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Variety of Food Choices is Associated with the Nutritional Quality of Diets of College Students in Korea

        Seunghee Kye,Hee-Jae Suh,Bok Hee Kim 한국식품영양과학회 2005 Preventive Nutrition and Food Science Vol.10 No.4

        This study was performed to evaluate effects of dietary variety scores (DVS) and dietary diversity scores (DDS) on the nutritional quality of the diets of Korean college students, and to examine the association between food group intake patterns and nutritional adequacy. This study examined the relationship of dietary diversity scores (DDS), dietary variety scores (DVS), and food group intake patterns with nutrient intakes using 24-hour recall data (n=358). The DDS was calculated from the sum of each of the five food groups consumed as a score of “1”. DVS was determined by counting the number of food items consumed daily. Food group intake patterns were expressed with the presence or omission of five major food groups-dairy, meat, grain, fruit, and vegetable. The four most prevalent food group patterns and the proportion of the population reporting them were as follows; no dairy and fruit, 23%; no dairy, 20%; no dairy, meat, and fruit, 15%; all food groups, 14%. Even though the DDS or DVS was higher, the majority of this study population failed to meet the Korean RDA for calcium in both genders and iron in women. Higher DVS scores (≥31), within all DDS groups, were associated with the largest proportion of individuals consuming more than 75% of the Korean RDA for selected nutrients. The consistency of these results indicates that screening diets to evaluate the overall dietary variety and variety among the major food groups including food group intake patterns provide meaningful information about their quality.

      • KCI등재

        한국 청소년의 아침결식과 체질량지수 및 건강 관련 요인: 2018년 청소년건강행태조사 자료 분석

        계승희(Kye, Seunghee)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019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Vol.19 No.15

        본 연구는 우리나라 청소년들의 아침결식 실태를 파악하고, 아침결식과 체질량지수 및 건강 관련 요인과의 관련성을 알아보기 위해 질병관리본부의 청소년건강행태조사 제14차(2018년) 자료를 이용한 2차자료 분석연구이다. 아침식사를 주 5일 이상 섭취하지 않은 경우 아침 결식군으로, 5일 미만 섭취하지 않은 경우 아침 섭취군으로 분류하였다. 청소년의 인구사회학적 특성에 따른 아침 결식 여부의 차이는 복합표본 교차분석으로, 아침결식에 대한 인구사회학적 특성 및 건강 관련 요인과의 관련성은 로지스틱회귀분석을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분석결과 전체인원의 33.54%가 아침을 결식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아침결식군의 경우 아침섭취군에 비하여 과체중과 비만에 속하는 인원의 비율이 더 높았다. 아버지 학력이 낮을수록, 주관적 가정경제수준이 낮을수록, 주거지역이 읍면지역보다 대도시나 중소도시인 경우, 체중상태가 비만이나 과체중인 경우 아침결식의 위험도가 높았다. 또한 현재 흡연이나 음주를 하는 경우, 신체활동을 주 5일 미만이나, 격렬한 신체활동을 주 3일 미만 하는 경우에서 아침결식의 위험도가 증가하였으며, 과일섭취가 1일 1회 미만, 탄산음료 섭취가 1일 1회 이상, 단맛음료수 섭취가 주 3회 이상인 경우, 그리고 학교에서 영양 및 식습관 교육을 받은 경험이 없는 경우 아침 결식의 위험도가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이에 따라 청소년들이 아침식사 섭취 등 올바른 식생활을 할 수 있도록 학교에서의 주기적이고 반복적인 영양교육의 실시가 필요하다. This study aimed to investigate the current status of breakfast skipping in Korean adolescents and to examine the association between breakfast skipping, body mass index (BMI), and health-related factors from the data of 14th Youth Health Behavior Onkine Survey (2018) conducted by the Korea Centers for Disease Control and Prevention (KCDC). The results showed that 33.54% of all subjects skipped breakfast and that the proportion of those who were overweight or obese was higher in the breakfast skippers than in the breakfast consumers. The risk of skipping breakfast was high among those whose father s education level was lower, subjective household economic status was lower, who lived in large or medium-small cities (‘eup’ and ‘myun’ areas) rather than rural areas, and who were obese or overweight. In addition, the risk of skipping breakfast was found to increase in those who smoked or drank, engaged in physical activity less than 5 days per week or did intense physical activity less than 3 days per week. The risk of skipping breakfast was found to increase in those whose intake of fruit was less than one per day, intake of carbonated beverages was more than one per day, intake of sugar-sweetened beverages was more than 3 times per week, and in those who had not received nutritional and dietary education in schools. Therefore, periodic and repeated nutritional education should be implemented in schools to establish good eating habits, such as eating breakfast, among adolescents.

      • KCI등재후보

        통합고용 환경에서 정신지체 근로자에 대한 동료 근로자의 자연적 지원의 유형과 빈도 분석

        김계현(Kim Kye Hyun),박승희(Park Seunghee) 한국직업재활학회 2004 職業再活硏究 Vol.14 No.2

        본 연구에서는 통합고용 환경에서 정신지체 근로자에게 제공될 수 있는 동료 근로자의 자연적 지원(natural supports)을 지원의 주요한 자원으로 강조하였으며, 동료 근로자가 정신지체 근로자에게 제공한 자연적 지원의 유형과 빈도를 분석하였다. 본 연구는 우리 나라의 정신지체 근로자의 통합고용 상황에서 동료 근로자가 제공한 자연적 지원을 체계적으로 조사한 처음의 연구로서 자연적 지원을 촉진하기 위한 지원고용 정책과 후속연구에 기초 자료를 제공하였다. 문헌 연구와 면담을 근거로 본 연구자들에 의해 제작된 설문지를 연구 도구로 사용하여 설문지 응답을 요인 분석하였으며, 수도권 지역(서울, 인천, 경기도)의 사업체 중에서 정신지체 근로자와 함께 근무하고 있는 동료 근로자 240명을 대상으로 자연적 지원 제공 현황을 조사하였다. 동료 근로자가 제공한 자연적 지원은 요인분석 결과 세 가지 요인으로 나타났으며, 각각 (1)개인적 지원 ; (2)직업적 지원 ; (3)사회적 지원으로 명명하였다. 동료 근로자가 제공한 각각의 지원의 빈도 우선순위는 직업적 지원, 사회적 지원, 개인적 지원의 순으로 나타났다. 지원 빈도는 동료 근로자의 재직기간, 업종, 직무부서와 직무 유형에 따라 영역별, 문항별로, 또한 정신지체 근로자의 장애 정도와 재직기간에 따라 문항별로 유의미한 차이가 나타났다. 끝으로 본 연구의 제한점과 후속 연구를 위한 제언이 제시되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nature of natural supports in inclusive workplaces by means of analyzing the types and frequency of natural supports provided by co-workers for workers with mental retardation. Reponses of the survey developed by the researchers were collected from 240 co-workers in firms that across in Seoul and capital zone(including Seoul. Incheon, and Gyeonggi Province). The results of study are following. (1)There were three factors of natural supports provided by co-workers; personal care supports. job/task supports. and social supports, The rank of frequency of each sub-category of natural supports was followed; job/task supports. social supports. and personal care supports respectively. (2)The frequency of support provision by co-workers was significantly different according to the length of work-term in job/task supports and social supports sub-categories ; The longer work term. the more supports. In term of the support frequency related to the co-worker s work department and the types of job task. the more job/task supports were provided to workers with mental retardation when they were in the same department with co-workers and the types of job task are same. Interestingly enough. the people who work in the manufacturing industry provide more supports in personal care supports. job/task supports. and social support than food industry. (3)As far as the frequency of natural supports concerns according to the level of mental retardation and the work-term of workers with mental retardation. the significant differences exist in between sub-categories. but not within a category. The milder the level of mental retardation and the longer work term of workers with mental retardation. the more supports. Finally. limitations of this study and suggestions for future studies are suggested.

      • KCI등재

        Self-rated Health Status among Korean Adolescents: Differences in Home Environmental Factors, Health Behaviors, Psychological Factors, and Dietary Habits

        황성희,계승희,Hwang, Seonghee,Kye, Seunghee The Korean Society for SchoolCommunity Health Educ 2018 한국학교지역보건교육학회지 Vol.19 No.1

        목적: 본 연구는 한국 청소년의 가정환경, 건강행태, 심리적 요인 및 식습관 요인에 따른 주관적 건강상태의 차이를 분석하고, 주요 관련요인을 파악하고자 수행되었다. 방법: 분석자료로서 2015~2016년도 한국 청소년 건강행태 온라인조사 자료를 이용하였으며, 분석대상자 수는 중학생 53,791명, 고등학생 50,959명, 총 104,750명이었다. 학생들의 건강수준은 주관적 건강상태를 기준으로 건강집단과 비건강집단으로 구분하였다. 건강수준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으로서 성별, 가정환경, 건강행태, 심리적 요인 및 식습관이 검토되었다. 이들 요인 간 건강집단과 비건강집단의 비율차이 검증을 위해 표본설계 정보를 반영한 Rao-scott 카이제곱검정을 실시하였다. 또한 주관적 건강수준에 영향을 주는 요인을 알아보고자 로지스틱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결과 및 결론: 주관적 건강수준은 양친부모와 살지 않은 경우, 모의 교육수준이 낮을 때, 주관적 가정경제수준이 낮을수록 낮았다. 음주군, 고강도운동이나 근력운동을 실천하지 않는 군, 과체중이나 비만인군에서 주관적 건강수준이 낮았다. 또한 스트레스나 우울감 등 부정적인 감정이나 행복감을 느끼지 못할 때도 주관적 건강수준은 낮았다. 아침을 결식하거나 탄산음료, 고카페인음료, 패스트푸드 등의 비건강식품을 자주 섭취하는 군에서도 주관적 건강수준은 낮은 것으로 관찰되었다. 한국 청소년들에게서 건강 불평등(health inequalities)은 가정환경, 건강행태, 심리적 요인, 식습관 등 여러 요인들로부터 제기되는 것을 알 수 있었다. 이러한 요인들을 충분히 반영하여 청소년들이 건강해 질 수 있는 다각적 접근 방안이 모색되어야 할 것이다.

      • KCI등재
      • KCI등재
      • SCOPUSKCI등재

        한국 청소년의 과일 및 채소 섭취와 관련된 인구사회학적 특성 및 식생활 분석: 국민건강영양조사 제7–8기 (2016–2019) 자료 이용

        윤보경(Bokyeong Yun),계승희(Seunghee Kye) 한국영양학회 2024 Journal of Nutrition and Health Vol.57 No.3

        Purpose: This study investigated fruit and vegetable intake and associated sociodemographic and dietary factors, and compared the nutritional intake according to the fruit and vegetable intake level among Korean adolescents. Methods: This study was conducted on 1,676 adolescents who participated in the 2016–2019 Korea National Health and Nutrition Examination Survey. The subjects were classified into four groups based on the fruit and vegetable intake recommendations in 2020 Dietary Reference Intakes for Koreans: Application (KDRIs Application): sufficient fruit intake (SF) group, sufficient vegetables intake (SV) group, sufficient fruit and vegetables intake (SFV) group, and not sufficient fruit and vegetable intake (NS) group The nutrient intake per day in each group was compared.. Logistic regression analysis was performed to examine the factors influencing fruit and vegetables intake. Results: In the sample of adolescents surveyed, only 1.40% met the recommended daily intake of fruits and vegetables, while 79.54% fell below the established threshold for adequate consumption. Female adolescents, those with fathers holding university degrees or above, and those who ate breakfast at least three times a week were likelier to have adequate fruit intake. Male adolescents and those from higher-income households were likelier to consume vegetables. Females, those who ate out daily, those from lower-income households, and those who understood food labels were likelier to have adequate fruit and vegetable intake. The daily nutrient intake and intake-to-requirement ratio significantly differed according to the fruit and vegetable intake groups. The NS and SF group had lower ratios for calcium and iron, while the NS group had the lowest vitamin A and C intake. By contrast, the SFV group met almost all daily nutrient requirements, except for calcium and vitamin A. Conclusion: This study highlights the need for nutrition education programs to encourage adolescents to consume adequate amounts of fruits and vegetables.

      • SCOPUSKCI등재
      • KCI등재

        한국 청소년의 과일 섭취빈도와 인구사회학적 특성, 건강행태 및 식습관과의 관계

        최유림(Yurim Choe),계승희(Seunghee Kye)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024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Vol.24 No.15

        목적 본 연구는 우리나라 청소년의 과일섭취빈도에 영향을 미치는 인구사회학적 특성, 건강행태 특성 및 식습관 관련요인을 알아보기 위해 수행되었다. 방법 2021년 제17차 청소년건강행태조사에 참여한 청소년 총 54,848명의 자료가 분석에 이용되었다. 청소년의 과일섭취빈도를 기준으로 3군(주 1∼2회, 주 3∼6회, 일 1회 이상)으로 구분하여 이에 영향을 미치는 인구사회학적 특성, 건강행태 특성 및 식습관 관련요인을 다항로지스틱회귀분석으로 분석하였으며, 성별, 연령, 부모학력, 가정경제수준, 주거지역 및 체중상태를 보정하였다. 결과 청소년의 과일 섭취빈도에 영향을 미치는 인구사회학적 특성으로는 성별, 학교급, 어머니의 학력, 가정경제수준, 거주지역, 주관적 학업성적으로 나타났다. 남학생이 여학생에 비해, 고등학생이 중학생에 비해 과일을 섭취할 가능성이 낮았다. 어머니의 학력과 가정경제수준 및 주관적 학업성적이 높을수록 과일을 섭취할 가능성이 높았고, 거주지역이 대도시이거나 중소도시인 경우 군지역에 비해 과일을 섭취할 가능성이 낮았다. 청소년의 과일 섭취에 영향을 미치는 건강행태 특성으로는 주관적 건강상태, 흡연, 음주, 체중상태, 중강도 및 고강도 신체활동으로 나타났다. 주관적 건강상태가 좋을수록 과일을 섭취할 가능성이 높았고, 흡연과 음주를 할 경우 과일을 섭취할 가능성이 낮았다. 체중상태가 비만 또는 과체중인 경우 저체중에 비해 과일을 섭취할 가능성이 낮았고, 중강도 및 고강도 신체활동을 할 경우 과일을 섭취할 가능성이 높았다. 청소년의 과일 섭취에 영향을 미치는 식습관 요인으로는 아침결식, 단맛 음료 섭취, 물 섭취, 학교 영양교육 경험 여부로 나타났다. 아침을 주 5회 이상 결식할 경우 과일을 섭취할 가능성이 낮았고, 단맛 음료를 주 3회 이상 섭취할 경우 과일을 섭취할 가능성이 높았다. 또한 물을 하루 800ml이상 섭취하거나 학교 영양교육을 경험한 경우 과일을 섭취할 가능성이 높았다. 결론 본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청소년들의 과일섭취 증진을 위한 효율적인 정책 마련 및 다양한 프로그램이 실행되어야 하겠다. Objectives This study aimed to determine the influencing factors of fruit intake frequency in Korean adolescents in association with sociodemographic characteristics, health behaviors, and dietary habits. Methods The data of 54,848 adolescents who participated in the 2021 Korea Youth Risk Behavior Survey were analyzed. The factors associated with fruit intake frequency in adolescents were examined using logistic regression analysis, while age, sex, parents’ educational level, household income, residential area, and weight were adjusted. Results Fruit intake frequency was lower in men than in women and high school students than in middle school students. With increased mother’s educational level, household income, and subjective academic achievement, fruit intake frequency increased, while the frequency was low in students living in cities than those in provinces. With increased subjective health status, fruit intake frequency increased. With smoking and alcohol drinking, fruit intake frequency was low. Fruit intake frequency was low in obese or overweight students compared to low-weight students, whereas the frequency was high in students performing mid- and high-intensity physical activities. Fruit intake frequency was low in students skipping breakfast ≥ 5 times weekly, whereas it was high in students drinking sweetened drinks ≥ 3 times weekly. Daily water intake ≥800 mL or the experience of school nutrition education led to higher probability of fruit intake. Conclusions Based on the study findings, various programs and efficient policies should be developed to promote the fruit intake in adolescent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