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綠此 黃五의 漢詩 一考

        林俊成(Lim, JunSung) 동아인문학회 2018 동아인문학 Vol.42 No.-

        본고는 19세기 경북 상주의 지식인 녹차 황오의 한시 중 누정제영을 중심으로 살펴본 것이다. 문집 《황녹차집》에 251편 342수의 한시를 남기고 있으며, 이중 누정제영은 25편 41수에 이른다. 황오는 영남의 선비이자 유학자로서 관직을 통해 경세제민하고자 하는 뜻을 세웠지만 19세기의 혼란스러운 사회 현실에도 탓에 뜻을 이루지 못했다. 당대의 집권 세력과 교유를 지속하고자 했지만 그럴수록 관직에 대한 희망은 점점 멀어져 갔다. 관직에 대한 일념을 이루기 위해 고향을 떠나온 30여 년은 그에게는 실의의 시간이나 다름없었다. 이를 치유하기 위해 전국을 주유하면서 적지 않은 수의 누정제영을 창작했다. 누정제영은 산수를 유람하면서 풍광이 수려한 곳에 세워진 누정에서 노닐었던 흥취를 서경과 서정을 중심으로 읊은 관습시에 해당한다. 황오의 경우는 누정제영에서 ‘교유’, ‘산수유람’, ‘역사회고’의 경향을 보여주고 있다. 본고에서는 이 중 교유를 제외했다. 그 이유는 황오가 당대의 집권세력 인사들과 교유하면서 입신출세와 보신주의적 처신의 문제점을 야기할 수 있어 조금 더 신중한 접근이 필요하기 때문이다. 이는 차후의 과제에서 밝히기로 할 것이다. 녹차의 누정제영에서 볼 수 있는 특성은 두 가지로 요약할 수 있다. 첫째, 전반부 서경과 후반부 서정 표현이 일정하지 않다. 전반적으로 서경에 대한 묘사를 소박하게 처리하고 있다. 서경과 서정이 서로 뒤바뀌는가 하면 서경없이 서정만으로 읊기도 한다. 이는 양식상의 파괴라기보다는 시인의 자유로운 시상 전개에 따른 결과로 봐도 무방할 것이다. 둘째, 해당 누정에 대한 적극적인 태도가 두드러지지 않고 있다. 이는 누정제영을 즐겨 창작한 앞 시대 시인들이 전국의 누정을 산수유람하면서 마치 누정의 주인과 동등하게 주체적으로 즐겨 창작한 것에 비해 녹차의 경우는 그렇지 못하는 한계를 보이고 있다. 이는 자신이 상대적인 위치에서 관직의 뜻을 이루지 못한 채 타의적으로 전국을 주유해야 했던 자신의 처지와 환경 탓에 적극 개입하지 못한 결과로 나타났다고 하겠다. This study analyzes the poems of Nokcha Hwang-oh(綠此 黃五, 1816~?), a poet of intellectuals and poets in the late Joseon period. Pavilion-poem is a traditional poetry style that depicts the surrounding scenery as view in the first half of the poem and the poet"s own inner meaning in the latter half of the poem. Therefore, it can be said that the poem style poem is embodied as the title, and the prose style poem is embodied as the poem. The main reason for paying attention to the Nokcha Hwang-oh is because of his career in traveling around the country for more than 30 years after leaving his hometown for his government. This is a time period in which the proportion of green tea is high enough to correspond to adolescence and adulthood. Although he did not achieve the desired meaning of learning by studying the scholars due to the bad luck of the time, he created a small number of poems in the poem space he visited and through this he is appearing as a place to engage in his life. I think it is enough to explain it. Pavilion-poem is a compound word of a ‘Lu(楼)’ and a ‘Gak(閣)’. At the end of the name, which is the proper name of the Pavilion architecture, it is finished with ‘Lu(楼)’, ‘Jeong(亭)’, ‘Dang(堂)’, ‘Gak(閣)’, ‘Heon(軒)’, ‘Dae(臺)’. It means that the roof is higher than the gaze of the person, and the tee is a form in which only the pillars are bored. Therefore, it is an architectural style that can be looked up from every side. According to the Korea National Statistical Office, there are 1,295 places in Gyeongsang province, 1,070 in Jeolla province, 219 in Chungcheong province, and 174 in Gangwon province. It is concentrated in Gyeongsang-do and Jeolla-do. Also, it is not a living space that can lead everyday life. There is an oven installed, but it is a heating device and can be seen from the fact that it is not a cooking space like a kitchen. The purpose of this article is to investigate the Pavilion-poem that Nokcha Hwang-oh has traveled throughout the country. Through this, I will discuss the theme of life that he intended and how the perception of the time he wanted to express was revealed in his works.

      • KCI등재

        점필재 김종직의「乇羅歌」재조명

        임준성(Lim, Junsung) 목포대학교 도서문화연구소 2012 島嶼文化 Vol.0 No.40

        본고는 점필재 김종직의「乇羅歌」에 대한 기존의 논의를 비판하고, 최부의「耽羅詩三十五絶」과 비교분석을 통해 작품의 구현양상과 의미를 밝히고자 한 것이다. 논의한 내용을 정리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乇羅歌」는 기존의 논의가 紀俗詩와 觀風易俗의 의미로 주안점을 두고 살핀 것에 대한 반론이다. 기속시는 각처의 풍속의 산물을 기록하고 간략한 설명을 덧붙이는 것으로「乇羅歌」14수는 풍속과 산물만이 아닌 전반적으로 제주의 신화, 역사, 자연 등등 전체의 모습을 담고 있어 이에 적용하기에는 무리이다. 둘째, 관풍역속은 治者의 입장에서 백성들의 삶을 주시하고, 악습이나 폐습을 교정한다고 하였으나「乇羅歌」어디에도 악습과 폐습을 운운한 대목은 없다. 또한 김종직은 제주고을을 다스리는 관리가 아니기 때문에 직접적으로 영향을 미칠 수 없었으며, 단지 제주에서 건너온 한 인물이 전해준 제주에 대한 다양한 정보를 자신의 상상력으로 통해 재구성한 것임을 간과한 것으로 보인다. 셋째, 김종직과 교유가 깊었던 최부의「耽羅詩三十五絶」을 비교분석하여 두 작품이 서로 밀접한 관련을 맺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두 작품이 소재로 삼고 있는 공통점을 통해 유사한 내용으로 시적 형상화를 하고 있음을 알 수 있었으며, 이는 최부가 앞서 22년 정도 먼저 지은 김종직의「乇羅歌」에서 어느 정도 영향을 받았음을 간접적으로 시사하는 대목이라고 하겠다. Jeompiljae Kimjongjik「Taknaga-乇羅歌」for discussion and criticism, this paper says「Tamnasi35side-耽羅詩35絶」 maximum wealth and comparative analysis of the implementation aspects and the meaning of work through. Discussed the contents can be summarized as follows: First,「Taknaga-乇羅歌」with an emphasis discussed as a means ‘Gisoksi-紀俗詩’ and ‘Gwanpungyuksok-觀風易俗’ existing checked rebuttal. Airspeed record and add a brief description of the product of the wind speed in parts of「Taknaga-乇羅歌」as a whole and not just the product of the wind speed and the number 14 contains the appearance of the whole myth of Jeju, history, nature, etc. This applies to bunch. Station genus gwanpung govenor the lives of the people in the eye, and correct bad habits or vices that「Taknaga-乇羅歌」Nowhere abuses and vices, but spoke not a passage. Also, just because the administration governing the Jeju towns were not directly affect Kimjongjik handed figure who came from Jeju, Jeju for a variety of information is reconstructed through their own imagination and that seems to have been overlooked. Disciple Geumnam Choibu of wealth「Tamnasi35side-耽羅詩35絶」a comparative analysis of the two works closely related to each other, was unknown. Poetic shape through a broad similarities in the two works are similar and could be found, the maximum additional prior「Taknaga-乇羅歌」of built Kimjongjik first. In the 22 years to some extent been affected indirectly suggests that rootstocks will.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