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SCOPUSSCIEKCI등재

        Malignant Rhabdoid Tumor of the Kidney and Spine in an Infant

        Park, Sejun,Seo, Jae-Hee,Park, Jun Bum,Park, Sungchan The Korean Neurosurgical Society 2014 Journal of Korean neurosurgical society Vol.55 No.1

        Rhabdoid tumor of the kidney (RTK) is a rare malignancy in infancy. Central nervous system involvement in RTK is already known. However, solitary spinal metastasis in RTK has been hardly reported. The authors report a case of metastatic RTK to spine causing paraplegia in an 8-month-old girl. Since the patient was young, the diagnosis of spine metastasis was delayed until paraplegia was seen after radical nephrectomy. Thorough neurological examination should be performed for early diagnosis of spinal metastasis in young patients with RTK. If there are any abnormal signs in neurologic examination, magnetic resonance images of brain and spine are recommended.

      • KCI등재

        Diagnosing Polypoidal Choroidal Vasculopathy Using Color Fundus Photography, Optical Coherence Tomography, and Optical Coherence Tomography Angiography

        Sejun Park,Junwoo Lee,Jong Beom Park,Eung Suk Kim,Seung-Young Yu,Min Seok Kang,Kiyoung Kim 대한안과학회 2023 Korean Journal of Ophthalmology Vol.37 No.6

        Purpose: To compare the diagnostic accuracy of differentiating polypoidal choroidal vasculopathy (PCV) from exudative age-related macular degeneration (AMD), using color fundus photography (CFP), optical coherence tomography (OCT), and swept-source OCT angiography (SS-OCTA) without using indocyanine green angiography (ICGA). Methods: Treatment-naive eyes with exudative AMD that underwent CFP, OCT, SS-OCTA, and ICGA imaging before treatment were identified. Images of each patient were categorized into two sets (set A, CFP + OCT; set B, CFP + SS-OCTA). In set B, both the en face and cross-sectional B scans were analyzed. Each set was reviewed by two graders, and it was determined whether the presumed diagnosis was PCV. Sensitivity, specificity, and area under the receiver operating characteristic curve (AUC) for the diagnosis of PCV were assessed for each set by comparing diagnoses that included ICGA. The number of polypoidal lesions in each set was calculated and compared to ICGA. Results: A total of 94 eyes from 94 patients with AMD were included in the study, of which 66.0% were male, and the mean age was 71.8 ± 9.0 years. The PCV diagnosis rate using ICGA was 45.7%. The sensitivity was 0.88 for set A and 0.93 for set B, while the specificity was 0.94 for set A and 0.96 for set B. The AUC was 0.90 (95% confidence interval [CI], 0.83–0.97) for set A and 0.96 (95% CI, 0.90–1.00) for set B. Set A detected 1.28 ± 0.91 polypoidal lesions, while set B detected 1.47 ± 1.01; ICGA showed 1.51 ± 0.86. Conclusions: This study highlights that, without using ICGA, both CFP combined with OCT and CFP combined with SS-OCTA demonstrate high sensitivity, specificity, and AUC in diagnosing PCV. It is evident that SS-OCTA contributes to enhancing sensitivity, specificity, and AUC for PCV diagnosis.

      • Poster Session : PS 1431 ; Hemato-Oncology(Oncology) : Large Cell Neuroendocrine Carcinoma Mimicking Lung and Liver Metastasis in Preexisting Advanced Prostate Cancer: A Case Report

        ( Sejun Park ),( Ji Eun Lee ),( Myung Ah Lee ),( Sarah Park ),( Sang Young Roh ) 대한내과학회 2014 대한내과학회 추계학술대회 Vol.2014 No.1

        Neuroendocrine tumor can be developed in any area of whole body, also differentiated from prostate cancer. On Jul, 2013, the Prostate Cancer Foundation proposed the classi fication of prostate cancer and neuroendocrine cancer. The neuroendocrine cancer can be differentiated from prostate cancer, but large cell neuroendocrine cell is known to be extremely rare. We report a case of large neuroendocrine carcinoma mimicking progressive lung & liver metastasis of advanced prostate cancer. A 68-year-old man presented with a 3 weeks history of anal bleeding in Sep, 2008. The colonoscopy showed submucosal rectal mass and CT showed multiple intra-abdominal lymph node enlargement. The pathologic findings of rectal mass was consistent with prostate cancer with 54.5 ng/mL of serum PSA level. After treatment of hormonal therapy followed by resection of prostate and radiation, the level of PSA decreased to 0.135 ng/ mL. On Oct, 2013, multiple metastatic lesions in lung, liver, and multiple lymph nodes developed. The biopsy of inguinal lymph nodes showed poorly differentiated carcinoma of prostate, so the hormonal treatment was restarted, resulting in progressive disease in liver and lung metastasis. After 6 cycles of docetaxel and prednisolone chemotherapy, most of metastatic lymph node showed partial response, but lung & liver metastasis lesions revealed still progressive disease with 0.006 ng/ml of serum PSA level. He underwent biopsy for metastatic lung & liver mass. The immunohistochemistry stain were negative for CDX-2 and PSA, but positive for chromogranin and synaptophysin, showing large cell neuroendocrine carcinoma. After treatment with etoposide and cisplatin, partial response was achieved in lung & liver metastasis, as well as other metastatic lymph node. Herein, we suggest that neuroendocrine differentiation should be considered in case of progressive disease prostate cancer especially with normal PSA level.

      • 축산분뇨를 이용한 열병합발전 시스템의 동적설계 기법 제시

        박세준 ( Sejun Park ),이인복 ( In-bok Lee ) 한국농공학회 2014 한국농공학회 학술대회초록집 Vol.2014 No.-

        기존의 주된 에너지 자원인 화석 연료의 한정된 양이 점점 고갈되고 있으며 온실가스로 인한 환경문제가 수면위로 부각 되면서 대체에너지 개발의 중요성이 높아지고 있다. 이에 따라 화석 연료의 대체에너지가 개발되고 있으며, 에너지 소비의 많은 부분을 차지하고 있는 난방 및 운송 분야에서 다양하게 적용되고 있다. 특히 다양한 대체 에너지원 중 열병합발전 시스템의 경우, 기존 발전시스템과 비교하여 전력생산 뿐만 아니라 생산 과정 중 버려지는 폐열 에너지를 이용 가능한 열에너지로 회수하기 때문에 최대 두 배 가량의 높은 에너지 생산 효율을 나타낸다. 또한 단위 생산에너지 당 온실가스 배출량이 적기 때문에 친환경적 대체 에너지로 평가받고 있으며 최근 열병합발전 시스템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고 있는 추세이다. 한편 축산업 분야의 경우 사육 가축의 수가 증가함에 따라 축산분뇨 발생량 또한 증가하는 추세이며 우리나라의 경우 2012년부터 축산분뇨의 해양투기가 금지되어 이의 처리 비용 및 환경오염이 증가되고 있다. 따라서 최근 축산업 분야에서도 폐자원인 축산분뇨를 연료화 하여 열병합발전시스템에 이용, 전력생산과 난방에너지를 생산하는 시도들을 통하여 에너지 수급 및 축산분뇨 처리에 대한 노력들이 이루어지고 있다. 그러나 기존의 축산분뇨를 연료로 하는 열병합발전시스템의 설계 기법의 경우, 시스템을 구성하는 많은 시설들의 설계가 독립적으로 이루어지기 때문에, 시설들 간의 유기적 관계를 반영하지 못하며, 기상데이터와 같은 실시간으로 변하는 자료들을 반영하지 못한다는 단점을 나타낸다. 이러한 이유로 현재까지 열병합발전시스템의 설계 단계에서의 설계 에너지 생산량과 실제 시스템 운영시의 에너지 생산량의 큰 차이가 발생하는 등 한계점이 존재하며 널리 보급되지 못하고 있다. 따라서 이를 보완할 수 있는 열병합발전 시스템의 설계 기법에 대한 개발이 필히 수반되어야 한다. 따라서 본 연구는 열병합발전 시스템의 과도 혹은 과소 설계를 방지하기 위한 대안으로 Building Energy Simulation (BES) 기법을 통해 열병합발전 시스템의 에너지 분석을 수행하여 전기 에너지 및 난방 에너지 생산량을 예측하였다. BES 기법은 기상자료를 비롯한 입력 자료들을 실시간 형태로 이용하며 시스템을 구성하는 각 시설의 입력 값과 출력 값을 실시간으로 교환하는 동적 해석을 수행하기 때문에 실제에 가까운 시스템 설계가 가능한 기법이다. 본 연구에서의 열병합발전 시스템은 각각 발전, 폐열 회수, 폐열 이용 시스템으로 나누어 설계되었으며, 특히 회수된 폐열 이용의 경우 혐기 소화조의 최적 온도유지에 우선적으로 이용되고, 남은 열량은 대상 농가의 기숙사 난방에 이용되었다. 시스템 설계에 필요한 물성치 및 초기 입력조건은 실제 시스템을 가동하고 있는 농가에서의 실측값을 반영하였다. 또한 시뮬레이션 모델의 정확도 향상을 위하여 BES를 이용한 연구들에서 널리 이용되고 있는 모듈 단위의 검증을 수행하였으며 본 시뮬레이션 모델에서 열병합발전 시스템 중 축열조 내부 온도에 대하여 시뮬레이션 결과 값과 실측값을 비교·검증하였다. 본 연구에서 수행한 BES 시뮬레이션을 이용한 열병합발전 시스템 설계 기법은 시스템의 적정 설치 용량을 결정하는데 기여할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되며, 열병합발전 시스템의 시공을 위한 기초설계자료로 활용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 온실 공조설비의 적정 설계를 위한 에너지부하 산정 및 내부 공기유동 분석

        박세준 ( Sejun Park ),이승노 ( Seungno Lee ),이인복 ( In-bok Lee ) 한국농업기계학회 2016 한국농업기계학회 학술발표논문집 Vol.21 No.2

        온실은 재배작물의 적정생육온도를 유지하기 위해서 높은 에너지비용이 필요하다. 가온온실의 경우 평균적으로 총 운영비 중 41%를 난방비로 소비하며 주로 유류를 사용한다. 이에 화석연료를 대체할만한 에너지로 신재생에너지를 농업시설에 활용하고자하는 시도가 행해지고 있으며 이를 위해 에너지비용 및 에너지 이용 효율성 분석의 선행되어야 한다. 본 연구에서는 건물에너지시뮬레이션기법(BES)을 이용하여 에너지비용 분석 및 전산유체역학기법(CFD)을 이용하여 작물군에서의 적정생육환경을 평가하고자 하였다. 대상 온실은 보령화력발전소에 위치한 8연동 플라스틱온실로 현장실험을 통하여 온실의 BES및 CFD모델을 설계 및 검증하였다. BES모델에 재배작물의 에너지교환을 설계하기 위해서 기공저항, 엽면적지수 등을 측정하였으며 CFD모델에 작물을 다공성매체로 설계하기 위해서 공기저항을 측정하였다. BES모델은 온실구조, 작물에너지교환, 냉난방설비로 구분지어 설계하였으며 증산량비교를 통한 작물 에너지교환 모듈검증과 온실 내부기온 비교를 통한 온실 에너지교환 모델검증을 수행하였다. 검증된 BES모델과 기상데이터를 이용하여 에너지비용분석 및 냉난방설비의 적정설계용량을 제시하였다. CFD모델은 작물특성, 온실형상, 구조적특징 등을 반영하였으며 격자크기, 난류모델을 조절하며 온실 내부 15개 지점에서의 기온 및 공기유속을 비교하여 검증하였다. BES모델의 검증은 내부기온 (R² = 0.83, d = 0.94) 및 작물증산량 (R² = 0.96, d = 0.99)의 연산된 값과 실측치를 비교하였으며 냉난방부하를 산정하기 적합하다고 판단하였다. 산정한 에너지비용 분석 결과 온배수-히트펌프를 사용할 경우 등유보일러를 사용할 때와 비교하여 평균 68.21%의 에너지비용이 감소하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최대 냉·난방부하는 현재 설치된 히트펌프의 냉·난방용량보다 각각 9.7, 18.3% 높게 산정되어 냉·난방부하 절감 방안을 모색할 필요가 있다고 판단하였다. CFD모델의 검증은 내부공기유속의 정량적비교 (R² = 0.94) 및 내부기온의 정성적비교를 통해 모델의 적합성을 확인하였다. 검증된 CFD모델을 이용하여 냉난방 공조시설에 따른 작물 적정생육환경의 정량적인 분석이 가능할 것으로 판단된다.

      • 전산유체역학을 이용한 온실 내 순환팬의 적정 설치기준 제시

        박세준 ( Sejun Park ),이인복 ( In-bok Lee ) 한국농공학회 2015 한국농공학회 학술대회초록집 Vol.2015 No.-

        현재 우리나라의 온실 산업은 그 규모가 꾸준히 증가해 왔으며, 점차적으로 대형화 온실이 늘어나고 있는 추세이다. 이에 따라 온실 내부 작물의 적정 생육 환경 조성을 위한 환기 시스템을 비롯한 공조시스템의 설계의 중요성이 더욱 증가하였다. 하지만 온실이 대형화 될수록 온실 내 유동 및 온도와 습도의 불균일성의 증가는 불가피하며, 이는 작물의 적정 생육 온도 및 풍환경 조성에 악영향을 미치기 때문에 생산성 감소로 이어지게 된다. 따라서 온실 내 여러 환경 요인들에 대한 균일성 개선을 위한 많은 방안들이 시도되고 있으며, 이 중 가장 효율적인 방법으로 온실내 공기 유동률을 높이는 방법이 보고되고 있다. 온실 내 공기 유동률을 높이는 방법은 주로 수평팬을 이용한 공기 순환방법과 온실 상부 플라스틱 천공튜브를 이용한 공기 순환법이 사용되고 있다. 이 중 수평팬을 이용한 공기 순환방법은 플라스틱 천공튜브를 이용하는 방법과 비교하여 유지비, 초기 투자비가 적게 들고 공기 순환 및 열 균일성을 높이는데 더 효율적인 것으로 알려져있다. 하지만 현재 국내 온실 내 순환팬 설치기준은 농어촌진흥공사에서 1997년에 제시한 기준으로 오랜 기간이 지났을 뿐만 아니라 순환팬 설치 간격과 높이, 직경 등에 대한 대략적인 기준만을 제시하는 등 순환팬의 설치용량, 온실 측벽과 끝벽과의 설치 거리 등에 대한 자세한 기준이 존재하지 않는 실정이다. 따라서 온실내 순환팬의 설치 기준에 대하여 순환팬 용량 및 정확한 설치 위치 및 간격 등에 대한 명확한 제시가 필요하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온실 내 순환팬 설계용량, 순환팬 간 설치 간격, 온실 측벽 및 끝벽과의 설치거리, 설치 높이 등에 대한 명확한 제시를 함으로써 온실 내 순환팬의 적정 설치기준안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하여 전산유체역학(Computational Fluid Dynamics; CFD)를 이용하여 온실 내 순환팬 설치 상태에 따른 유동 분석 및 온도 균일성 분석을 통하여 다양한 case를 수행하기 위한 현장실험의 경제적, 시간적 비용을 줄이고자 하였다. 단일 순환팬에 대한 모델 설계 및 분석을 통하여 유동 특성을 추출하였으며, 도출된 결과를 이용하여 온실 내부 다수의 순환팬 설치 모델 설계를 실시하였다. 온도 균일성에 대한 평가 지표로는 TUI(Temperature Uniformity Index)를 이용하였으며, 작물군에서의 적정 유속에 대한 평가를 실시하였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