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SCISCIESCOPUS

        Surface zwitterionization: Effective method for preventing oral bacterial biofilm formation on hydroxyapatite surfaces

        Lee, Myoungjin,Kim, Heejin,Seo, Jiae,Kang, Minji,Kang, Sunah,Jang, Joomyung,Lee, Yan,Seo, Ji-Hun Elsevier BV * North-Holland 2018 Applied Surface Science Vol.427 No.1

        <P><B>Abstract</B></P> <P>In this study, we conducted surface zwitterionization of hydroxyapatite (HA) surfaces by immersing them in the zwitterionic polymer solutions to provide anti-bacterial properties to the HA surface. Three different monomers containing various zwitterionic groups, i.e., phosphorylcholine (PC), sulfobetaine (SB), and carboxybetaine (CB), were copolymerized with the methacrylic monomer containing a Ca<SUP>2+</SUP>-binding moiety, using the free radical polymerization method. As a control, functionalization of the copolymer containing the Ca<SUP>2+</SUP>-binding moiety was synthesized using a hydroxy group. The stable immobilization of the zwitterionic functional groups was confirmed by water contact angle analysis and X-ray photoelectron spectroscopy (XPS) measurement conducted after the sonication process. The zwitterionized HA surface showed significantly decreased protein adsorption, whereas the hydroxyl group-coated HA surface showed limited efficacy. The anti-bacterial adhesion property was confirmed by conducting <I>Streptococcus mutans</I> (<I>S. mutans</I>) adhesion tests for 6h and 24h. When furanone C-30, a representative anti-quorum sensing molecule for <I>S. mutans</I>, was used, only a small amount of bacteria adhered after 6h and the population did not increase after 24h. In contrast, zwitterionized HA surfaces showed almost no bacterial adhesion after 6h and the effect was retained for 24h, resulting in the lowest level of oral bacterial adhesion. These results confirm that surface zwitterionization is a promising method to effectively prevent oral bacterial adhesion on HA-based materials.</P> <P><B>Highlights</B></P> <P> <UL> <LI> Hydroxyapatite (HA) was coated with the three types of zwitterionic copolymers (1.0wt%) containing Ca<SUP>2+</SUP>-binding moiety. </LI> <LI> The zwitterionized HA surfaces inhibited protein adsorption and bacterial adhesion. </LI> <LI> The anti-bacterial effect of surface zwitterionization was even better than anti-quorum sensing molecules. </LI> </UL> </P> <P><B>Graphical abstract</B></P> <P>[DISPLAY OMISSION]</P>

      • KCI등재

        Clinical profile of a new anesthetic: remimazolam

        Lee Myoungjin,Kim Sang Hun 조선대학교 의학연구원 2023 Medical Bilogical Science and Engineering Vol.6 No.1

        Remimazolam is a novel ultrashort-acting benzodiazepine that acts on g-aminobutyric acid A receptor. It has been approved for use as a general anesthetic and sedative. This medication is recommended for inducing and maintaining anesthesia using continuous intravenous infusion; however, bolus dosing of remimazolam can also be adopted. Continuous intravenous infusion should be started at a rate of 6 or 12 mg/kg/h until loss of consciousness is achieved. Subsequently, this infusion rate should be decreased at a rate of 1 mg/kg/h as appropriate to maintain proper anesthetic depth (maximum allowable rate, 2 mg/kg/h). These recommended doses show more stable hemodynamics than those of propofol. The clinical profiles of anesthesia induction and maintenance are comparable between remimazolam and propofol. Although remimazolam has a slightly longer anesthetic induction time than propofol, the results are not inferior to each other. Recovery profiles show somewhat contradictory results, but the effects of remimazolam and propofol are comparable. Whether the bispectral index or other anesthetic depth indices are suitable for monitoring the sedative effect of remimazolam remains controversial. The appropriate ranges of electroencephalography (EEG) indices for remimazolam are unclear, but it has higher EEG indices than propofol. Thus, co-administration of opioids with a low dose of remimazolam is recommended to maintain the appropriate ranges for patients. Despite the favorable effects of remimazolam, the risk of re-sedation should always be considered after remimazolam reversal, especially when using flumazenil. Thus, remimazolam is considered comparable with propofol for inducing general anesthesia.

      • KCI등재

        사전재해영향성 평가에 대한 정책적 제언

        이명진(Lee Myoungjin),서경민(Seo Kyungmin),최우정(Choi Woojung) 한국방재학회 2018 한국방재학회논문집 Vol.18 No.3

        본 연구는 사전재해영향성 평가제도의 개선 방안을 제안하기 위해 환경영향성평가의 연혁 변화 및 DB 구축 시스템에 대해 살펴보았고, 또한 재해 사전 분석의 이론적 개념을 분석하여 사전재해영향성 평가제도의 이론적 개념을 정리하였다. 사전재해영향성평가 문제점을 환경영향성평가 비교 분석을 통해서 사전재해영향성평가 개선방안을 제안하였다. 개선방안으로 첫째 정책적 개선안으로 행정계획 지침 분리, 소규모 개발 사업 간소화 등을 제안하였다. 둘째 기술적 개선안으로 통합관리시스템 개발, 사후재해영향성검토제 도입을 제안하였다. This research has shown Pre-Disaster Impact Assessment System (Pre-DIAS) that analyzes Post-Disaster Impact Assessment System (Post-DIAS)and Environmental Impact Assessment System (EIAS). In order to improve current Pre-DIAS, there are 2 different ideas has been suggested. First of all, based on government policy system, Administration disaster management Plan and Process minimization of Developing business establishing are possible to improve Pre-DIAS. This is because Pre-DIAS has not been evaluated in person on the scene. Second, Disaster Integrated Management System (DIMS) and Post-DIAS are suggested that those systems are not exist in Korea. DIMS and Post-DIAS play a significant role in monitoring a disaster management operation system in Korea.

      • AspectHPJ: 자바기반의 관심 지향적 병렬 프로그래밍 모델

        김명진(Myoungjin Kim),이한구(Hanku Lee),이동근(Dongkeun Lee),이원사(Wonsa Lee) 한국정보과학회 2008 한국정보과학회 학술발표논문집 Vol.35 No.1

        최근의 융합학문의 발전으로 생물, 물리, 화학, 천문, 우주학, 지구과학 분야에서도 병렬 프로그램을 이용한 대용량 데이터를 처리하는 빈도가 높아졌다. 그러나 병렬 프로그래밍은 병렬환경의 전문성을 가지고 있지 않는 다른 학문의 전문가가 사용하기는 어려운 것이 현실이다. 이에 본 논문에서는 병렬환경의 비전문가도 사용하기 용이한 관심 지향적 병렬 프로그래밍 모델과 자바 기반으로 구현된 AspectHPJ 시스템을 제안한다. 본 시스템의 첫 번째 특징은 일반 사용자가 Sequential 코드로 프로그램을 작성하고 병렬화 하고자 하는 코드영역에 병렬마크를 사용하여 병렬코드로 전환하는 특징을 가지고 있다. 두 번째는 병렬환경 요소(프로세서 개수, 분산배열 속성)를 AOP 개념의 관심(aspect)으로 추출하여 사용자가 보다 용이하게 병렬환경 요소를 설정할 수 있게 해주는데 있다.

      • u-GIS 기반 건설정보화 혁신 기술개발 프로젝트를 위한 분산 실시간 시스템

        김명진(Myoungjin Kim),이한구(Hanku Lee),이동근(Dongkeun Lee),이원사(Wonsa Lee) 한국정보과학회 2008 한국정보과학회 학술발표논문집 Vol.35 No.2

        유비쿼터스 컴퓨팅 환경 하에서 진행되고 있는 “U-GIS 기반 건설정보화 혁신 기술개발” 프로젝트는 실시간으로 건설 현장에서 생성되는 각종 데이터 및 원격지 장비조작 등을 통합 관리하기 위해 실시간으로 데이터를 처리 할 수 있는 통합 관제 시스템을 필요로 한다. 공사현장의 분산된 각 노드 또는 센서에서 생성되는 데이터(위치정보 센서 데이터, 영상 정보 데이터 등)를 실시간으로 다량 처리하기 위해서 TMO모델을 통해 시간동기화를 거쳐 실제 공사 현장을 원격지에서 모니터링 할 수 있고, 현장의 장비를 조작 할 수 있는 TMO 기반의 실시간 제어, 데이터처리 시스템을 제안하고자 한다.

      • KCI등재후보

        기준점의 극단성과 문항 난이도가 기준점 효과에 미치는 영향

        이명진(Myoungjin Lee),이윤형(Yoonhyoung Lee),김경일(Kyungil Kim) 한국인지과학회 2022 인지과학 Vol.33 No.1

        선행 연구들에서는 그럴듯한 기준점이 극단적 기준점보다 더 큰 기준점 효과를 야기하는 반면, 주어진 문항과 관련된 개인의 지식수준이 높으면 기준점 효과가 작아진다고 보고하고 있다. 하지만 제시되는 기준점이 그럴듯한지 여부와 주어진 문항 자체의 난이도가 기준점 효과에 미치는 영향을 함께 살펴본 연구는 없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기준점의 극단성과 문항의 난이도가 기준점 효과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보았으며, 이에 더해 응답 확신도와 기준점 효과의 관계도 살펴보았다. 이를 위하여 예비 연구를 통해 쉬운 문항과 어려운 문항, 그럴듯한 기준점과 극단적인 기준점을 선정하였다. 본 실험은 ‘표준 기준점 실험 절차’에 따라 진행되었다. 연구 결과, 기준점의 극단성과 문항의 난이도는 각각 기준점 효과에 영향을 미쳤으며 문항의 난이도는 응답 확신도에도 또한 영향을 미쳤다. 구체적으로, 그럴듯한 기준점을 제시했을 때와 어려운 문항을 제시했을 때에 기준점 효과가 크게 나타났다. 또한 자신의 수행에 대한 확신이 낮을수록 극단적인 기준점이 제시되었을 때 기준점의 영향을 크게 받았다. 이러한 결과는 기준점이 그럴듯한지와 문항의 난이도에 따라 기준점 효과의 크기와 확신 정도, 그리고 기준점 효과와 확신도 사이의 상관관계가 다르게 나타난다는 것을 보여준다. 본 연구의 결과는 기준점의 특성이나 개인의 상태에 따라 기준점 효과가 달라진다고 제안하는 기준점 효과에 관한 태도 변화 관점을 뒷받침한다. Previous studies have reported that a plausible reference point has a greater anchoring effect than an extreme reference point. It is also known that the anchoring effect decreases when the individual"s level of knowledge related to a given item is high. However, there has been no study examining the interaction of the plausibility of the reference point and the difficulty of the given question. Therefore, in this study, the effect of the reference plausibility and the difficulty of the questions on the anchoring effect were examined.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response confidence and the anchoring effect was also examined. To do so, easy and difficult questions, plausible and extreme reference points were selected through preliminary research. The experiment was conducted following the ‘standard anchoring task procedure’. As results, the extremity of the reference point and the difficulty of the question affected the size of the anchoring effect respectively. The difficulty of the question also affected the confidence of the response. Specifically, when a plausible reference point was presented and when a difficult question was presented, the anchoring effects were increased. In addition, the lower the confidence in one"s performances, the greater the influence of the reference point when an extreme reference point was presented. These results show that the plausibility of the given reference point and the difficulty of the item have different effects on the magnitude of the anchoring effect and the degree of confidence. The results of this study support the attitude change perspective regarding the anchoring effect, which suggests that the anchoring effect varies depending on the characteristics of the reference point and the individual"s knowledge.

      • KCI등재

        단위직무 분석을 통한 위기관리 매뉴얼 간소화 방안에 관한 연구

        이명진(Lee, Myoungjin),조현승(Cho, Hyunseung),임상규(Rheem, Sankyu),최우정(Choi, Woojung) 한국방재학회 2017 한국방재학회논문집 Vol.17 No.3

        위기관리 매뉴얼은 재난 및 안전관리 기본법을 기반으로 재난 유형별로 위기관리 표준매뉴얼, 위기대응 실무매뉴얼, 현장조치 행동매뉴얼로 작성하도록 되어있다. 따라서 위기관리 매뉴얼이 재난 유형별(자연재난/사회재난)로 작성되어 방대하고 복잡한 단점을 가지고 있다. 이러한 이유로 재난이 발생하였을 때, 신속하게 매뉴얼을 적용하여 현장대응에 적용하지 못하고 있는 실정이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위기관리 매뉴얼의 단위직무분석을 통해서 공통직무/특수직무로 분류하여 표준화된 단위 직무를 도출하였다. 표준화된 단위직무를 활용하여 재난유형에 상관없이 재난이 발생하였을 때 신속하게 대응할 수 있고, 훈련계획 및 훈련현장에서 손쉽게 활용할 수 있는 매뉴얼을 제안하고자 한다. The Risk Management Manuals, including standard manual, working-level manual and manual for actions at scene, are to be developed by type of disasters based on the Framework Act on the Management of Disaster and Safety. Because the manuals are developed by type of disasters(natural and social), they are too complicated and voluminous as weaknesses. Because of these shortcomings, they are under-utilized when disaster occurs. In these regards, this research drew the standardized task units through analyzing the tasks which are specified in the manuals by compartmentalizing the them into two types, the common and the special. Finally, this research would propose the improved manuals which are easily and efficiently utilized for planning trains, in field training and to respond to disasters by exploiting the standardized task units regardless of disaster type.

      • KCI등재

        사전 정보의 기억이 전환 과제 수행에 미치는 영향

        이명진(Myoungjin Lee),태진이(Jini Tae),이윤형(Yoonhyoung Lee) 한국자료분석학회 2021 Journal of the Korean Data Analysis Society Vol.23 No.6

        과제와 관련된 사전 정보 제시는 과제 전환 준비를 돕지만 이러한 정보를 작업 기억에 유지하는 것은 작업 기억 부하를 일으키기도 한다. 본 연구의 목적은 사전 정보의 개수를 조절했을 때 사전 정보를 작업 기억에 유지하는 것이 과제 전환 수행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는 것이다. 구체적으로 연구 1과 2에서는 기억할 사전 정보의 개수를 2개로, 연구 3에서는 4개로 조작하였으며, 사전 정보가 제시되지 않는 조건, 수행 시 정보가 제시되어 사전 정보를 선택적으로 기억할 수 있는 조건, 그리고 사전 정보를 기억해야 하는 조건을 비교하였다. 2개의 사전 정보를 제시한 연구 1과 연구 2 모두 전환 여부와 관계없이 사전 정보를 기억하는 것이 과제 전환 수행에 도움을 주었다. 연구 1에서는 사전 정보를 제시할 때 조건을 구분할 수 없어 조건 간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으나, 연구 2에서 이를 보완하여 사전 정보를 선택적으로 기억할 수 있는 조건과 사전 정보를 반드시 기억해야 하는 조건 간의 차이를 확인하였다. 4개의 사전 정보를 제시한 연구 3 역시 사전 정보를 기억하는 것이 과제 전환 수행에 도움을 주었으나, 동일한 설계 방식에 사전 정보의 개수만 다르게 제시한 연구 2와 연구 3을 비교했을 때, 2개의 사전 정보를 기억할 때에 비해 4개의 사전 정보를 제시한 경우의 반응시간이 느려졌다. 특히 동일한 사전 정보를 제시하더라도 정보를 반드시 기억해야 하는 조건에서만 개수에 따른 반응시간 차이가 나타났는데 이는 단순히 정보를 많이 제시하는 것이 아니라 이를 기억하게 하는 것이 부하를 일으킴을 의미한다. Prior information about the task helps prepare the task. However, maintaining such information potentially increases the working memory load, and therefore it is possible to degrade the task performance. This study investigated the effect of maintaining task information on working memory on task switching performance. In Experiment 1 and Experiment 2, information types (no prior information before task, prior information before task+task cue during task, prior information before task but no task cue during task) and task transition (repetition, switching) were manipulated. Experiment 1 and Experiment 2 showed that the performance of the conditions with prior information, regardless of task transition, were better than the condition without prior information. In Experiment 3, the amount of the prior information was increased to 4 items. As a result, conditions with prior information still had faster reaction times than the condition without prior information. Interestingly, when comparing two studies(Experiment 2 and Experiment 3) that used the same block design method but only had different numbers of prior information, the reaction time was slower when presenting 4 items than when presenting 2 items. In particular, since the effect of the number of prior information only appeared in memory conditions, it shows that remembering it rather than presenting a lot of prior information hinders the performance of the task switching.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