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Is National Culture an Appropriate Unit of Analysis in Cross-Cultural Research?

        Yongfeng Zhang(장영봉),Jongwook Kwon(권종욱),Yan Zhou(주암),Peng Wang(왕붕) 연세대학교 경영연구소 2021 연세경영연구 Vol.58 No.3

        본 연구는 다문화 연구 분야에서 논란이 되고 있는 구체적인 연구문제를 해결하는 것이 목적이다. 다문화 연구에 있어서 연구의 분석단위가 국가인지 아니면 한 국가내의 지역인지가 논쟁이 되고 있다. 수십 년 동안 다양한 분야의 연구자들이 이러한 이론적 논쟁에 매달려 오고 있다. 본 연구는 Minkov and Hofstede(2012)의 연구 방법과 세계 가치 조사(World Values Survey)의 최신 데이터를 활용하여 비교문화 연구에서 분석의 단위가 국가가 바람직한지 아니면 지역단위가 바람직한지를 검증해 보고자 한다. 이를 위해 슈와르츠 가치관 값을 활용하여 5개 그룹, 19개국 239개 지역의 문화적 가치 차이를 분석한다. 5개 그룹은 아시아, 라틴 아메리카, 동유럽, 아랍 세계, 그리고 영국이 포함된다. 분석결과 국가간 문화차이보다 국가 내 문화적 차이가 큰 경우도 있고(중국·페루·러시아 등) 작은 경우(미국·요르단 등)도 발견되었다. 하지만 전체적으로 국가간 차이보다 지역간 차이가 작아서 비교문화 연구에서 연구의 분석단위는 한 국가 내 지역보다는 국가단위가 바람직한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시간이 지날수록 국가 클러스터가 모이는 패턴이 달라진다는 사실도 발견했다. 본 연구는 비교문화 연구에서 논쟁이 되고 있는 국가 및 지역 단위의 분석단위 적합성에 대한 이론적 기반을 제공하고 다국적 기업들 간의 시장 전략 수립에 유용할 정보를 제공한다.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address a specific controversial issue in the cross-cultural field: in cross-cultural studies, regarding whether the country or the region should be used as the unit of analysis. Cross-cultural similarities and differences play an important role in many areas of life. Researchers from various fields have been actively dealing with this topic for decades. Based on the research methods of Minkov and Hofstede (2012), and using the latest data from the World Values Survey, based on the Schwartz values, this study analyzes the differences in cultural values among 239 regions of 19 countries taken from five groups: Asia, Latin America, Eastern Europe, the Arab World, and Anglo countries. By analyzing the aggregation of homogeneous and heterogeneous clusters, this paper examines the judgment basis for and use of analytical units in cross-cultural research. The results show that cultural differences within some countries can be larger (e.g, China, Peru, Russia, etc.) or smaller (e.g, United States, Jordan, etc.) than differences among countries. We have also found a pattern of national cluster aggregation will be changed over time. This research provides a reference basis for effectively distinguishing the types of differences in national and regional values and provides theoretical information that will be useful in the formulation of market strategies among multinational companies.

      • KCI등재후보

        Language Research in International Business: An Author Co-citation Analysis

        Long Cui(최룡),Chao Ma(마차오),Jongwook Kwon(권종욱) 연세대학교 경영연구소 2020 연세경영연구 Vol.57 No.3

        국제 비즈니스(IB) 연구 분야의 언어 관련 연구가 급증하고 있으며, 현재 많은 학자들이 언어를 중요한 테마의 하나로 다루고 있다. 국제 비즈니스(IB) 영역에서 언어와 관련된 연구가 증가하고는 있으나, 연구 주제가 가지고 있는 본연의 복잡성을 경험적 측면과 이론적 측면에서 개념화를 하기 위한 실질적인 도전에 직면해 있는 상황이다. 이에 국제 비즈니스(IB)의 언어와 관련한 연구방법에 대하여 문헌분석방법 등을 적용한 새로운 방법을 제안하는 바이다. 이는 학문 간의 경계를 뛰어넘는 언어의 고유 특성을 고려하여 타학문 간의 연계성을 가지고 있는 이론의 시각을 통해 국제 비즈니스(IB) 영역의 언어에 대하여 좀 더 심도 있는 이해와 연구 결과를 얻을 수 있었다. 본 연구는 국제 비즈니스(IB) 분야의 주요 논문 222편(1975년~2016년)에 대하여 문헌분석을 진행하였다. 그 결과 전통적인 문헌 분석방법에 비해 좀 더 심도 있는 분석 결과를 얻을 수 있었으며, 언어에 대한 정치적·구조적·문화적 이해 세 가지의 논점을 발견하였다. 본 세 가지의 논점은 16개 국제 비즈니스(IB) 학회지의 “언어에 대한 연구방향”을 비교분석하여, 타 연구 분야의 연구 방향과의 유사성을 확인하고 후속 연구의 방향을 제시하였다. The number of articles regarding language in international business (IB) research fields has rapidly increased, and many scholars now consider language an important research topic in these fields. Despite the increased study of language in IB fields, scholars continue to be faced with substantial challenges for empirically and theoretically conceptualizing the complexity of this research theme. Thus, we recommend that studies regarding language in IB adopt new methodologies such as bibliometric methods. In addition, language studies should transcend disciplinary boundaries and draw from and integrate various theories from other disciplines such as communication to gain a more profound understanding of language in international business. Our bibliometric study of 222 articles published in the top international business journals from 1975 to 2016 permits deeper analyses than traditional literature reviews. We identify three main research trends: the political view of language, the instrumental view of language and the cultural view of language. In addition, we compared the research trends of language in IB journals with that of 16 communication journals to determine whether similarities exist between the research trends of IB and other research fields. In addition, we suggest which topics should be analysed in future IB studies.

      • A Cross-National Study on the CEO Messages of Multinational Corporations in China

        Lingmei Xie(시에 링메이),Hongyan Zhao(조홍연),JongWook, Kwon(권종욱) 한국경영학회 2016 한국경영학회 통합학술발표논문집 Vol.2016 No.8

        CEO messages convey corporate culture and philosophy. In particular, communication with stakeholders through CEO messages of corporate web sites is an important strategic tool given that MNCs in foreign market should communicate with local stakeholders from different cultural and linguistic background.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describe and interpret the CEO message of North American, Japanese and European multinational corporations (MNCs) in China. This study focuses on languages, word count, number of sentences, words per sentences and theme of the CEO’s message on website. The results from this study enhance our understanding how CEOs of MNCs communicate with their stakeholders in China and what content they mainly include in their messages on their web sites.

      • KCI등재

        Predicting Cultural Values in Islamic Countries: The Six Cultural Dimensions of Hofstede’s Model

        Jiseok Lee(이지석),Hongyan Zhao(조홍연),Jihyun Heo(허지현),Cui Long(최룡),Jongwook Kwon(권종욱) 연세대학교 경영연구소 2020 연세경영연구 Vol.57 No.1

        본 연구의 목적은 홉스테드의 문화 모형에 포함되지 않은 57개 이슬람 국가의 문화적 가치 점수를 추정하는 것이다. 홉스테드는 현재까지 수행된 문화가치관에 연구 중에서 가장 많이 인용되고 있으며 가장 포괄적인 연구 중 하나로 간주되고 있다. 초기에는 40개 국가를 대상으로 조사하였으나 현재 100개 이상의 국가의 가치관 점수를 발표하고 있다. 이렇게 포괄적인 연구임에도 불구하고 놀랍게도 소수의 이슬람 국가를 포함하고 있다. 따라서 본 연구는 57개 이슬람 국가를 대상으로 홉스테드 모형의 6가지 문화차원별 가치관 점수를 분석한 첫 번째 연구라 할 수 있다. 분석 결과, 이슬람 국가들은 모두 높은 집단주의 경향과 큰 권력거리 차원에 밀집해 있다는 것을 보여주었다. 불확실성 회피와 남성성 차원에 대해서는 이슬람 국가들은 대부분 중간 점수에 몰려있었다. 이 두 가지 문화차원에 대해서 대부분의 이슬람 국가들은 동질적인 문화를 가지고 있다는 의미이다. 이슬람 국가들은 대부분 절제되고 단기지향적인 경향을 보였다. 또한 흥미로운 점은 보통 이슬람 국가들은 동질적인 문화를 가지고 있다고 생각하지만 본 연구에서는 이슬람 국가들 간의 문화차이가 이슬람국가와 비이슬람국가 간의 문화차이보다 더 큰 것을 발견하였다. 이러한 연구결과는 이슬람 국가진출 다국적기업에게도 시사점을 제공한다. 이슬람 진출 다국적기업은 이슬람을 하나의 동질적인 문화로 간주하여 표준화 전략을 수립하기 보다는 문화에 적합한 차별화된 경영관행의 수립이 필요함을 보여주고 있다. 예를 들면 개인주의 문화차원에서 개인주의가 강한 문화에서는 개인의 성과를 강조하는 경영관행이 강조되어야 하지만 집단주의 성향이 강한 국가에서는 집단의 조화를 고려하는 관행의 설계가 필요하다. The aim of this paper is to estimate and analyse the cultural value scores of the 57 Islamic countries that were not included in Hofstede’s model. Hofstede conducted one of the most comprehensive studies about how values in the workplace are influenced by culture. His data covered more than 100 countries, and the study included the largest group of respondents of any cross-cultural value survey at the time. Given its popularity and the large number of countries encompassed, Hofstede’s model includes surprisingly few Islamic countries. To the best of our knowledge, the present study is the first to analyse the cultural value scores of the 57 Islamic countries. The results reveal that the Islamic countries are all densely clustered in the collectivist and large power distance dimensions. Regarding the uncertainty avoidance and masculinity dimensions, the Islamic countries mostly have medium scores and are intensively clustered. Islamic countries are mostly clustered in the restrained and short-term orientation dimensions. The finding that the cultural distance among Islamic countries is much greater than that between Islamic countries and non-Islamic countries is interesting. We also summarized some implications of the characteristics of the cultural values of Islamic countries. Multinational corporations must seriously consider adjusting their management practice approaches to align with Islamic culture to maximize performance.

      • KCI등재

        중국 진출 한국투자기업 현지종업원의 조직몰입을 결정하는 리더십 행위 분석

        권종욱 한국국제통상학회 2004 국제통상연구 Vol.9 No.1

        본 연구에서는 중국에 진출한 한국기업에 근무하는 현지종업원의 조직몰입에 대한 리더십 행위의 영향력을 분석하였다. 구조주도와 배려의 리더십행위에서 구조주도는 조직몰입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치지 못한 반면 배려는 조직몰입에 강한 정의 효과를 보였다. 또한 개인수준에서 분석된 상사에 대한 집단주의의 가치성향이 리더십행위와 조직몰입과의 관계에서 조절변수의 역할은 하지 못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결국 상호신뢰, 존중, 따뜻함과 같은 리더의 배려 행위를 통해 현지종업원들의 조직몰입을 높일 수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향후 연구과제와 시사점이 아울러 제시되었다. This study investigates the relationship between leadership behaviors and organizational commitment in rapidly changing economy, China. This paper also examines moderating effects of host employees' collectivism on the relationship between leadership behaviors and organizational commitment in China. The study findings indicate that consideration leadership behavior has positive association with organizational commitment. On the other hand, initiation of structure leadership behavior have insignificant impacts on organizational commitment. The results from this study show that supervisor-collectivism did not moderate the effects of initiation of structure and consideration on organizational commitment of local employees employed by Korean MNCs in China. Some implications and future study were suggested.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