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어머니의 양육스트레스와 유아의 외현화 문제행동 및 학교준비도가 초등학교 1학년 학교적응에 미치는 영향

        박정현 ( Park¸ Jeonghyeon ),이경님 ( Lee¸ Kyungnim ) 열린부모교육학회 2020 열린부모교육연구 Vol.12 No.4

        본 연구는 어머니의 양육스트레스와 유아의 외현화 문제행동 및 학교준비도가 초등학교 1학년 학교적응에 어떠한 직·간접적 영향을 미치는지를 살펴보고자 하였다. 이를 위하여 한국아동패널 7차년도와 8차년도의 종단 자료 중 949명의 유아와 그들의 어머니를 대상으로 수집된 자료를 활용하여 Pearson의 적률상관분석과 구조방정식모형(SEM)분석을 실시하였다. 그 결과 첫째, 유아의 외현화 문제행동과 학교준비도는 초등학교 1학년 학교적응에 직접적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유아의 외현화 문제행동은 학교준비도를 매개로 하여 초등학교 1학년 학교적응에 간접적 영향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어머니의 양육스트레스가 초등학교 1학년 학교적응에 영향을 미치는 경로에서 유아의 외현화 문제행동과 학교준비도의 순차적인 이중 매개효과 나타났다. 즉 어머니의 양육스트레스는 유아의 외현화 문제행동과 학교준비도를 순차적으로 매개하여 학교적응에 간접적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추가하여 초등학교 1학년 학교적응에 유아의 외현화 문제행동의 영향이 가장 큰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는 초등학교 1학년 학교적응을 위하여 유아의 외현화 문제행동에 대한 중재와 예방이 필수적임을 강조하고 학교준비도 증진을 위한 지도방안에 초점을 맞춘 교사교육 및 어머니의 양육스트레스 완화를 위한 부모교육이나 사회적 지원이 효과적임을 시사하고 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structural relationships among mother’s parenting stress, young children’s externalizing behavioral problems, school readiness and school adjustment in first grade. For this study, seventh(2014) and eighth(2015) data from the Panel Study on Korean Children (PSKC) were analysed by means of Pearson’s correlational relationships and structural equational modelling. The main results were as follows: first, young children’s externalizing behavioral problems and school readiness were found to have a direct effect on school adjustment in first grade. Second, young children’s externalizing behavioral problems was found to have an indirect effect on school adjustment in first grade through school readiness. Third, mother’s parenting stress was found to have an indirect effect on school adjustment in first grade through externalizing behavioral problems and school readiness. Additionally externalizing behavioral problems was found to be the most important variable predicting young children’s school adjustment in first grade. These results suggested that reducing externalizing behavioral problems and mother’s parenting stress, improving school readiness could help young children’s school adjustment in first grade.

      • KCI등재후보

        평행사변형의 내접 타원에 대한 연구

        박경수(Park, Gyeongsu),박정현(Park, Jeonghyeon),조영민(Cho, Youngmin) 한국과학영재교육학회 2021 과학영재교육 Vol.13 No.1

        본 연구는 한국과학창의재단 과학영재 창의연구(R&E)에서 수행한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이루어졌다. 박정현, 박경수, 조영민(2020)의 연구를 통해 삼각형 내부의 모든 점이 삼각형의 내접 타원의 초점이 될 수 있음을 알게 되었다. 그렇다면 평행사변형의 내접 타원의 초점은 어떤 점이 될 수 있을까?라는 의문점을 갖게 되었다. 본 연구에서는 박정현 외(2020)의 연구 방법을 확장하여 탐구를 진행하였다. 즉, 평행사변형의 각 변이 내접 타원의 접선이라는 아이디어를 적용하여 탐구를 진행하였다. 본 연구를 통해 다음과 같은 연구 결과를 얻을 수 있었다. 첫 번째, 평행사변형의 내접 타원의 초점이 될 수 있는 필요충분조건을 찾을 수 있었다. Geogebra 프로그램에서 타원에 외접하는 다양한 평행사변형을 그리고, 이들의 공통점을 찾음으로써 평행사변형의 내접 타원의 초점이 될 필요충분조건을 찾을 수 있었다. 두 번째, 네 변의 길이가 모두 같은 평행사변형인 마름모의 내접 타원의 초점이 될 수 있는 점은 마름모의 두 대각선을 이룸을 알 수 있었다. 이를 통해 정사각형 또한 내접 타원의 초점이 될 수 있는 점은 두 대각선 위에 있음을 알 수 있으며, 정사각형과 마름모의 내접 타원은 무수히 많이 존재함을 알 수 있었다. 세 번째, 마름모가 아닌 평행사변형의 내접 타원의 초점이 될 수 있는 점은 쌍곡선을 이룸을 알 수 있었다. 평행사변형의 각 중 90도 보다 크지 않은 각을 a라 하고, 평행사변형의 두 대각선의 교점을 원점이라 할 때, 내접 타원의 초점이 될 수 있는 점들은 표준형에서 원점을 중심으로 (45-a/2)도 만큼 회전한 쌍곡선을 이룸을 발견하였다. 이를 통해 마름모가 아닌 직사각형 및 평행사변형의 내접 타원 또한 무수히 많이 존재함을 알 수 있었다. 마지막으로 평행사변형의 내접 타원을 그리는 방법을 찾을 수 있었다. 본 연구 과정에서 발견한 평행사변형의 내접 타원의 초점이 이루는 곡선을 이용하여 평행사변형의 내접 타원을 그리는 방법을 찾을 수 있었다. This study was based on the research results conducted as a R&E project for the gifted students with a financial support from the Korea Foundation for the Advancement of Science and Creativity. Through the research of Park, Park, & Cho (2020), it was found that all points inside the triangle can be the focal point of the inscribed ellipse of the triangle. Then, what could be the focus of the inscribed ellipse of the parallelogram? In this study, the research method of Park, et al (2020) was expanded to investigate. In other words, the research was conducted by applying the idea that each side of a parallelogram is a tangent of an inscribed ellipse. Through this study, the following research results were obtained. First, we found the necessity and sufficiency to become the focal point of the inscribed ellipse of the parallelogram. By drawing various parallelograms circumscribed to an ellipse in the Geogebra program and finding their common points, we found find the necessity and sufficiency to be the focal point of the inscribed ellipse of the parallelogram. Second, we found that the point which can be the focal point of the inscribed ellipse of a rhombus forms two diagonal lines of a rhombus. Third, we found that the point that can be the focal point of the inscribed ellipse of a parallelogram, not a rhombus, forms a hyperbolic curve. When the angle of the parallelogram that is not bigger than 90 degrees is called a, and if we choose the origin as a intersection of the two diagonals of the parallelogram, the points that can be the focal points of the inscribed ellipse form a hyperbolic curve rotated clockwise by (45-a/2) degrees in standard form around the origin. Through this, it can be seen that there are countless inscribed ellipses of rectangular and parallelogram shapes, and rhombus. Finally, I was able to find a way to draw an inscribed ellipse of a parallelogram. The method of drawing the inscribed ellipse of the parallelogram was found by using the curve formed by the focal point of the inscribed ellipse of the parallelogram.

      • Pharmacometabolomic Approach to Predict QT Prolongation in Guinea Pigs

        ( Jeonghyeon Park ),( Keumhan Noh ),( Hae Won Lee ),( Mi Sun Lim ),( Sook Jin Seong ),( Jeong Ju Seo ),( Eun Jung Kim ),( Wonku Kang ),( Young Ran Yoon ) 영남대학교 약품개발연구소 2013 영남대학교 약품개발연구소 연구업적집 Vol.23 No.0

        Drug-induced torsades de pointes (TdP), a life-threatening arrhythmia associated with prolongation of the QT interval, has been a significant reason for withdrawal of several medicines from the market. Prolongation of the QT interval is considered as the best biomarker for predicting the torsadogenic risk of a new chemical entity. Because of the difficulty assessing the risk for TdP during drug development, we evaluated the metabolic phenotype for predicting QT prolongation induced by sparfloxacin, and elucidated the metabolic pathway related to the QT prolongation. We performed electrocardiography analysis and liquid chromatography-mass spectroscopy-based metabolic profiling of plasma samples obtained from 15 guinea pigs after administration of sparfloxacin at doses of 33.3, 100, and 300 mg/kg. Principal component analysis and partial least squares modelling were conducted to select the metabolites that substantially contributed to the prediction of QT prolongation. QTc increased significantly with increasing dose (r = 0.93). From the PLS analysis, the key metabolites that showed the highest variable importance in the projection values (>1.5) were selected, identified, and used to determine the metabolic network. In particular, cytidine-5`-diphosphate (CDP), deoxycorticosterone, L-aspartic acid and stearic acid were found to be final metabolomic phenotypes for the prediction of QT prolongation. Metabolomic phenotypes for predicting drug-induced QT prolongation of sparfloxacin were developed and can be applied to cardiac toxicity screening of other drugs. In addition, this integrative pharmacometabolomic approach would serve as a good tool for predicting pharmacodynamic or toxicological effects caused by changes in dose.

      • KCI등재

        GEMS 이산화황 산출 현업 알고리즘에서 오프셋 보정 계수 산정 방법에 대한 영향 조사

        박정현 ( Jeonghyeon Park ),양지원 ( Jiwon Yang ),최원이 ( Wonei Choi ),김세린 ( Serin Kim ),이한림 ( Hanlim Lee ) 대한원격탐사학회 2022 大韓遠隔探査學會誌 Vol.38 No.2

        본 연구에서는 지난 2020년 2월에 발사된 정지궤도환경위성탑재체(Geostationary Environment Monitoring Spectrometer; GEMS)의 이산화황 산출 현업 알고리즘에서 오프셋 보정 계수 산정 방법이 이산화황 칼럼 농도 산출 결과에 미치는 영향을 확인하였다. GEMS의 현업 이산화황 산출 알고리즘은 차등흡수분광법(Differential Optical Absorption Spectroscopy; DOAS)과 주성분분석방법(Principal component analysis; PCA)이 융합된 하이브리드 알고리즘이다. 하이브리드 알고리즘에서는 차등흡수분광법을 이용하여 스펙트럴 피팅 후 나오는 이산화황 경사층적분농도 값에 나타나는 오존에 의한 흡수 영향을 보정하기 위하여 편차 보정 과정을 필수적으로 거치게 되며, 오프셋 보정 계수를 산정하는 조건에 따라 이산화황 칼럼농도 산출결과가 달라질 수 있기 때문에 적절한 오프셋 보정 계수 값의 적용이 필요하다. 본 연구에서는 구름 화소가 많이 존재하는 날짜와 적게 존재하는 날짜에 대해 오존 보정 계수를 각각 계산하고, 각각의 오존 보정 계수를 GEMS 현업 이산화황 산출 알고리즘에 적용하여 산출한 이산화황 칼럼농도의 비교를 수행하였다. 구름 화소가 많이 존재하는 날의 GEMS 복사휘도 자료를 이용하여 계산된 오존 보정 계수를 사용한 경우, GEMS 관측 영역의 가장자리에 해당하는 인도 부근에서의 이산화황 칼럼농도의 표준편차가 1.27 DU, 한반도 부근에서 0.58 DU, 주변에 구름 화소가 많았던 홍콩 부근에서 0.77 DU로 나타났다. 한편, 구름 화소가 적은 날의 GEMS 자료를 이용하여 계산된 오존 보정 계수를 사용하였을 경우의 이산화황 칼럼농도의 표준편차는 인도주변에서 0.72 DU, 한반도 주변에서 0.38 DU, 홍콩 부근에서 0.44 DU로 다소 감소하였음을 확인하였으며, 구름 화소가 많은 날의 오존 보정 계수를 사용하여 이산화황을 산출한 경우 대비 비교적 안정적인 산출이 이루어졌음을 확인하였다. 이에 따라, GEMS 이산화황 산출 알고리즘의 불확실성 최소화 및 안정적인 산출을 위해서 적절한 조건에서의 오존 보정 계수 산정이 이루어져야 할 필요가 있다. In this present study, we investigated the effect of the offset correction factor calculation method on the sulfur dioxide (SO<sub>2</sub>) column density in the SO<sub>2</sub> retrieval algorithm of the Geostationary Environment Monitoring Spectrometer (GEMS) launched in February 2020. The GEMS operational SO<sub>2</sub> retrieval algorithm is the Differential Optical Absorption Spectroscopy (DOAS) - Principal Component Analysis (PCA) Hybrid algorithm. In the GEMS Hybrid algorithm, the offset correction process is essential to correct the absorption effect of ozone appearing in the SO<sub>2</sub> slant column density (SCD) obtained after spectral fitting using DOAS. Since the SO<sub>2</sub> column density may depend on the conditions for calculating the offset correction factor, it is necessary to apply an appropriate offset correction value. In this present study, the offset correction values were calculated for days with many cloud pixels and few cloud pixels, respectively. And a comparison of the SO<sub>2</sub> column density retrieved by applying each offset correction factor to the GEMS operational SO<sub>2</sub> retrieval algorithm was performed. When the offset correction value was calculated using radiance data of GEMS on a day with many cloud pixels was used, the standard deviation of the SO<sub>2</sub> column density around India and the Korean Peninsula, which are the edges of the GEMS observation area, was 1.27 DU, and 0.58 DU, respectively. And around Hong Kong, where there were many cloud pixels, the SO<sub>2</sub> standard deviation was 0.77 DU. On the other hand, when the offset correction value calculated using the GEMS data on the day with few cloud pixels was used, the standard deviation of the SO<sub>2</sub> column density slightly decreased around India (0.72 DU), Korean Peninsula (0.38 DU), and Hong Kong (0.44 DU). We found that the SO<sub>2</sub> retrieval was relatively stable compared to the SO<sub>2</sub> retrieval case using the offset correction value on the day with many cloud pixels. Accordingly, to minimize the uncertainty of the GEMS SO<sub>2</sub> retrieval algorithm and to obtain a stable retrieval, it is necessary to calculate the offset correction factor under appropriate conditions.

      • DASVDD 모형을 통한 반려동물 센서 데이터 이상치 탐지

        박정현 ( Jeonghyeon Park ),고준혁 ( Junhyeok Go ),김시웅 ( Siung Kim ),문남미 ( Nammee Moon ) 한국정보처리학회 2023 한국정보처리학회 학술대회논문집 Vol.30 No.2

        이상치는 주로 저빈도로 발생하기 때문에, 이상치 탐지 분야에서는 정상 데이터만을 이용한 비지도 기반 학습 모델을 사용하는 방법들이 제안되었다. 따라서, 본 논문에서는 반려동물 센서 데이터를 이용해 비지도 기반 모델인 DASVDD을 활용하여 이상치를 탐지한다. 하지만 데이터셋에 이상치가 존재하지 않아 반려동물이 고빈도로 보여주는 A행동군(서다, 앉다, 엎드리다, 눕다, 걷다), 저빈도로 보여주는 B행동군(킁킁대다, 먹다)으로 분리하여 학습을 진행한다. 모델의 성능은 ROC-AUC을 기준으로 79.05%의 성능을 보여주는 것을 확인하였다.

      • 3D 특징 벡터를 이용한 영아 울음소리 분류

        박정현 ( Jeonghyeon Park ),김민서 ( Minseo Kim ),최혁순 ( Hyuksoon Choi ),문남미 ( Nammee Moon ) 한국정보처리학회 2022 한국정보처리학회 학술대회논문집 Vol.29 No.2

        영아는 울음이라는 비언어적 의사 소통 방식을 사용하여 모든 욕구를 표현한다. 하지만 영아의 울음소리를 파악하는 것에는 어려움이 따른다. 영아의 울음소리를 해석하기 위해 많은 연구가 진행되었다. 이에 본 논문에서는 3D 특징 벡터를 이용한 영아의 울음소리 분류를 제안한다. Donate-acorpus-cry 데이터 세트는 복통, 트림, 불편, 배고픔, 피곤으로 총 5 개의 클래스로 분류된 데이터를 사용한다. 데이터들은 원래 속도의 90%와 110%로 수정하는 방법인 템포조절을 통해 증강한다. Spectrogram, Mel-Spectrogram, MFCC 로 특징 벡터화를 시켜준 후, 각각의 2 차원 특징벡터를 묶어 3차원 특징벡터로 구성한다. 이후 3 차원 특징 벡터를 ResNet 과 EfficientNet 모델로 학습을 진행한다. 그 결과 2 차원 특징 벡터는 0.89(F1) 3 차원 특징 벡터의 경우 0.98(F1)으로 0.09 의 성능 향상을 보여주었다.

      • TF-IDF와 연관 규칙 분석 기반 인플루언서 선별 기법

        박정련 ( Jeongryeon Park ),김민우 ( Minwoo Kim ),박지원 ( Jiwon Park ),오하영 ( Hayoung Oh ) 한국정보처리학회 2019 한국정보처리학회 학술대회논문집 Vol.26 No.1

        소셜네트워크서비스(SNS)의 정치, 경제, 사회, 문화 전반에 걸친 영향력이 점점 더 커지고 있는 현실에서 가장 발빠르게 이들 매체를 전략적인 PR 도구로서 이용하고자 노력하는 조직들은 아마도 기업일 것이다. 본 연구에서는 TF-IDF 와 연관 규칙 기반 유투브 인플루언서 선별방안을 제안하여 기업 마케팅의 초석을 제공한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