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Multilocus Sequence Typing and Virulence Factors Analysis of Escherichia coli O157 Strains in China

        Xiao W. Ji,Ya L. Liao,Ye F. Zhu,Hai G. Wang,Ling Gu,Jiang Gu,Chen Dong,Hong L. Ding,Xu H. Mao,Feng C. Zhu,Quan M. Zou 한국미생물학회 2010 The journal of microbiology Vol.48 No.6

        Escherichia coli O157:H7, an important food-borne pathogen, has become a major public health concern worldwide. The aim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molecular epidemiologic feature of E. coli O157:H7strains in China. 105 E. coli O157:H7 isolates were collected from various hosts and places over 9 years. A multilocus sequence typing scheme (MLST) was applied for bacteria genotyping and polymerase chain reaction (PCR) was used for virulence factor identification. Seven new MLST sequence types (STs), namely ST836, ST837, ST838, ST839, ST840, ST841, and ST842 were identified, which grouped into two lineages. Phylogenetic analysis suggested that the most two frequent STs in China, ST837 and ST836, may be the derivatives of E. coli O157:H7 Sakai or E. coli O157:H7 EDL933. Geographical diversity and host variety of E. coli O157:H7 were observed in China. In addition, the different distribution of tccp was detected. The data presented herein provide new insights into the molecular epidemiologic feature of E. coli O157:H7, and aid in the investigation of the transmission regularity and evolutionary mechanism of E. coli O157:H7.

      • SCIESCOPUSKCI등재

        Genetic Differentiation of Chinese Indigenous Meat Goats Ascertained Using Microsatellite Information

        Ling, Y.H.,Zhang, X.D.,Yao, N.,Ding, J.P.,Chen, H.Q.,Zhang, Z.J.,Zhang, Y.H.,Ren, C.H.,Ma, Y.H.,Zhang, X.R. Asian Australasian Association of Animal Productio 2012 Animal Bioscience Vol.25 No.2

        To investigate the genetic diversity of seven Chinese indigenous meat goat breeds (Tibet goat, Guizhou white goat, Shannan white goat, Yichang white goat, Matou goat, Changjiangsanjiaozhou white goat and Anhui white goat), explain their genetic relationship and assess their integrity and degree of admixture, 302 individuals from these breeds and 42 Boer goats introduced from Africa as reference samples were genotyped for 11 microsatellite markers. Results indicated that the genetic diversity of Chinese indigenous meat goats was rich. The mean heterozygosity and the mean allelic richness (AR) for the 8 goat breeds varied from 0.697 to 0.738 and 6.21 to 7.35, respectively. Structure analysis showed that Tibet goat breed was genetically distinct and was the first to separate and the other Chinese goats were then divided into two sub-clusters: Shannan white goat and Yichang white goat in one cluster; and Guizhou white goat, Matou goat, Changjiangsanjiaozhou white goat and Anhui white goat in the other cluster. This grouping pattern was further supported by clustering analysis and Principal component analysis. These results may provide a scientific basis for the characteristization, conservation and utilization of Chinese meat goats.

      • Semi-generic construction of public key encryption and identity-based encryption with equality test

        Lee, H.T.,Ling, S.,Seo, J.H.,Wang, H. North-Holland [etc ; Elsevier Science Ltd 2016 Information sciences Vol.373 No.-

        <P>Public key encryption with equality test (PKEET), which was first introduced by Yang et al. (CT-RSA, 2010), has various applications including facilitating keyword search on encrypted data and partitioning encrypted data on the cloud. It can be also applied to manage personal health records on the internet. For these reasons, there have been improvements on earlier PKEET schemes in terms of performance and functionality. We present a semi-generic method for PKEET constructions, assuming only the existence of IND-CCA2 secure traditional public key encryption (PKE) schemes, the hardness of Computational Diffie-Hellman (CDH) problems, and random oracles. Our approach has several advantages; it enables us to understand requirements for the equality test functionality more clearly. Furthermore, our approach is quite general, in that if we change the underlying PKE scheme with the identity-based encryption (IBE) scheme (and we assume the hardness of Bilinear Diffie-Hellman problems instead of CDH), then we obtain the first IBE scheme with equality test (IBEET) satisfying analogous security arguments to those of PKEET. Although an IBEET construction was recently proposed, but we note that it satisfies only weak security requirements. (C) 2016 Elsevier Inc. All rights reserved.</P>

      • KCI등재

        한국과 중국의 간호재학생들의 비판적 사고성향과 전문직관 비교연구

        이향련 ( H Y Lee ),김윤희 ( Y H Kim ),강현숙 ( H S Kim ),이지아 ( J Lee ),( Fan X ),( Ling M ),YuanQ 경희대학교 동서의학연구소 2007 동서간호학연구지 Vol.13 No.2

        본 연구는 간호교육성과 평가를 위해 한국간호평가원에서 정한 5개의 영역인 비판적 사고력,전문직관, 지도력,의사소통능력, 간호수행능력 중 비판적 사고 성향과 전문직관에 대하여 한국과 중국의 간호대학생을 대상으로 평가 비교하였다. 한국과 중국의 간호학 생의 교육성과를 비교 분석함으로써 중국유학생의 기준을 확인 할 수 있으며 미래 간호인력 활용에 있어 서도 본 연구 결과를 활용하고자 하였다.본 연구결과 한국의 간호교육과정이 주로 3년제와 4년제로 구분되어있는 것에 비하여 중국의 경우 4년 제와 5년제로 구분되었고 입학자격이 일반적으로 중 학교 졸업 이상임을 알게 되었다. 본 연구의 대상인 중국의 간호대학은5년제 과정이었으며 교과과정에서 비판적 사고나 전문직관이 포함되어 있지 않았고 한국의 간호대학의 경우 2학년 교과과정에 ‘비판적 사 고와 간호,가 전공 선택으로 포함되었다. 따라서 관련 교과목의 선수경험을 조사한 결과 비판적 사고가 전문직관보다 양국기간에 더 큰 유의한 차이를 나타내었다 양국기간의 비판적 사고성향 비교에서 한국은 97. 06점 (l35점 만점) 이었고, 중국은 88. 61점으로 나타나 두 집단 간에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 (t=以286, p<.001).이는 한국학생들의 43. 3% 가 비판적 사고와 관련된 과목을 수강한 경험이 있는 반면 중국의 경우 8. 7% 안이 관련과목을 수강하였다고 보고하였음을 감안할 때 국가 간의 차이보다는 교육의 효과가 좀 더 반영되었다고 볼 수 있으며 실제로 본 연구에서 한국 측 대학과정에서 비판적 사고의 과목이 2학년의 선택 과목으로 개설되고 있었다. 선행연구인 Yoon (2004) 의 95. 55와 비교하면 본 연구의 한국학생 대상자 군의 점 수가 더 높았다. 한편, Yoon (2004) 의 연구에서는 대상 자들의 비판적 사고관련 과목의 선수경험여부를 보고 하지 않았지만 교과과정에 비판적 사고라는 교과목이 개설되지 않은 상태이며 l학년과 4학년의 점수가 95. 09과 974로 235의 차이가 있는 반면 한국의 경 우 1학년과 4학년의 점수가 94. 10점과 103. 22정으로 좀 더 큰 점수차이인 9.12점 이였음을 고려할 때 비판 적 사고를 주제로 한 교과과목의 수강경험이 비판적 사고성향 함양에 큰 영향을 주었음을 알 수 있다. 급 속히 변화하는 임상환경에 효과적으로 대처할 수 있는 능력을 위해 본 연구의 한국측 간호대학에서는 학 생들의 비판적 사고 능력함양에 관심을 갖게 되어 ‘비판적 사고와 간호· 라는 교과목을 개설하여 운영하고 있었다. 실제로 임상현장은 끊임없이 문제해결과 의사결정을 요구하고 있으며 비판적 사고 없이 이루 어지는 간호행위는 없다고 해도 과언이 아니다. 따라 서 비판적 사고력을 증진시킬 수 있는 교과목 혹은 관련 교과목을 교과과정에 포함시켜 간호학생들이 임상현장을 접하기 전에 비판적 사고성향을 기르도록 하여 임상현장에 잘 적응할 수 있게 해야 할 것이다. 또 하나의 교육성과 측정영역인 전문직관을 분석한 결과 한국학생은 65. 44점 (95점 만점) 이었고 중국학생 은 72. 14점으로 중국학생이 한국학생보다 유의하게 높은 점수를 보고하였다 (논 - 4. 876, P<, o이). 이는 Kim등신999) 의 연구에서 간호전문대학을 졸업한 현직 간 호사를 위한 2년의 편입과정 (RN- BㄴN) 학생들을 대상으로 한 조사에서 입학 시 점수인 91. 2叩33점 만점)을 95점 만점으로 환산한 점수인 입학시 65. 14점보다 높았고 졸업 시 점수인 70. 83보다는 한국학생은 낮은 점수를 중국학생은 더 높은 점수를 나타냈다. 본 연 구에서 저학년학생들과 고학년학생들을 비교했을 때 한국 의 경우 l학년은 61. % 점이었고 4학년은 70. 17점으로 4학년이 l학년보다 821점이 더 높았다. 이는 교육과 함께 병용된 체계화된 임상실습경험이 학부생인 l학 년과 4학년의 점수차이에 크게 좌우된 것으로 보인 다. 중국의 경우에서도 임상실습경험이 없는 1학년에 서 4학년까지의 점수 범위가 67. 10점에서 71. 50점인 반면 임상실습을 경험한 5학년의 경우 77.7점로 4학 년보다 α 27점이 더 높았다. 그러나 전문직관과 관련된 선수과목의 경험여부는 점수에 별로 큰 영향을 주지 못했다. 즉, 관련과목 경험학생들의 전문직관이 70. 03점이었고 경험하지 않은 학생들은 68. 27점으로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 (t= 1. 033, p=272). 본 연구에서 한국과 중국 양 대학에 전문직 관을 중점적으로 다루는 과목이 없었고, 간호전문직 관을 측정하기 위해 사용한 도구가 간호수행과 관련 된 전문성, 직업윤리 및 감정이입의 수준을 파악하였기 때문에 간호수행을 실습하는 현장실습인 임상실습 의 경험여부가 긍정적인 전문직관 형성에 영향을 준 것으로 보인다. Jeong (2007) 의 연구에서도 임상에서 간호전문직관에 따라 간호수행능력이 달라지므로 간호전문직관을 긍정적으로 향상시키기 위한 계속 교육 의 필요성을 강조하였다. 이상의 연구결과는 한국과 중국의 교육성과 평가에 대한 지속적인 국제연구교류를 위해 일차적으로 중국 의 간호교육 환경을 중국의 간호역사와 함께 이해하며 교과과정을 분석하는 선행연구의 필요성을 제시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교육성과 평가를 위해 한국 교육평가원에서 제시한 5개 영역 중 먼저 2개 영역을 평가하며 중국과 한국학생들을 비교할 뿐만 아니라 중국과의 지속적인 연구교류의 가능성을 파악하였다. 여전히 언어와 문화의 차이로부터 오는 상대방을 이 해하는 어려움이 있었지만 본 대학으로서는 처음으로 중국 현지 연구팀과 협력관계를 유지하며 시도한 공동연구로서 앞으로 지속적인 국제연구교류를 위한 기초자료를 제시하는 연구였다. Purpose: The aim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differences in critical thinking and professionalism between Korean and Chinese nursing students. Critical thinking and professionalism were a part of five domains to evaluate nursing education: critical thinking, professionalism, leadership, communication, and nursing practice from the Korean Accreditation Board of Nursing. Methods: Data were collected from 207 college nursing students: 104 students from the 4-year degree program in Korea and 103 from the 5-year degree program in China from September 2006 to September 2007. The instruments for Chinese students were translated in Chinese and re-translated to check accuracy. The data were analyzed by using the SPSS/ PC+ Win 12.0 Version. The x2-test to compare general characteristics and the t-test to examine the differences of the study variables were conducted. Results: Korean nursing students reported significantly higher scores of critical thinking than did Chinese students while Chinese students reported significantly higher scores of professionalism. Students took previous courses associated with critical thinking reported significantly higher scores than did those without previous courses taken.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in scores of professionalism whether students had previous experience of related courses or not. Rather than, students with clinical practice reported higher scores of professionalism than did those without clinical practice. Conclusion: Levels of critical thinking were influenced by course focusing on critical thinking while professionalism was improved by combination of associated courses and clinical practice. For follow-up study, there is needed to examine nursing curriculum between Korea and China.

      • SCIESCOPUS

        A new bridge-vehicle system part I: Formulation and validation

        Chan, Tommy H.T.,Yu, Ling,Yung, T.H.,Chan, Jeffrey H.F. Techno-Press 2003 Structural Engineering and Mechanics, An Int'l Jou Vol.15 No.1

        This paper presents the formulation of a new bridge-vehicle system with validation using the field data. Both pitching and twisting modes of the vehicle are considered in the contribution of the dynamic effects in the bridge responses. A heavy vehicle was hired as a control vehicle with known axle weight, axle spacing and spring coefficients. The measured responses were generated from the control vehicle running at a particular speed at a test span at Ma Tau Wai Flyover. The measured responses were acquired using strain gauges installed beneath the girder beams of the test bridge. The simulated responses were generated using BRVEAN that is a self-developed program based on the proposed bridge-vehicle system. The validation shows that the bridge model is valid for representing the test bridge and the governing equations are valid for representing the motion of moving vehicles.

      • SCIESCOPUS

        A new bridge-vehicle system part II: Parametric study

        Chan, Tommy H.T.,Yu, Ling,Yung, T.H.,Chan, Jeffrey H.F. Techno-Press 2003 Structural Engineering and Mechanics, An Int'l Jou Vol.15 No.1

        The formulation of a new bridge-vehicle system using shell with eccentric beam elements has been introduced in a companion paper (Part I). The new system takes into account of the contribution of the twisting and pitching modes of vehicles to the bridge responses. It can also be used to study the dynamic transverse load distribution of a bridge. This paper presents a parametric study on the impact induced by one vehicle or multi-vehicle running across a bridge using the proposed model. Several parameters were considered as variables including the mass ratio, the speed parameter, the frequency ratio and the axle spacing parameter to investigate their effects on the impact factor. A total number of 189 cases were carried out in this parametric study. Within the realistic range of vehicle considered, the maximum impact factors could be 2.24, 1.78 and 1.49 for bridges with spans 10 m, 20 m and 30 m respectively.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