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뇌졸중 후 실어증 환자를 위한 디지털 실어증 선별검사 시스템 설계 가이드라인 연구

        김새별(Saebyeol Kim),김유영(Yuyoung Kim),김민정(Minjung Kim),김정완(Jungwan Kim),김진우(Jinwoo Kim) 한국HCI학회 2024 한국HCI학회 학술대회 Vol.2024 No.1

        실어증은 후천적인 뇌손상으로 인해 언어 이해, 말하기, 읽기, 쓰기 등의 문제를 겪는 언어장애로 의사소통의 어려움을 야기하여 환자의 삶의 질을 떨어뜨린다. 따라서 빠른 선별을 통해 증상에 따른 언어 재활을 시행 하는 것이 중요하다. 그러나 기존 디지털 실어증 선별 검사 시스템은 발화의 맥락을 파악하지 못한다는 문제점이 있다. 이를 위해 본 연구에서는 뇌졸중 후 실어증 환자의 특성을 조사하여, 이를 반영한 시스템 설계 가이드라인을 제시하였다. 관찰 조사와 전문가 심층 인터뷰를 통해 뇌졸중 후 실어증 환자의 특성을 파악한 후, 주제 분석을 통해 디지털 실어증 선별검사 시스템의 설계를 위한 고려 사항을 파악하였다. 그 결과, 이해 수준, 집중도, 피로감, 디지털 기기 사용 능력의 총 4 가지 고려 사항을 도출하였다. 이를 활용하여 실제 설계 시 적용 가능한 디자인 가이드라인을 수립하고, 적용 사례를 제안하였다. 본 연구를 통해 뇌졸중 후 실어증 환자를 위한 디지털 선별검사 시스템 상용화에 도움이 되기를 기대한다.

      • Differentiating between Aphasic and Nonaphasic Stroke Patients Using Semantic Verbal Fluency Measures with Administration Time of 30 Seconds

        Kim, HyangHee,Kim, JungWan,Kim, Deog Young,Heo, JiHoe S. Karger AG 2011 European neurology Vol.65 No.2

        <P>Administration time of 1 min for semantic verbal fluency measures can be overly long and therefore bothersome for aphasic patients because they can often retrieve only a few items after a certain period of tim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determine whether an administration time of 30 s would be more efficient in differentiating among aphasics, nonaphasic stroke patients, and normal controls. The subjects were 53 stroke patients and 28 normal controls. They had to generate as many animal names as they could within a given time. The number of animal names is gradually diminished in three groups (p < 0.001) in each time frame, that is, during the entire 60 s, the initial 30 s, and the following 30 s. The reaction time (RT) measure indicated that the RT of the aphasic patients was significantly increased compared to those of the other two groups (p < 0.001). The most optimal cutoff scores that differentiated each group are presented. These results suggest that an administration time of 30 s has discriminative validity to differentiate between the two patient groups. This shorter administration time could make the test more efficient by reducing the burden on both examiners and aphasic patients.</P><P>Copyright © 2011 S. Karger AG, Basel</P>

      • KCI등재

        Category Norms for Korean Adults Age 55 to 74

        JungWan Kim(김정완),Yeonwook Kang(강연욱),Ji Hye Yoon(윤지혜) 한국언어청각임상학회 2015 Communication Sciences and Disorders Vol.20 No.4

        55-74세 성인의 명사 범주 규준(본보기 산출빈도와 전형성)을 조사하여 향후 신경언어장애 환자군의 이름대기 중재를 위한 치료자극 항목의 선정에 이용될 수 있는 기초자료로 활용하고자 한다. 방법: 정상 성인 401명이 연구에 참여하였다. 1단계(220명)에서는 총 10개 명사 범주(옷, 주방용품, 소지품, 채소, 가구, 교통수단, 학용품, 전자제품, 꽃, 동물)에 대한 생성이름대기를 각 1분간 실시하였다. 2단계(216명)에서는 1단계에서 얻은 결과로 각 범주별 본보기의 평균 반응수와 본보기 종류의 총수를 산정한 후, 각 범주별 상위 30위까지의 본보기들에 대한 의미전형성을 7점 척도로 평정하도록 하였다. 결과: 50-70대 성인들의 의미 네트워크는 범주 유창성 과제의 범주 목록에 따라, 그리고 연령 및 성별에 따라 변별적으로 달라짐을 확인할 수 있었다. 논의 및 결론: 연구 결과는 연령에 기초한 의미 범주에 대한 정상규준 마련의 필요성을 보여준다. 본 연구는 향후 신경언어장애 환자군의 이름대기 중재 프로그램을 개발하는데 있어 자극항목 선정 시 염두에 두어야 할 객관적인 기초자료를 제공하는 데 그 의의가 있다. 또한, 본 자료는 한국 성인의 의미적 구조나 의미자질을 이용한 이름대기 중재 효과를 살펴보는 후속 연구의 기초를 제공한다. This study seeks to provide preliminary data on the production frequency and typicality of noun exemplars by semantic category for Korean adults age 55 to 74. Methods: A total of 401 individuals participated in the study. The study was divided into two parts. In experiment 1 (N=220), the subjects were given generative naming tasks from ten categories: clothing, kitchen utensils, personal belongings, vegetables, furniture, transportation, school supplies, electronic devices, flowers, and animals. In experiment 2 (N=216), the mean number of production and number of different words of noun exemplars were evaluated. The semantic typicality of each noun exemplar obtained from experiment 1 was also rated. Results: The category of items in fluency tasks, along with age and gender has a distinctive influence on the semantic networks of adults age 55 to 74. Conclusion: Our findings suggest that age-specific Korean category norms and data for semantic typicality are needed. In addition, these results are clinically meaningful given that they provide preliminary data to select stimuli item for naming treatment programs of patients with neurogenic language disorders. This study also provides a basis for future study on the internal structure of semantic networks in Korean adults and the efficacy of semantic feature analysis in naming treatment.

      • KCI등재
      • KCI등재

        노년층 의사소통능력에 대한 문헌연구

        김정완(JungWan Kim),김향희(HyangHee Kim) 한국언어청각임상학회 2009 Communication Sciences and Disorders Vol.14 No.4

        배경 및 목적: 말․언어능력의 변화는 자연스러운 노화과정이며, 이 과정에서 의사소통능력의변화 정도나 특색이 어떻게 발현되는지를 알아보는 일은 매우 중요하다. 본 연구에서는 노화로 인해 나타나는 의사소통능력의 변화를 살펴보고, 노인의 일상적 삶에 영향을 미칠 수 있는어려움이 무엇인지를 알아보기 위해 문헌연구를 실시하였다. 방법: 전반적인 의사소통능력을파악하기 위해 호흡, 음성, 조음, 청각, 언어이해, 그리고 언어표현 능력을 포함한 6가지 범주로분류하고 각 영역들에 대해 다루고 있는 문헌들을 검토하였다. 그 결과, 1947년에서 2009년까지의 논문 및 단행본을 포함하여 총 115편이 분석대상 문헌으로 선정되었다. 결과: 연구영역면에서 언어표현능력, 언어이해능력, 그리고 청각능력 순으로 가장 많은 연구가 이루어진 것으로 나타났다. 문헌분석을 통해 전반적인 의사소통능력을 종합적으로 살펴본 결과, 정상 노년층의 전반적인 의사소통능력 중, 조음능력은 가장 적게 손상받는 것으로 나타났고, 호흡과음성능력은 기관의 해부학적 변화로 인해 호흡기능이 감소되거나 음성의 질이 변화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가장 많이 연구되어 있는 영역인 언어표현능력과 언어이해능력, 그리고 청각능력은 인지능력과 서로 연관되어 노인들이 대화를 이해하고 유지하는데 가장 큰 영향을 미치는것으로 나타났다. 즉, 청력장애, 인지능력의 감퇴, 복잡한 구문 이해의 어려움, 이름대기 능력의 저하, 주제유지의 어려움 등과 같이 노화과정에서 나타나는 말․언어능력의 변화는 복합적으로 작용하여 노인들의 대화 운용능력을 떨어지게 한다. 논의 및 결론: 본 연구를 통해 노화과정에 나타나는 전반적인 의사소통능력의 변화와 세부적인 발현 양상을 알 수 있었다. 이를밑거름으로 하여 노년기 연령 단계별로 효과적인 의사소통을 유지하기 위해 필요한 능력과 노년층 의사소통능력 영역의 향후 연구 과제에 대한 시사점을 얻을 수 있을 것이다 Background & Objectives: Changes in the communicative ability of the elderly are often considered part of thenatural aging process. There are multidimensional areas incommunication that need to be evaluated in order to delineate the specific changes in the elderly population.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dentify domain-specific characteristics for speech and language (i.e., respiration, voice, articulation, hearing, reception, expression) via literature review. Methods: We searched articles and books/chapters on geriatric communication (dysfunction) via the medical/social science search engines, restricted to years 1947 to 2009. Then we categorized the contents of the articles and books/chapters in terms of six domains, including respiration, voice, articulation, hearing, receptive,and expressive ability. Results: Specific age-related changes occurred in various communicative structures and functions, including respiratory, phonatory, auditory, receptive, and expressive-language domains, although it was reported that articulatory functions remain the same. Discussion & Conclusion: In this study, we observed changes in the overall communicative ability and specific aspects revealed during the process of aging. Future studies should refer to this study as the basis for determining how reduced communicative abilities within each domain may affect the daily lives of the older population, and also as a reference regarding the necessary abilities for maintaining effective communication skills at each chronological stage during senescence

      • KCI등재

        안면부 및 경부 화상 환자의 삼킴 및 의사소통능력 선별 프로토콜 개발을 위한 예비 연구

        김정완(JungWan Kim),이효진(HyoJin Lee),이현정(Hyun Joung Lee) 한국장애인재활협회 2017 재활복지 Vol.21 No.2

        안면부 및 경부 화상 환자에게 적절한 영양 공급을 위해 일차적으로 고려하여야 할 요소는 삼킴기능의 평가와 재활치료이며, 이와 더불어 타인과의 효과적인 의사소통과 심미적 기능을 만족시키기 위해 말능력에 대한 자세한 평가와 재활 역시 고려하여야 한다. 본 연구의 목적은 안면부 몇 경부 화상 환자의 삼킴장애 및 말운동장애, 음성 장애 등을 종합적으로 파악할 수 있는 의사소통장애 선별 프로토콜의 예비 문항을 정리하는데 있다. 화상으로 초래되는 여러 가지 의사소통장애를 다루고 있는 국외 연구들을 참고하여 ‘구강기제(oral mechanism)’, ‘호흡/음성(respiration/voice)’, ‘삼킴(swallowing)’, ‘조음(articulation)’을 포함한 총 4개의 평가영역으로 나누고 하위범주와 이에 필요한 문항들을 작성하였고, 전문가 5인에 의한 내용타당도 검증 후 예비 문항을 선정하였다. 내용타당도 범위는 .50~.84로 나타났다. 구강기제 및 조음 평가 영역에 포함된 대부분의 선별평가 문항들이 적절하게 나타난 것과 다르게 호흡/음성 및 삼킴 평가 영역의 경우, 전문가마다 조금씩 다른 의견을 보이기도 하였다. 안면부 및 경부 화상 환자가 보이는 의사소통장애의 이질적인 특성 상, 본 연구를 통해 정리된 선별 프로토콜 항목을 바탕으로, 향후 화상 환자의 유형 및 중증도별 평가를 통해 각 환자에게 맞춘 평가 양식으로 적절히 수정하여 활용할 수 있을 것으로 예상한다. 이로써 구강조음기관의 기능적 해부와 생리에 대한 지식이 있고 이에 적합한 재활훈련이 가능한 언어재활사들이 화상 환자의 의사소통장애에 대해 더욱 종합적인 평가와 치료 적용이 가능할 것으로 기대한다. We have to consider two parts of the evaluation and treatment for the patients with head and neck burns. The primary consideration is swallowing function for nutrition supply for them and the next is speech function for efficient communication and aesthetic impression of them.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summarize the preliminary questions of Communication Screening Protocols which can help understand comprehensively on swallowing disorder, motor speech disorder and voice disorder of patients with head and neck burns. We divided the evaluation into 4 evaluation areas including ‘oral mechanism’, ‘respiration/voice’, ‘articulation’, and ‘swallowing’ by referring to overseas studies dealing with various communication disorders caused by burns, and prepared the final questionnaires by conducting the content validity verification by five expert (speech & language pathologist). The range of Content Validity Index was shown relatively appropriate with .50~.84. There was a conflict of opinions in experts whether the items in the areas of respiration/voice and swallowing may be appropriate, whereas there was no different view of the oral mechanism and articulation area. Through the different characteristics of communication difficulties of patients with head and neck burns, we expect it will be modified appropriately according to the patients through evaluation of burn patients by type and severity.

      • KCI등재

        강체모델 기반 시스템 안정성을 고려한 자기부상 플라이휠 에너지 저장장치의 최적 설계

        김정완(Jungwan Kim),유승열(Seong-yeol Yoo),배용채(Yongchae Bae),노명규(Myounggyu Noh) 대한기계학회 2010 大韓機械學會論文集A Vol.34 No.3

        친환경기술과 신재생 에너지 자원에 대한 세계적인 관심이 증가하면서, 플라이휠 에너지 저장 장치는 화학전지나 연료전지와 같은 기존의 에너지 저장 시스템의 대안 중 하나로 부상하고 있다. 플라이휠 에너지 저장장치의 에너지 저장 용량은 극질량 관성모멘트와 회전속도의 제곱에 비례하기 때문에, 가능한 높은 회전속도와 높은 극질량 관성모멘트를 갖도록 설계하는 것이 중요하다. 하지만, 시스템의 운전안정성 확보가 최적설계의 구속조건으로 작용할 수 있다. 본 논문에서는 에너지 저장 용량을 최대화하고 운전안정성 및 외란에 대한 강인성을 확보하는 플라이휠 시스템의 최적설계를 제안한다. 그리고, 기존의 PD 제어에 비교하여 교차궤환제어법이 자이로스코프효과를 줄이고, 에너지 저장밀도를 높이는데 필수적임을 확인하였다. Owing to the increasing worldwide interest in green technology and renewable energy sources, flywheel energy storage systems (FESSs) are gaining importance as a viable alternative to traditional battery systems. Since the energy storage capacity of an FESS is proportional to the principal mass-moment of inertia and the square of the running speed, a design that maximizes the principal inertia while operatingrunning at the highest possible speed is important. However, the requirements for the stability of the system may impose a constraint on the optimal design. In this paper, an optimal design of an FESS that not only maximizes the energy capacity but also satisfies the requirements for system stability and reduces the sensitivity to external disturbances is proposed. Cross feedback control in combination with a conventional proportional-derivative (PD) controller is essential to reduce the effect of gyroscopic coupling and to increase the stored energy and the specific energy density.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