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현장실습과 온라인실습 유형별 간호 대학생의 실습 만족도 및 학업성취도 비교

        전은영 ( Eunyoung Jeon ),김소현 ( Sohyeon Kim ),김민중 ( Minjung Kim ),김서현 ( Seohyun Kim ),김성주 ( Seongju Kim ),김소영 ( Soyeong Kim ),김소현 ( Sohyeon Kim ),김아영 ( Ayoung Kim ),김예빈 ( Yebin Kim ),김정은 ( Jeongeun Kim ) 경북대학교 간호과학연구소 2021 경북간호과학지 Vol.25 No.2

        Purpose: This study aimed to compare the level of satisfaction and academic achievement of nursing students' clinical practice achievement between field and online practice. Methods: In this descriptive research, we recruited junior and senior nursing students who experienced both field and online practice from nursing college in Daegu and Gyeongbuk, Korea. Data were collected using the online survey and analyzed via a t-test, ANOVA, and paired t-test using SPSS V 25.0. Results: There was no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in the satisfaction of practice between field and online practice types. However, academic achievement was higher in the field group than in the online group. Out of five points, the scores of field practice and online practice were 3.66 points and 3.39 points, respectively, which indicated that academic performance was higher in field practice than online practice (t=6.21, p<.001). Conclusion: Field practice has been shown to achieve higher academic performance than online practice. Hence, research is needed in order to develop suitable field practice models for the New Normal era in preparation for situations that practice is limited, such as COVID-19 and future outbreaks.

      • KCI등재

        고령 장애인의 자기 돌봄 유형과 영향 요인에 관한 탐색적 연구

        김정은 ( Jeongeun Kim ),정여주 ( Yeojoo Jung ) 사단법인 아시아문화학술원 2021 인문사회 21 Vol.12 No.4

        전 세계적으로 기대수명이 증가하면서 고령자의 자기 돌봄이 갈수록 중요해지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그 동안 고령 장애인들의 돌봄 역량은 간과되어 왔다. 이에 이 연구의 목적은 고령 장애인의 다양한 자기 돌봄 유형과 영향 요인들을 규명하는데 있다. 조사대상자는 지역사회에서 거주하고 있는 만 60세 이상의 장애인이며, 2019년 6월부터 2020년 1월까지 서베이 방식으로 195명을 유의표집 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SPSS 26.0의 빈도분석, 기술통계, 이단계군집분석, 다변량분산분석, 다항로지스틱 회귀분석으로 검증하였다. 분석 결과 첫째, 고령 장애인 과반수는 스스로 자기 돌봄이 필요하다고 인식하고 있었으며, 전반적인 건강증진행동 수준은 가끔 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자기 돌봄 유형은 방임형(42.1%), 동기형(37.9%), 적극적 실천형(20.0%)으로 나타났다. 셋째, 각 자기 돌봄 유형의 영향 요인은 종교 유무, 주관적 경제수준, 장애 정도, 자아 통제감, 자기 돌봄의 조력자 유무로 확인되었다. 마지막으로 고령 장애인의 자기 돌봄 욕구와 역량을 촉진시킬 수 있는 사회복지 차원의 다양한 대안들을 강조하였다. With the increase of life expectancy in worldwide, self-care in older people is becoming one of the health priorities. However, elderly persons with disabilities have been highlighted only as subjects who do not have the ability of self care. The purpose this study was to explore various types of self care in elderly persons with disabilities and to identify factors influencing the types of self care. Survey was conducted using purposed sampling from persons with disabilities aged 60 years and over. SPSS 26.0 software was used for descriptive analysis, frequency analysis, two-step cluster analysis, multivariate analysis of variance, multinominal logistic regression. The results showed that (1) the majority perceived that they needed self care for themselves, and average level of health promoting behaviors was nearly median. (2) the types of self care were self neglect (42.1%), motivation (37.9%), and active practice (20.2%). (3) factors influencing the types of self care were religion, economic level, disability, sense of mastery scale, social support for self care. Thus, these findings reinforced the importance of socal welfare interventions and support services that take into consideration the self care needs and capacities of elderly persons with disabilities

      • 주행모드 및 운전자, 환경변수에 따른 SOC, EV/HEV 가변제어

        김정은(Jeongeun Kim),오종한(Jonghan Oh),어정수(Jeongsu Eo) 한국자동차공학회 2011 한국자동차공학회 학술대회 및 전시회 Vol.2011 No.11

        Recently, in accordance with the increased interest of consumer in fuel efficiency due to the phenomenon of high oil price, complaints against actual fuel efficiency in the road in comparison with the certified fuel efficiency have been raised frequently. Especially in case of the hybrid vehicle which is highly popular for the reason of its high fuel efficiency compared with that of existing gasoline car, deviation in the fuel efficiency will be higher compared with that of gasoline car in accordance with the driving mode (downtown/highway), propensity of driver (wild/mild) and external environmental condition (gradient/temperature/altitude). To solve them, this paper developed a method so that the SOC (state of charge), EV/HEV transition point can be controlled variably in accordance with the driving mode, propensity of driver and external environmental condition by making the most of characteristics of hybrid. Through it, efficient engine operating point could be secured even in the driving situation under severe condition while maintaining a fixed SOC value, and it was verified that there are effects of increases in the average fuel efficiency and reduction of deviation in the fuel efficiency (about 2.5 kpl, 10~20%) through HILS (hardware-in-the-loop-simulation) validation. Application of this developed logic to 12 MY YF/TF hybrid vehicles has been completed.

      • KCI등재

        1980년대 여성주의 출판문화운동의 네트워킹 행위자로서 고정희의 문화적 실천

        김정은(Jeongeun Kim) 숙명여자대학교 아시아여성연구원 2021 아시아여성연구 Vol.60 No.2

        이 글은 1980년대 여성주의 출판문화운동의 중요한 네트워킹 행위자였던 고정희의 문화적 실천에 주목한다. 고정희가 보여준 여성 연대가 수평적 네트워킹에 기반한 것임을 상기할 때, 고정희가 여성들과 연결되며 혹은 여성들을 연결시키며 만들어나갔던 문화적 움직임에 주목할 필요가 있다. ‘또 하나의 문화’(이하 ‘또문’) 동인지 3호 『여성해방의 문학』은 고정희가 참여하고 있었던 또문의 문학 관련 소모임과 고정희의 기획을 통해 섭외된 문인들의 글이 없었다면 출판되기 어려운 것이었다. 고정희는 『여성신문』의 초대 편집주간을 맡으며 다른 진영과 계열, 활동 영역이 다른 여성 지식인 주체들을 연결하기도 했다. 그런데 고정희의 네트워킹 노력은 지식인 여성 주체들을 연결하는 것에 그치지 않았다. 고정희는 『여성신문』이 여성 지식인 주체와 보통 여성들 사이의 거리감을 좁히고 공감대를 형성할 수 있는 다리 역할을 해야 한다고 생각했다. 고정희는 여성과 여성이 연결될 때 발휘되는 힘을 믿었다. 고정희의 이러한 정신은 ‘페미니즘 세대’ 여성들에게도 이어져오고 있는데, 이것이야말로 고정희가 남긴 페미니즘적 유산이라 할 수 있다. This article focuses on the cultural practice of Goh Jung Hee, an important networker in the feminist publishing movement of the 1980s. Recalling that her solidarity with women was based on horizontal networking, we note the cultural movements she made by connecting with or connecting women. Alternative Culture (Ttomoon)’s third mook Literature of Women"s Liberation would have been difficult to publish without the writings of writers invited through her project and the small literary group associated with Ttomoon in which she participated. She also served as the first managing editor of Womennews, connecting female intellectuals with different areas of activity. However, her networking efforts did not stop at connecting women intellectuals; she thought that Womennews should serve as a bridge to narrow the distance between women intellectuals and ordinary women in order to form a consensus. She believed in the power of connected women. Her spirit has been transmitted to the women who are now called the “feminist generation”; this is her feminist legacy.

      • XML 문서를 위한 DTD 독립적인 데이터 모델 설계

        김정은(JeongEun Kim),신판섭(PanSeop Shin),이재호(Jaeho Lee),임해철(HaeChull Lim) 한국정보과학회 2000 한국정보과학회 학술발표논문집 Vol.27 No.1B

        XML은 사용자가 문서를 적절히 구조화해서 저장시킬 수 있는 장점으로 인해 기존의 HTML로 구축된 웹서비스 환경을 데이터베이스화하여 다양하고 복잡한 검색 환경을 제공한다. 이러한 이유로 최근에 XML 문서를 데이터베이스에 저장하고 효율적인 관리 및 검색을 지원하는 연구들이 많이 진행되고 있다. 기존 연구를 살펴보면 XML의 구조적 특징을 문서 독립적으로 모델링하지 않아 갱신 및 검색 효율이 떨어지고, 생성되는 테이블의 수가 증가하며, 원문 복원 능력의 저하와 데이터 중복이 발생하는 문제점을 안고 있다. 따라서 본 논문에서는 관계 데이터베이스를 기반으로 XML 문서의 구조 정보를 DTD 독립적으로 구성하여 테이블 생성 수와 갱신의 문제점을 개선하고, DTD 구조의 경로 정보 표현을 제안하여 탐색 및 원문 복원 능력을 강화하며, 데이터 중복 문제를 해결한 데이터 모델을 제안한다.

      • KCI등재

        청소년의 생활시간 사용이 삶의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김정은 ( Jeongeun Kim ) 아시아문화학술원 2019 인문사회 21 Vol.10 No.3

        이 연구의 목적은 청소년의 다양한 생활시간 사용이 삶의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을 검증하는데 있다. 이를 위해 2016년 대전광역시 유성구 아동 실태조사 자료 중 중학교 1, 2학년, 고등학교 1, 2학년에 재학 중인 706명의 응답 자료를 활용한 2차 자료분석을 실시하였으며, SPSS 24.0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빈도분석, 기술통계분석, t-검증, 상관관계분석, 위계적 다중회귀분석을 수행하였다. 주요 분석 결과 첫째, 종속변수인 청소년의 삶의 만족도는 보통의 수준으로 나타났다. 둘째, 청소년의 생활시간 중 사교육 시간은 약 2시간, 친구와의 시간은 약 1시간 21분, 가족과의 시간은 1시간 10분, 자기 돌봄 시간은 약 50분, 수면 시간은 약 6시간 17분으로 나타났다. 셋째, 청소년은 친구와의 시간을 많이 보낼수록, 자기 돌봄 시간이 적을수록 생활만족도가 높아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들을 바탕으로 청소년의 생활시간 사용의 균형과 권리, 삶의 만족도 향상 등을 위한 다양한 사회복지 실천적 대안들을 제시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effect of using life time on the life satisfaction among youth. For this purpose, secondary data analysis was conducted using data from 706 middle and high school students in the data of Child Survey of Yusung District in Daejeon Metropolitan City in 2016. SPSS 24.0 program was to used for frequency analysis, descriptive statistics, t-test, correlation analysis, hierarchical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The major results showed that (1) the level of life satisfaction was normal, (2) private tutoring time was about 2 hours, time with friends was about 1 hour 21 minutes, time with family was about 1 hour 10 minutes, self care time was about 50 minutes, sleep time was about 6 hours 17 minutes, (3) the more the time spent with friends and the less self care time, the higher the life satisfaction. Based on theses findings, various practical implications are provided for the balance and right of use of life time, improvement of life satisfaction.

      • KCI등재

        문화 간 의사소통 관점에서의 한국어교재 분석

        김정은(Kim Jeongeun) 한국외국어교육학회 2007 Foreign languages education Vol.14 No.2

        The aim of foreign language learning is to develop the communicative competence, it can be said that speakers might communicate their own ideas with each other according to the appropriate linguistic context and condition. Surely considering this ability is deeply related with culture, it has been focusing on the importance of learning culture. Language is part of a culture, so we have to accept naturally to program the teaching culture as a part of teaching language. Actually, such that thinking is apparently not proper. In other words, we need the education of the incorporating both culture and language. Currently, it has been growing the importance of teaching culture in Korean educational context influenced by the movement of teaching foreign language, as reflecting of that above, most of the textbooks published since 2000 have included the cultural content and materials specially with the emphasis on the communicative competence. After looking into the situation in teaching language of culture about such that textbooks, this study tries to present the educational way on the basis of the result of those facts. To do so, as the aspect of the communication in language teaching, this research intends to examine whether the cultural content in the textbooks has played a critical role in the real communicative situations where participants from the different culture and language will be able to communicate with one another effectively. This point of analysis depending on the criteria of the cultural content, the origin of culture, and the cultural activities is to distinguish three parts briefly, the pragmatical part, the area of cultural information and the learning of culture.

      • KCI등재

        가족을 돌보는 노인의 자기 돌봄 변화과정에 관한 질적 연구

        김정은 ( Jeongeun Kim ) 아시아문화학술원 2018 인문사회 21 Vol.9 No.5

        이 연구의 목적은 가족을 돌보는 노인의 자기 돌봄 변화 과정을 심층적으로 탐색하는 데 있다. 이에 중증의 만성질환이나 장애가 있는 가족을 가정에서 돌보고 있는 만 65세 이상의 노인 11명을 일대일 심층면담 하였으며, 근거이론 연구방법으로 분석하였다. 분석 결과, 총 169개의 개념, 27개의 하위범주, 12개의 범주가 도출되었으며, 패러다임 모형의 인과적 조건은 가족 돌봄의 후유증, 중심현상은 살기 위한 안간힘, 맥락적 조건은 가족 돌봄 시작의 기로와 가족 돌봄의 양가감정, 전략은 건강만이라도 챙기기, 주변의 도움 구하기, 중재적 조건은 다른 가족의 지원, 돌보고 있는 가족의 인정, 외부 지원과 서비스 이용, 결과는 버텨지는 나의 삶, 함께 늙어가는 우리 삶, 이제 어쩔 수 없는 삶으로 나타났다. 또한 자기 돌봄의 변화 과정은 표류기, 탐색기, 분투기, 착수기의 4단계로 나타났다. 이에 가족을 돌보는 노인에 대한 사회적 인정과 이들의 자기 돌봄 활동을 촉진시킬 수 있는 사회복지 정책적, 실천적인 함의를 제시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plore the experience of self-care process among elderly family caregivers. 11 elderly(65+) people who were caring for families with severe chronic illness or disability were interviewed one by one and the data were analysed by Strauss & Corbin(1998)’s grounded theory. As a result, 169 concepts, 27 subcategories, 12 categories were derived, and the paradigm model was the following: a core phenomenon was a struggle to live, contextual conditions were the a beginning and ambivalence of family care, the strategies were to take care of their health and to get help, intervention conditions were support and recognition from other families, external support and use of public services, the results were my life that hangs on, our life that grows old together, and an evitable life. The process of self-care was appeared in four stages: a period of drifting, seeking, struggling, and launching. Based on the results, implications for the elderly family caregivers were discussed.

      • KCI등재

        장애인의 재난안전 인식 수준과 영향 요인 탐색

        김정은 ( Jeongeun Kim ),김경화 ( Kyunghwa Kim ),조태흥 ( Taeheung Jho ) 사단법인 아시아문화학술원 2019 인문사회 21 Vol.10 No.5

        이 연구의 목적은 장애인의 재난안전 인식 수준과 영향 요인을 탐색하는데 있다. 이를 위해 한국장애인연맹의 2018년 장애인 재난안전 설문조사 결과를 바탕으로 2차 자료 분석을 수행하였으며, 총 95명을 대상으로 SPSS 24.0의 빈도분석, 기술통계분석, 상관관계분석, 위계적 다중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분석 결과, 첫째, 장애인의 재난안전 인식 수준은 보통으로 나타났다. 둘째, 장애인의 재난안전 인식 수준에 영향을 미치는 유의미한 요인은 재난안전 교육 경험 정도이며, 이는 장애인의 재난안전 인식 수준에 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이러한 결과는 장애인의 인식과 참여를 중요시 하는 장애포괄적 재난안전을 실현하기 위한 유용한 기초자료로 활용될 수 있다. 마지막으로 향후 장애인의 재난안전 인식과 대처 수준 강화를 위한 다양한 교육 및 홍보 프로그램 제공, 장애인 재난안전 지원 기기 지원 및 점검, 장애인 재난안전 응급안전 체계 구축, 장애인을 당사자로 한 조사연구 등의 제언을 제시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plore the disaster awareness among people with disabilities. Research data were obtained from 2018 survey on disaster among people with disabilities by Disabled People International Korea and conducted a secondary data analysis. A total of 95 individuals residing in Korea participated in the survey and SPSS 24.0 software was used for frequency analysis, descriptive analysis, correlation analysis, hierarchical regression analysis. The results showed that (1) people with disabilities had a moderate level of disaster awareness, (2) a level of disaster training was a significant and positive predictor of their disaster awareness. These findings can be used as useful evidences for achieving disability inclusive disaster management which emphasizes the awareness and participation of people with disabilities. Suggestions for social welfare practices to promote various training and information programs, disaster alert device and system, investigation studies for people with disabilities were discussed.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