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 SSCISCOPUSKCI등재

        Issues and Prospects of AI Utilization in the Defense Field: Organizational Capability, Technology Maturity, Institutional Congruence

        ( Junghyun Yoon ) 한국국방연구원 2021 The Korean Journal of Defense Analysis Vol.33 No.3

        Modern warfare is rapidly shifting to automation and networking of battlefields. Artificial intelligence technology is seen as a technological breakthrough for military innovation. However, in Korea, a number of constraints impede the practical use of artificial intelligence technology by the military, despite announced government plans. This study reports a survey about such various constraints, in terms of organizational capacity, technology maturity, and institutional congruence. The evaluation factors for each arm of service were designed to address issues specific to the national defense sector, and the results of the evaluation were analyzed through a survey of a group of experts, including military policy officers, representatives of the defense industry, and researchers. The results of the investigation showed that AI technology in the field of defense has not yet been established to the extent that it could replace a commander’s decision-making. In order to improve these limitations, security issues related to data utilization, training of professional AI personnel, and measures to revitalize public-private cooperation should be solved first.

      • KCI등재

        Factors Associated with Health Behaviors in Thyroid Cancer Survivors

        Junghyun Yoon,박보영 대한암예방학회 2020 Journal of cancer prevention Vol.25 No.3

        In this study, we compared health behaviors, including current smoking, drinking, and physical inactivity, in thyroid cancer survivors and non-cancer controls and investigated the factors associated with unhealthy behaviors among survivors. Baseline data from the Health Examinees study, collected from 2004 to 2013, were used. Thyroid cancer survivors (n = 942), defined as those who had received a clinical diagnosis of thyroid cancer, and 9,420 matched non-cancer controls without past history of any cancer were included in the analysis. The prevalence of smoking, alcohol consumption, and physical inactivity in thyroid cancer survivors were 2.3%, 26.6%, and 52.0%, respectively, with adjusted OR (aOR) and 95% CI between survivors and non-cancer controls of 0.35 (95% CI = 0.08-1.56), 0.46 (95% CI = 0.29-0.74), and 0.65 (95% CI = 0.44-0.96). The prevalence of unhealthy behaviors was higher among male thyroid cancer survivors than female thyroid cancer survivors. In thyroid cancer survivors, those who smoked were more likely to drink (aOR = 4.55 [95% CI = 1.61-12.85]) and those who were physically inactive were less likely to drink (aOR = 0.58 [95% CI = 0.42-0.82]). Current drinking and physical inactivity contributed to a higher likelihood of smoking (aOR = 4.31 [95% CI = 1.35-13.73] and 6.34 [95% CI = 1.65-24.34]). Thyroid cancer survivors had better health behaviors than the non-cancer controls. However, some survivors still had unhealthy lifestyles, especially displaying a clustering of unhealthy behaviors. Thus, health behavior promotion through medical intervention is important for thyroid cancer survivors.

      • KCI등재후보

        글로벌 리스크 거버넌스 : 2004년 쓰나미를 통해 본 주요 피해국들의 위기대응 전략

        윤정현 ( Junghyun Yoon ) 국민대학교 사회과학연구소 2019 社會科學硏究 Vol.31 No.2

        이 글은 2004 아세안과 남아시아를 휩쓸었던 대표적인 초대형 자연재해인 쓰나미를 사례로 주요 피해국들의 대응 과정을 재난유형과 관리모델의 이론적 분석틀을 통해 조명하였다. 기존연구는 주로 공여국의 관점에서 대규모로 이루어진 물적 지원을 강조한 나머지 초국가적 위기를 지역 차원에서 이슈화하고 국제사회의 도움을 효과적으로 활용하고자 노력했던 수원국들의 자주적인 노력에 관심 가지지 못한 측면이 있었다. 따라서 이 글은 쓰나미의 피해가 가장 컸던 태국, 스리랑카, 인도네시아를 사례로 이들이 각각의 사회환경적 맥락을 고려하여 국내, 지역, 글로벌 수준에서 어떻게 능동적으로 대응해나갔는지의 과정을 살펴보았다. 특히 쓰나미 복구 과정에서 나타난 3국의 대응 방식의 유형을 중심으로 원조 공여자 중심의 기존 시각을 극복하고 대안적 관점에서 원조 수혜국이면서도 주도적인 역할을 하였던 이들의 잠재적 대응 역량과 대응방식의 전환이 주는 시사점을 얻고자 하였다. 본 연구를 통해 피해국들은 국가들은 구호, 재건, 예방단계별로 각기 다른 대응방식을 취하였음을 확인 하였다. 특히, 인도네시아의 경우, 가장 극심한 피해에도 불구하고 각 국면에 부합하는 재난 관리방식을 신속하게 전환함으로써 지역 및 글로벌 수준에서 국제사회의 지원을 효과적으로 활용하였다는 점에서 초국가적 재난관리의 시사점을 준다. 연구를 통해 이들 세 나라는 재난관리적 측면에서 보았을 때 저마다 친화적인 관리모델 유형이 있었지만, 대응 과정에서 구호, 재건, 예방 단계별로 효과적인 관리를 위해 적합한 관리모델을 전환할 수 있다는 사실을 보여주었다. 나아가 재난유형별 ‘적합관리모델’이란 것이 공식화된 하나의 답으로 존재하는 것이라기보다는 주어진 상황에서 기민한 판단을 통해 유연한 정책적 전환을 시도할 수 있는 21세기 탈근대 시대의 또다른 중요한 역량임을 시사한다고 볼 수 있다. In the 21st Century, we experience non-traditional forms of security issues such as a great natural disaster, nuclear accident and cyber terrorism. The 2004 Indian Ocean Tsunami that struck most South Asian countries remains one of the greatest threats in this respect. The tsunami that was triggered near Sumatra on December 26, 2004, recorded as natural disaster with the worst casualties and losses this century. On the other hand, some affected states quickly overcame the tsunami since it was a devastating disaster that was vividly witnessed by the entire world with the development of information communication technology. This article tries to transcend the limits of previous researches based on donor-centered perspective and attempt to explain the situations from the perspective of affected states in South Asia. For this purpose, this paper focuses on the differences how these countries handled the challenge at the local, national, and regional levels. Indonesia, Thailand and Sri Lanka had different preferred control models in terms of disaster management, but showed that they can flexibly convert to other control models for effective control of the response process in rescue, reconstruction, and prevention. In particular, Indonesia showed not only constant efforts to dispel worries and build trust with donors but communication with them at multilayered level. All these efforts aimed at attaining its long-term goal although the country was hit the hardest by the serious disaster. The process proved that it was able to procure both comprehensive assistance and autonomous policies. Moreover, thanks to the Indonesia’s agile efforts, the country was able to pave the way for becoming a key player in global level beyond ASEAN region. Indonesia’s combined approach presents a new direction in middle power diplomacy we that hope to make.

      • KCI등재

        사이버 평화론에 대한 소고: 신흥안보 시대의 대안적 접근

        윤정현(Junghyun Yoon),이수연(Suyeon Lee) 한국정치정보학회 2023 정치정보연구 Vol.26 No.1

        현재 사이버 공간에서는 소극적 의미에서부터 적극적이고 포괄적인 의미에 이르기까지 사이버 평화 개념을 둘러싼 다양한 해석이 존재하고 있다. 중요한 점은 사이버 공간이 창출된 이후로 인류가 영위하는 온라인 활동 범위가 비약적으로 확장되었으며, 이에 따라 ‘안전하고 평화적인 사이버 공간’이 갖는 포괄적 의미 역시 한정하기 어려워지고 있다는 점이다. 특히, 증대되고 있는 ‘신흥안보(emerging security)’ 이슈의 부상은 사이버 공간의 평화 개념을 어디까지 확장할 것인가에 지대한 영향을 미치는 주요 변수로 자리 잡고 있다. 그중에서도 가상과 현실이 융합하고 이슈 간 경계를 허물어버리는 사이버 공간의 진화는 사이버 안보뿐만 아니라 사이버 평화의 개념에 대해서도 새롭게 접근해야 할 필요성을 제기한다. 본 연구는 평화 개념을 사이버 공간이 지니는 특징과 연계하여 검토함으로써 전통적 평화론을 넘어선 대안적 사이버 평화론의 필요성을 강조한다. 물리적 세계에서 전통적으로 통용되던 적극적, 소극적 차원의 평화 논의를 넘어, 사이버 공간의 확장이 갖는 경계 구분의 초월성, 이슈 연계 측면의 파급력, ‘과정’으로서의 사이버 평화 지향이 대표적이라 할 수 있다. 이러한 접근은 신흥안보 시대의 대안적 사이버 평화론 정립을 위한 첫걸음이 될 것이다. Today, there are various descriptions surrounding the concept of cyber peace, ranging from negative to positive meanings in cyberspace. The important point is that since the creation of cyberspace, the range of online activities conducted by mankind has dramatically expanded, and accordingly, the comprehensive meaning of safe and peaceful cyberspace is becoming difficult to limit. In particular, the rise of the growing ‘emerging security’ issue has become a major variable that has a great influence on how far the concept of peace in cyberspace will be expanded. The evolution of cyberspace, raises the need for an alternative approach to the concept of cyber peace as well as cyber security. This study reveals that cyber peace has limitations if it is approached only by the existing peace concepts, and highlights the need for an alternative approach. Beyond the discussions on positive peace and negative peace conventionally used in the physical world, it is the transcendence of the boundary division of the expansion of cyberspace, the ripple effect in terms of linking issues, and the pursuit of cyber peace as a ‘process’. This approach will be the first step toward an alternative theory of cyber peace in the era of emerging security.

      • 국방 분야 인공지능 기술 도입의 주요 쟁점과 활용 제고 방안

        윤정현(Yoon, Junghyun) 과학기술정책연구원 2021 STEPI Insight Vol.- No.279

        □ 4차 산업혁명이 촉발한 지능화의 흐름은 미래 안보환경의 패러다임을 전환 중 현대전은 전장의 정밀화, 무인화, 자동화, 네트워크화의 양상으로 변화하고 있음 로봇 간의 전투, 사이버 공간 중심의 전쟁, 무인 시스템의 확대 등은 다차원적이고 자동화된 전투방식이 지배적인 미래전의 흐름으로 부상할 것임을 시사 향후 국방력은 단순한 병력의 양적 우위가 아닌, 무기의 질적 수준과 이를 효과적으로 전개할 수 있는 첨단화된 운용·지원체계의 확립과 직결 □ 인공지능 기술의 도입은 군사혁신을 위한 기술적 돌파구이자 미래 국방력의 향상과도 직결 인공지능은 병력 수급문제의 해소 뿐만 아니라 효율적인 자원관리, 첨단 전투력의 강화를 위한 기술적 돌파구로 주목받고 있음 특히 복잡한 운용체계와 다층적인 전장 정보를 효과적으로 관리할 수 있는 인공지능 기술은 미래전의 주도권을 결정할 수 있는 핵심적인 변수 따라서 군의 인공지능의 활용역량의 확보는 향후 국방 전략의 최우선적 고려사항이 될 가능성이 높음 □ 국방 분야의 인공지능 기술 도입 및 활용 강화는 단순한 신기술 적용 이상의 함의 군의 인공지능 도입‧활용은 디지털 전환 패러다임에 부합하는 무기체계, 전력지원체계, 운용 방식과 군의 인식 제고에 이르기까지 국방 시스템 전반의 혁신과 맞닿아 있음 특히, 전력 증강 및 국방경영개선의 이중적 난제에 직면한 군의 현실에서 인공지능의 적극적인 도입과 활용 역량을 증진시키기 위한 종합적인 정책 마련이 시급한 상황 □ 현재 국내 국방 분야의 적극적인 인공지능 기술 활용에는 많은 제약사항이 존재 최근 국방 분야에서 인공지능의 활용 촉진을 위한 종합계획들을 발표해왔으나, 연구개발 기획에서부터 전력화 단계에 이르기까지 많은 문제점을 내포 국방 분야에서의 인공지능 기술 활용역량 강화는 해당 기술의 발전 수준과 법·제도적 환경, 나아가 군의 이해관계와 조직적 저항요소들을 종합적으로 고려해야하는 문제 본 연구는 군의 인공지능 활용을 둘러싼 다양한 쟁점과 개선 방안을 ‘조직역량’, ‘기술성숙도’, ‘제도의 정합성’ 측면에서 살펴보고자 함 □ 국방 분야 인공지능 활용의 주요 쟁점 혁신 주체 및 조직 문화적 특징 - 인공지능 기술을 활용하여 체계를 구축하는 주체(‘개발자’)와 인공지능 기술이 적용된 체계를 활용하는 주체(‘사용자’)로 구분 - 군사기술의 활용에 있어 기술에 대한 문화(인식, 태도 및 수용성) 및 전문인력의 적절한 임무 배치는 기술의 활용 여부 및 수준을 결정하는 주요한 요인이 됨 국방 분야 인공지능의 기술성숙도 - 현 상황에서 국방 분야의 인공지능 기술의 활용은 기술의 무결성 및 안전성, 연산 과정의 투명성 등을 고려할 때 상당부분 보조적인 수단에 머물고 있음 * 영상정보, 신호정보, 인간정보 서로 다른 층위의 정보들을 분석한 뒤, 의사결정을 내리게 되므로 인공지능이 완전히 전담할 수 있는 부분은 제한적이라는 평가 - 1세대 인공지능에 해당하는 알고리즘을 활용한 표적 위치 계산 등은 오래 전부터 일선에 적용되어 왔으나, 딥러닝, 머신러닝 등 최근 언급되는 2세대 인공지능 기술은 아직 국방 분야에서 폭넓게 도입되어 있지 않음 - 2018년 기준, 미국의 국방 기술 발전수준을 100으로 가정했을 때, 유럽은 90, 일본 85, 중국 84, 한국은 75에 그치는 것으로 평가 제도적 정합성 문제 - (관련 법제의 미비점 또는 충돌) 획득, 위임 등 인공지능 기술의 국방 분야 도입절차와 책무와 관련된 민감한 거버넌스, 제도적 개정사항 등이 미흡한 상황 - (윤리적 문제*) 인공지능의 살상행위 뿐만 아니라 이를 활용한 기만행위나 오용 등에 대한 책임의 문제 또한 명확히 정립되어 있지 않음 * 美 국방부는 책임성(Responsible), 공정성(Equitable), 추적성(Traceable), 신뢰성(Reliable), 통제성(Governable) 등 미 국방부의 인공지능에 대한 5대 윤리적 원칙을 제시한 바 있음 - (민관 협력을 제약하는 요소들) 인공지능 기술의 원천과 폭넓은 활용 측면에서 민간주체가 우위에 있으므로 민간과의 협력은 군사적 활용에 있어 필수적이나 이를 현실적으로 제약하는 요소가 존재 * 군사규격, 보안문제, 협력 대상 기업에 대한 과도한 자격요건 충족 요구, 군에 대한 문민통제, 기타 비용 문제와 인공지능 무기화, 도입 당위성에 사회적 공감대 이슈 등 □ 국방 분야의 인공지능 활용 인식조사 설계 및 개요 활용 주체, 기술 성숙도, 제도적 정합성의 3가지 쟁점을 토대로 국내 국방 분야 인공지능 활용 실태를 평가하기 위해 전문가 심층 인식조사를 실시 국방 인공지능 분야의 다양한 트렌드와 이슈에 대한 이해도가 필수이므로, 사용자인 군 뿐만 아니라 개발자인 산·학·연의 다양한 전문가들도 참여 - 현장에서 직면한 실질적인 활용 정도 및 저해요인, 애로사항 진단에 중점 국방 분야에서 활용되는 인공지능 요소기술에 대한 별도의 공식적인 분류체계가 부재하므로, 『국방전력발전업무훈령』<SUP>*</SUP>의 세부 분류를 따라 ‘무기체계’와 ‘전력지원체계’의 각 세부 병과별로 활용도를 평가 * 2006년 「방위사업법」 등 상위법령의 위임을 받아 군과 방위사업과 관련된 전 기관을 대상으로 군수품의 획득과 운영유지에 관한 지침을 제공하는 규정 □ 국방 분야의 인공지능 활용 수준 조사 결과: 유망 분야 현재·미래의 데이터 확보가 상대적으로 용이한 분야 - 무기체계에서는 ‘감시정찰’, ‘항공’ 분야가 높게 평가되었으며, 전력지원체계에서는 상시적 데이터 관리가 필요한 ‘국방정보시스템’ 및 ‘교육훈련’ 분야가 유망 분야로 평가 신뢰할 수 있는 알고리즘 구현이 상대적으로 용이한 분야 - 감시정찰 분야 및 인사‧군수 등 업무효율성 향상을 위한 전투지원 분야가 전력화를 위한 알고리즘 구현이 상대적으로 용이한 분야로 선정 - 특히, 전방이나 위험지역과 같이 상시적 모니터링이 필요한 상황에는 무인화 형태의 대체 임무 수행이 가능할 것으로 평가 윤리적 충돌의 문제가 상대적으로 낮은 분야 - 실제 교전이 발생할 수 있는 환경에서는 완전한 자율화 기능을 적용하기에는 많은 시간이 소요될 것으로 조사 - 반면, 전투지원, 의무지원, 교육훈련, 국방정보시스템 분야는 비교적 가까운 미래에 인공지능 기술들이 적용될 것으로 평가됨 □ 국방 분야의 인공지능 활용 수준 조사 결과: 주요 애로점 데이터 활용에 따른 군의 지나치게 엄격한 보안 및 제도적 규제 - 국방 인공지능의 활용성을 제약하는 가장 큰 이슈는 보안 규제로, 적용 기술의 성능 향상을 위해 필요한 군 데이터의 사용이 거의 불가능한 문제를 제기 * 보안규정으로 인한 외부망 접속 불가, 시험 및 운용 데이터 사용 불가, 오픈소스 사용 제한 문제 등 - 따라서 ‘국방 데이터 공유’ 이슈를 둘러싼 보안과 허용의 적절한 경계점을 찾는 문제가 향후 중요한 쟁점이 될 것으로 전망 - 현재 국방부에서 지능화 플랫폼 사업 등을 추진하고 있으나, 국방 데이터 활용관련하여 로컬데이터 등을 통합할 수 있는 시스템이 미비한 실정 현재로서는 비정형 센서 정보를 빅데이터화하는 데 어려움이 많으며, 비밀 유통구조로 운용되기 때문에 국방정보시스템 등 지휘통제체계에 적용하는데 한계 - 비정형 데이터가 대부분인 국방 분야의 특성상, 설명 가능한 데이터 정제 기술과 수집·관리 알고리즘의 고도화가 필요 국방 현장과 인공지능 기술을 종합적으로 이해하는 조직역량의 부족 - 첨단지능화 군대로 탈바꿈하는 데 주도적 역할을 수행할 전담 조직·인력의 부재 - 현장으로부터 인공지능 기술을 적용한 운용개념이 원활히 수용되어야 하나, 실제 이를 운용하게 될 □ Modern warfare is rapidly shifting to automation and networking of battlefields The advent of the era of artificial intelligence(AI) triggered by the Fourth Industrial Revolution that changed the paradigm of the security environment Complexity and precision of the defense system that is difficult to control the advanced defense system by relying on traditional human capabilities □ In Korea, however, a number of constraints impede the practical use of AI technology by the military, despite announced government plans Korea’s defense policy has been promoted based on “Defense Reform 2.0” - Focusing on reducing troops and streamlining operations rather than applying cutting-edge technologies While this allowed each branch of the military to secure independent information systems, it made it difficult to accumulate and inter-operate data for integrated operations Unlike DARPA, Korea’s defense R&D environment rarely allows failures and poses challenges □ Three key issues related to the use of AI technology in defense "Organizational capability’, ‘technology maturity’, and ‘institutional congruence’ are the key Variables Affecting AI Utilization From these three perspectives, the evaluation results of the level of use of AI in the defense field were analyzed through a survey targeting the expert group - The participants consisted of experts closely related to AI technology planning, R&D, force integration, and operation in Korea’s defense sector The questionnaire consisted of questions about the level of using AI technology for ‘weapon system’ and war potential supported system □ Policy Recommendations for Strengthening Utilization of AI in the Defense Field 1. Relief of Concerns about Replacement of Human Resources by AI Relieve resistance and provide systematic education by gradually introducing it to areas where the military"s organizational resistance is relatively low - The purpose of AI is to improve the accuracy of work through mission assistance rather than “mission substitution.” 2. Strengthening Military Confidence in AI Technology Cultivating experts who can analyze and test AI according to the national defense environment Expansion of dedicated personnel and organizations with on-site understanding and knowledge of AI technology Military experts actively participate in development strategies considering security and stability 3. Development of Data Platform Technology Specialized in Defense Sector Establishing a defense data platform from which data collection, storage, preprocessing and analysis learning can be performed - The data platform for decision-making support specialized in defense will improve the ability for prediction in tactical situations and play a role in producing high-quality data by integrating various battlefield paths. Beyond detecting the information of the sensor unit, the quality of the data must be secured through a certain level of purification 4. Improving the Utilization of Network Infrastructure in Defense Necessary to think together about ways to increase the utility of strategic assets<SUP>*</SUP> through the improvement of the intelligent platform and battlefield system network infrastructure * At present, the defense AI strategy is to promote the integration of more than 60 defense networks so that each military can share data with each other 5. Easing Security Regulations That Restrict the Use of Defense Data The adjustment of laws and regulations restricting data acquisition under defense projects and defense security regulations is first required - Developing a public data set that is technically similar to secret data, to make it possible to transfer learning using it Establishing a specialized development model for defense AI that can complement the weaknesses of the defense system considering

      • KCI우수등재

        신흥안보 위험과 네트워크 거버넌스 : 불확실성 시대의 초국가적 난제와 대응전략

        윤정현(Junghyun Yoon) 한국정치학회 2020 한국정치학회보 Vol.54 No.4

        탈근대 시대의 도래와 지구화의 심화는 초연결 사회의 편익을 증진시키는 한편, 예상치 못했던 새로운 형태의 위험들을 촉발시키고 있다. 또한, 이들 위험들은 직 · 간접적인 연계이슈와 맞물려 예상치 못한 재난과 사회ㆍ정치적 휘발성을 가진 중대사건으로 귀결되기도 한다. 특히, 위험의 확산과정에서 전통적인 국가 중심 위기관리시스템으로는 해결이 어려운 ‘초국가적 난제(wicked problems)’ 로서의 특징을 보이고 있다. 이러한 변화는 전통적 위험요소에 대한 인식의 틀을 확장하는 것을 넘어, ‘신흥안보(emerging security)’ 관점에서 새로운 도전 요인들을 재정의하고, 이에 부합하는 효과적인 거버넌스의 모색이 시급함을 일깨우고 있다. 그러나 신흥안보라는 초국가적 난제의 관리를 국제정치적 관점에서 고찰하고자 하는 연구는 미진한 실정이다. 또한, 이들 난제가 가진 복잡성과 비정형적 특징에도 불구하고, 공식적인 정부 단위에 기초한 문제해결형 접근 방식은 여전히 지배적인 시각으로 자리잡고 있다. 따라서 본 연구는 21세기의 신흥안보 환경을 고려한 새로운 대응 양식으로서 네트워크 거버넌스에 주목한다. 하나의 정답이 존재하지 않는 신흥안보 위험의 난제에 대비하기 위해서는 국가의 적절한 권한의 조정과 위임을 통해 협력을 촉진하는 메타거버넌스적 역량이 요구된다. 높은 불확실성과 파급력을 가진 다양한 신흥안보 위험에 대한 대응역량이야말로 탈근대 시대의 진화된 중견국의 형태이자, 초국가적 협력의 촉진자로서 ‘네트워크 지식국가’의 지향 모델이라 할 수 있을 것이다. The advent of the post-modern era and deepening globalization are triggering new forms of unexpected risk. These risks develop into unpredictable forms through interaction with other issues, sometimes resulting in disasters with physical and political explosive power. In particular, it features ‘transnational wicked problems’ that are difficult to solve with national level approach, such as creating sharp conflicts between governments and various stakeholders in the process of spreading risks. These changes suggest that we need to go beyond extending the framework of our perception of traditional risk and observe them with the concept of emerging security. However, research to systematically examine emerging security issues from the perspective of international politics has not yet been attempted. In addition, despite the unstructured nature and complexity of ‘emering security’, the prevailing view is still to expect the effects of government-centered problem-solving approaches and short-term policy prescriptions. In this context, this paper focuses on network governance as an alternative approach that reflects the rapidly changing security environment and risk characteristics, and as a form of response to it. Meta-governance strategy of national model that can effectively develop a cooperative network with heterogeneous actors at a multi-layered level is the direction that an evolving form of network knowledge country in the post-modern era should take.

      • 인적자원관리관행에 대한 공정성 인식이 조직몰입과 조직시민행동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윤정현(JungHyun Yoon),이재훈(Jaehoon Rhee) 영남대학교 산경연구소 2005 영상저널 Vol.13 No.-

        본 연구에서는 고용관계에 있어, 종업원의 공정성 지각의 중요성에 주안점을 두고 있으며, 특히, 인적자원관리관행에 대한 종업원의 공정성 지각과 조직시민행동과의 관계에 있어 태도변수의 매개역할에 초점을 맞추고 있다. 다시 말하자면, 본 연구에서는 선행연구를 기초로 세 가지의 개인특성과 상황특성, 조직몰입, 그리고 세 가지의 조직시민행동을 중심으로 연구모형을 개발하여, 조직몰입의 매개역할에 관한 9가지의 가설을 포함한 총 15가지의 가설을 설정하였다. 가설들의 검증을 위해 본 연구에서는 구미에 소재하고 있는 L사에 종사하고 있는 426명의 종업원들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그 결과, 조직구성원의 공정성 지각은 조직몰입과 조직시민행동에 유의한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특히, 인적자원관리관행에 대한 조직구성원들의 공정성 인식과 조직시민행동 간의 관계에 있어 조직몰입이 매개역할을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연구결과를 종합해 볼 때, 종업원들의 조직몰입과 조직에 대한 친자발적인 성향을 높이기 위해서는 조직공정성을 효율적으로 판리하여야 한다는 시사점을 도출하였다.

      • KCI등재후보

        미ㆍ중 ICT 경쟁과 인공지능ㆍ소프트웨어 분야의 남북협력 가능성과 쟁점

        윤정현 ( Junghyun Yoon ) 국민대학교 사회과학연구소 2021 社會科學硏究 Vol.34 No.1

        4차 산업혁명의 핵심 범용기술인 인공지능을 포함한 소프트웨어 산업은 미래산업의 경쟁력과 직결되는 핵심 분야이다. 따라서 그것이 가진 파급력과 중요성을 인식하고 있는 남북 모두는 전략적으로 이들 분야들을 육성하고 있다. 특히, 미·중 기술패권 경쟁의 심화 속에서 글로벌 생산·교역 질서의 급변은 남북 모두에게 새로운 돌파구를 모색할 필요성을 제기하고 있다. 남북관계의 불확실성에도 불구하고 양측의 비교우위에 따라 협력이 이루어진다면 호혜성과 지속가능성의 유인을 제공할 것으로 많은 기대를 모아왔던 것이 사실이다. 그러나 이러한 구상이 실제 교류와 협력으로 이어지기 위해서는 한반도의 정치적 긴장과 제재 국면에 대한 고려 뿐만 아니라 현재 북한의 기술 수준과 예상되는 부가가치, 사업환경의 제도적 개선 가능성 등에 대한 냉철한 진단이 선행되어야 한다. 이러한 맥락에서 본 연구는 인공지능과 소프트웨어 분야의 남북한의 교류·협력 가능성을 검토하고, 현재의 환경에서 매우 제한적이지만 실질적 성과를 기대할 수 있는 접근방안을 찾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우선, 글로벌 차원에서 벌어지고 있는 미·중 ICT 경쟁양상과 대외적 제약요인을 살펴보았으며, 이어 남북한의 정책 추진 현황을 시작으로 인공지능을 포함한 소프트웨어 분야에서 양국의 기술 역량과 활용 수준, 상호 잠재력을 검토하였다. 경제성 및 비즈니스 경쟁력 측면, 제도ㆍ문화적 환경 등의 쟁점을 짚어본 결과, 현 단계에서는 협력 기반 조성을 목표로 하되, 가장 중요한 인력 육성을 위한 교류공간의 마련이 점진적이나 현실적인 발전을 기대할 수 있는 부분임을 확인하였다. 인공지능과 소프트웨어 분야는 다른 어떤 부문보다도 장기적인 지식교류의 과정이 매우 중요한 분야이다. 이러한 과정은 새로운 산업 패러다임 변화에 남북이 선제적으로 대응하고 공동번영을 위한 기회를 탐색한다는 점에서 미래지향적 남북협력의 방향성과도 맞닿아 있다고 볼 수 있다. The deepening of U.S.-China competition and the spread of COVID-19 are causing rapid changes in the global production and trade order and political tensions, and it is necessary to find new breakthroughs for both Koreas. In particular, inter-Korean exchanges and cooperation in the field of ICT platforms, which are a hot topic, are mid-to long-term issues for securing future industrial competitiveness, and at the same time, it is an urgent issue to establish a turning point for inter-Korean relations. However, in order to do this, we need to diagnose the technical capabilities and issues of the related sectors of the two Koreas, and find areas where practical cooperation is possible in international political tensions and sanctions.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possibility of exchanges and cooperation between the two Koreas, focusing on ICT platforms including artificial intelligence, software, and services, and to explore approaches that can expect virtuous circular effects. To this end, the technical capabilities, utilization levels, and mutual potential of the two countries were examined, starting with the aspect of US-China ICT competition and the current state of policy promotion between the two Koreas, and the linkage areas for cooperation were examined. As a result of examining the economics and business competitiveness aspects of related fields, institutional and cultural environments, international sanctions and political issues, it was confirmed that mutual knowledge exchange is a realistic part that should be started first in order to foster the most important manpower in software fields including artificial intelligence. Inter-Korean cooperation over artificial intelligence, software and data services simply does not mean exchanges in a technology industry sector. It can be said that it also implies a more realistic and strategic meaning that the two Koreas preemptively respond to new industrial paradigm changes and explore opportunities for common prosperity.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