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망간산화물에 의한 1-Naphthol의 산화-결합 반응에 따른 반응산물 연구

        임동민(Dong Min Lim),이두희(Doo Hee Lee),강기훈(Ki Hoon Kang),신현상(Hyun Snag Shin) 大韓環境工學會 2007 대한환경공학회지 Vol.29 No.9

        본 연구에서는 망간산화물 존재 하에서의 1-naphthol(1-NP)의 산화-결합반응을 통한 변환반응과 반응산물을 조사하였다. 변환반응에 의해 생성된 반응산물을 대상으로 한 용매 추출과 HPLC, GC/MS, LC/MS 및 UV-Vis. 흡광특성 분석 등을 통해 반응산물의 분자 구조특성을 규명하였다. 반응 상등액에서 검출된 반응산물은 모두 1-NP에 비하여 높은 극성을 보였다. 주요 반응산물로는 1,4-naphthoquinon(1,4-NPQ)와 dimer, trimer 등의 소 중합체(oligomers)를 포함하며 특히, 용매추출(CH₂Cl₂) 후 수용액에 잔류하는 친수성 형태의 반응산물은 다양한 분자량의(m/z = 400∼2000) 중합체로서 토양 휴믹물질(풀빅산)과 유사한 형태의 UV-Vis 흡광특성을 보였다. 또한, 비 반응성 생성물인 1,4-NPQ는 1-NP 존재 하에서 망간산화물에 의한 교차-결합(cross-coupling)을 통해 중합체로 변환될 수 있음을 확인하였다. 본 실험조건(20.5 mg/L, 1-NP, 2.5 g/L MnO₂, pH 5)에서 산화-결합 반응에 의한 중합체 형성으로 제거되는 1-NP의 양(mg/L)은 초기농도 대비 약 83%에 해당하며, 이들 중 약 30% 정도는 침전층에서 증류수와 메탄올(CH₃OH)에 의해 추출되지 않는 안정화된 형태의 불용성 중합체 생성물로 존재하였다. 이상의 결과는 망간산화물에 의한 산화-결합반응이 naphthol 오염토양의 처리에 있어서 소 중합체와 중합체 침전물로의 변환을 통한 오염 저감 및 제거 효과를 나타냄을 제시한다. In this study, abiotic transformation of 1-naphthol(1-NP) via oxidative-coupling reaction and its reaction products were investigated in the presence of Mn oxides. The reaction products were characterized for their relative polarity using solvent extraction experiment and reverse-phase HPLC, and for structure using GC/MS and LC/MS, and for absorption characteristics using UV-Vis spectrometry. The reaction products present in aqueous phase were more polar than parent naphthol and comprised of 1,4-naphthoquinon(1,4-NPQ) and oligomers such as dimers and trimers. Hydrophilic component present in water phase after solvent(CH₂Cl₂) extractions was identified as naphthol polymerized products having molecular weight(m/z) ranging from 400 to 2,000, and showed similar UV-Vis. absorption characteristics to that of soil fulvic acid. Transformation of 1,4-NPQ, which is non-reactive to Mn oxide, to the polymerized products via cross-coupling reaction in the presence of 1-NP was also verified. In this experimental conditions(20.5 mg/L, 1-NP, 2.5 g/L MnO₂, pH 5), the transformation of 1-NP into the oligomers and polymerized products were about 83% of initial 1-NP concentrations, and more than 30% of the reaction products was estimated to be water insoluble fractions, not extracted by H₂O and methanol. Results from this study suggest that Mn oxide-mediated treatment of naphthol contaminated soils can achieve risk reduction through the formation of oligomers and polymer precipitation.

      • 유방암 PET-CT 검사에서 Prone(복와위)자세의 유용성 평가

        박훈희,김세영,김정열,박민수,임한상,정석,강천구,김재삼,이창호,Park, Hoon-Hee,Kim, Sei-Yung,Kim, Jung-Yul,Park, Min-Soo,Lim, Han-Snag,Jung, Suk,Kang, Chun-Goo,Kim, Jae-Sam,Lee, Chang-Ho,Lee, Yung-Joo 대한핵의학기술학회 2008 핵의학 기술 Vol.12 No.1

        유방암은 FDG PET-CT에서 예민도는 80~96%, 특이도는 75~95% 정도이며, 유방촬영(mammography) 소견상 판단이 어려운 수진자에게 매우 유용하며, 검진으로서의 조기 암 검출을 충분히 기대할 수 있다. PET-CT에서 대부분의 검사는 앙와위(supine position)으로 검사되어 전신검사(whole body scan)에서 원형으로부터 변형된 유방영상을 획득된다. 반면에 보정구를 이용하여 복와위(prone position)으로 영상을 획득할 경우, 유방을 중력에 의존하여 보다 원형에 가깝게 표현함으로써 영상의 진단가치를 높일 수 있기에 그 유용성을 평가하였다. 유방암으로 의심되거나 확진 된 여성 환자 30명을 대상으로 하였으며, $^{18}F$-FDG 주사한 뒤 60분 후 supine position으로 whole body PET-CT scan 시행 후, 보정구를 이용하여 prone position으로 병변에 대한 추가검사(lesional scan)를 시행하였다. 각각 획득된 영상은 핵의학과 의사로부터 blind test를 하였고, PET-CT 영상의 SUV를 측정하여 분석하였다. 30명 중 27명의 환자에게서 prone자세가 진단 용이성과 정확한 판별률이 높았으며, 나머지 3명의 경우는 병소가 1 cm 이하의 크기로 인하여, MRI상에는 나타났지만 PET-CT에서는 진단에 의미있는 관찰을 할 수 없었다. supine position과 비교하여 prone position은 구조물의 중력에 의한 변형수치가 낮아, 병변의 구별이 곤란한 경우 명확하게 감별되었다. 각 자세에서 SUV분석은 유의수준 0.004로 유의하였다. Supine position을 통한 PET-CT 전신검사 후의 보정구를 이용한 prone position로 병변에 대한 lesional scan은 두 자세의 비교가 모두 가능하였으며, 경우에 따라 결정적으로 진단에 영향을 주었다. 두 가지 자세의 영상비교에 있어 prone position이 원발성(primary) 병변의 진단은 물론, 미세전이(micrometastasis)의 검출이 가능하였다. 이러한 prone position을 기반으로 구조적인 문제를 정량적 분석과 함께 극복한다면 병변의 진단에 있어 보다 유용한 진단적 정보를 얻을 수 있으리라 사료된다. Purpose: In FDG-PET/CT of breast cancer, a sensitivity was 80~96% and a specificity was 75~95% commonly. It was valuable to identify a cancer in early stage been difficult in Mammography. Most of the PET/CT scans have been examined on supine position, so, the image of breast has been acquired by reconstructed whole body scan image. However, using prone position with a compensator, a shape of breast was reassembly shown to be real by gravity. Therefor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valuate diagnostic value of prone position in FDG PET-CT of breast cancer. Materials and Methods: 30 female patients with doubtful or positive breast cancer were examined. The PET-CT whole body scan was acquired at 60 minutes after $^{18}F$-FDG injection on Supine position. Then, regional breast spot scan was progressed on prone position using a compensator. Each image was evaluated by physicians blinded to patient's data, and statistical analysis did through SUVs measured in PET-CT images. Results: In 27 of 30 patients, prone position was shown accurate discrimination and diagnostic value, but in another 3 patients had a lesion 1cm below, PET-CT couldn't detect it, unlike MRI. Consequently, prone position distinguished a lesion better than Supine position, because of low degree of metamorphosis by gravity. The SUVs analysis of each position was significant (p value=0.004). Conclusion: In PET-CT of breast cancer, prone position could detect micrometastasis as well as primary lesion, better than supine position. Therefore, this study proposes that any technical change considered morphological feature like prone position can offer adequate and useful diagnostic information, together with complementary quantitative analysi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