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철도방음벽의 내구성능 산정을 위한 동적 효과 평가 기법

        최수연(Sooyeon Choi),김민수(Minsu Kim),최상현(Sanghyun Choi) 한국방재학회 2023 한국방재학회논문집 Vol.23 No.2

        1980년대 중반부터 건설이 시작된 철도방음벽은 총연장이 800 km에 이르고 있으나, 노후화 비율의 급속한 증가가 예상됨에 따라 합리적인 성능평가를 통한 유지관리가 필요한 상황이다. 이 논문에서는 열차 통과 시 발생하는 열차풍이 방음벽에 미치는 동적 효과를 고려하여 철도방음벽의 내구성능을 평가할 수 있는 기법을 제안하였다. 제안된 기법은 EN 16727-2-2에 제시된 방음벽에 작용하는 동적 효과에 대한 등가정적하중을 근간으로 열차 속도 및 통과 횟수, 방음벽의 길이, 높이 및 고유진동수와 궤도 중심으로부터의 거리를 고려하여 동적효과를 검토할 수 있으며, 일당 열차 통과 횟수와 동적 효과에 따라 결정되는 성능등급 매트릭스를 이용하여 내구성능을 결정할 수 있다. 제안된 기법은 철도건설법에 따른 철도방음벽의 성능평가에 활용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The extension of the railway noise barrier, the construction of which began in the mid-1980s, has currently reached a total of 800 km. As the aging rate is expected to increase rapidly, maintenance through reasonable performance evaluation is required. In this study, a technique for evaluating the durability of railway noise barriers is proposed, considering the dynamic effect of train wind, which is generated when trains pass through noise barriers. The proposed method is based on the equivalent static load for the dynamic effect acting on the noise barrier, as presented in EN 16727-2-2, which considers the train speed, number of passages, length, height, natural frequency of the noise barrier, and distance from the center of the track in reviewing the dynamic effect; moreover, it calculates the durability performance using a performance rating matrix based on the number of trains passing per day and dynamic effects. It is expected that the proposed technique can be used to evaluate the performance of railway noise barriers according to the Railway Construction Act.

      • KCI등재

        보육교사가 경험하는 코로나-19 팬데믹(Pandemic) 상황의 보육현장 탐구

        최수연(Choi Sooyeon),홍기경(Hong kikyung)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022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Vol.22 No.4

        목적 본 연구는 코로나-19 팬데믹(Pandemic) 상황에 있는 보육현장을 보육교사의 경험을 통해 구체적으로 탐구하였다. 이를 통해 포스트코로나 시대에 보육현장에 필요한 정책마련에 기초자료를 제공하고, 궁극적으로는 코로나-19로부터 영·유아들을 안전하게 보호하여 건전한 발달을 이룰 수 있도록 하는 구체적인 방법을 모색하는데 시사점을 제공하고자 한다. 방법 이와 같은 연구목적에 부합하기 위해 코로나-19 상황 속에서 담임교사로 재직하고 있는 경력 6년 이상의 현직 보육교사 6인을 대상으로 심층면담을 통해 자료를 수집하고, Colaizzi(1978)가 제시한 질적 분석방법에 따라 분석하여 코로나-19 상황 속의 보육환경의 본질을 구체적으로 탐색하였다. 결과 그 결과 코로나-19로 인해 보육현장은 많은 변화를 맞이하고 있었다. 첫째, 보육교사들은 영유아의 발달과 보육현장을 고려하지 않은 코로나-19 정책으로 인해 어려움을 격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코로나-19로 인해 보육교사들은 증가된 업무와 정서적인 우울, 불안 등과 같은 갈등 속에서 어려움을 겪고 있었다. 결론 코로나-19가 장기화 되는 상황 속에서 변화된 보육환경을 이해하고, 보육교사들이 경험하고 있는 실제적인 어려움을 지원할 수 있는 구체적인 제도와 방안이 필요하다. Objectives This study specifically explored the childcare site in the COVID-19 Pandemic situation through the experience of a childcare teacher. Through this, it aims to provide basic data for preparing policies necessary for childcare sites in the post-COVID-19 era, and ultimately provide implications for finding specific ways to safely protect infants and toddlers from COVID-19 so that sound development can be achieved. Methods In order to meet this research purpose, data were collected through in-depth interviews with six incumbent childcare teachers with more than six years of experience as homeroom teachers in the COVID-19 situation, and analyzed according to the qualitative analysis method suggested by Colaizzi(1978) to explore the nature of the childcare environment in the COVID-19 situation in detail. Results As a result, the childcare site was facing many changes due to COVID-19. First, it was found that childcare teachers are struggling due to the COVID-19 policy that does not take into account the development of infants and toddlers and the childcare site. Second, due to COVID-19, childcare teachers were struggling with increased work, emotional depression, and anxiety. Conclusions Specific systems and measures are needed to understand the changed childcare environment in the prolonged COVID-19 situation and to support the practical difficulties experienced by childcare teachers.

      • KCI등재

        이혼을 경험한 여성의 외상 후 성장을 위한 미술치료 질적 사례 연구

        최수연(Choi, Sooyeon),박소정(Park, Sojung) 한국예술심리치료학회 2021 예술심리치료연구 Vol.17 No.2

        최근 외상의 개념이 개인의 심리적 경계를 허물어 정서적인 상처를 주는 생활 사건을 비유할 때에도 광범위하게 적용되고 있다. 이와 같은 관점에서 본 질적 사례 연구는 이혼을 외상으로 경험한 여성이 외상 후 성장을 위한 미술치료 과정에서 어떠한 경험을 하였고, 그 경험의 의미가 무엇인지 살펴보는 데 목적을 두었다. 연구를 위해 약 15년의 결혼생활을 마치고 조정이혼을 한 지 6개월가량 된 만 41세 여성이 참여하였다. 본 연구를 위한 미술치료 프로그램은 2020년 7월 16일부터 8월 20일까지 총 12회기로, Calhoun과 Tedeschi의 ‘외상 후 성장 모델’과 Rich가 개념화한 이혼 과정 발달모델을 토대로 구성되었다. 참여자의 미술 작품, 축어록, 관찰일지 등 다양하게 수집된 자료를 반복적 비교분석법을 적용하여 분석한 결과, 참여자의 경험은 ‘이혼으로 인해 경험하는 감정을 마주하고 인식함’, ‘이혼이 나에게 주는 의미를 발견함’, ‘과거를 수용하고 미래를 구체화하며 스스로 살아갈 힘이 생김’으로 총 3개의 상위 범주와 10개의 하위 범주가 도출되었다. 본 연구는 외상 후 성장을 위한 미술치료가 이혼을 경험한 여성이 이혼으로 인한 심리적 고통을 정화하고 자기 수용을 통한 심리적 재건 및 삶을 재정립하는 데 치료적 의의가 있음을 확인한 데 의의가 있다. Recently, the concept of trauma has also been widely applied when comparing emotionally hurtful life events by breaking down individual psychological boundaries. From this perspective, the purpose of this research is to examine the experiences and the significance of the experiences of a woman who have experienced divorce, in the process of art therapy designed for the posttraumatic growth. A 41-year-old woman participated for the study, who had an agreed divorce after about 15 years of marriage. A total of 12 art therapy programs from July 16 to August 20, 2020, were conducted based on Calhoun and Tedeschi’s ‘theory of posttraumatic growth model’ and Rich’s conceptual divorce development model. As a result of analyzing the collected data, a total of three main themes and ten subthemes were derived. The three themes are ‘facing and recognizing emotions experienced by divorce’, ‘discovering the meaning of divorce for oneself’, ‘embracing the past and envisioning a positive future by gaining confidence to live on one’s own’. This study showed that art therapy designed for the posttraumatic growth of women allowed the expression and relief of negative emotions experienced in the divorce process, and promoted the rebuilding mentality and redefining life through self-acceptance.

      • SCOPUSKCI등재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