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보편복지 확장을 위한 '일자리보장제'도입 방안 연구: 광주광역시 사례를 중심으로

        김미경,김신영,Kim, Mi-Kyong,Kim, Sin-Young 국제문화기술진흥원 2022 The Journal of the Convergence on Culture Technolo Vol.8 No.6

        We analyzed both current local policies and in-depth survey data to find out a way to provide job opportunity and income source to local young people in so-called job guarantee system. The young generation in current Korean society has been experiencing both growth without employment and severe economic inequality at the same time, though they should have taken part actively in social development. Their rights for work and survival have also been threatened and losing hope for the future is an widespread symptom in this generation. Kwangju metropolitan city(KMC) has been supporting certain amount of case income and job experience to young people in Kwangju through a local government policy called Kwangju Young Generation Job Experience Dream Service. In spite of high level of satisfaction from the participants, limitations such as below average job performance level of participants and a barrier in the transition to regular position still remain. This study hopes that a case of Kwangju gives pragmatic insights for a realizable path to expanding universal welfare through assuring job opportunity to the young generation in local area.

      • KCI등재

        『오셀로』, <저녁 식사하러 누가 왔나 보세요>, <정글 피버>에 나타난 인종 차별적 이분법과 백인 남성의 집단 불안심리

        김미경(Mi-Kyong Kim) 한국영미문학교육학회 2009 영미문학교육 Vol.13 No.2

        This article analyzed Othello from the viewpoint of miscegenation and traced that element in the film Guess who's coming to Dinner and Jungle Fever. It is critically important to note the racial dynamics in the understanding of the identity of Othello. It is examined that Iago concealed his desire and jealousy for Othello's sexual energy through the negative representation of the black male's sexual power. Meanwhile Iago controlled the white male's collective unconscious in representing Moor's sexuality as negative and lustful in order to overcome his sexual complex. In other words, he emphasized his racial superiority as a method of releasing his sexual complex. In the process, he projected "white male superior discourse" and thoroughly isolated Othello as the other. It is a logical process to generate and reinforce a discourse which focuses Othello's identity as a stranger. Compared with Othello, John in Guess who's Coming to Dinner does not express his inferiority as a black male. This contrasts with Othello's comprehension of himself as darkness, evil, animal, and excessively sensual. John is so self-confident to Joey whereas Othello as an old black male could not overcome his anxiety about Desdemona's beauty and youth as a well-borne white female. At his first meeting with Joey's Parents, John projects his self confidence when he proclaims that he would not marry Joey if he could not acquire he parents' consent. John's social status is impeccable as a prominent medical doctor and he identifies himself as a mel rather than as a black male, whereas Othello's anxiety is embedded in the fact that he should face his limit as a stranger in the society of Venice and his negative identification of himself as a black male. In Jungle Fever, Flipper as a black male, intends to overcome his racial inferiority by having a sexual relationship with his white female secretary, Angie. However, Flipper himself internalized racial inferiority and hatred for his race as a black man like Othello. In addition, contempt for and fear about miscegenation are represented critically in th film by their family members and their friends and this social barrier wouldn't be overcome easily by their individual curiosity and interest in each other. Compared to Othello, in Jungle Fever Flipper's social status with his partner shows contrast with Othello's. Desdemona's social status could reinforce Othello's racial inferiority, but Angie's social status as a secretary is not threatening to Flipper's. The negative representation of his sexuality as a black was controlled and manipulated by Iago controlled the white male's collective unconscious by representing the Moor's sexuality as negative and lustful in order to overcome his own sexual complex. Racial dichotomy which defines black as darkness, evil, animal, extremely sexual vs. white as light, goodness, human being, virtuous is a discourse which was generated and reinforces by the white male's collective unconscious and this is closely interrelated with the white male's sexual anxiety and desire which intends to contain black male's erotic power.

      • KCI등재

        중등영어 예비교사의 프로젝트 기반 문화교육 운영사례

        김미경(Kim, Mi Kyong) 이화여자대학교 교과교육연구소 2021 교과교육학연구 Vol.25 No.6

        영어교육의 목표가 의사소통을 위해 다양한 문화 간 이해를 포함하는 방향으로 바뀌고 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사범대 영어교육과 전공필수 과목인 문화교육과목에 적용할 프로젝트 기반 학습 수업모형을 개발하고 운영하면서 학습자 관점을 고찰하였다. 프로젝트 기반 문화 수업모형은 Stoller(1997)의 10단계 프로젝트 기반 언어교실 수업모형을 사범대 예비영어교사 문화 수업에 맞게 11단계로 수정한 후, 지방소재 S 대학교 영어교육전공 교과목인 “영미문화의 이해”에 적용하였다. 연구참여자는 해당 교과목 수강생 3학년 학생 중 11명이다. 프로젝트 기반 문화교육 수업모형에 대한 학습자의 관점은 (1) 주별 프로젝트 저널, (2) 웹 기반 프로젝트, (3) 사후 성찰 보고서를 통해 자료를 수집하고 분석하였다. 결과는 다음과 같다. 학습자의 긍정적인 반응은 (1) 다양한 문화 간 이해와 지식함양, (2) 영어연습, (3) 비판적 사고능력 개발 측면이었다. 부정적인 반응은 과도한 프로젝트 과업에 대한 부담이었다. 본 연구를 토대로 영어 예비교사교육에서 프로젝트 기반 문화교육에대한 제안은 과업의 단순화와 모델링 제공이다. In line with the increasing importance of cultural understanding for the sake of communication, this study aims to implement Cultural Learning (CL) through project work in pre-service secondary English teacher education. This study implemented a framework of CL by modifing Stoller’s (1997) Project-Based Learning (PBL) model into a model of eleven steps for eight weeks into the a CL class. The study used three data sources from 11 students: (1) weekly project journals, (2) web-based projects, and (3) post-project reflection notes. The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the study identified three perceived PBL’s benefits: intercultural knowledge construction, English language practice, and critical thinking skills development. Second, PBL’s challenges included many time-consuming tasks. The study concludes with two suggestions for pedagogical methods: simplification of tasks and modeling.

      • KCI우수등재

        노인복지에 대한 가족사회학적 접근

        김미경(Kim Mi-Kyong) 한국사회학회 2000 韓國社會學 Vol.34 No.SP

        본고는 최근 들어 사회학적 관심을 모으고 있는 21세기 한국사회의 노령화 현상을 분석하고 있다. 현재 노년사회학의 주류를 이루고 있는 “노인의 지위는 산업화 정도에 반비례한다”는 현대화이론의 가설에 대한 문제제기로부터 출발하여, 소위 ‘부앙지수’나 ‘노령화지수’라는 통계치에 담겨있는 노인을 둘러싼 행위자들의 사회관계의 변화를 읽어내고자 하였다. 그러나 본고의 관심은 무엇보다 ‘노인문제’로 부각되고 있는 노인부양 실태의 변화를 기혼 여성의 경제활동 증가에 따른 가족관계의 변화와 함께 살펴보고자 하는데 있다. 실질적 노인 부양자가 여전히 여성임을 감안하여 노인복지의 문제를 여성복지와의 연관 선상에서 조명하고자 하였으며, 이 양자의 관계를 - 여성은 가정, 남성은 직장이라는 이분법에 기초한 - 전통적 성별분업의 변화에 초점을 맞춰 접근하였다. 이 글은 노인부양의 구체적 내용 분석을 통해 노년사회학의 기존 문제의식에서 벗어난 나름대로 새로운 논의를 시작하고자 한 시론적 성격의 글이다. 즉 노인부양의 문화적 가치로 작용하고 있는 ‘효’사상이 현대적 가족관계를 반영하여 재구성 되도록 사회ㆍ제도적인 변화가 정책적으로 뒷받침되어야 한다는 것이 이 글의 요지이다. 무엇보다도 노인복지에 대한 기존 논의가 주로 실버타운(silver town)의 설립이나 연금제의 도입과 같은 가족 외적 차원에서의 정책마련에 주안점이 주어져 있는 현실에 비추어 볼 때 본고는 가족 내적인 차원에서의 노인문제의 해결을 모색하고자 시도한 것 이다. This study aims to analyze the issue of aging in the 21st century of Korean society. To examine aging in Korean society, the paper makes attempts to theoretically integrate insights of sociology of family to the issue of welfare for the elderly. Specifically, this paper explains changes in caring for the elderly influenced by married women's employment rate. Contents analysis of case studies is used for the purpose of the study. The fact that women are the major care-giver in the family in absence of secure social safety-net raises the importance of taking account of welfare for women and the elderly simultaneously. While the previous studies have mostly focused on extra-family support for welfare of the elderly, this paper contributes to take a close look at intra-family support and women's role in care-giving.

      • KCI등재

        연쇄법 중단전략이 자폐성장애 아동의 의사소통 수행률에 미치는 영향 연구

        김미경(Kim mi-kyong)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020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Vol.20 No.2

        이 연구는 연쇄법 중단전략이 자폐성장애 아동의 언어를 통한 의사소통 수행률에 미치는 효과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이를 위하여 자폐성장애 아동 1명을 연구 대상으로 중다 기초선 설계로 진행하였으며, 치료실상황에서 미술활동 시간, 쉬는 시간, 귀가 시간을 중재 상황으로 선정하였다. 중재로 사용한 구체적인 연쇄법 중단전략으로는 선택하기, 지연된 도움, 틀린 항목 제시하기가 포함되었다.이 연구는 전남의 C대학병원 발달장애지원센터에서 2019년 4월27일부터 7월30일까지 주 3회 실시되었으며 일반화 검사는 중재 상황과 다른 가정에서의 놀이 활동시간, 식사시간, TV시청시간을 선정하여 실시하였으며, 중재를 종료한 4주 후에는 10일 간격으로 유지 검사를 실시하였다. 연구 결과, 대상아동은 연쇄법 중단전략을 적용한 일과 상황에서 구어를 통한 의사소통 수행률이 향상되었다. 또한 중재 상황이 아닌 다른 상황에서도 일반화되고 유지되는데 효과적인 것으로 나타났다. The purpose of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effects of Chain Interruption Strategy on speech function of children with Autistic Disorder. For the proper experiments of this study, three environments of art play, rest time, go home time in children s daily lives were chosen in order to employ a multiple baseline across setting. Chain Interruption Strategies including choice making, wrong item format, delayed assistance also used as an prompting procedure. The results of this study were as follows; First, Chain Interruption Strategy affected on the communication function of child with Autistic Disorder. positively by language. Second, the increased performance in communication implement by language through chain interruption strategies was generalized in untaught routines. Third, the increased performance rate of communication function by language was maintained up to 4 weeks after the intervention was finished.

      • KCI등재

        중국어와 한국어의 문장 부호 비교 - 모호와 쌍점을 중심으로 -

        김미경 ( Kim Mi-kyong ) 충남대학교 인문과학연구소 2020 인문학연구 Vol.59 No.3

        이 논문은 중국어와 한국어의 문장 부호를 비교하여 그들 간의 공통점과 차이점을 고찰함을 목적으로 한다. 모든 문장 부호에 대한 연구를 진행할 계획이지만, 지면 관계상, 이번 논문은 우선 중국어 문장 부호 冒号와 한국어 쌍점을 비교 분석하는 것으로 그 대상을 제한하였다. 중국어의 문장 부호, 즉 标点符号는 点号와 标号로 나뉘고, 점호는 다시 句末点号와 句内点号로 나뉜다. 句内点号에는 冒号 이외에 逗号, 顿号, 分号가 더 있다. 이 논문은 연구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우선 현행 공식 중국어 문장 부호 규정인 「标点符号用法」(2011)에 대하여 알아본다. 그 다음으로 冒号, 쌍점의 순으로 그 기능과 용법을 분석하고, 그 결과를 바탕으로 冒号와 쌍점의 공통점과 차이점을 비교해 본다. 그런 다음 마지막으로 冒号와 쌍점의 번역 전략을 예를 들어 제시하고 있다. 이 논문에서 문장 부호의 기능을 연구함에 있어 근거로 삼은 기준은 양 국의 현행공식 문장 부호 규정이다. 중국어의 경우 「标点符号用法」(2011)을 기준으로, 한국어의 경우는 「한글 맞춤법」(2017)의 부록인 ‘문장 부호’ 규정을 기준으로 하였다. 이 논문의 결과들은 한국인 중국어 학습자 및 전문가들이 좀 더 정확하게 중국어 문장을 쓰고 이해하는 데 도움이 될 것으로 기대한다. This research explores a comparative analysis and translation strategy in the use of Chinese and Korean colon mark, employing the definition, function and role of the colon in order to find obviously different uses. As known, punctuation marks are considered as symbols to indicate the structure of a sentence, delivering the author's intention. It implies that the correct use of punctuation is very important in written language. In addition, this research compared Chinese and Korean punctuation, colon, since Chinese uses a different set of punctuation marks from European languages, differently derived from both Western and Chinese sources. It hints that the concept of Western punctuation marks has been greatly influenced in written language during the 20th century. Currently, the use of punctuation marks is regulated by the Chinese national standard GB/T 15834-2011 “General rules for punctuation”.(traditional Chinese: 標點符號用法; simplified Chinese: 标点符号用法). On December 5, 2014, the Korean Ministry of Culture, Sports and Tourism announced “the revised the version of Hangul Matchumbeop (Korean Orthography),” including the issues of the regulations related to the revision of the punctuation marks (implemented on January 1, 2015). It has been 26 years since the first version of “Punctuation” was introduced in the Appendix section of “Hangul Matchumbeop” in 1988. With reference to the results, many considerations were found they should be considerably educated.

      • KCI등재

        대학 교양영어 수업에서 프로젝트 학습의 적용 및 효과

        김미경(Mi Kyong Kim)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021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Vol.21 No.21

        목적 본 연구는 영어와 창의성을 기르는 학습자 중심 대학영어 수업모형을 제안하고자 하는 데에 목적이 있다. 방법 이를 위해, 학습자 중심으로 문제를 제기하고 탐구하고 해결하는 프로젝트 기반 대학영어 교수설계 모형을 개발·운영한 후 학습자 관점을 분석하였다. C 대학교에 2021년 1학기 교양선택으로 신설한 교양영어 과목 수강생 24명은 자신들이 작성한 포트폴리오(조별보고서 초안, 수정안, 최종안과 소셜네트워크서비스를 이용한 메시지)를 연구에 활용할 것에 동의하였다. 주요 분석자료는 마지막 과정에 작성한 조별보고서 내 성찰기록이다. 결과 학습자는 본 연구수업에 대해 크게 긍정적인 측면과 부정적인 측면으로 인식하였다. 긍정적인 측면은, (1) 탐구를 통한 주도적 지식 구성과 유의미한 영어학습과 (2) 조원 간 협력을 통한 문제해결과 (3) 비판적 사고기반 자원·정보·기술 활용으로 나타났다. 부정적인 측면은, (1) 비대면 상황으로 인한 제한적 의사소통과 (2) 학습자의 낮은 영어 능력이 부담으로 작용한 것으로 드러났다. 다만, 이러한 부정적인 측면은 본 연구수업 초기에 나타나고 중반에서 약화 된 것으로 보인다. 결론 본 연구 결과를 통해 두 가지 교육적 제안을 제시한다. 첫째, 모델링 제공이 필요하다. 낯선 교수법 도입과 영어능력이 낮은 학습자의 경우, 과업 관련 모델링은 과업수행에 중요한 역할을 한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소셜네트워크서비스를 통한 의사소통 확대가 필요하다. 학습자 탐구가 중심인 프로젝트 기반 수업을 비대면 비실시간 온라인으로 수강한 학습자 모두 과업을 완수한 것은 소셜네트워크서비스 기반 활발한 의사소통이 중요한 역할을 한 것으로 드러났다. Objectives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plore the potential of Project-Based Learning as a student-centered teaching approach so as to develop English language skills as well as creativity in a General English course at a Korean university. Methods The four-week framework was embedded into an undergraduate General English class. A total of 24 students participated in the study. After collecting the portfolio including the first draft, the revised draft, and the final draft of group journals and Social Network Service (SNS) messages, the data were analyzed to investigate the students’ perception on the course. Results Its findings are as follows: First, the students developed positive attitudes towards the course, in terms of knowledge construction and English development; cooperative problem-solving; and critical thinking skills. Second, the participants challenged the project-based English course in which communication in an asynchronous online class, and low level of English proficiency limited the inquiry process. Conclusions The study concludes with two pedagogical implications: the use of explicit modeling, and the inclusion of SNS as a communication tool.

      • KCI등재

        사진찍기 활동 프로그램이 발달장애 학생의 자율성, 자기규칙 및 심리적 역량에 미치는 효과

        김미경(Mi-Kyong Kim)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021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Vol.21 No.24

        Objectives The purposes of this study were to examine the effects of program photo shoot on students with Developmental Disabilities. Methods For the research, 20 students with Developmental Disabilities in special school located in mok-po city of Jon-nam Distrect : 10 student(6boys,4girls) were placed in the experimental group and other 10 were in the control group. This program was operated twice times a week for four months (total of 26times) in their classrooms and outsides. Results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the program photo shoot was effective on improving self-autonomy for the students with Developmental Disabilities. Second, the program photo shoot was effective on improving self-regulation for the students with Developmental Disabilities. Third, the program photo shoot was effective on improving psychological empowerment for the students with Developmental Disabilities. Conclusions The program photo shoot was effective on improving self-autonomy, self-regulation, psychological empowerment for the students with Developmental Disabilities. 목적 본 연구는 발달장애 재학생을 대상으로 사진찍기 활동 프로그램을 통해 자기결정력 중 자율성, 자기규칙 및 심리적 역량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방법 이를 위해 전라남도 M시에 위치한 특수학교 고등학교 학생들과 전공과에 재학 중인 발달장애 학생 20명을 대상으로 남학생 6명, 여4명씩을 각각 10명씩 배치하여 실험집단과 통제집단으로 구성하고, 대상 학생의 교실과 교실밖 실외에서 일주일에 2회씩, 4개월간에 걸쳐 총 26회기의 프로그램을 실시하였다. 결과 연구 결과는 사진찍기 활돌프로그램이을 통해 자기결정능력을 향상시키는데 효과가 있었다. 첫째, 사진찍기 활동 프로그램을 통해 발달장애 학생의 자율성 향상에 효과가 있었다. 둘째, 사진찍기 활동 프로그램을 통해 발달장애 학생의 자기규칙 수행 향상에 효과가 있었다. 셋째, 사진찍기 활동 프로그램을 통해 발달장애 학생의 심리적 역량을 향상시키는데 효과가 있었다. 결론 따라서 사진찍기 활동을 통한 프로그램이 발달장애학생의 자기결정능력 중 일부인 자율성, 자기규칙, 심리적 역량 향상에 있어 실험집단과 통제집단 간에 의미 있는 차이가 있었다는 결과를 도출한 것으로 보아 사진찍기 활동 프로그램이 발달장애 학생에게 효과적이었음을 알 수 있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