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18世紀 僧匠 快演의 建築術과 佛殿

        오세덕 한국대학박물관협회 2014 고문화 Vol.83 No.-

        This study examined the art of building of monk architect Koi Yeon and temple in the 18th century. The results are as follows. By means of various data analysis including excavated Sangyangmun, Gimun and Hyunpan in remaining temples and record of construction, the study conjectured monk architect Koi Yeon as a monk of Hwaeomsa Temple, and he engaged in various temple building activities including Mihwangsa Daewoongjeon in Jeolla-do and Bulguksa Daewoongjeon in Gyeongsang-do. When the art of building of monk architects in general temples in the 18th century was compared with that of monk architect Koi Yeon, firstly, Koi Yeon preferred front division, an ancient technique in the formation of division of the temple. Secondly, he employed Yeonhwasoiseo type Gongpo which was the most popular type in the 18th century. While the Yeonhwasoiseo type Gongpo is used in various temples in the 18th century, it had different styles by region and monk architects. All of three temples including Bulguksa Daewoongjeon, Mihwangsa Daewoongjeon and Bulgapsa Daewoongjeon developed by monk architect Koi Yeon had same Gongpo disposition style and 4 Cheok of division distance, specific style of Gongpojegong and assembly of Guipo. Thirdly, generally, Matbae roof required more complex technology than Paljak roof. Monk architect Koi Yeon developed all temples with Paljak roof based on the full understanding on Paljak roof. In particular, he employed an innovative technique of omitting Daebo which was the most important member in roof of Bulgapsa Daewoongjeon and Bulguksa Daewoongjeon to complete the upper fixture. Fourthly, by the review of specific techniques of arts of buidling of the monk architect, it was confirmed that expression of dragon in Anchogong and Guipo was frequently used temple Jangeom. Finally, the significance of Koi Yeon’s temples in the history of architecture was that he laid a foundation of spreading advanced technologies in Jeolla-do to Gyeongsang-do especially in Gyeongju area by architectus like Koi Heang and Wonsin through the success case of Bulguksa Daewoongjeon. 18세기 승장 쾌연의 건축술과 불전이라는 주제로 진행된 본고의 내용을 요약 정리하면 다음과 같다. 최근 해체수리 과정에서 출토된 상량문과 각 사찰에 남아 있는 기문과 현판, 사적기 등에 이르기까지 다양한 문헌자료 분석을 통해 승장 쾌연을 화엄사 승려로 추정하였다. 그가 도대목으로 참여하였던 불전은 전라도 일원의 미황사 대웅전과 불갑사 대웅전, 경상도 일원의 불국사 대웅전 등이 있다. 승장 쾌연이 제작했던 불전과 18세기 일반 불전과의 비교를 통해 얻은 쾌연의 독자적인 건축술을 살펴보면 첫째, 불전의 주칸 간격 설정에서 고식적 기법인 정면 주칸을 동일하게 설정하는 방법을 선호하고 있다. 승장의 건축술 유지를 위해 불갑사 대웅전의 경우 측면의 주칸 간격이 일반적인 불전과 다른 구성을 보이고 있다. 둘째, 18세기 가장 많이 사용되던 연화쇠서형의 공포를 차용해서 사용했던 점을 들 수 있다. 이 연화쇠서형 공포는 18세기 여러 불전에서 사용되지만 지역 및 승장의 스타일에 따라 각각 차이가 있다. 승장 쾌연이 조성한 불국사 대웅전, 미황사 대웅전, 불갑사 대웅전 3동 모두 사면 동일형의 공포배치 형식과 4척의 주간포 간격, 공포 제공의 세부형태와 귀포의 짜임까지 대부분 비슷한 기법을 동일하게 사용하고 있다. 셋째, 일반적으로 팔작지붕은 맞배지붕에 비해 더 복잡한 상부가구를 구성하고 있어 고급기술을 요구한다. 승장 쾌연은 이러한 고급기술이 요구되는 팔작지붕에 대한 완벽한 이해를 바탕으로 모든 불전을 팔작지붕으로 조성하였고, 특히 불갑사 대웅전과 불국사 대웅전에서 지붕 가구에서 가장 중요한 부재인 대보의 생략이라는 파격적인 기법을 적용하여 상부의 가구를 완성하였다. 이러한 독창적인 기법은 17세기에서도 그 사례를 찾을 수 없는 방법이다. 넷째 승장 건축술 중 세부기법 검토를 통해 안초공과 귀포에서 사용되고 있는 용의 표현 등의 독창적인 장엄기법을 사용하고 있었다. 마지막으로 쾌연 불전의 건축사적 의의는 쾌연 이라는 승장이 만든 불국사 대웅전의 성공적인 사례를 통해 당시 전라도 일원에서 유행했던 기술과 쾌행, 원신 등의 장인이 경상도 일원 특히 경주일원에 많은 기술을 전파할 수 있는 토대를 마련한 점을 들 수 있다.

      • KCI등재
      • KCI등재
      • KCI등재
      • KCI등재

        울진 불영사(佛影寺) 대웅보전(大雄寶殿)의 특징(特徵)과 건축술(建築術)

        오세덕 국립문화재연구원 2014 헤리티지:역사와 과학 Vol.47 No.1

        This study, under the title of Daeungbojeon Hall of Bulyeongsa Temple, Uljin and the architectural technique of the architect, aimed to make a comprehensive speculation on Daeungbojeon Hall of Bulyeongsa Temple whose accurate construction year was confirmed in 1725. While existing studies dealt with it separately between construction and Buddhist art history this study attempted to sort out it in one perspective by means of comparison with compatible objects in the area. The results are as follows. 1st, by means of comparison of wall painting of Daeungbojeon Hall of Bulyeongsa Temple and other wall paintings of Gyeongsang-do Province, it was estimated to be created before and after 1725, the founding year of the building. 2nd, the stylobate of Daeungbojeon Hall is the only and unique case that Guibu was supported by the bottom. Such stylobate was estimated to be built in the early period of Goryeo stylobate of Post-Lintel Construction which was more simplified than that of the traditional unified Silla period considering specific techniques. Lastly, by means of comparison of the architectural technique of Daeungbojeon Hall of Bulyeongsa Temple with other temples in Gyeongsang-do Province, the characteristics of the building were found. In particular, the same architectural technique was confirmed by direct comparison of style with Yeongsanjeon Hall of Tongdosa Temple in 1714 which was constructed by the same architect. 울진 불영사 대웅보전의 특징과 승장의 건축술이라는 주제로 진행된 본고는 1725년 제작된 정확한 기록이 남아있는 불영사 대웅보전에 관한 종합적 고찰 성격이 강하다. 기존 연구에서 건축과 불교미술사로 나누어져 각각 연구되던 분야를 각 분야에 맞는 대상물과 비교 검토를 통해 하나의 관점으로 재정리하여 고증하였다. 이러한 과정을 통해 확인된 내용을 정리하면 다음과 같다. 첫 번째 불영사 대웅보전은, 건물에 남아있는 벽화와 경상도 일원 벽화의 비교를 통해 대략적으로 건물이 창건되는 1725년을 전후한 시점에 제작된 것으로 편년해 보았다. 그리고 구체적으로 벽화의 제작시기를 1725년 대웅보전의 창건이후에서 1735년 사이에 그려진 것으로 추정하고, 1735년과 1739년 후불도와 삼장보살도가 완성되어 내부 장엄까지 완비된 것을 확인 할 수 있었다. 두 번째 대웅보전 기단은 국내의 유일무이한 귀부가 하단에 감입된 기법이 적용된 사례이다. 이러한 기단의 형태는 세부기법을 고려해 볼 때 통일신라시대 가구식기단의 전통적인 방법에서 다소 간략화된 고려시대 가구식기단의 초기적인 형태로 추정되며 하부 귀부 역시 세부기법을 통해 볼 때 기단과 동일한 시기에 제작된 것으로 추정하였다. 마지막으로 경상도 일원에서 제작된 불전과 불영사 대웅보전의 건축술 비교를 통해 건물의 특성을 확인할 수 있었으며, 특히 불영사 대웅보전을 제작한 동일한 도편수가 만든 1714년 통도사 영산전과의 직접적 양식비교를 통해 고식의 기단을 사용하고 있는 점, 공포의 제공 외단과 내단을 동일하게 처리하고 있는 세부기법, 그리고 귀포 내부에서 나타나고 있는 주간포 내단과의 유사성, 대보 상부에 초각이 가미된 포대공과 화반, 귀한대의 승천하는 용의 표현, 보아지의 용두 표현 등이 동일하게 나타나고 있어 이러한 기법이 승장 조헌의 독자적인 건축술로 추정하였다.

      • 이동 애드 혹 네트워크에서 QoS를 지원하는 AODV 라우팅 프로토콜

        吳世德,趙榮泰,丁燦赫,金玄郁,李光培,姜景仁,朴京培,文泰洙,郭承郁,河載承 明知大學校 産業技術硏究所 2003 産業技術硏究所論文集 Vol.22 No.-

        Abstract - In this paper, we propose a bidirectional mobile Ad Hoc routing protocol based on AODV(ad-hoc on-demand distance victor routing) with QoS(quality of service) support. At presence, wireless mobile communication focuses on how to efficiently support mobility of users more than QoS guarantee. However, in order to satisfy requirement of various applications which have been or will be served, QoS guarantee between end point is a very important issue. The existing AODV routing protocol is implemented to use only BE (Best Effort) service. However, actual wireless mobile environment requires to reduce a waste of communication resources and meet with the real-time change of data paths by setting up routes with QoS support, considering available communication resources at each node in advance. Therefore, in this thesis, we propose an adaptive QoS support method using hello message in order to rapidly meet with the change of available communication resources and to smoothly perform route maintenance. For performance evaluation, we analyzed the average date reception rate. At that time, we used evaluation parameters such as node's mobility -stop time, hello message period, and packet priority, considering the node's mobility and the number of best effort/QoS data flows. As results, we found that with our proposed method the average data reception rate was increased 16.3% for 0 mobility-stop second case and 4.7% for 300 mobility-stop second case.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