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기획논문1 - 북한산 일대의 문화유산> 조선후기 유산기(遊山記)에 나타난 북한산(北漢山)의 불교

        이경순 ( Kyungsoon Lee ) 덕성여자대학교 인문과학연구소 2015 인문과학연구 Vol.20 No.-

        북한산은 삼국시대 이래 불교 성지로서 수많은 사찰과 승려의 자취를 간직하고 있다. 특히 북한산의 불교는, 태고 보우 유적의 중요성과 더불어 북한산성을 수호하고 전국 사찰을 이끄는 도총섭이 주석하였다는 점에서도 조선 후기 불교사에서 중요한 위치를 차지하고 있다. 조선후기 수많은 이들이 전국의 산을 유람하고 기록을 남겼는데, 북한산도 인기 있는 유람지 중의 하나였다. 조선후기 북한산 유산기는 당시 북한산의 여러 모습을 증언해 주는 가운데, 북한산 사찰과 승려들의 양태, 승영사찰의 운영과 실태 등을 입체적으로 보여준다. 조선시대 유람기는 북한산이 경성 사람들이 좋은 경치를 즐기기만 했던 勝地에서, 왕과 조정을 방위할 山城과 군사시설을 볼거리로 갖춘 장소로 변화하는 모습을 드러내준다. 이때 북한산의 사찰들은 승가 본연의 수행을 위한 곳보다는 국가적 임무를 담당한 기관으로 그려졌다. 승려들 역시 유학자들과 교유할 수 있는 문사적 고승이나 선승이 아닌 승군으로서의 면모가 강조되었다. 하지만 조선말에 이르면 승가의 기풍이나 군기도 흐트러진 모습이 나타났다. 조선시대 사대부들이 남긴 유산기는 조선후기 북한산 불교의 실상에 대한 흥미로운 사실들을 증언해 준다. 이를 통해 조선후기 불교 교단에 대한 재발견 뿐 아니라 북한산성과 중흥사의 복원에도 일조할 수 있기를 기대한다. Bukhansan is one of the best-known mountains in the Seoul, south Kore a. There have been several Buddhist tradition sites since the three kingdoms period. In late Chosun, the number of travelogues written by ruling literati class increased not except on the travel writings of Bukhansan. This study focuses on the aspect of Buddhist temples and monks in Bukhansan viewed through the travel writings in late Chosun. After the Imjin War in the sixteenth century, the state gave recognition to the Buddhist out of practical necessity and institutionalized positions for monks. The Chosun state mobilized monks for state projects. The significant examples were temples and monks in Bukhansan. In Bukhansan, several temples had been estab-lished and monks were mobilized for construction and protection of mountain for-tress. In travelogues of Confucian literati, it shows how Buddhist tradition had been transformed and discolored in Bukhansan. It revealed a important characteristic of Buddhist conditions in late Chosun.

      • KCI등재

        학교교육에 대한 “교육공학연구” 동향 분석

        이경순 ( Kyungsoon Lee ) 한국교육공학회 2017 교육공학연구 Vol.33 No.2

        어느 나라서든 초중등교육 현장은 교육학의 존재 이유다. 학습의 촉진과 수행의 개선을 목표로 하는 교육공학 분야도 마찬가지다. 우리나라 초중등교육에 대한 평가는 엇갈린다. 각종 국제비교평가에서 우수한 학업성취도를 자랑하는 한편, 공교육의 부재와 사교육에 대한 뿌리 깊은 논란, 그리고 학교부적응이나 학교폭력으로 이어지는 문제를 갖고 있기도 하다. 이러한 복잡다단한 교육 현장에서 우리 교육공학자들은 그동안 무엇을 했을까? 그리고 우리의 그런 노력들이 과연 학교를 나아지게 했을까? 만일 그렇지 않다면 앞으로 우리는 무엇을 해야 할까? 이 연구는 이러한 질문으로부터 시작했다. 이러한 탐색의 출발점으로 교육공학 분야의 대표적인 학술지인 `교육공학연구`를 대상으로 학교교육에 대한 동향을 분석하였다. 연구 결과, 지난 10년 간 `교육공학연구`에 게재된 논문 10편 가운데 약 3편 정도가 초중등교육과 연관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리고 이러한 논문들의 주된 연구영역은 설계였으며, 보다 세부적인 주제로는 교수(체제)설계에 대한 것이었다. 또한 주로 조사연구나 개발연구의 방법을 택하고 있었으며, 통계적으로는 절반 가까운 양적연구들이 변량분석을 활용하고 있었다. 더불어 연구대상, 저자, 참고문헌에 관한 지금까지의 연구동향을 파악하였다. 이를 통해 교육공학 학문공동체가 그간 학교교육에 기여한 바와 한계를 간접적으로나마 성찰해 볼 수 있었다. 이러한 시도를 바탕으로 향후 교육공학 학문공동체가 나아가야 할 바를 가늠해보고자 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literature review was to examine findings from analysis of the past decade (2006-2015) of research in the Journal of Educational Technology(JET) in the field of elementary, middle and high schools. It was to review the trends and issues of educational technology field`s scholarly community that have evolved in the last decade. The collected data were used to prove periodic changes in the number of articles, the methodologies, the themes, the participants, authors and references. In total, 97 studies were selected for analysis. The findings are organised in six themes: (a) the number of articles, (b) the content and themes, (c) methodologies, (d) participants, (e) authors, and (f) the cited and references. The findings showed that researches of JET in schools have showed biased tendency concerning their content, methodologies, statistics, participants and even authors. At the same time, the present study confirms that JET has made significant progress toward knowledge development in the school education and suggests that the analysis of accumulative knowledge helps researchers broaden the scale and approach of studies. Additionally, critical issues to consider future research are discussed.

      • KCI등재

        ETR&D를 통해 본 학교교육 관련 최신 연구 동향: 2011년부터 2016년까지

        이경순 ( Kyungsoon Lee ) 한국교육공학회 2018 교육공학연구 Vol.34 No.2

        교육 현장의 다양한 어려움에 대해 우리가 앞으로 대처해야 할 방향을 모색하기 위한 노력의 하나로, 교육공학 분야의 대표적인 국제 학술지인 ETR&D(Educational Technology Research and Development) 대상으로 최신 동향 분석을 실시하였다. 구체적으로, 2011년부터 20016년까지 최근 6년간 ETR&D가 발표한 논문 가운데 학교교육과 연관성이 있는 논문을 선정하고, 이에 대한 연구영역, 방법, 인용횟수, 대상과 저자에 대한 분석을 실시하였다. 그 결과는 다음과 같았다. 첫째, ETR&D에 게재된 논문 가운데 학교교육과 관련 있는 논문은 약 35%에 해당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ETR&D에 발표된 학교교육 관련 논문의 인용 횟수는 Scopus 기준 평균 13회, Google Scholar 기준 34회이었다. 그러나 실제 16편에서 18편 정도의 논문이 전체 피인용 횟수의 절반 이상을 차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연구가 이루어진 영역은 설계, 활용, 개발 순이었으나, 인용 횟수 상위인 논문은 개발이나 활용에 관한 비중이 높았다. 넷째, 연구방법 측면에서 양적 자료를 활용한 실험연구의 비중이 가장 높았다. 그러나 최근 실험연구는 감소하고 사례연구는 증가하는 동시에 질적연구와 혼합연구가 증가 추세임을 확인할 수 있었다. 다섯째, 주된 연구대상은 학생이었으며, 초·중·고등학생이 비교적 고르게 참여하고 있었다. 마지막으로 저자와 관련된 여러사항을 분석하였고 이를 통해 교육공학 분야의 학교교육 연구에서 영향력 있는 저자를 확인할 수 있었다. 이러한 최신 동향 분석을 바탕으로 앞으로 교육공학 학문공동체가 학교교육에 기여하기 위해 지향해야 할 바를 시사점으로 제시하였다. The educational technology community has the responsibility to open a debate and discuss on the implementation of technologies and its impact in school as well as how it contributes students' learning, competence build up and skill development. The aim of the study was to analyze studies published on ETR&D(Educational Technology Research and Development) between 2011 and 2016 and determine how we can conduct research that is more relevant to the educational technology community. In total, 101 studies were selected for analysis. The results show that: (a) published articles on K-12 schools in ETR&D accounted for approximately 35%. (b) on Scopus an average of citation was 13 and 34 for Google Scholar. However, more than half of the citations were concentrated on 16 to 18 papers. (c) the area that were mostly researched were on design followed by utilization and development. But the most cited papers were mostly made on development and utilization. (d) cross-analyzing the research methodology, most studied type were experimental one, but the case study and mixed methodology were increasing in numbers published in ETR&D. (e) Students were main participants in school related articles and elementary, middle and high school students participated evenly. (f) The last aspect that was analyzed was which scholars were at the forefront on K-12 schools in ETR&D. Based on the outcomes, the implications are discussed in terms of the need to broaden the scale and the approach on future studies as the field of educational technology continues to grow.

      • 기억으로서의 ‘임진왜란과 불교’ - 17〜18세기 四溟堂惟政과 甘露幀의 이미지를 중심으로 -

        이경순 ( Kyungsoon Lee ) 경상국립대학교 청담사상연구소 2005 마음思想 Vol.3 No.0

        본고는 임진왜란과 불교의 문제를 기억이라는 관점에서 다루고자 하였다. 지금까지 연구에서는 국가권력과 불교계의 관계에 집중하여 당시 불교의 역할과 실상을 파악하고자 하였다. 또한 ‘호국’의 입장에서만 불교교단과 승장들의 공헌을 다룬 경향이 있었다. 이에 대해 필자는 역사기록, 문학작품과 회화 등을 통해 임진왜란과 불교에 관한 다양한 기억의 층위를 살펴보는 시도를 하고자 하였다. 본고에서 구체적 연구대상으로 삼은 것은 첫째 사명당 유정이다. 역사기록에서 그려지는 사명당은 전란 후 조선말까지 무수한 이본으로 등장하는 소설『壬辰錄』에 나타난 그의 이미지와는 큰 차이가 있다. 18세기 사명당 유정의 현창사업은 그를 유교적 충의를 실현한 인물로서, 國事에 기여한 승려로서 공식 기억 속에 자리 잡게 한다. 그러나 이와 같은 시기의 형성된『임진록』에서 사명당 유정은 왜왕을 굴복시키고 위정자를 징계하는 민중영웅의 모습으로 묘사된다. 이는 병자호란의 패배에 대해 임진왜란을 승리한 전쟁으로 기억하고, 그 주역을 기존 질서의 현실적 인물이 아닌 비주류의 인물로 상상하고자 하는 욕망의 소산이다. 그러나 그 안에서 유정의 내면의 고뇌와 불교 계율과 유교적 명분 사이에서의 갈등, 교단내의 분열된 평가 등은 국가의 공식 기억과 대중적 이미지 속에 묻혀버리게 된다. 둘째, 전란 후 설행되는 천도재와 그 의례용 불화로 그려지는 감로탱을 통해, 불교 측의 전쟁에 대한 기억과 그 해석을 살펴보았다. 17~18세기 감로탱에는 전쟁의 기억이 강하게 투영되었다. 이는 전쟁의 기억이 기층민의 의식 속에 얼마나 큰 충격이며 극복 과제였는지를 말해준다. 동시에 전쟁의 참상에서 벗어나고 위안 받으려 하는 기층의 종교적인 갈망을 충족시키는 것이었다. 또한 극락왕생의 기원 대상을 전쟁에서 희생된 모든 중생으로 확장시켰음을 보여주는데 이것은 불교적 관점에서 전쟁을 기억하고 그것을 종교적으로 해석하는 방식이었다고 할 수 있다. 이러한 전후 수습을 위한 불교계의 적극적 활동이 조선후기 불교교단을 신앙적으로 경제적으로 유지시키는데 큰 역할을 하였음을 알 수 있다. 이러한 전쟁과 불교에 대한 다양한 기억은 전란기불교의 사회적 역할을 승군의 참전, 교단의 호국활약에만 머물게 하지 않고 보다 다양한 계층의 입장이 반영된 관점에서 이해하게 해준다고 생각된다. 한편, 전란 후 형성된 사명당의 이미지가 역사적 사실을 압도하면서, 근대이후 ‘호국불교’의 표상으로 전환되는 과정에 대해서는 앞으로 심도 있는 연구가 필요하다고 할 수 있다. This paper deals with Imjin War and Buddhism from the perspective of memories. Until now, many researches have attempted to understand Buddhism's role in Chosŏn state as if Buddhism was primarily serving the interests of the state by protecting the country(護國). I, however, try to investigate a wide spectrum of memories concerning the Imjin war and Buddhism through historic records, a literary production and a religious painting. The subject of this study is first Samyŏngdang Yujŏng. His image as it appears in the historic records is very different from that in the Imjinrok(『壬辰錄』), a popular novel which exists in a great number of alternative versions. In the eighteenth century, a project to commemorate Samyŏngdang Yujŏng placed him firmly in the public memory as a man of utmost loyalty and as a monk who contributed positively to governmental affairs. However, in Imjinrok during this same period, Samyŏngdang Yujŏng is described as a popular hero who forced the Japanese king to surrender and who reprimanded high officials. The Imjinrok attempts not only to describe the Imjin War as a glorious victory, but also to imagine the hero of the war as someone not part of the ruling class. Memory of Samyŏngdang Yujŏng was complicated by the differences between state-sponsored public remembrance and popular memory. Second, I examine Buddhists' memories and interpretations of the war through the war's appearance in the mourning ceremony, the Chŏndojae, and in the associated ritual painting, commonly called Kamnotaeng (Painting of Nectar). Seventeenth and eighteenth century Kamnotaeng reveal deep shock concerning war memories and great difficulty in trying to overcome it. These paintings also fulfilled people's religious desire to be saved and consoled from war misery. The ritual and the painting were supposed to help the souls of the fallen soldiers - regardless of whether they were enemy or allied - to reach the pure land of Sukhavati. Perhaps we should see this as the Buddhist approach to commemorating the Imjin war. Indeed, the diversity of memories concerning the Imjin war and Buddhism let us understand the variety of Buddhist social roles; it reveals that Buddhism did not simply serve to protect the country, but was understood differently according to social class. Just as in the memories of Samyŏngdang, memories of the Imjin war since the modern period have overwhelmed historic facts and have transformed Buddhism of that period retrospectively into ‘nation-protecting Buddhism’.

      • KCI등재
      • KCI등재
      • KCI등재

        소셜미디어 중독경향성과 자아존중감 관계에서 사회불안의 매개효과

        이은숙 ( Eunsuk Lee ),이경순 ( Kyungsoon Lee ) 한국교육공학회 2018 교육공학연구 Vol.34 No.3

        이 연구의 목적은 대학생이 지각한 자아존중감과 소셜미디어 중독경향성 관계에서 사회불안의 매개효과를 검증하는 것이었다. 이를 위하여 대학생 204명에게 자아존중감, 사회불안, 소셜미디어 중독경향성에 대한 설문을 실시하였다. 분석 결과는 다음과 같았다. 첫째, 소셜미디어 중독경향성은 자아존중감과는 정적 상관을, 사회불안과는 부적 상관을 나타냈다. 자아존중감이 낮을수록, 사회불안은 높을수록, 소셜미디어 중독경향성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즉, 사회불안이 높을 경우 이에 대한 보상으로 소셜미디어에 과몰입할 가능성이 높다는 사회보상 관점을 지지하였다. 둘째, 사회불안이 자아존중감과 소셜미디어 중독경향성 관계를 부분 매개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즉, 소셜미디어 중독경향성은 자아존중감에 의해 영향을 받기도 하지만 사회불안을 통해서도 영향을 받는다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셋째, 사회불안의 하위 요인인 사회적 공포와 사회적 상호작용 불안도 각각 자아존중감과 소셜미디어 중독경향성 관계를 부분 매개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와 같은 결과는 대학생의 소셜미디어 중독을 줄이기 위해서는 이들의 자아존중감을 높이는 동시에 사회불안의 두 가지 측면, 사회적 공포와 사회적 상호작용 불안 모두에 대한 개입을 고려할 필요가 있음을 시사한다. 이를 바탕으로 실천적 시사점과 함께 후속 연구를 위한 방향을 제시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mediating effects of college students’ social anxiety in the relationship between self-esteem and social media addiction. For the study, 204 college students have completed a survey assessing the perception of self esteem, social anxiety and social media addiction.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social media addiction had a negative correlation with self-esteem but positive correlation with social anxiety. The students’ tendency to be addicted to social media grow more, the lower their self-esteem dropped while their social anxiety rose. Second, social anxiety partially mediated the relationship between self-esteem and social media addiction. It shows that social media addiction is influenced by one's self-esteem and also affected by social anxiety. Third, social phobia and social interaction anxiety, which are the subset of social anxiety, each partially mediated the relationship between self-esteem and social media addiction. Based on these findings, in order to reduce college students’ addiction, self-esteem should be raised and simultaneously there should be intervention on social anxiety - social phobia and social interaction anxiety. Possible directions for future research were also suggested.

      • KCI등재

        교사의 블렌디드 러닝 활용수준 분석

        한승연(Seungyeon Han),이경순(Lee Kyungsoon) 한국방송통신대학교 미래원격교육연구원 2010 평생학습사회 Vol.6 No.1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diffusion strategy for blended learning in K-12 settings. The research question was what are teachers' actions in blended learning practice. The conceptual framework of this study was CBAM(concerns-based adoption theory). Semi-structured interviews and LoU(Levels of Use) were used for data collection. In terms of LoU, while leading teachers are over IVB level (refinement), non-user teachers are I level(orientation). Leading teachers employed various methods for blended learning but they were not willing to collaborate with colleague yet. Non-user teachers were interested in blended learning but were not ready to practice in their classrooms.

      • KCI등재

        다문화가정 청소년이 지각한 사회적 지지와 진로결정성 관계에서 자아탄력성의 매개효과

        신연주(Yeonju Shin),이경순(Kyungsoon Lee) 한국방송통신대학교 미래원격교육연구원 2019 평생학습사회 Vol.15 No.3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mediating effect of multicultural adolescents’ ego-resilience in relations to social support and career decisionmaking. For the research, Multicultural Adolescents Panel Study(MAPS) data from 5th wave(8 grade) were used. Specifically, 1,347 middle school students responded to a survey assessing the perceived social support, ego-resilience, and career decision-making. Results were as follows: First, career decision-making had a positive correlation with social support and ego-resilience. Second, ego-resilience partially mediated the relations between social support and career decision-making. It means career decision-making is influenced directly by social support and also affected indirectly by ego-resilience. Third, the study has found that there were differences depending on national identity. More specifically, ego-resilience have totally mediated social support and career decision-making of multicultural adolescence with Korean national identity. In the case of adolescence with the dual national identities as Koreans and also of parental nation, the mediated effects were not verified. In conclusion, in order to alleviate multicultural adolescents’ career decision, it is necessary to increase factors that would affect the social support while increase their ego-resilience. Additionally, their recognition of national identity should be taken into account. 이 연구는 다문화가정 청소년의 진로결정성에 주목하여, 이들이 지각한 사회적 지지와 진로결정성 관계에서 자아탄력성의 매개효과를 검증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하여 다문화가정 청소년 총 1,347명을 대상으로 한 다문화 청소년패널 5차년도(2015) 자료를 이용하였다. 분석 결과는 다음과 같았다. 첫째, 사회적 지지, 자아탄력성, 진로결정성 간에는 유의한 정적 상관이 있었다. 둘째, 자아탄력성은 사회적 지지와 진로결정성 관계를 부분매개 하였다. 셋째, 자아탄력성의 매개효과는 다문화가정 청소년이 자신의 국적을 어떻게 인식하냐에 따라 차이가 있었다. 구체적으로 자신을 한국 사람으로 인식할 경우 자아탄력성이 사회적 지지와 진로결정성 관계를 완전매개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반면 자신을 한국 사람이자 아버지 또는 어머니 나라 사람으로 인식하는 경우, 즉 국적을 이중으로 인식할 경우 자기탄력성의 매개효과가 나타나지 않았다. 이와 같은 결과는 다문화가정 청소년의 진로 결정성을 높이기 위해서는 사회적 지지를 높이는 동시에 자아탄력성을 높이는 개입이 필요함을 시사한다. 또한 다문화가정 청소년의 국적 인식에 따라 차별적인 처치가 이루어져야 한다는 점을 알 수 있었다. 이를 바탕으로 실천적 시사점과 후속연구에 대한 방향을 제시하였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