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후보
      • 이동 애드 혹 네트워크에서 QoS를 지원하는 AODV 라우팅 프로토콜

        吳世德,趙榮泰,丁燦赫,金玄郁,李光培,姜景仁,朴京培,文泰洙,郭承郁,河載承 明知大學校 産業技術硏究所 2003 産業技術硏究所論文集 Vol.22 No.-

        Abstract - In this paper, we propose a bidirectional mobile Ad Hoc routing protocol based on AODV(ad-hoc on-demand distance victor routing) with QoS(quality of service) support. At presence, wireless mobile communication focuses on how to efficiently support mobility of users more than QoS guarantee. However, in order to satisfy requirement of various applications which have been or will be served, QoS guarantee between end point is a very important issue. The existing AODV routing protocol is implemented to use only BE (Best Effort) service. However, actual wireless mobile environment requires to reduce a waste of communication resources and meet with the real-time change of data paths by setting up routes with QoS support, considering available communication resources at each node in advance. Therefore, in this thesis, we propose an adaptive QoS support method using hello message in order to rapidly meet with the change of available communication resources and to smoothly perform route maintenance. For performance evaluation, we analyzed the average date reception rate. At that time, we used evaluation parameters such as node's mobility -stop time, hello message period, and packet priority, considering the node's mobility and the number of best effort/QoS data flows. As results, we found that with our proposed method the average data reception rate was increased 16.3% for 0 mobility-stop second case and 4.7% for 300 mobility-stop second case.

      • GMAHN 환경에 적응하는 에러 복구기능을 이용한 AODV 라우팅 프로토콜

        정찬혁,오세덕,배진승,이기원,장양근,이광배,김현욱,유충렬,하재승 明知大學校 産業技術硏究所 2006 産業技術硏究所論文集 Vol.25 No.-

        Mobile nodes in ad hoc mobile networks typically communicate over wireless channels and are capable of movement. These are networks that support multihop communication and can be formed on a temporary basis. This paper proposes a solution that allows mobile nodes to access the wired Internet and to roam from base station to base station. And we also develop the efficient method that adapts in Global MANET which can be changed over time. It is observed that we can reduce not only error detection time but also network load, thus increasing the data reception rate in Global MANET Environment.

      • MANET 라우팅 프로토콜 QoS 지원서비스의 성능평가에 관한 연구

        鄭燦赫,金鉉郁,李光培,姜景仁,朴京培,劉忠烈,吳世德,裵振勝,趙榮泰 明知大學校 産業技術硏究所 2004 産業技術硏究所論文集 Vol.23 No.-

        In this paper, we evaluated two main QoS supporting routing protocol on wireless ad hoc network. At presence, wireless mobile communication focuses on how to efficiently support mobility of users more than QoS guarantee. However, in order to satisfy requirement of various applications which have been or will be served, QoS support service between source and destination becoming a very important issue. Of all routing protocols, DSR and AODV are very important routing protocol in MANET. So we simulated DSR and AODV QoS Routing Protocol Through simulation evaluation tool NS(Network Simulation) based on various environments.

      • 이동 애드 혹 네트워크에서의 환경적응형 QoS AODV 라우팅 프로토콜에 관한 연구

        裵振勝,宋東勳,吳世德,鄭燦赫,金玄郁,李光培,文泰洙,郭承郁,河載承 明知大學校 産業技術硏究所 2004 産業技術硏究所論文集 Vol.23 No.-

        In this paper, we propose a bidirectional mobile Ad Hoc routing protocol based on AODV(ad-hoc on-demand distance vector routing) with QoS(quality of service) support. At presence, wireless mobile communication focuses on how to efficiently support mobility of users more than QoS guarantee. However, in order to satisfy requirement of various applications which have been or will be served, QoS guarantee between end points is a very important issue. The existing AODV routing protocol is implemented to use only BE (Best Effort) service. However, actual wireless mobile environment requires to reduce a waste of communication resources and meet with the real-time change of data paths by setting up routes with QoS support, considering available communication resources at each node in advance. Therefore, in this thesis, we propose an adaptive QoS support method using hello message in order to rapidly meet with the change of available communication resources and to smoothly perform route maintenance. For performance evaluation, we analyzed the average data reception rate. At that time, we used evaluation parameters such as node's mobility-stop time, hello message period, and packet priority, considering the node's mobility and the number of best effort/QoS data flows. As results, we found that with our proposed method the average data reception rate was increased 16.293%, 15.914%, 17.238% for 300 mobility-stop second case and 4.809%, 4.264%, 2.956% for 300 mobility-stop second case.

      • 임베디드 시스템에서 Mobile IP 프로토콜 구현

        宋東勳,裵振勝,鄭燦赫,吳世德,李基源,劉忠烈,河載承,李光培,金玄郁 명지대학교 산업기술연구소 2005 産業技術硏究所論文集 Vol.24 No.-

        With rapid growth of the internet, need for the mobile communication networks is increasing. In this paper, we implement and test Mobile IP Protocol in Embedded System. Our Mobile IP-based testbed consisted of two sub-networks and each sub-network was configured to operate independently through use of router. To satisfy integrated wired/wireless network model established on the testbed design and show generality of the testbed, we implemented mobile nodes, home agent, foreign agent and router on the basis of Linux operating system. As the results of the evaluation, we confirmed that mobile nodes operated properly according to Mobile IP Protocol.

      • 초중고등학교 행정관리 시스템 설계 및 구축 사례 Easy_SRP System v1.0의 기능

        최성,최장의,김승찬,김호성,이종욱,최현식,오영갑 호서대학교 반도체제조장비국산화연구센터 2001 반도체장비학술심포지움 Vol.2001 No.-

        현재 초· 중 · 고등학교(이하 ' 학교기관' )에서 산이고 있는 기존의 수작업 방식의 회계관리와 DOS 방식의 행정전산관리 프로그램의 한계점을 벗어나 새로운 GUI 원도우 체계의 프로그램의 개발 필요성이 대두되어 본 시스템을 개발 하게 되었다.또한 학교기관에 납입해야 할 모든 납부금, 급식비, 장부관리에서부터 수입, 지출 등 학교에서 쓰이는 회계부분의 수작업을 모듈화 및 집약화 하고 누구나 쉽게 운영할 수 있는 행정관리 시스템, 일괄처리로 구성하도록 하였으며, DB를 이중모드(사용자 모드와 관리자모드)로 분리, 보안문제를 보충하고, 문서의 표준화로 정보교류의 용이하다.전국 학교기관의 회계운영방식을 표준화하여 구축 설계하고, 초보자 입장을 지향한 순차적 처리방식과 회계관리의 중복처리를 집약화 하여 구축하였다.

      • <i>Pedobacter luteus</i> sp. nov., isolated from soil

        Oh, Hyun-Woo,Kim, Byung-Chun,Park, Doo-Sang,Jeong, Won-Jin,Kim, Hyangmi,Lee, Kang Hyun,Kim, Sung Uk International Union of Microbiological Societies 2013 International journal of systematic and evolutiona Vol.63 No.4

        <P>Two strains of Gram-staining-negative, rod-shaped bacteria that were motile by gliding, N7d-4<SUP>T</SUP> and B4a-b5, were isolated during a study of culturable bacteria in soil cultivated with potatoes. These isolates grew at 15–37 °C and at pH 6.5–7.0. The major cellular fatty acids were summed feature 3 (iso-C<SUB>15 : 0</SUB> 2-OH and/or C<SUB>16 : 1</SUB>ω7<I>c</I>), anteiso-C<SUB>15 : 0</SUB>, iso-C<SUB>15 : 0</SUB>, iso-C<SUB>17 : 0</SUB> 3-OH and iso-C<SUB>17 : 1</SUB>ω9<I>c</I>. The major polar lipids were phosphatidyl-<I>N</I>-methylethanolamine and phosphatidylethanolamine. The strains contained d-18 : 0 and d-19 : 0 sphingosines. The DNA G+C contents of strains N7d-4<SUP>T</SUP> and B4a-b5 were 48.5 and 46.9 mol% (HPLC), respectively. A phylogenetic analysis based on 16S rRNA gene sequences showed that strains N7d-4<SUP>T</SUP> and B4a-b5 were affiliated with <I>Pedobacter</I> species in the family <I>Sphingobacteriaceae</I>. Strains N7d-4<SUP>T</SUP> and B4a-b5 shared 99.9 % sequence similarity, and the most closely related <I>Pedobacter</I> type strains were <I>Pedobacter composti</I> TR6-06<SUP>T</SUP> (96.5 and 96.7 % sequence similarity, respectively), <I>P. oryzae</I> N7<SUP>T</SUP> (95.4 and 95.6 %) and <I>P. caeni</I> LMG 22862<SUP>T</SUP> (94.0 and 94.4 %). Phenotypic data and phylogenetic inference clearly distinguished the two isolates from other <I>Pedobacter</I> species. Based on these data, the isolates are considered to represent a novel species of the genus <I>Pedobacter</I>, for which the name <I>Pedobacter luteus</I> sp. nov. is proposed. The type strain is N7d-4<SUP>T</SUP> ( = KCTC 22699<SUP>T</SUP>  = DSM 22385<SUP>T</SUP>).</P>

      • SCOPUSKCI등재
      • 제2분과 : 식물상 및 식생관리 ; 낙남정맥의 식물상 및 보전관리방안

        오현경 ( Hyun Kyung Oh ),박경욱 ( Kyung Uk Park ),김동필 ( Dong Pil Kim ),오구균 ( Kyoon Koo Oh ) 한국환경생태학회 2013 한국환경생태학회 학술대회지 Vol.2013 No.1

        본 연구는 낙남정맥 중점조사지역의 전체 식물상을 조사하여 식물상의 유형을 분류한 후 이중 희귀식물의 보전방안 및 생태계교란야생식물의 관리방안 등을 제시함으로써, 향후 낙남정맥의 식물자원 데이터베이스를 구축하고자 수행 하였다. 낙남정맥 중점조사지역의 전체 식물상은 110과 355속 523종 4아종 115변종 27품종으로 총 669분류군(taxa)이 확인되었다. 중점조사지역별 식물상을 살펴보면, 여항산 지역에서 94과 438분류군으로 가장 많은 종이 확인되었으며, 그 다음으로는 무학산 지역에서 90과 372분류군, 천주산 지역에서 90과 359분류군, 무량산 지역에서 85과 319분류군, 길마재 지역에서 80과 268분류군, 신어산 지역에서 78과 268분류군 순으로 각각 조사되었다. 이중 법정보호종인 멸종위기야생식물 세뿔투구꽃(Aconitum austro-koreense)이 확인되었으며, 길마재에서 790.4봉 중간지점의 마루금사면부에서 20여개체가 연속적으로 확인되었다. 본 구간의 희귀식물은 왕벚나무(식재), 거문도닥나무, 세뿔투구꽃, 산닥나무, 시호, 왜박주가리, 측백나무(식재), 개족도리풀, 태백제비꽃, 이팝나무, 뻐꾹나리 등 총 11분류군이 확인되었다. 지역별 희귀식물을 살펴보면, 여항산 지역에서 가장 많은 6분류군이 확인되었으며, 그 다음으로는 무학산 지역에서 5분류군, 길마재와 천주산 지역에서 각각 3분류군, 무량산과 신어산 지역에서 각각 2분류군이 확인되었다. 또한 특산식물은 세뿔투구꽃, 개족도리풀, 은사시나무(식재), 키버들, 할미밀망, 은꿩의다리, 자주꿩의다리, 고광나무, 해변싸리, 민땅비싸리, 노각나무, 개나리(식재), 오동나무, 갈퀴아재비, 병꽃나무, 벌개미취, 분취, 지리대사초, 좀비비추 등 총 19분류군이 확인되었다. 지역별 특산식물을 살펴보면, 여항산 지역에서 가장 많은 13분류군이 확인되었으며, 그 다음으로는 천주산 지역에서 11분류군, 무학산 지역에서 9분류군, 길마재와 무량산 및 신어산 지역에서 각각 7분류군이 확인되었다. 식물구계학적 특정식물은 Ⅴ등급에 세뿔투구꽃, 왕벚나무(식재) 등 2분류군, Ⅳ등급에 측백나무(식재), 등, 가는쇠고사리 등 3분류군, Ⅲ등급에 노각나무, 갈퀴아재비, 금족제비고사리, 거제수나무, 좀조팝나무, 낭아초(식재), 꽝꽝나무, 단풍나무, 차나무(식재), 팔손이, 산앵도나무, 왕쥐똥나무, 둥근배암차즈기, 호자덩굴, 산기장 등 15분류군, Ⅱ등급에 털괭이눈, 돌양지꽃, 복자기, 민둥뫼제비꽃, 노랑제비꽃, 큰참나물, 층꽃나무, 곽향, 붉은병꽃나무 등 9분류군, Ⅰ등급에 개족도리풀, 좀비비추, 산닥나무, 왜박주가리, 이팝나무, 쇠고사리, 참쇠고비, 홍지네고사리, 참꿩의다리, 잣나무(식재), 홀아비꽃대, 박달나무, 물오리나무, 굴참나무, 참느릅나무, 푸조나무, 돌뽕나무, 천선과나무, 나도물통이, 범꼬리, 큰꽃으아리, 투구꽃, 피나물, 아구장나무, 황매화(식재), 산돌배, 실거리나무, 큰여우콩, 회양목, 개산초, 백선, 대팻집나무, 사철나무, 말오줌때, 나도밤나무, 합다리나무, 거지덩굴, 피나무, 동백나무, 돌외, 오갈피나무, 개구릿대, 정금나무, 자금우, 광나무, 애기골무꽃, 빗살서덜취, 왕미꾸리광이, 민바랭이새, 큰천남성, 흰여로, 일월비비추, 진황정, 퉁둥굴레, 금난초 등 55분류군으로 도합 85분류군이 확인되었다. 지역별 식물구계학적 특정식물종을 살펴보면, 여항산 지역에서 가장 많은 37분류군이 확인되었으며, 그 다음으로는 무학산 지역에서 31분류군, 천주산 지역에서 28분류군, 길마재와 무량산 지역에서 각각 25분류군, 신어산 지역에서 19분류군이 확인되었다. 귀화식물은 소리쟁이, 돌소리쟁이, 흰명아주, 미국자리공, 다닥냉이, 털갈퀴덩굴, 붉은토끼풀, 애기땅빈대, 달맞이꽃, 미국실새삼, 땅꽈리, 뚱딴지, 돼지풀, 큰도꼬마리, 미국쑥부쟁이, 개망초, 망초, 붉은서나물, 개쑥갓, 주홍서나물, 미국가막사리, 울산도깨비바늘, 별꽃아재비, 큰금계국, 코스모스, 서양민들레, 방가지똥, 큰이삭풀, 오리새, 큰김의털 등 32분류군이 확인되었다. 이는 조사된 전체 669분류군의 관속식물 중 귀화율(NR)은 4.8%에 해당되며, 도시화지수(UI)는 우리나라 귀화식물 321분류군(이유미 등, 2011)의 10.0%에 해당된다. 이중 생태계교란야생식물은 돼지풀, 미국쑥부쟁이 등 2분류군이 확인되었다. 지역별로 살펴보면, 여항산과 천주산지역에서 가장 많은 18분류군이 각각 확인되었으며, 그 다음으로는 무량산과 무학산 및 신어산에서 각각 14분류군, 길마재에서 10분류군으로 확인되었다. 이중 IUCN 평가유형 중 약관심종 이하를 제외한 희귀식물의 보전방안은 다음과 같다. 거문도닥나무(Wikstroemia ganpi)는 팥꽃나무과(Thymeleaceae)식물로 우리나라 남해안 해안산지에서 드물게 자라는 낙엽활엽관목으로 IUCN 평가유형 중 멸종위기종에 해당된다. 낙남정맥에서는 무학산 산줄기인 대곡산 마루금에서 수십~수백개체가 연속적으로 확인되었다. 이 식물은 거문도에서 처음 확인되어 이러한 이름을 갖게 되었지만, 뽕나무과(Moraceae) 닥나무(Broussonetia spp.) 종류가 아닌 팥꽃나무과 산닥나무 종류임으로 이름을 정정해야 할 필요가 있다면 거문도산닥나무 내지 거문산닥나무가 적절한 이름으로 판단된다. 최근에 알려진 후 자생지가 계속해서 보고되고 있으며, 추가 자생지 확인 및 기존 자생지의 보존이 반드시 필요한 식물이다. 세뿔투구꽃은 미나리아재비과(Ranunculaceae) 식물로 우리나라 중부이남의 산지에서 자라는 한국특산의 여러해살이풀로 IUCN 평가유형 중 취약종에 해당된다. 본 낙남정맥에서는 길마재 지역의 마루금 사면부에서 20여개체가 연속적으로 확인되었다. 이 식물은 경북 구미 금오산에서 처음으로 발견되어 금오오돌또기 내지 꽃색이 노란빛이 도는 보라색으로 미색바꽃이라고 불러졌다. 길마재를 제외한 낙남정맥 중점조사지역에서 발견되었다면 가치가 크다고 볼 수 있으나, 낙남정맥 분기점인 지리산 영신봉에서 삼신봉의 산줄기에서 남하한 길마재에서 확인되었기 때문에 큰 가치는 없다고 판단된다. 하지만 법정보호종임으로 추가적인 정밀조사와 장기적인 모니터링은 반드시 필요한 식물이다. 이 식물은 독성이 강하나 약초로 사용되고 있기 때문에 인위적인 훼손우려가 있는 실정이다. 법정보호종이면서 희귀식물 및 특산식물임으로 교육과 홍보를 통해 인근 주민들이 참여하는 정기적인 모니터링의 체계를 구축한다면 이 식물을 보호할 수 있는 하나의 방법이 될 수 있다. 현재까지 자생지가 많이 알려지지 않았으며, 현자생지 보전이 무엇보다 중요하겠지만 추가 자생지 확인 및 종자나 생채 채집 등의 후속 조치가 필요한 식물이다. 산닥나무(Wikstroemia trichotoma)는 팥꽃나무과(Thymeleaceae) 식물로 우리나라 남해안 해안산지나 강화도에서 드물게 자라는 낙엽활엽관목으로 IUCN 평가유형 중 취약종에 해당된다. 낙남정맥에서는 신어산 지역에서 3개체가 확인되었으며, 이는 신어산 자락에 있는 은하사, 영구암 등의 사찰에서 과거에 심었던 것이 야생상태로 번진 후세개체로 보여진다. 이 식물은 경남 남해 화방사 주변에 천연기념물(제152호)로 지정된 자생지가 있으며, 강화도 전등사 주변에도 자생하는 개체가 많이 있다. 내륙쪽으로도 월출산에 있는 사찰 인근산지에도 분포하고 있으며, 현재까지 자생지가 많이 알려지지 않았지만, 개체나 면적은 풍부한 편이기 때문에 현 자생지의 보전이 무엇보다 중요하다. 시호(Bupleurum falcatum)는 산형과(Umbelliferae) 식물로 우리나라 전역의 산지에서 드물게 자라는 여러해살이풀로 IUCN 평가유형중 취약종에 해당된다. 본 낙남정맥에서는 오곡재에서 여항산 방향의 마루금에서 3개체가 확인되었다. 이 식물은 우리나라 전역에 분포하지만 개체나 자생지가 많지 않으며, 특히 분포한다고 해도 개체수가 현저하게 적게 나타나기 때문에 현 자생지의 보전이 매우 중요하다. 본 식물과 유사한 개시호(B. longeradiatum)는 직립하여 자라지만 시호는 뿌리의 활착에 비해 지상부의 줄기와 잎이 상대적으로 크기 때문에 옆으로 처지는 경향을 보인다. 추가 자생지 확인 및 생체와 종자 채집을 통한 현지외 보전이 요구되는 식물이다. 왜박주가리(Tylophora floribunda)는 박주가리과 (Asclepiadaceae) 식물로 우리나라 산지에서 비교적 드물게 자라는 덩굴성 여러해살이풀로 IUCN 평가유형 중 취약종에 해당된다. 낙남정맥에서는 여항산과 천주산에서 여러개체가 확인되었다. 특히 여항산에서는 마루금을 따라 여러개체가 연속적으로 분포하고 있었으며, 천주산에서는 2개체만이 확인됨 주로 탐방로를 따라 빛이 들어오는 입지환경에서 나타나기 때문에 인위적인 훼손우려가 있는 실정이다. 따라서 현 자생지 보전과 더불어 후세개체 증식 등의 보전을 위한 방안이 필요한 식물이다. 또한 귀화식물 중 생태계교란야생식물인 돼지풀과 미국 쑥부쟁이의 관리방안은 백두대간 논문에서 언급하였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