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 작성언어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경북지역 토양 물리적 특성과 토양유기탄소와의 관계

        정혜정(Hye-Jeong Jeong),이중환(Joong-Hwan,Lee),남효훈(Hyo-Hoon Nam),김종수(Jong-Su, Kim),황선아(Soen-Ah Hwang) 한국토양비료학회 2021 한국토양비료학회 학술발표회 초록집 Vol.2021 No.11

        농경지 농업환경변동조사는 농업환경자원을 보전하고 친환경 농산물의 안전생산을 위하여 범국가적 차원으로 농경지의 토양 특성을 조사하는 사업으로 농경지 유형을 논, 밭, 과수, 시설재배지 4가지로 나누어 5년 주기로 실시되고 있다. 특히 토양 물리성은 토양 내 공기순환 및 양·수분 이동과 흡수에 밀접하게 관련되어 있어 작물 수량 및 품질에 영향을 주기 때문에 물리성 변화조사는 중요하다. 또한 최근 기후변화 대응과 맞물려 탄소중립을 위하여 토양의 탄소저장능력을 높일 수 있는 방법으로 탄소고정능이 높은 유기질을 토양에 투입하여 토양 물리성을 개선하고 탄소 고정 능력을 향상시키는 방법이 개발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농업환경변동조사를 통해 조사된 경상북도 지점의 물리적 특성의 변화를 살펴보고 그 중 2017년, 2021년에 변경되지 않은 지점의 토양 물리성 조사데이터를 바탕으로 물리적 특성과 토양 탄소함량의 변화를 간접적으로 비교해보고자 한다. 조사방법은 농업과학원의 토양 물리성 조사방법 및 분석법에 준하여 측정 및 분석하였고, 단위면적당 토양탄소량은 유기물을 탄소환산계수인 1.724로 나누고 지점별 용적밀도를 곱하여 계산하였다(Park et al, 2017). 그 결과 2021년 조사된 밭토양의 용적밀도는 2017년 대비 표토는 0.08g m<SUP>-3</SUP>증가하였고, 심토는 0.08g m<SUP>-3</SUP> 감소하였으며 공극률은 2017년 대비 표토는 3% 감소하였고, 심토는 3% 증가하였다. 입자분포에서는 큰 차이가 발생하지는 않았다. 2021년의 유기물 함량은 2017년 대비 표토는 2.8g kg<SUP>-1</SUP> 감소하였고, 심토는 7.8g kg<SUP>-1</SUP> 증가하였다. 2017년과 동일 지점에 동일 작물을 재배하는 지점 중 유기물 함량이 감소한 지점은 토양유기탄소량이 16%∼45% 감소함과 동시에 점토함량도 6%∼45% 감소하였다. 유기물이 증가한 지점의 토양유기탄소량은 3%∼27%증가한 반면, 점토함량은 모두 감소하였다. 토양 중 토양유기물함량과 점토의 상관관계를 보았을 때 상관계수 0.1774로 정비례하고 있어 토양탄소 저장에 점토함량이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보인다. 2021년 총 토양유기탄소는 2017년 대비 표토는 0.5tC ha<SUP>-1</SUP> 감소하였으나, 심토는 5.8tC ha<SUP>-1</SUP> 증가하여 토양 중 유기물이 지속적으로 축적되고 있는 것을 확인하였다. 이상의 결과로 2021년 밭토양의 물리적 특성에서 표토는 용적밀도 증가 및 공극률 감소로 다짐이 증가한 것을 확인하였고, 심토는 용적밀도 감소, 공극률 증가, 유기물 함량 증가를 통해 토양유기탄소의 함량도 높아져 탄소저장장소의 가능성을 확인하였다. 따라서 밭토양 표토의 토양 물리성 개선 및 토양탄소저장능력을 증가시키기 위하여 토양검정에 기초한 적정 유기물을 공급으로 토양 이화학성의 균형을 유지하면서 토양탄소저장량을 증가시키는 방향으로 시비지도가 이루어져야 할 것으로 판단된다.

      • KCI등재

        레지오! 동양적 시각으로의 재조명

        민행난(Min, Haeng Nan),손희령(Soen, Hye Lyung) 한국어린이교육문화비평학회 2011 영유아교육과정연구 Vol.1 No.2

        본 연구는 레지오에밀리아의 접근법이 좀 더 우리 문화 속에 정착하기 위해 동양적 시각 속에서 재조 명해 보기 위한 목적으로 하고 있다 첫째 인간을 하늘에서 풍부한 천성을 지닌 존재로 바라보는 동양적 가치관과 레지오교육에서의 어린이들이 자유함 속에서 자신의 능력을 끊임없이 발현해 가는 어린이에 대한 이미지와 공통점을 발견하였고 둘째 관계를 중시하는 동양적 관점은 레지오 접근에서의 현상 사람 기관과 지역사회와의 유기적 체계를 확장시켜가고자 하는 시각과 매우 흡사하다고 볼 수 있었다 셋째 순환성을 강조하는 동양적 시각과 레지오의 일상 속에서 새로움을 발견하고 내면의 변화를 창조하기 위해 표상과 기록의 순환 기록의 순환을 중요시하는 부분에서 비슷한 맥락임을 알 수 있었다 넷째로 심상을 중요시하는 동양적 관점은 레지오의 접근에서도 그림 입체 신체 영상을 활용하여 순환적 표상을 통해 자신의 생각을 되돌려 받기도 하고 타인과의 소통을 통해 더 풍부한 생각과 함께 확장되는 기쁨을 나누는 의미로 설명하고 있다는 면에서 서로 상통되는 부분이 있다고 판단되었다 결국 레지오 접근법의 철학이 우리 문화와 상통할 수 있는 여러 부분을 발견함으로써 우리의 교육현장의 새로운 뿌리로 자리매김을 할 수 있을 것이라 본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review the Reggio Emilia Approach from the Oriental perspective to have it nicely settle in our culture. First, the emphasis on human nature insists that we need to see children’s continued efforts to discover their talent under liberal atmosphere just as Loris Malaguzzi suggested. This approach admits that children are capable of growing up under the order of the universe and insists that we need to leave them move forward to balance and harmony gradually. Second, the emphasis on relations insists the formation of new relationship in harmony fro the integrated perspective instead of individual or analytical point of view. This approach is very similar to the Reggio approach in that it is aimed to build knowledge and extend the system from the organic perspective in inter-phenomena, interpersonal and organization-local society relations. Third, the emphasis on transition and circulation sees that everything on earth is on the move based on circulation. This approach is similar to the Reggio approach in that it focuses on the representation or record-based circulation in assumption that education is a process of discovering novelty in a routine life and creating things continuously through inner changes just as explained in the Reggio approach. Fourth, the emphasis on mental image covers diverse meanings with which harmony and transcendental liberty can be expressed through symbolization and mental image. This approach is similar to the Reggio approach in that it can be explained as a return of our own thought through circular representation suing figures, physical body and video images and sharing of joy which is expanded along with rich thoughts through communication with others. In conclusion, it appears that the Reggio Emilia Approach may take root in a Korean society provided that we discover Oriental values in the Western approach and offer people an opportunity to experience the Reggio approach in our culture.

      • KCI등재

        식품으로 인한 유해물질 노출조사를 위한 식생활 설문지의 타당도 평가

        김혜미(Kim,Hyemi),최슬기(Choi,Seul Ki),신상아(Shin,Sangah),이경윤(Lee,Kyung Youn),신상희 (Shin,Sanghee ),이정원 (Lee,Jung Won ),유수현 (Yu,Soo Hyun ),남혜선 (Nam,Hye-Soen ),김미경 (Kim,Mi-Gyeong ),정효지 (Joung,Hyojee ) 韓國營養學會 2011 Journal of Nutrition and Health Vol.44 No.2

        Assessing human exposure to food-borne hazards requires standardized assessment tools. The objective of this study was to validate a newly developed dietary assessment questionnaire to assess human exposure to food-borne hazards, which include dietary behavior and food consumption patterns such as eating frequency, types of food containers and cooking methods. A total of 216 adults were recruited for two questionnaire surveys (questionnaire 1 and 2) about 1 week apart with a 3 day diet record. Reproducibility was evaluated by comparing responses from questionnaires 1 and 2, and validity was checked by comparing responses from questionnaire 2 and the 3 day diet record. Comparisons were based on the percent agreement and Spearman’s rank correlation coefficient. The mean exact agreement of food containers at purchase between questionnaires 1 and 2 was 73.5%, for storing containers it was 71.9%, and for cooking methods it was 83.0%. The mean correlation coefficient for food intake frequency between questionnaires 1 and 2 was 0.71 (range, 0.50-0.83). The mean correlation coefficient of the food intake frequency between questionnaire 2 and the 3 day diet record was 0.21 (range, 0.04-0.48). The exact and adjacent agreement of food intake frequency quartile assessed by questionnaire 2 and the 3 day diet record was 65.4% (range, 51.0-82.1%). Although the correlation coefficient for food intake frequency between questionnaire 2 and the 3 day diet record was low, the exact and adjacent food intake frequency agreement was higher than 50% and reproducibility of the dietary behaviors exceeded 70%. Therefore, the questionnaire developed in this study could be applied to assess diets for the human exposure to food-borne hazards as a qualitative assessment in a large population. (Korean J Nutr 2011 44(2): 171 ~ 180)

      • KCI등재

        식품으로 인한 유해물질 노출평가를 위한 설문지 개발

        신상아 (Shin,Sangah ),최슬기 (Choi,Seul Ki ),김혜미 (Kim,Hyemi ),이경윤 (Kyung Youn ),신상희 (Shin,Sanghee ),이정원 (Lee,Jung Won ),유수현 (Yu,Soo Hyun ),남혜선 (Nam,Hye-Soen ),윤혜정 (Yoon,Hae-Jung ),정효지 (Joung,Hyojee ) 韓國營養學會 2011 Journal of Nutrition and Health Vol.44 No.1

        The aim of this study was to develop a reliable dietary questionnaire to assess human exposure to food-borne hazards. Eleven food-borne hazards were chosen as a priority control list through a literature review and advisory committees. The 11 food-borne hazards were phthalate, aflatoxin, bisphenol A, polycyclic aromatic hydrocarbons, dioxin, polychlorinated biphenyls, mercury, lead, cadmium, arsenic, and acrylamide. The characteristics, exposure level, and paths of these hazards were reviewed, and questionnaire items were identified to assess human exposure from the literature. A questionnaire was developed for each selected food based on its characteristics. Based on the items in the individual questionnaires, a comprehensive questionnaire, which contained demographic characteristics, job information, socioeconomic factors, health related lifestyles, and dietary behaviors, was developed. A 99-item food frequency questionnaire (FFQ) to assess food-borne hazard exposure was also developed. The FFQ included frequency of food intake during the previous year, container type for purchasing and storing food, and cooking method. The questionnaire developed in this study could be applied to assess dietary factors during an exposure assessment of food-borne hazards in a large population. A validation study for the questionnaire is needed before applying it to surveys. (Korean J Nutr 2011 44(1): 61 ~ 73)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