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스포츠스타 광고모델이 제품태도에 미치는 영향

        나준희(Na june-hee),김영조(Kim yeungjo) 한국스포츠산업경영학회 2003 한국스포츠산업경영학회지 Vol.8 No.2

        본 연구는 스포츠 분야에서 조화가설(Match-up Hypothesis)을 바탕으로 스포츠스타 모델과 제품의 일치성을 통해서 모델의 매력도와 신뢰성이 제품태도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서 실증적으로 검증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실험집단은 스포츠스타 모델과 일치성이 높은 제품이 제시된 집단과 일치성이 낮은 제품이 제시된 집단 등의 두 집단으로 구성하였으며, 사전조사를 통해 채택한 실험 자극물과 설문지를 통해 두 집단간의 차이를 검증하였다. 본 연구에서 실험자극물로 사용된 스포츠스타는 한국인 최초의 메이저리거 타자인 최희섭 선수를 대상으로 하였다. 연구결과, 두 집단간의 평균차이 검증(t-test)에서 모델과 일치성이 낮은 제품에 비해 일치성이 높은 제품에 대한 태도가 더욱 긍정적으로 나타났다. 또한 모델의 매력도, 신뢰성이 제품 태도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에 대해서 조사하였다. 회귀분석 결과, 제품에 대한 태도에 있어 모델의 매력도 및 신뢰성이 모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모델과 제품과의 일치성이 높은 경우, 제품에 대한 태도에 있어서 모델의 매력도와 신뢰성이 유의하게 나타났다. 하지만, 모델과 제품과의 일치성이 낮은 경우, 모델의 매력도만이 제품에 대한 태도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며, 신뢰성은 유의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결론적으로, 스포츠스타 모델이 스포츠 제품광고에 출연하는 경우, 스포츠를 통한 모델의 신뢰성과 매력도가 높은 모델이 광고효과에 효과적이며, 스포츠스타 모델과 일치성이 낮은 제품에 대해서는 스포츠스타의 매력도 고려가 중요한 요소임을 밝히고 있다. The present research has empirically examined in sports whether the attractiveness and credibility of a celebrity endorser could make influences on attitudes toward products by matching between a sports star endorser and products, Match-up Hypothesis. For that purpose, current research consisted of two groups (high vs. low match) and explored the differences between two groups with exposing to the stimuli acquired in a pretest. In the research, the sports star we used was a major-leaguer, Choi, Hee-sup. As a result, the present research demonstrated that the high-match group has shown favorable attitudes toward the product relative to the low-match group. In addition, we conducted a regression analysis to examine the effects of the sports star endorsers' attractiveness and credibility on attitudes toward the products. The result showed that both the attractiveness and credibility of the sports star endorser were statistically significant for the attitudes toward the product. Specifically, for high-match group, the attractiveness and credibility of sports star endorser were significant. Yet, only the attractiveness of the sports star was significant for low-match group. In conclusion, high attractiveness and credibility of sports star endorsers should be effective for sports-related products' advertisements. For low-match products' advertisements, the attractiveness of sports star endorsers should be considered as an important factor.

      • KCI등재

        모델의 매력도 및 신뢰성이 제품태도에 미치는 영향 : (상향적)사후조정 사고의 조절효과

        나준희 한국방송광고공사 2006 광고연구 Vol.0 No.70

        최근 들어 합리적 구매와 관련된 소비자의 의식은 과거에 비해 크게 증대되었다. 이러한 측면에서 소비자는 제품을 구매하기 전, 자신이 구매하고자 하는 제품의 효용 및 단점에 대해서 미리 시뮬레이션 하고 구매하는 경향이 크게 증가하고 있다. 그러나 이러한 현상을 설명하기 위한 학술적 연구는 거의 전무한 실정이다. 이에 대해서 본 연구는 사회심리학의“만일 ~했다면, ~ 했을 텐데”의 사후가정 사고를 이용하여 광고모델이 소비자의 제품태도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서 살펴보고자 하였다. 즉, 본 연구는 광고모델이 소비자의 제품태도에 미치는 영향에 있어서 사후가정 사고의 조절효과를 검증하기 위해 설계되었다. 연구결과, 본 연구는 두 가지의 내용으로 요약될 수 있다. 첫째, (상향적) 사후가정 사고는 모델의 매력도가 제품태도에 미치는 효과에 있어서 부정적으로 영향을 미쳤다. 즉, 소비자자 (상향적) 사후가정 사고를 하는 경우 비록 매력도가 높은 모델이 제품에 대해서 광고한다 할지라도 모델의 매력도 효과가 나타나지 않았다. 둘째, 모델의 신뢰성이 제품태도에 미치는 효과에 있어서 (상향적) 사후가정 사고는 영향을 주지 못했다. 즉, 소비자가 (상향적) 사후가정 사고를 한다할지라도 모델의 신뢰성 효과는 나타났다. Recently, consumers’ thinking related to reasonable purchase have been increased a lot. In this regards, the tendency that consumers simulate benefits and demerits of the products is increasing quite a lot before purchase . Yet, little research has been done on this topic. With that regards, present article was to examine the effect of advertisement model on consumer’s attitude toward product using (upward) counterfactual think(CFT). That is, this study was designed to verify the moderating effect of (upward) counterfacturing thinking in the effect of advertisement model on consumer’s attitude toward product.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upward) counterfactual thinking affected adversely in the effect of attractiveness of model on attitude toward product. That is, in case consumers executed (upward) counterfactual thinking, even though a model of high attractiveness would advertise, the effect of the attractiveness did not appear. Second, (upward) counterfactual thinking did not affect the effect of credibility of models on attitude toward product. That is, even if consumers execute (upward) counterfactual thinking, the effect of credibility of model occurred.

      • KCI등재

        보상판매에 있어서 자선기부 광고가 소비자의 제품구매에 대한 태도에 미치는 영향

        나준희,박신철 한국방송광고공사 2003 광고연구 Vol.0 No.60

        보상판매에 있어서 자선기부 광고는 시장에서 매우 광범위하게 나타나고 있는 현상이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이에 대한 학술적 연구는 거의 전무한 실정이다. 이에 따라 본 연구는 이러한 시장현상에 대한 학술적 이해를 증대시키고자 한다. 본 연구는 2개의 실험으로 구성되었다. 연구결과, 본 연구는 두 가지의 내용으로 요약된다. 첫째, 보상판매에 있어서 자선기부 광고는 소비자의 제품구매에 대한 태도에 긍정적으로 나타났다. 즉, 소비자는 제품을 구매할 때 명분있는 의사결정을 선호하였으며, 이러한 측면에서 소비자는 자선기부 광고를 명분증대를 위한 수단으로 사용하였다. 이에 따라 소비자에게 명분을 제공하는 광고전략은 제품구매에 대한 소비자의 태도를 증대시킬 수 있는 효율적 광고전략이 될 수 있다. 둘째, 자선기부 광고에 있어서 기부자와 수혜자와의 관련성 정도는 소비자의 제품구매에 대한 태도에 유의하지 않았다. 즉, 소비자는 기부제품이 어디에 사용되는지에 대해서는 관심이 없었다. 다만 소비자는 구형제품을 신형제품으로 바꾸는 과정에서 자신이 느끼는 심리적 부담감을 자선기부 광고를 통해 해소하였으며, 자선기부 광고 그 자체를 자신의 제품구매에 대한 명분으로 이용하였다. Charitable donation Ads in trade-in are a widely spread phenomenon in the marketplace. Yet, little research has been done on this topic. Thus, the this research aims at expanding the academic understanding of this market phenomenon. This research consists of two experiments and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the present research showed that charitable donation Ads in trade-in had a positive effect on consumers?attitude toward products purchase. That is, consumers preferred their justifiable purchase decision so that they used charitable donation Ads as means for enhancing their justification. Thus, an Ad strategy giving a justification for consumers’ decision-making could be an efficient strategy for improving consumers’ attitude toward products purchase. Second, this research indicated that the relationship between a benefactor and a beneficiary in charitable donation Ads had little impact on consumers’ attitude toward purchase decision. That is, consumers had little interests in where donated products are used. What they are interested in is to alleviate psychological burdens in the process of changing from old products to new products. Therefore, they alleviate those psychological burdens involved in trade-in by charitable donation Ads. In conclusion, charitable donation Ads themselves could be used for justifying product-purchasing decision.

      • KCI등재

        프라이밍의 대조효과에서 소비자의 다의적 이해 정도의 영향

        나준희(Na, June-Hee) 한국소비문화학회 2013 소비문화연구 Vol.16 No.4

        기존 연구에 의하면 인지적 동기가 높거나 자극물이 구체적이거나 극단적일 때 대조효과가 나타나는 경향이 있다. 그런데 소비자에게 동화효과를 유도하기 위해서는 구체적이거나 극단적인 예시 대신에 추상적 개념이나 평범한 예시를 제시할 수밖에 없는가? 만약 그렇다면 마케팅 커뮤니케이션의 다양성과 흥미는 상당히 위축될 것이다. 소비자에게 주목되는 광고는 생생하고 구체적일 뿐만 아니라 어떤 의미에서는 극단적인 자극물을 사용하는 경우가 많기 때문이다. 특히 요즘과 같이 경쟁 광고가 많은 상황에서는 더욱 그러하다. 본 연구는 대조효과가 완화되는 내용에 주목하여 구체적 예시를 프라이밍해도 대조효과가 나타나지 않는 조건은 없는지 그리고 극단적 예시를 프라이밍해도 대조효과가 나타나지 않는 조건은 없는지에 초점을 맞추고 연구를 진행하였다. 이에 대한 내용으로 소비자의 다의적 이해 정도(polysemous comprehension)의 초점을 맞추었다. 실험은 2번 진행하였다. 실험 1의 설계는 3(프라이밍 유형: 구체적이며 극단적인 예시 vs. 구체적이며 온건한 예시 vs. 추상적인 개념 프라이밍) × 2(다의적 이해 정도: 높음 vs. 낮음)의 혼합 실험설계(mixed subject design)로 구성하였다. 분석결과, 다의적 이해 정도가 낮은 소비자는 극단적인 예시 프라이밍에서 시험점수가 가장 낮았으며, 온건한 예시 및 추상적 개념 프라이밍 조건에서 시험점수가 양호하였다. 온건한 예시와 추상적 개념 조건 간 차이는 없었다. 그러나 다의적 이해 정도가 높은 소비자는 극단적 예시, 온건한 예시, 추상적 개념 프라이밍 간 시험점수 차이는 통계적으로 모두 유의하지 않았다. 다의적 이해 정도가 높은 소비자에 있어서 극단적인 프라이밍에도 불구하고 대조효과가 일어나지 않은 이유는 비교과정이 없었기 때문으로 판단한다. 실험 2는 실험 1에 대한 보완 실험이다. 첫째, 다의적 이해 정도의 차이를 상황에 의해 구분하였다. 특히 상황에 의한 구분에서 다의적 이해 정도가 높은 상황은 먼 미래 관점, 낮은 상황은 가까운 미래 관점으로 구분하였다. 둘째, 프라이밍의 대상을 부정적 대상으로 확대하였다. 셋째, 종속변수를 제품평가와 같은 마케팅 상황에 적용하였다. 분석결과, 실험 1과 유사하게 나타났다. 즉, 다의적 이해 정도가 낮은 상항에서는 극단적 예시에서 대조효과가 발생하였고, 온건한 예시 및 추상적 개념 조건에서 동화효과가 나타났다. 다만 다의적 이해 정도가 높은 상황에서도 극단적으로 부정적인 예시 프라이밍에서는 대조효과가 나타났다. 온건하게 부정적인 예시 프라이밍 및 추상적으로 부정적인 개념 프라이밍에서는 동화효과가 나타났다. According to prior research, mild exemplar and abstract concept cause assimilation priming effect, but these mild and abstract stimuli are likely to be perceived as uninterestingly so much by consumers. Sometimes extreme advertisements may get spotlight of public attention, even if intensive competition now a days. This research focused on the conditions that are related with not causing contrast even though concrete or extreme exemplar priming. Also, this study suggested the concept of polysemous comprehension that gets role of shielding against contrast effect. Twice experiments complicated. Ex. 1 got the mixed design of 3(priming types: concrete and extreme exemplar vs. concrete and mild exemplar vs. abstract concept prime)×2(capability of polysemous comprehension: high vs. low). Results said consumers who were low in ability of polysemous comprehension got worst test scores in condition of extreme exemplar(Einstein), but hit better scores both in mild exemplar (general professor) and in abstract concept(job of professor). In the other hand, highly polysemous consumers hit all same scores statistically in all conditions, because of not comparison processing. Ex. 2 complicated the results of the prior. First, ability of polysemous comprehension was not measured but manipulated by temporal distance. Specifically, distant future implied highly polysemous, and near future got low polysemous. Second, prime valence was related with not positivity but negativity. Third, dependent variable implied marketing context. In results, Ex. 2 replicated the prior. In low polysemous comprehension, extremity caused contrast, but both mildness and abstractness caused assimilation each. In high polysemous comprehension, extremity also caused contrast, but both mildly negative exemplar and negative concept priming caused assimilation effect.

      • KCI등재

        확장의 방향성을 고려한 브랜드 확장 전략

        나준희(Na, June-Hee) 한국상품학회 2010 商品學硏究 Vol.28 No.4

        브랜드 확장은 모브랜드의 긍정적 이미지를 이용하여 새로운 제품군으로 진입하는 전략을 의미한다. 이에 따라 많은 기업은 시장에서의 성공가능성을 높이기 위해 브랜드 확장 전략을 빈번히 이용하고 있다. 시장에서의 브랜드 확장은 주로 하향 확장이 진행되었다. 그러나 비록 성공사례는 많지 않지만 시장에서는 상향 확장도 자주 시도되고 있다. 이는 확장제품의 성공을 통해 모브랜드의 가치를 상승시키기 위함이다. 즉, 브랜드 확장은 크게 상향 확장과 하향 확장으로 구분된다. 이러한 측면에서 본 연구는 확장의 방향성을 고려하여 효과적인 브랜드 확장은 어떻게 수행되어야 하는 지에 대해서 살펴보았다. 한편, 일반적으로 마케팅 차별화 전략은 정렬 차이와 비정렬 차이로 구분된다. 이를 토대로 본 연구는 상향 확장 시 정렬 차이와 비정렬 차이 중 어느 것이 브랜드 확장에 더욱 효과적인지에 대해서 살펴보았다. 그리고 하향 확장시에는 이러한 결과가 어떻게 다르게 나타나는 지에 대해서 살펴보았다. 연구결과, 상향 확장시에는 비정렬 차이가 정렬 차이에 비해 확장제품의 평가에 더욱 긍정적이었다. 그러나 하향 확장시에는 정렬 차이와 비정렬 차이는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 단, 방향성 측면에서 하향 확장의 경우, 정렬 차이가 비정렬 차이에 비해 더욱 효과적이었다. This research examines moderating effect of directionality of extension and alignability of attributes in brand extension. For this end, this research is composed of 2(directionality of extension: upward vs. downward)×2(alignability of attributes: alignable difference vs. nonalignable difference) between subject designs. The results ar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directionality of extensionwas significant on evaluation about extension product. Second, a 2(directionality of extension: upward vs. downward)×2(alignability of attributes: alignable difference vs. nonalignable difference) ANOVA showed that consumers evaluated more positively in the nonalignable difference rather than the alignable difference under the upward brand extension. However, under the downward brand extension, alignable difference effect was nonsignificant. However, on the perspective of data's direction, consumers evaluated more positively in the alignable difference rather than the nonalignable difference under the downward brand extension

      • KCI등재후보

        문화를 이용한 브랜드 확장, 어떻게 해야 하는가?

        나준희(Na, June-Hee),방장규(Bang, Jang-Kyu) 한국문화산업학회 2015 문화산업연구 Vol.15 No.4

        교통관련 기업은 교통·운송만을 사업 영역으로 한정하지 않고 적극적인 사업 확장을 시도하고 있다. 이러한 과정에서 브랜드 확장이 나타나고 있다. 그렇다면 교통관련 기업의 브랜드 확장은 어떠한 상황에서 잘 진행될 수 있는가? 이에 대한 답을 제공하고자 본 연구를 진행하고자 한다. 특히 본 연구에서는 교통관련 기업의 브랜드 확장시 문화를 이용한 마케팅 전략이 매우 필요하다는 것을 제시하고 있다. 연구결과, 교통관련 기업의 브랜드 확장을 하는 경우, 유사 확장에서는 문화 마케팅과 비문화 마케팅 간에는 효과차이가 나타나지 않았다. 그러나 비유사 확장에서는 문화 마케팅을 이용한 경우가 비문화 마케팅을 이용한 경우에 비해 모브랜드 및 확장 제품에 대한 평가가 긍정적으로 나타났다. 이를 통해 본 연구는 교통관련 기업의 브랜드 확장에 대한 새로운 단서를 제시하고자 한다. 즉, 모브랜드의 긍정적 이미지는 브랜드 확장 성공의 메커니즘이다. 본 연구에서는 문화의 따뜻하고 부드러운 이미지가 교통관련 기업의 브랜드 확장의 의미 있는 메커니즘이라는 것을 밝혔다. Companies related with transportation try to extend their business domain to not only transportation but also non-trans areas. That is, brand extensions of transportation. What are advantageous conditions for the brand extension of trans companies. This research oriented to respond the question. Specifically, this study focused on themarketing strategy using culture for their brand extension. In results, there was no different effect between cultural and non-cultural marketing under similar extension of the trans company. There was, however, more positive effect on both parent and extended brand in condition of cultural marketing than be in non-cultural under dissimilar extension. These suggested meaningful implications for brand extensions of trans companies. Positive images of parent brands are key mechanism of brand extension. This study showedwarmand tender image of culturewas significantmechanismof extension of trans companies. 교통관련 기업은 교통·운송만을 사업 영역으로 한정하지 않고 적극적인 사업 확장을 시도하고 있다. 이러한 과정에서 브랜드 확장이 나타나고 있다. 그렇다면 교통관련 기업의 브랜드 확장은 어떠한 상황에서 잘 진행될 수 있는가? 이에 대한 답을 제공하고자 본 연구를 진행하고자 한다. 특히 본 연구에서는 교통관련 기업의 브랜드 확장시 문화를 이용한 마케팅 전략이 매우 필요하다는 것을 제시하고 있다. 연구결과, 교통관련 기업의 브랜드 확장을 하는 경우, 유사 확장에서는 문화 마케팅과 비문화 마케팅 간에는 효과차이가 나타나지 않았다. 그러나 비유사 확장에서는 문화 마케팅을 이용한 경우가 비문화 마케팅을 이용한 경우에 비해 모브랜드 및 확장 제품에 대한 평가가 긍정적으로 나타났다. 이를 통해 본 연구는 교통관련 기업의 브랜드 확장에 대한 새로운 단서를 제시하고자 한다. 즉, 모브랜드의 긍정적 이미지는 브랜드 확장 성공의 메커니즘이다. 본 연구에서는 문화의 따뜻하고 부드러운 이미지가 교통관련 기업의 브랜드 확장의 의미 있는 메커니즘이라는 것을 밝혔다. Companies related with transportation try to extend their business domain to not only transportation but also non-trans areas. That is, brand extensions of transportation. What are advantageous conditions for the brand extension of trans companies. This research oriented to respond the question. Specifically, this study focused on themarketing strategy using culture for their brand extension. In results, there was no different effect between cultural and non-cultural marketing under similar extension of the trans company. There was, however, more positive effect on both parent and extended brand in condition of cultural marketing than be in non-cultural under dissimilar extension. These suggested meaningful implications for brand extensions of trans companies. Positive images of parent brands are key mechanism of brand extension. This study showedwarmand tender image of culturewas significantmechanismof extension of trans companies.

      • KCI등재

        기업 위기(무능력 vs. 비도덕)와 제품 평가 : 프라이밍 효과를 중심으로

        나준희(Na, June-Hee) 한국상품학회 2021 商品學硏究 Vol.39 No.5

        사실이 사실이 아닐 수 있다. 사실의 왜곡은 다양하게 나타난다. 이중 하나가 이전에 무엇을 보고 무엇을 생각했는지가 사실에 대한 정보처리에 영향을 미쳐 판단이 다르게 나타난다. 생각은 주변으로부터 온다. 어떤 사람들과 친분을 나눴는지, 어떤 생각으로 그들과 교류했는지에 따라 사실과 현상에 대한 해석이 달라진다. 어느 날 갑자기 글이 만들어지지 않는다. 글소리로부터 글이 만들어진다. 어느 날 갑자기 칼이 예리해지지 않는다. 칼 가는 소리로부터 칼이 강해진다. 글소리를 들으며칼이 만들어지지 않고 칼가는 소리와 함께 글이 완성되지 않는다. 프라이밍효과는 이전에 활성화된 개념이 이후의 평가에 영향을 미치는 현상이다. 본 연구는 프라이밍 유형×기업 위기 정보의 상호작용효과를 살펴본 연구이다. 연구결과, 경제위기로 프라이밍이 되었을 때에는 기업의 능력 및 역량 부족에 의한 정보가 비도덕적 행위에 대한 정보보다 제품 평가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쳤다. 그러나 부정부패로 프라이밍이 되었을 때에는 기업의 비도덕적 행위에 대한 정보가 무능력에 대한 정보보다제품 평가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쳤다. 기업의위기 정보에 대한 대처는 기업을 둘러싼 맥락적 관점에서 살펴봐야 한다. 맥락에 일치하는 위기정보에 대한 관리가 필요하다. 기업의 위기정보에 대한 대처는 맥락적 관점에서 살펴봐야 한다. 맥락에 대한 지속적인 정보수집이 필요하다. 특히 맥락에 일치하는 위기 정보발생시 적극적인 대응이 필요하다. The facts may not be true. Distortion of facts appears in various ways. One of these influences the processing of information about facts about what you saw and thought about before, resulting in different judgments. Thoughts come from around. The interpretation of facts and phenomena varies depending on which people you are acquainted with and what thoughts you interact with them. One day, the writing is not made suddenly. The writing is made from the sound of the writing. The knife doesn t suddenly become sharp one day. The knife becomes stronger from the sound of sharpening the knife. Listening to the sound of the writing, the knife is not made, and the writing is not completed with the sound of sharpening the knife. The priming effect refers to a phenomenon in which a previously activated concept affects a subsequent evaluation. This study examines the interaction effect of priming type x corporate crisis information. As a result of the study, when it was primed due to the economic crisis, information due to lack of capability of a company negatively affected product evaluation rather than information on immoral behavior. However, when primed due to corruption, information on corporate immoral behavior negatively affected product evaluation rather than information on incompetence. The response to corporate crisis information should be examined from a contextual point of view. It is necessary to continuously collect information on the context. In particular, active response is needed when crisis information that matches the context occurs.

      • KCI등재
      • KCI등재
      • KCI등재

        모브랜드의 전형성이 브랜드 확장에 미치는 영향

        나준희(Na, June-Hee),반용(Pan, Yong),홍성준(Hong, Sung Jun) 한국상품학회 2012 商品學硏究 Vol.30 No.1

        최근 들어 모브랜드의 긍정적 이미지를 이용한 브랜드 확장전략은 기업 실무에서 매우 빈번히 실행되고 있다. 그러나 모브랜드의 긍정적 이미지를 이용한 브랜드 확장 전략이 실패하는 경우도 매우 자주 나타나고 있다. 특히 확장 제품군에 지배적 브랜드가 존재하는 경우에는 그러한 현상이 더욱 자주 나타났다. 이에 따라 본연구는 모브랜드의 긍정적 이미지를 이용할 수 있는 상황을 제시하기 위해 모브랜드의 전형성과 확장 제품군내의 지배적 브랜드의 전형성간의 비교 연구를 광고 상황에서 진행하였다. 연구결과, 모브랜드의 전형성이 확장 제품군의 지배적 브랜드의 전형성에 비해 높은 경우에는 관련성 광고 가정교화광고에 비해 더욱 효과적이었다. 그렇지만 모브랜드의 전형성이 확장 제품군의 지배적 브랜드의 전형성에 비해 낮은 경우에는 관련성 광고보다는 정교화 광고가 더욱 효과적이었다. This research examines moderating effect of brand typicality and advertising type on evaluation about extended product. For this end, this research is composed of 2(brand typicality: parent brand > dominant brand in extended product VB. parent brand < dominant brand in extended product )x2(advertising type: e1aboratianal Ad VB. relational Ad). The results ar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brand typicality was sigoificant on evaluation about extended product. Second, advertising type was not significant Third, a 2(brand typicality)x2(advertising type) ANaVA showed that ooosumers evaluated more positively in the relational Ad rather than e1aborational Ad uoder the parents brand > dominant brand in extended product. However, under the parents brand < dominant brand in extended product, ooosumers evaluated more positively in the elaborational Ad rather than relational Ad.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