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간재 전우는 왜 심본성(心本性), 성사심제(性師心弟)를 말하였는가?

        劉志雄 ( Yoo Jiwoong ) 한국유교학회 2017 유교사상문화연구 Vol.0 No.67

        기호학파 낙론을 계승하는 간재의 성리설은 심에 대한 논의를 통해 그 특징적 면모가 드러낸다. 리무위, 기유위의 리기관계에 따라 성무위, 심유위의 심성관계가 성립되는데, 이때 무위한 성은 유위한 심에 의해서만 표현될 뿐성 스스로를 표현할 수 있는 능동성을 가지고 있지 못한다. 즉, 무위한 리인성은 유위한 기인 심에 의해서만 드러날 수 있다. 따라서 간재는 도덕행위의 원리, 기준, 법칙이 되는 성의 실재만으로는 도덕행위의 온전함을 담보할 수 없다는 문제의식 아래, 실질적 실현자인 심에 주목하게 된다. 간재는 먼저 도덕행위의 실질적 실현자로서 심에 대한 가치론적 영역을 확보하기 위해 심을 구성하고 있는 ‘기’에 주목한다. 간재는 심을 구성하고 있는 기는 精英한 기이기에, 일반적인 기질과는 다른 차별적인 것일 뿐 아니라, 심을 구성하고 있는 기는 기의 본으로 가치론적으로도 본선한 것이라 말한다. 따라서 간재는 심을 구성하고 있는 기는 청탁수박이 혼재해 있는 기질과는 상대적인 것으로 심은 기의 본으로 구성되어 있기에 본래 선한 것임을 주장한다. 이러한 일련의 주장은 심기에 대한 논의와 관련하여 노주와 매산에 의해 더욱 구체화된 기본말과 심본선의 이론을 계승한 것이며, ‘심시기’하에서 심을 구성하고 있는 기에 대한 차별적 이해를 통해 심의 가치론적 영역을 확보하려는 낙론계 성리설의 특징적 면모를 확인할 수 있다. 하지만 도덕주체로서 심의 본선함을 주장하는 낙론계 심론과 관련하여 유의해야 할 것이 있다. 그것은 심을 구성하고 있는 기가 일반적인 기질과는 다른 차별적인 것임에도 불구하고, 이는 어디까지나 본선한 것이지, 성과 같이 항상 선한 것이 아니라는 것이다. 심이 도덕행위의 주체로서 위상을 가지고 있으며, 가치론적으로 도덕적 영역을 확보한 것이지만, 결국 본래 선한 것일뿐, 항상 행위의 결과까지 선한 것으로 담보할 수는 없는 불완전한 주체일 뿐이다. 따라서 불완전한 도덕주체인 심이 성을 근본으로 하고, 성을 지향하고, 성을 스승으로 본받아 인간 행위를 주재하기 위해서는 제자인 심은 항상 배우고, 노력하는 자세가 필요하다. 이를 위해 간재는 자신의 학문적 結晶인 ‘심본성’, ‘성사심제’를 통해 수양의 의미를 강조하게 된 것이다. 간재는 ‘심본성’과 ‘성사심제’의 구체적인 수양 방법을 경과 치지를 통해 제시한다. 경은 심이 어느 한 쪽으로 치우쳐지지 않고, 중의 상태에 머무르게 함으로써 외물의 유혹에 흔들리지 않는 것이라면, 치지는 심의 인지 작용을 확충하는 것이고, 또 이미 인식한 지식을 더욱 확장하여 성리를 심의 덕으로 삼는 것이다. 따라서 간재는 경과 치지의 수양을 통해 制心, 操心하여 심의 본래면목을 회복하는 것을 수양의 기초로 제시함으로써 본선한 심과 순선한성의 일치를 통해 도덕행위의 온전함을 확보하고자 한 것이다. 그리고 이때의 심은 성을 근본으로 삼고, 성을 지향할 뿐만 아니라, 성을 스승으로 삼아 인간 행위를 주재할 수 있는 온전한 도덕주체가 되는 것이다. Basically Based on neo-confucianism of Chutzu, Ganjae’s neo-confucianism is base on Yulgok’s ‘Simsiqi’, which is the academic basis for Kiho school, and Nongam’s neo-confucianism, which provided the basis for Nakron. In particular, the Nakron ceo-confucianism formed through Nongam, Doam, Miho, Guenjae, Maesan, and Kosan was at the forefront of the Kiho School as well as Chosun neo-confucianism at that time and this trend also applied to Ganjae, which is dealt with in this paper. The characteristics of the Nakron neo-confucianism developed from Nongam to Ganjae have focused on securing axiological domain of 'mind' which is the moral subject. According to Yulgok's Li-Qi relationship between Li has no action and Qi has an action, ‘moral nature’, which is an inactive thing, can be realized through the ‘mind’, an active thing, under the composition of the nature has no action and the mind has an action. Therefore, Nakron neo-confucianists paid attention to the discussion about the ‘mind’ which is the realization of the nature. However, unlike the always good nature, for the Nakron scholars who succeeded ‘Simsiqi’, the mind has limitations because it has a mixture of good and evil and can only be discussed in the regards of qi which is very likely to flow to evil. To overcome these limitations, Nakron proposed the account of root and branches in qi and Original goodness of mind in order to secure the axiological domain of the mind which is responsible for realization of the nature. However, emphasizing ‘the mind’ in the process of moral practice has a structural problem that makes the role and function of the nature ‘moral principle’ relatively weak. And it also has a problem about the ‘control.’ To solve these problems, Ganjae presented the role and function of the ‘nature’ in the process of moral behavior, and for the ‘control’ problem of the ‘nature’, he suggested mind-nature relation of ‘Simbonseong’ and ‘Seongsasimje’ And also through ‘Simbonseong’ and ‘Seongsasimje’, Ganjae refuted the misconceptions about Nakron Neo-confucianism of Hwaseo school and Hanju school.

      • KCI등재

        한말 기호학계와 심설논쟁 -기호학계의 상황과 심설논쟁의 전개양상을 중심으로-

        유지웅 ( Yoo Jiwoong ) 한국철학사연구회 2018 한국 철학논집 Vol.0 No.59

        한말 기호학계는 호락논쟁이 학문 외적인 것으로 변질되고, ‘리무위’, ‘심시기’를 기반으로 하는 전통적 입장과는 다른 다양한 학설들이 크게 호응을 얻게 되면서 학계의 급속한 분열 현상이 발생하게 된다. 하지만 한말 기호학계 성리학자들은 학계 내부의 갈등을 종식시키려는 동일한 지향점을 가지고 학계를 통합할 수 있는 일련의 노력들을 기울인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한말 기호학계는 다양한 학문적 입장 차이를 보였으며, 특히 자가설을 수립하여 이를 통해 새롭게 문인 집단화 하는 현상이 발생한다. 대표적으로 심주리의 성리설을 제시한 화서, 노사학파 그리고 리무위, 기유위, 성즉리, 심시기의 전통적 입장에 대해서는 동일하게 수용하면서도 미세한 입장 차이를 보였던 간재, 연재, 의당학파가 공존하고 있었다. 그리고 기호학계의 학문적 분화와 학파 분열의 과정을 통해 한말 기호학계를 비롯한 이 시기 성리학계를 특징짓는 심설논쟁이 광범위하게 펼쳐진다. 하지만 끝내 합의되지 않는 서로간의 논쟁 속에서도 이들 모두가 추구한 공통된 가치가 있으니 바로 성리학의 궁극적 목적인 도덕적 이상사회를 건설하는 것이었다. 결과론적으로 본다면 비록 그들이 추구했던 목적은 이루어지지 않았지만, 한말이라는 엄중한 시기에 이러한 요청이 더욱 절실하였음을 그들이 치열하게 펼쳤던 심설논쟁을 통해 확인할 수 있다. Kiho Academic in the late Joseon Korea, the negative effect of the Horak debate is amplified and the division within the academic is accelerated. However, the scholars of the Kiho Academic field put forth efforts to unify the academics with the same sense of responsibility to end the schism. Nevertheless, the scholars of the Kiho Academic have shown various differences in the process of accepting Neo-Confucianism, which creates new schools. Therefore, Kiho Academic in the late Joseon Korea coexisted with various schools with different academy positions. Some of the representative groups are Hwaseo, Nosa, Ganjae, Yeonjae, and Uuidang Schools. In addition, through the scholarly differentiation and the school division of the Kiho Academic, the debate on the mind that characterizes Neo-Confucianism of the late Joseon Korea has developed. However, there was a common value that everyone pursued in the middle of the debate: the construction of a moral ideal society, the ultimate goal of Neo-Confucianism. In conclusion, though the purpose they pursued was not fulfilled, it can be seen from the debate on the mind that they fiercely demanded that these requests were urgent in the late Joseon Korea This paper, therefore, the situation of the Kiho academic in the late of Joseon Korea, the problem consciousness of the scholars of the Kiho academic, and the issue and development of debate on the mind.

      • KCI등재

        The synergistic effect of protein complex supplementation combined with 12 weeks of resistance training on isokinetic muscular function in untrained young males

        ( Jiwoong Jang ),( Hun-young Park ),( Choongsung Yoo ),( Yeram Park ),( Jisu Kim ),( Kiwon Lim ) 한국운동영양학회 2017 Physical Activity and Nutrition (Phys Act Nutr) Vol.21 No.4

        [Purpose] Resistance exercise training (RET) and an additional intake of dietary protein supplements may improve muscle mass and muscular function, and reduce inflammatory markers. The types, amount, and timing of dietary protein supplements are important for the synergistic effects of resistance training and dietary protein supplements. We hypothesized that a 25.1 g protein complex supplement taken for 12 weeks, immediately before and after resistance exercise, would enhance fat free mass and isokinetic muscular function in young untrained males. [Methods] Eighteen participants were randomly assigned to a placebo (n=8) or protein complex supplement groups (n=10). The RET was a supervised progressive program, 3 times per week for 12-weeks, and was performed progressing 80% of their one repetition maximum (1-RM). Body composition, blood pressure, plasma inflammatory markers, lipid level and isokinetic muscular function were assessed before and after the study period. [Results] There was a significant interaction effect in C-reactive protein (CRP) (p =0.044) among blood vessel inflammatory markers. The protein complex supplement group had shown more effective improvement at 12 weeks intervention compared to the placebo group in isokinetic muscular function. There was a significant interaction effect in peak torque at 60 degrees/sec leg extension (p =0.044), total work at 240 degrees/sec leg extension (p =0.025), and total work at 240 degrees/sec leg flexion (p =0.011). [Conclusion] Protein complex supplementation during RET appears more effective than RET alone in improving isokinetic muscular function for 12 weeks in untrained young men.

      • Ferroelectric Polarization Rotation in Order-Disorder-Type LiNbO<sub>3</sub> Thin Films

        Yoo, Tae Sup,Lee, Sang A,Roh, Changjae,Kang, Seunghun,Seol, Daehee,Guan, Xinwei,Bae, Jong-Seong,Kim, Jiwoong,Kim, Young-Min,Jeong, Hu Young,Jeong, Seunggyo,Mohamed, Ahmed Yousef,Cho, Deok-Yong,Jo, Ji American Chemical Society 2018 ACS APPLIED MATERIALS & INTERFACES Vol.10 No.48

        <P>The direction of ferroelectric polarization is prescribed by the symmetry of the crystal structure. Therefore, rotation of the polarization direction is largely limited, despite the opportunity it offers in understanding important dielectric phenomena such as piezoelectric response near the morphotropic phase boundaries and practical applications such as ferroelectric memory. In this study, we report the observation of continuous rotation of ferroelectric polarization in order-disorder-type LiNbO<SUB>3</SUB> thin films. The spontaneous polarization could be tilted from an out-of-plane to an in-plane direction in the thin film by controlling the Li vacancy concentration within the hexagonal lattice framework. Partial inclusion of monoclinic-like phase is attributed to the breaking of macroscopic inversion symmetry along different directions and the emergence of ferroelectric polarization along the in-plane direction.</P> [FIG OMISSION]</BR>

      • KCI등재SCOPU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