` affective impression.

      • KCI등재

        Patterns of Peer Feedback and Learner Proficiency in L2 Writing

        정우현(Woo-hyun Jung) 한국영어교과교육학회 2020 영어교과교육 Vol.19 No.4

        This study explores to what extent high- and low-proficiency university students provide peer feedback and what kind of peer feedback each group prefers. This is considered in terms of the area (global vs. local), type (clarification, evaluation, suggestion, and alteration), and nature (revision-oriented vs. non-revision-oriented) of comments. To collect peer feedback data, the study employed a peer-review task where 118 Korean university students gave feedback on an unknown student’s first draft of an argumentative essay. The results show that the high-proficiency reviewers differed greatly from the low-proficiency counterparts in the quantity of peer feedback, with the former outperforming the latter. However, the two groups exhibited similar patterns of peer feedback in many ways. Both groups relied heavily on local comments, especially feedback on grammar, with a dearth of global comments such as content and organization. A similar tendency was true in the type of feedback in that both proficiency groups had the strongest preference for alteration comments. Notable as well is that the two groups produced a far higher proportion of revision-oriented comments than non-revision-oriented ones. On the basis of the findings, the study provides pedagogical suggestions to promote effective peer feedback interactions in L2 writing classrooms.

      • KCI등재

        디스플레이 장치의 특성에 따른 순간 제시 자극의 정확성 비교

        정우현(Jung Woo Hyun),정지연(Jung Jiyeon) 한국HCI학회 2021 한국HCI학회 논문지 Vol.16 No.3

        시각심리학에서 실험 자극을 정확히 제시하기 위해서는 디스플레이 장치의 특성을 이해하는 것이 중요하다. 특히 자극을 아주 짧은 순간 동안만 제시하는 ‘순간 제시 연구’에서는 디스플레이 장비에 따라 연구자의 의도와는 다른 자극 형태가 제시될 수도 있다. 자극이 완전히 출현하기까지의 시간과 자극 잔상의 지속 시간을 디스플레이 장비별로 측정하여 순간 제시 정확성을 비교하였다. 디스플레이 장비로 CRT, scanning backlight LCD, sample-and-hold LCD가 사용되었다. 측정 결과 자극 출현 시점은 sample-and-hold 모니터가 더 빠른 양상을 보였지만 CRT 모니터 및 scanning backlight LCD 모니터와 큰 차이는 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잔상이 사라지는 시점은 자극의 종류와 상관없이 일관적으로 CRT 모니터와 scanning backlight LCD 모니터에서 짧게 나타났다. Sample-and-hold LCD 모니터는 전반적으로 잔상이 오래 남았으며 이러한 경향은 화면 제시 빈도가 낮을수록 강하게 나타났다. 자극의 순간적인 제시가 필요한 연구에서는 sample-and-hold LCD 모니터가 정확한 자극이 제시되지 못할 가능성이 있으며 CRT 또는 scanning backlight LCD를 쓰는 것이 더 적절함을 보여준다. It is important to understand the characteristics of display devices in the study of briefly presented visual stimuli. To compare the accuracy of briefly presented stimuli, the time of stimulus appearance and duration of afterimage was measured for each display. CRT, scanning backlight LCD, and sample-and-hold LCD were used. As a result of the measurement, the time of stimulus appearance was faster in the sample-and-hold monitor, but there was little difference between the CRT monitor and the scanning backlight LCD monitor. The time at which the afterimage disappeared was consistently short in the CRT monitor and the scanning backlight LCD monitor. Sample-and-hold LCDs generally left afterimages for a long time, and this tendency was stronger as the refresh rate was lower. It suggests that it is more appropriate to use a CRT or scanning backlight LCD rather than a sample-and-hold LCD in studies that require a brief presentation of stimuli.

      • KCI등재

        양안 부등 정보가 네온 색 확산에 미치는 효과

        정우현(Jung Woo Hyun),차한님(Cha,Han Nim) 한국인지과학회 2011 인지과학 Vol.22 No.3

        양안 부등 정보가 네온 색 확산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기 위해 두 편의 실험을 수행하였다. 자극으로는 Redies와 Spillmann(1981)의 연구에서 사용된 네온 색 확산 자극에 유도 선분과 분절을 추가하여 변형시킨 자극을 사용하였다. 실험1은 선분을 바깥 분절, 가운데 분절, 안쪽 분절 세 부분으로 나누어 각 분절의 양안 부등 정보를 달리하였을 때 네온 색 확산이 어떻게 달라지는지 살펴보았다. 실험 2에서는 다른 깊이 평면에 추가된 분절이 네온색 확산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았다. 실험 결과 모든 분절이 동일한 평면에 놓일 때 가장 선명하게 색 확산이 지각 되었으며 색 분절이 다른 분절들보다 가까이 있는 경우나 멀리 있는 경우에는 색 확산이 약화되었다. 분절을 추가한 경우에는 추가된 분절이 네온 색 확산 평면보다 앞쪽이든 뒤쪽이든 상관없이 네온 색 확산이 감소하지만 안쪽 분절이 추가된 경우보다 바깥쪽 분절이 추가되었을 때 네온 색 확산에 더 큰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는 네온 색 확산 현상이 깊이 정보에 의해 영향을 받을 수는 있지만 깊이처리 이전 단계의 정보처리에 더 크게 영향 받음을 시사한다. Two experiments were conducted to investigate the impact of binocular disparity information on Neon color spreading (NCS). The stimuli was the modification of Ehrenstein figure used by Redies and Spillmann(1981); inner and outer segments were achromatic and middle segments was chromatic. In experiment 1, the effect of binocular disparity was tested in each segment that were divided inner, middle and outer segments. In experiment 2, the impact of added segments that were put in different depth place were tested. The results showed that the segments on same place were, the clearer the NCS was. Consistent with the previous studies, the effect of color segment in front or in behind was not appeared. The case of added segments, regardless of added segments were placed either front or behind, the NCS was reduced. But the effect of added outer segments was more affect then added inner segments. This results were suggested that NCS could be affected by depth information but more affected by stage of before depth processing.

      • KCI등재
      • KCI등재

        점선과 주변자극의 추가가 caf$\grave{e}$ wall 착시에 미치는 효과

        정우현,차한님,Jung, Woo-Hyun,Cha, Han-Nim 한국감성과학회 2011 감성과학 Vol.14 No.4

        점선의 추가와 주변 자극의 추가가 caf$\grave{e}$ wall 착시에서 지각된 착시량과 착시에 대한 확신도에 미치는 효과를 알아보기 위해 두 편의 실험을 수행하였다. 실험 1에서는 흰 색과 검은 색 벽돌이 나열된 세 줄의 벽돌층의 수평 경계에 흰색 벽돌과 검은색 벽돌의 중간 밝기를 가지는 회색 선분(모르타르:mortar)과 벽돌과 반대 밝기의 점선을 추가하였을 때 착시에 미치는 효과를 알아보았다. 실험 2에서는 실험 1에서 사용한 자극에 벽돌 층을 추가하여 주변자극의 추가에 따라 caf$\grave{e}$ wall 착시가 어떻게 달라지는지 살펴보았다. 실험 결과 회색 경계선에 점선을 추가하는 것은 착시 지각의 확신도에는 가산적으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나 지각된 착시량에서는 가산적 영향이 나타나지 않았다. 반면 벽돌 층의 추가는 지각된 착시량에는 영향을 미쳤지만 착시지각의 확신도에는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논의에서는 이러한 결과가 시각피질의 방위 선별적 세포의 반응과 관련이 있을 가능성에 대해 제안하였다. Two experiments were conducted to examine how additional dotted lines and peripheral stimulus to the caf$\grave{e}$ wall illusion affect on the degree of perceived tilt (amount of illusion) and confidency of illusionary perception. The experiment 1 tested the effects of adding mortar (solid line) and bright contrast dotted lines to the borderline of 3 layers of blocks, which are consisted of black and white blocks. On the experiment 2, effects of adding peripheral stimulus on caf$\grave{e}$ wall illusion were tested. The results of experiment 1 showed that adding dotted line on the borderline mortar between blocks has additive effects on confidency of illusory perception. However, no effect on perceived amount of illusion was noted. On the other hand according to the results of experiment 2, adding blocks did increase amount, but not confidency of illusory perception. These results imply that the perception of caf$\grave{e}$ wall illusion is related with response of orientation selective neurons.

      • KCI등재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