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한글 글꼴 동일성 여부에 따른 단어 우월 효과

        박수진(SooJin Park),정우현(Jung Woo Hyun) 한국정보과학회 언어공학연구회 2005 한국정보과학회 언어공학연구회 학술발표 논문집 Vol.2005 No.10

        한글의 글꼴 동일성 여부가 단어 우월 효과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기 위해 두 편의 실험을 수행하였다. 첫 번째 실험에서는 바탕체 글꼴을 탐사 자극으로 사용하여 검사 자극과의 글꼴 일치 여부가 단어 우월 효과에 미치는 영향을 자극 제시 시간에 따라 알아보았다. 두번째 실험에서는 첫 실험에서 얻어진 결과를 토대로 탐사 자극의 글꼴을 각각 바탕체와 세벌체로 하고, 검사 자극이 탐사 자극과 일치하는 경우와 그렇지 않은 경우의 단어 우월 효과에 대해 알아보았다. 두 실험 결과, 탐사 자극과 검사 자극의 글꼴 일치 여부는 한글 단어 우윌 효과에 영향을 주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탐사 자극과 검사 자극의 문자형이 서로 달라도 단어 우월 효과가 나타날 수 있음을 의미하는 것으로 단어 우월 효과가 국지적인 시각 자극의 속성에 영향을 받지 않음을 보여주는 것이다.

      • KCI등재

        국내 인삼 연구 현황 및 미래 수요 예측

        박수진(Soojin Park),조용진(Yong-Jin Cho),피재호(Jaeho Pyee),홍희도(Hee-Do Hong) 고려인삼학회 2006 Journal of Ginseng Research Vol.30 No.4

        국내의 대표적인 생약재중에 하나인 고려인삼의 최근 5년간 연구 동향 및 기술개발현황을 살펴보기 위하여 한국과학기술정보연구원(KISTI), 한국정보과학원(KISS), 농림부, 농림기술관리센터(ARPC) 등에 공개된 연구보고서 및 학술, 학위논문자료 등 총 332건의 연구결과를 조사, 분석하였다. 그 결과 연구개발 주체별로 보면 최근 인삼관련 연구는 주로 기타민간비영리단체 및 개인에 의한 보고 자료가 절반 이상을 차지하였고 그 다음은 대학, 공공기관 순으로 나타나 공공기관의 역할 증대가 필요한 것으로 판단되었다. 연구주제별로는 토양 및 재배방법 같은 재배 및 농학적 연구가 주를 이루었으며 약리효능별 인삼 연구 분야에서는 세포 생리학적 연구 및 생식기능 연구가 많은 비중을 차지하였다. 임상연구는 비교적 미미한 수준이었으며 기능성 식품 및 제품개발 연구분야에서는 고려인삼을 이용한 다양한 식품개발에 관한 연구가 2005년 까지는 주를 이루고 있었다. 최근 5년간 국내 인삼 관련 특허기술 총 312건을 국제표준 기술 분류별로 분석한 결과에서는 식품관련 기술, 의약용 제제개발 기술, 효소, 미생물 관련 발효기술, 농수산관련 기술 순으로 나타났다. Research literatures (e.g. research report, scientific paper and thesis, published between 2001 and 2005) of 332 collected from KISTI, KISS, ARPC databases were investigated and analyzed to give an overview of domestic ginseng researches. Most of recent ginseng researches have been performed by private nonprofit institutions and individuals, which suggests that a role of public institution for ginseng researches needed to be enlarged. In terms of research fields, cultivation and agricultural researches have been mainly accomplished in ginseng research. Cell physiology and reproductive function researches occupied large part of pharmacological studies, but clinical studies were relatively limited. Studies on general food products development have taken the main part in fields of food products including functional foods. As the result of analysis of 312 domestic ginseng patents by classifications of world international property organization (WIPO), it was categorized into food technology, medicinal formulation development technology, fermentation technology, and agriculture-fisheries technology. This integrated overview of the widely scattered ginseng literatures shows current general research trends in Korea and will be able to suggest further needs on cultivation, studies and industralization of ginseng.

      • KCI등재

        임베디드 시스템을 위한 그레이-박스 기반의 소프트웨어 요구사항 명세 기법

        박수진(Soojin Park),박수용(Sooyong Park) 한국정보과학회 2011 정보과학회논문지 : 소프트웨어 및 응용 Vol.38 No.9

        대부분의 구현 로직이 시스템 외부로 공개되지 않는 임베디드 시스템의 경우, 비즈니스 어플리케이션 분석에 널리 사용되는 사용자의 관점의 요구사항 명세 모델인 유스케이스 모델을 그대로 적용하는 데 한계가 있다. 유스케이스 모델의 블랙박스 관점 기반의 시스템 분석은 시스템과 관련 환경과의 외부적인 상호작용 기술에 초점을 두고 있기 때문이다. 이러한 문제점 해결을 위해 기존 연구들은 상태 다이어 그램을 이용하여 임베디드 시스템의 동적인 행위를 파악하여 그 결과를 요구사항 명세서에 반영하는 일종의 화이트-박스 기법을 소개하고 있다. 그러나, 소프트웨어 개발 라이프 주기 상 초기 단계에 해당되는 요구사항 분석 단계에서 화이트-박스 기반 모델링은 고비용을 요구하는 작업으로, 이로 인해 실제 프로젝트에서는 개발자들의 많은 저항에 부딪쳐 왔다. 본 연구는 이와 같은 두 가지의 접근방식에서 임베디드 개발을 위해 필요로 하는 정보의 양과 요구사항 단계에 소요되는 노력 비용, 두 가지 요소의 적점에 해당되는 요구사항 명세서를 제공하는 것을 그 목적으로 하고 있다. 이를 위해, 본 논문에서 제안하는 그레이-박스 기반의 요구사항 명세 기법은 요구사항 추출을 위한 임베디드 시스템 모델링의 적절한 깊이를 제시함은 물론, 작성된 모델을 기반으로 개별적인 개발자들이 자신이 맡은 컴포넌트의 API를 숙지하여 협업할 수 있는 요구사항 명세서를 자동으로 생성하는 메커니즘을 제안하고 있다. The inner implementation logic of an embedded system is not exposed to users but encapsulated in the system, whereas the use case model is invented to show the interaction between outer environment and a system. This is the reason why we have difficulties in using the use case model which stands upon the black-box mechanism in documenting requirements of an embedded system. In this background, previous studies have introduced some white-box approaches that utilize state diagrams as a main tool to grasp inner behavior of the embedded software and make several specifications from the state diagrams. However, the construction of a fully analyzed state model in requirements elicitation requires lots of efforts which have discouraged software developers or caused their resistance. The objective of our study is to find the optimal point between the amounts of information which needs to develop a consistent embedded system and the effort cost that is consumed in requirements elicitation of the embedded system. To this end, we introduced a gray-box software requirements specification method that guides the extent of the system modeling, which can give sufficient information to software developers. Moreover, we introduced an automatic requirements specification mechanism for providing APIs of each software component and helping the collaboration between individual developers.

      • KCI등재

        유산균을 이용한 발효인삼 제조 및 품질 특성

        박수진(Soojin Park),김동현(Dong Hyun Kim),백남수(Nam Soo Paek),김성수(Sung Soo Kim) 고려인삼학회 2006 Journal of Ginseng Research Vol.30 No.2

        인삼과 유산균은 각각 면역 활성, 생리기능조절 등 생체 효용성을 인정받고 있는 기능성 식품소재이다. 따라서 유산균을 이용한 인삼 발효물은 두 소재의 장점을 모두 이용할 수 있는 가능성이 있으므로 본 연구는 여러 가지 유산균을 이용하여 인삼 발효물을 제조하고 생균수, pH 및 산도 등을 조사하여 인삼 발효물 제조에 적합한 최적의 유산균주를 선정하고 인삼의 발효공정을 확립하였다.<br/> 27종의 유산균 중 인삼농도가 증가할수록 생육이 촉진되는 유산균은 Lac.plantarum MG208, Lac.casei MG311, Lac. rhamnosus MG315, Lac.acidophilus MG501, Lac.acidophilus MG501C, Lac.reuteri MG505, Lac.fermentum MG590, Bif.longum MG723 등 8종이었다. 특히, Lac.plantarum MG208이 5% 홍삼배지에서 배양했을 때 가장 생육이 촉진되는 균주였다. 발효 전 배지 pH를 6.8로 동일하게 보정하였을 때 최종 인삼발효물의 pH는 유의하게 낮아졌고(pH 3.45~4.83), 특히, 홍삼농도가 높을수록 pH는 더 낮았다(pH 3.42~4.30). 이와 유사하게 백삼 및 홍삼 발효제조물의 적정산도는 약 10배정도 증가했고, 적정산도 증가율이 가장 높은 균종은 Lac.plantarum MG208, Lac.acidophilus MG501, 및 Bif.longum MG723이었으며, 발효 후 적정산도는 백삼보다 홍삼을 첨가한 경우 좀 더 높았다.<br/> 이와 같이 여러 가지 유산균주를 이용하여 인삼 발효물을 제조한 결과 생균수와 유산균 발효제품에 적용할 수 있는 pH 및 적정산도 유도면에서 발효인삼 제조에 가장 적합한 유산균주는 Lac.plantarum MG208이며 인삼첨가농도는 1-5%, 배양시간은 48시간이 적합한 것으로 생각된다. 인삼의 유산균 발효물의 생리활성 효능은 앞으로 추가연구를 통하여 검증되어야 하며 그 유용성에 대한 고찰 및 검토가 필요하다. Ginseng as a raw material for production of probiotic ginseng product by lactic acid bacteria (LAB) was evaluated in this study. Either white ginseng (WG) or red ginseng (RG) (1% or 5%, w/v) were directly inoculated with a 24 hold seed culture of twenty seven substrains of four different LAB (1.0×10?CFU/㎖); Lactobacillus spp., Streptococcus/Enterococcus spp., Leuconostoc/Lactococcus spp. and Bifidobacterium spp., and incubated at 37℃ for 24 or 48 h. Among 27 kinds of LAB, seven substrains of Lactobacillus (MG208, MG311, MG315, MG501, MG501C, MG505, MG590) and one Bifidobacterium (MG723) were selected based on their dose dependent stimulation of the growth of LAB in the presence of ginseng and changes in pH, acidity and viable cell counts during fermentation were examined. Lactobacillus MG208 specifically was found to show the best growth on 5% RG and reached nearly 14.0×10? CFU/㎖ after 48 h of fermentation and produced the titratable acidity as 0.84±0.02%, whereas the pH was significantly lowered from 6.80±0.01 to 3.42±0.02. These results indicated that ginseng can be an appropriate material to prepare the fermentation product by several strains of LAB. Therefore we should further check whether probiotic ginseng product may have synergistic health benefits of both probiotics and ginseng to serve for vegetarians and lactose-allergic consumers.

      • KCI등재

        한글의 조형성과 가변성을 활용한 트랜스포머블 패션디자인 연구

        박수진 ( Park Soojin ),성치경 ( Seong Chee-kyong ) 커뮤니케이션디자인학회(구 시각디자인학회) 2020 커뮤니케이션 디자인학연구 Vol.70 No.-

        본 연구는 한글 제자원리에 내포된 가변성과 자음자의 조형성에 중점을 두고 한글 자음의 구조적 특성과 지퍼의 기계적 특성을 결합·응용함으로써 다양한 형태로 변형 가능한 여섯 개의 트랜스포머블 디자인을 개발하였다. 디자인 콘셉트는 다음의 네 가지이다. 첫째, 한글자음을 변형의 주체로 한다. 둘째, 한글 자음자를 형상화하고 변형하는 도구로는 지퍼를 사용한다. 셋째, 변형의 핵심은 지퍼의 활용에 따라 평면에서 입체로 변형되는 과정적 디자인에 있다. 넷째, 제로 웨이스트(zero waste)의 단순한 패턴을 통한 지속가능한 디자인이다. 가변적 프로세스는 지퍼로 형상화된 한글자음이 지퍼의 개폐를 통해 변형되면서 전체디자인의 변형을 유도한다는 것이다. 원형디자인은 한 장 또는 두 장의 직사각형으로 이루어진 단순한 패턴으로 구성된 원피스 드레스이다. 원형디자인은 지퍼의 개폐정도와 스타일링 방법에 따라 다양한 디자인으로 변형되는데, 글자형태가 단순화되는 과정에서 주름을 형성하여 입체적인 디자인이 된다. 본 연구의 결과물로 제작된 트랜스포머블 패션디자인 작품은 변형방법에 따라 단순유형, 복합유형, 결합유형으로 분류된다. This study focuses on the formative characteristics of Hangeul and the transformability implied in its Building Principles, and developed six transformable fashion designs by combining the structural properties of Hangul consonants and the mechanical properties of zippers. There are four design concepts: First, Hangul consonants are the subject of transformation. Second, zippers are used as tools for shaping and transforming letters. Third, the core of the deformation is the process design that is transformed from flat to three-dimensional according to the use of the zipper. Fourth, sustainable design through a simple pattern of zero waste. A transformable process is designed considering the shape of the Hangeul consonants and operation of the zipper. The basic design is an one-piece dress with an open structure consisting of one or two rectangular patterns, which includes various transformability. This basic design is transformed according to the opening and closing degree of the zipper and the styling method. In this process, the shape of the letters are simplified, and pleats are generated. The fashion designs developed in this way can be divided into simple type, complex type and combination type according to the transformation method.

      • KCI등재
      • KCI등재

        고령자의 씹기와 삼킴 능력을 고려한 식품 이용에 대한 급식관리자의 인식과 실태

        박수진(Soojin Park),김진숙(Jin-Sook Kim),정은경(Eun-Kyung Jung) 한국식품영양과학회 2018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Vol.47 No.2

        복지관, 요양병원, 요양원 등 46개의 고령자 단체급식기관 급식담당자를 대상으로 고령자의 섭식능력을 고려한 식품의 이용실태와 단체급식에서 활용할 수 있는 물성을 조절한 HMR의 수요와 구매 의향을 자기기입식으로 설문 조사하였다. 조사기간은 2016년 12월 26일부터 2017년 1월 30일까지 실시하였다. 고령자 단체급식기관 특성에 따라 1회 평균급식인원은 복지관(322명), 요양병원(175명), 요양원(43명)으로 차이가 있었다. 복지관 급식대상자들은 주로 70대로 일반식이 대부분이었고, 요양병원과 요양원은 주로 80~90대로 일반식, 갈은식, 죽식, 경관식 등을 다양하게 급식하였다. 고령자 급식담당자들의 과반수는 고령자의 씹기나 삼킴능력을 고려한 물성조절식품에 대하여 알고 있었고, 급식에서 물성조절식품의 필요성 또한 인식하고 있었는데, 특히 요양병원이나 요양원 급식담당자의 인식도와 요구도가 높았다. 식단을 계획할 때 급식담당자의 78.3%는 고령자의 씹기 능력을 고려한다고 응답하였으나, 고령자의 삼킴 능력을 고려한 별도의 식단이나 삼킴 능력 단계 및 수준은 대부분 표준화되어 있지 않았고, 씹거나 삼킴 장애를 위한 식단이 있는 경우라 하더라도 주로 다진식이나 죽식 형태이고, 별도의 식사 준비방법이나 물성기준에 대한 가이드라인은 대부분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식품 점도증진제는 고령자 단체급식담당자의 과반수가 알지 못하였으나 이용한 경험이 있는 경우에는 만족도가 높은 편이었다. 물성이 조절된 HMR의 수요는 특히 요양원과 요양병원에서 높았고, 요양원 급식담당자의 66.6%는 구매의사가 있다고 응답하였다. 본 연구는 당초 전국 487개 기관을 대상으로 우편송부 및 전화를 통하여 설문조사 협조를 구하였으나 설문지 회수율이 낮았다. 조사시점이 연말과 연초를 포함하는 4주 동안 이루어져 회수율에 영향을 미쳤을 것으로 생각된다. 따라서 연구결과의 해석에 있어서 국내 고령자 단체급식기관 전체를 대표한다고 보기에는 다소 무리가 있어 주의가 필요하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본 연구는 지금까지 고령자 급식에 대한 연구가 식단만족도와 메뉴개선 연구, 영양개선 효과평가, 위생관리 운영방안 연구, 전문병원에서 이루어진 급식형태별 이용실태조사인데 비해 아직까지 자료가 매우 부족한 고령자의 씹기와 삼킴을 고려한 물성이 조절된 식품이용현황과 향후 수요를 살펴본 초기 연구라고 할 수 있다. 고령자를 대상으로 하는 급식의 품질에 있어서 영양은 물론 섭식의 안전성은 특별히 고려되어야 하는 요소이다. 본 조사 결과를 바탕으로 고령자가 씹을 수 있는 즐거움과 안전한 급식서비스를 위해서 향후 보다 확대된 고령자 급식의 실태조사 연구가 필요하고, 더불어 우리나라 고령자들의 섭식능력 단계별 기초연구와 섭식기능 단계별로 이용할 수 있는 식품의 물성규격과 기준마련 및 이를 토대로 한 식품가공기술개발 및 급식산업 연구가 필요다고 판단된다. A survey of 487 elderly foodservice institutions, including welfare centers (W), nursing hospitals (NH), and nursing homes (N), across the country was conducted to investigate foodservice personnel’s perceptions and actual use of texture-modified foods (TMFs) that considers the elderly’s chewing and swallowing abilities, and to determine the demand for texture-modified home meal replacements (HMRs). The questionnaire data received via return mail from 46 institutions were analyzed. The average number of meals was 322 in W, 175 in NH, and 43 in N. The meal type in W was entirely regular food, while NH and N provided various food types, such as regular food, ground food, porridge, and tube-fed. Among the foodservice personnel, 54.3% were aware of TMFs, and those in N or NH recognized the necessity of TMFs to a greater extent than those in W. Although 78.3% of the foodservice personnel considered the elderly’s chewing abilities when planning their diets, the actual food served was mostly steamed food or porridge. No diets considered the swallowing ability or the level of swallowing ability. The guidelines for food preparation methods and texture standards were not addressed. More than half of the foodservice personnel were unaware of commercial viscosity enhancers, but the level of satisfaction was high after their use. The demand for texture-modified HMRs was high in NH and N, and 66.6% of the nursing home foodservice personnel answered that they were willing to purchase them. These results suggest that it is possible to understand i) foodservice personnel’s cognition, attitude, and actual use of TMFs considering the elderly’s chewing and swallowing abilities; and ii) the standards of TMFs and demands for HMRs. A future study should include more wide-ranging subject groups and scopes as the population continues to age.

      • KCI등재

        유아영어교육과 초등영어교육의 연구동향 비교분석

        박수진(Park Soojin) 한국어린이미디어학회 2003 어린이미디어연구 Vol.2 No.-

        본 연구의 목적은 유아 영어교육과 초등 영어교육의 연구동향과 경향 분석을 통하여 유아 영어교육 분야의 다양한 연구개발을 위해 기초자료를 제공하는데 있다. 본 연구의 분석대상 논문은 유아교육 분야에서 1983년부터 2003년 8월까지 발표된 40권과 초등교육 분야에서 1991년부터 2003년 8월까지 발표된 1079권을 합하여 총 1119권이다. 분석기준에 의해 수집된 자료는 모두 빈도와 백분율로 처리되었다. 연구결과, 유아 영어교육은 영어교육의 실태 및 문제점 분석에 관한 연구가 가장 많이 발표되었고, 교수-학습 방법, 교사연구, 언어습득 및 발달, 필요성 및 근거 순으로 연구가 나타났다. 또한 초등 영어교육은 교수-학습 방법에 관한 연구가 가장 많이 발표되었고, 학습자 중심 연구, 멀티미디어, 교재분석, 실태 및 문제점, 언어습득 및 발달 순으로 연구가 나타났다. 유아와 초등의 영어교육의 연구는 1997년 초등학교 영어교육의 의무화에 따라 많은 영향을 받은 것으로 분석 되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provide the fundamental data for the development of the research of the early childhood English education. The case was studied through the research trend and its analysis of the early childhood and the elementary English education. In total, 1119 dissertations were used as the objects of this study. Among those, 40 dissertations were published from 1983 to August of 2003 in the field of early childhood education. The rests, 1079 were published from 1983 to August of 2003 in the field of elementary education. The data was analyzed with the SPSS Program to obtain the frequency and percentage. As the result, in the early childhood English education, the realities and the analysis of the problems of the English education were published the most, and then the teaching method, teachers’ study, acquirement and development of the language, and necessity and foundation were followed. In the elementary English education, the teaching methods were published the most, and then learner-centered study, analysis of teaching materials, realities and problems, and acquirement and development of the language were followed. The study of English education of the early childhood and elementary education were influenced a lot as the English education in elementary school became obligated in 1997.

      • 고신뢰도 통합항전시스템에 대한 추세 분석 및 인증에 대한 고찰

        박수진(SooJin Park),이재용(JaeYoung Lee) 한국정보과학회 2012 한국정보과학회 학술발표논문집 Vol.39 No.1A

        민간 항공기용 통합항전시스템의 개발은 현재까지 국내에서는 거의 경험이 없는 분야이다. 국내에서는 군수용 항공기의 항법전자장치의 국산화 개발은 일부 추진되었으나, 민수용 항공기 분야에서는 전무하다. 세계 시장에서 민간 항공기의 수요는 증대되고 있으며, 이에 따라 민간 항공기용 통합항전시스템을 국내에서 개발하고 시험, 인증할 수 있는 능력이 요구되고 있다. 따라서 본 논문에서는 항공기의 비행/항법 등의 계기를 통합하는 항공전자 연구개발의 필요성, 세계적인 흐름과 핵심기술의 확보를 위하여 민간 항공기용 통합항전시스템 개발에 관련한 국내/국외 기술수준 및 산업 동향, 국내에서 개발한 통합항전시스템 인증의 필요성에 따른 문제점 및 해결방안을 제시하고 있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