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다차원 특징 및 가중블록 투표방식을 이용한 얼굴 인식 성능 향상 기법

        장재윤(Jae-Yoon Jang),윤호섭(Ho-Sub Yoon) 대한전자공학회 2015 대한전자공학회 학술대회 Vol.2015 No.6

        This paper proposes novel block voting measure for improving user face recognition system performance. In order to exploit sample’s global and local characteristic, We use various feature and make large dimension feature by concatenation. After then, compare gallery set with probe image. In this step, we divide feature into some block, and recognize each block using cosine similarity. And we obtain probe image class using weighted voting which calculated by block recognition result. This proposed method has advantage that is robustness for noise or outlier data. Because this method depend on the number of sub-block, if enough sub-blocks are guaranteed, it can make improved performance on face recognition system.

      • 국내 바이오에탄올 혼합연료유 도입을 위한 실증평가연구

        임의순(Yim, Eui-Soon),민경일(Min, Kyung-Il),전철환(Jeon, Cheol-Hwan),이돈민(Lee, Don-Min),김종렬(Kim, Jong-Ryeol),김승수(Kim, Seung-Soo),장은정(Jang, Eun-Jung),박천규(Park, Cheon-Kyu),정충섭(Jung, Chung-Sub),김재곤(Kim, Jae-Kon), 한국신재생에너지학회 2007 한국신재생에너지학회 학술대회논문집 Vol.2007 No.11

        국제 원유가의 지속적인 상승에 따라 화석연료 고갈을 대비한 대체에너지 빛 온실가스배출감소를 위하여 바이오연료의 사용 및 상용보급은 전세계적인 추세이다. 우리나라의 경우 바이오디젤은 2002년부터 시범보급사업(Demonstration & dissemination)을 거쳐 2006년 7월부터 전국주유소를 통하여 경유 중에 바이오디젤 0.5%를 혼합한 BDO.5를 수송용 연료로 도입하여 아시아 최초로 상용보급화를 시행하고 있다. 또한 휘발유 중 바이오에탄올 혼합 연료유 도입을 위한 실증평가연구를 2006년 8월부터 2008년 7월까지 수행중이다. 자동차용 휘발유의 옥탄가 향상을 위해 함산소 기재로 사용되는 MTBE(Methyl Tertiary Butyl Ether)를 바이오에탄올로 대체한 바이오에탄올 혼합연료유는 수분 혼입에 의한 상 분리(Phase separation)와 금속에 대한 부식성 문제를 야기 시킬 수 있다. 바이오에탄올을 서브옥탄가솔린(Sub-octane gasoline)에 혼합하여 상 분리 모사실험, 금속류 부식시험, 고무류 침지실험 등 다양한 품질특성평가를 수행하였으며, 이런 결과들을 바탕으로 국내실정에 알맞은 최적의 혼합량(E3, E5)을 도출하였다. 또한 전국에 4개 시범주유소를 운영하여 바이오에탄올 혼합 연료유의 유통 및 보급을 통해 최적의 유통인프라(Distribution infrastructure) 보완 및 구축 방안을 도출 하고자 한다.

      • Genome-wide transcriptome analysis of rice genes responsive to chilling stress

        Cho, Hyun Yong,Hwang, Sun-Goo,Kim, Dong Sub,Jang, Cheol Seong Canadian Science Publishing 2012 Canadian journal of plant science. Revue canadienn Vol.92 No.3

        <P> Cho, H. Y., Hwang, S.-G., Kim, D. S. and Jang, C. S. 2012. Genome-wide transcriptome analysis of rice genes responsive to chilling stress. Can. J. Plant Sci. 92: 447-460. Low temperature is known to be one of the major challenges to rice production. We have selected chilling-tolerant TILLING of Donganbyeo, which showed significantly vigorous growth relative to wild-type plants under chilling stress conditions (10-12°C). We performed a comparative transcriptome analysis using a chilling-tolerant line and wild-type plant with the objective to evaluate genomic responses to chilling stress and to identify chilling inducible genes. Functional enrichment analysis results demonstrated that a large proportion of chilling-inducible genes were associated with certain biological pathways, e.g., monosaccharide catabolic processes, reflecting the energy requirements necessary for adaptation to sub-optimal temperatures in plants. Extremely low correlation coefficients in a range of −0.07 to 0.04 were detected between plant responses to chilling stress and different abiotic stress conditions such as drought, salt, cold, and heat; these results imply that plants might exploit strikingly different response mechanisms against stress conditions. The largest subnetwork, which was composed of 78 chilling-specific inducible genes, was found in the tolerant plants, but not in the wild-type plants, which probably implies the existence of a delicate and harmonious signaling pathway setup in the tolerant plants. Expression patterns of 20 chilling-responsive genes were assessed via abiotic stress treatments and phytohormone treatments. About 80% of the tested chilling-inducible genes were upregulated by exogenous abscisic acid (ABA) treatment. The results of this study may prove useful in elucidating the chilling-response pathway and in the development of chilling-tolerant rice varieties. </P>

      • KCI등재

        국내 바이오에탄올 혼합연료유 도입을 위한 실증평가연구

        임의순(Yim, Eui-Soon),민경일(Min, Kyung-Il),전철환(Jeon, Cheol-Hwan),이돈민(Lee, Don-Min),김종렬(Kim, Jong-Ryeol),김승수(Kim, Seung-Soo),장은정(Jang, Eun-Jung),박찬규(Park, Cheon-Kyu),정충섭(Jung, Chung-Sub),김재곤(Kim, Jae-Kon), 한국신재생에너지학회 2007 신재생에너지 Vol.3 No.4

        국제 원유가의 지속적인 상승에 따라 화석연료 고갈을 대비한 대체에너지 및 온실가스배출 감소를 위하여 바이오연료의 시용 및 상용보급은 전세계적인 추세이다. 우리나라의 경우 바이오디젤은 2002년부터 시범보급사업(Demonstration & disseminatio을 거쳐 2000년 7월부터 전국주유소를 통하여 경유 중에 바이오디젤 0.5%를 혼합한 BD0.5를 수송용 연료로 도입하여 아시아 최초로 상용보급화를 시행하고 있다. 또한 휘발유 중 바이오에탄올 혼합 연료유 도입을 위한 실증평가연구를 2006년 8월부터 2008년 7월까지 수행중이다. 자동차용 휘발유의 옥탄가 향상을 위해 함산소 기재로 사용되는 MTBE(Methyl Tertiary Butyl Ether)를 바이오에탄올로 대체한 바이오에탄올 혼합연료유는 수분 혼입에 의한 상 분리(Phase separation)와 금속에 대한 부식성 문제를 야기 시킬 수 있다. 바이오에탄올을 서브옥란가솔린(Sub-octane gasoline)에 혼합하여 상 분리 모사실험, 금속류 부식시험, 고무류 침지실험 등 다양한 품질특성평가를 수행하였으며, 이런 결과들을 바탕으로 국내실정에 알맞은 최적의 혼합량(E3, E5)을 도출하였다. 또한 전국에 4개 시범주유소를 운영하여 바이오에탄올 혼합 연료유의 유통 및 보급을 통해 최적의 유통인프라(Distribution infrastructure) 보완 및 구축 방안을 도출 하고자 한다.

      • [논문]알칼리-실리카 반응 저감대책

        진치섭,전쌍순,엄장섭 釜山大學校生産技術硏究所 2005 生産技術硏究所論文集 Vol.64 No.-

        본 연구에서는 모르타르 바 시험방법 중 ASTM C 227과 STM C 1260을 선택하여 암석 유형별로 수집한 12종의 골재들을 대상으로 쇄석 골재의 반응성을 비교l 분석하였다. 또한, 반응성 골재로 판정된 쇄석 골재를 사용하여 현재 문제되고 있는 알칼리-실리카 반응에 있어서 플라이애쉬,고로슬래그미분말,실리카품 및 메타카올린을 흔화재료로 사용할 경우 알칼리-실리카 반응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고자 시멘트에 대한 혼화재의 치환율을 달리하여 ASTM C 1260 시험법으로 알칼리-실리카 반웅에 대한 팽창 저감효과를 평가하여 보았다. 그리고 본 연구에서는 혼화재 치환에 따른 모르타르 유동성과 합축강도 시험도 병행하였다. 혼화재의 치환율은 0, 5, 10, 15, 25 및 35% 로 하였으며,어느 정도의 유동성을 갖는 혼화재는 45, 55% 까지 치환율을 증가하여 모르타르 바 시험을 수행하였다. 시벤트 중량에 대한 혼화재의 치환율이 플라이애쉬는 25%, 고로슬래그미분말은 35%, 실리카품은 10%, 메타카올린은 25% 일 경우 알칼리-실리차 반응에 의한 팽창 저감에 효과적인 것으로 판단된다.

      • [논문]해석방법에 따른 사각 RC 라멘교의 거동

        진치섭,이승훈,엄장섭,배상현 釜山大學校生産技術硏究所 2006 生産技術硏究所論文集 Vol.65 No.-

        본 연구에서는 사각(900°~450°) RC 라벤교를 2차원 보해석과 3차원 판해석으로 해석하였다. 연구 결과로부터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었다. 슬래브 지점부의 단면력 집중에 따라,3차원 판해석에 의한 단면력은 2차원 보해석의 단면력보다 1.015~1.830배 크게 나타났다. 따라서 슬래브 지점부의 철근 보강 영역은 경사폭의 0.11~0.30배로 나타났다. 슬래브 최대 정모멘트 발생각과 라멘교 사각과의 상관관계를 살펴보면, 라벤교 사각 900° ~45°에 대하여 최대 정모벤트 발생각은 93° ~ 51°로 나타났다. 따라서 라벤교의 주인장 철근 이음장 위치는 최대 정모맨트 발생 구역 밖에들도록 해야한다.

      • 스프레드시트와 Green 정리를 이용한 철근 콘크리트 단주의 해석 및 설계

        진치섭,한상중,엄장섭,이승훈 釜山大學校生産技術硏究所 1998 生産技術硏究所論文集 Vol.55 No.-

        구조물 설게에서, 압축과 2축 휨을 동시에 받는 기둥 설계를 자주 접하게 된다. 이러한 부재의 해석과 설계는, 모멘트 평형에 따른 여러 변수들의 값을 동시에 구하기 위하여 반복적인 작업이 필요하기 때문에 많은 시간을 요구한다. 본 연구에서는 압축과 2축 휨을 받는 철근 콘크리트 단주를 해석 및 설계할 수 있는 컴퓨터 프로그램 COL2를 개발하였다. 프로그램 COL2는 스프레드시트 프로그램 중의 하나인 엑셀을 이용한 사용자 위주 환경의 프로그램으로 개발되었다. Green정리를 사용하여 임의 형상의 역학적 특성을 계산하였다. In structural design, columns subjected to combined compression and biaxial bending are frequently encountered. The analysis and design of such members, are both time consuming and demanding because an iterative procedure is reuqired in order to simultaneously evaluate a number of variables to achieve moment equilibrium. A computer program COL2 is developed to analyze and design reinforced concrete short columns subjected to combined compression and bizxial bending in this study. The program COL2 has been developed for user-friendly environment using MS-Excel one of the spreadsheets program. The mechanical properties of generic shapes was calculated by Green's theorem.

      • 콘크리트 構造物의 混合모드 龜裂傳播모델(第1報)

        陳致燮,張熙碩,崔顯泰,嚴長燮 부산대학교 공과대학 1989 硏究報告 Vol.38 No.-

        This paper attempts to extract the crack tip stress intensity factors and to make a crack propagation model under mixed mode, from the finite element analysis of the concrete structures. In finite element analysis, all elements are initially assumed to be conventional quadratic isoparametric elements and are replaced by 6 node triangular singularity elements in the crack tip zone only. The stress intensity factors and the angle of propagation are carried out by displacement correlation technique and maximum circumferential tensile stress theory respectively. At the first part in a series of two papers, some numerical examples about the concrete SENB and DISK are presented to illustrate the practical effectiveness of the technique.

      • CDMA 환경에서 위치추정을 위한 벡터채널 모델링과 AOA(Angle of Arrival), TOA(Time of Arrival), TDOA(Time Difference of Arrival)를 이용한 위치 추정 성능 분석

        김장섭,이영창,정우곤 成均館大學校 科學技術硏究所 2000 論文集 Vol.51 No.2

        본 논문에서는 CDMA 환경에서 기지국의 배열 안테나에 수신되는 신호의 방향을 이용하여 기지국의 위치를 추정하는 AOA 방식과 시간을 기반으로 하는 TOA, TDOA에 대한 연구를 기술하였으며, 특히 배열 안테나의 수신신호의 채널 시뮬레이터를 통한 생성, 그리고 cross-correlation 방법에 대해서 분석하였다. 본 논문에서는 CDMA 환경에서 신호의 AOA를 추측하기 위하여 다중경로 벡터채널을 적용하였다. 성능으로서 위치추정 에러와 분산은 산란의 반경, 그리고 AOA, TOA, TDOA의 방법에 따라 전개하였다. 그리고 FCC에서 제안한 정확도가 125m 반경 이내에 들어오는 확률과 해를 구하지 못하는 횟수를 계산하였다. 그 결과 산란(scattering)의 반경이 클수록 위치추정 오차와 분산은 커졌다.

      • 마이크로-매크로 셀룰라 시스템을 위한 계층선정 기법분석

        김장섭,이상헌,정우곤,최형진 成均館大學校 科學技術硏究所 1998 論文集 Vol.49 No.1

        A control scheme to select the appropriate layer between macro- and microcell hierarchical structure is considered. With the assumption that the each mobile speed is known to the system. the algorithm determines the optimal velocity threshold by which the cell section performed. The optimal criterion is to minimize the Grade of Service(GOS), a service criterion in cellular telephone systems. Mobile station with faster speed relative to the determined optimal speed threshold are assigned to a macrocell, while slower moving terminals are assigned to the smaller cells, i,e.. microcells. For the evaluation purpose for the proposed scheme, two different evaluation perspectives are compared and the algorithm proves to work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