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Prostaglandin A₂-induced Apoptosis is Not Inhibited by Heme Oygenase-1 in U2OS Cells

        Kyoung-Won Ko(고경원),Sun-Young Lee(이선영),Ji-Hyun Ahn(안지현),Jaetaek Kim(재택),In-Kyung Kim(인경),Ho-Shik Kim(김호식) 한국생명과학회 2008 생명과학회지 Vol.18 No.11

        Prostaglandin A₂ (PGA₂)는 사람 골육종 세포인 U2OS 세포주에서 apoptosis와 heme oxygenase (HO)-1의 발현을 함께 유도하였다. PGA₂에 의한 apoptosis는 HO-1의 과도한 발현이나 HO-1에 대한 small interfering RNA에 의한 발현저하에 의하여 변동되지 않았으나 H₂O₂에 의한 세포사망은 HO-1의 발현 수준에 반비례하여 변동되었다. 또한 thiol antioxidant인 N-acetyl-L-cysteine (NAC)은 PGA₂에 의한 세포사망과 HO-1의 발현 증가를 모두 차단하였지만, non-thiol antioxidant인 butylated hydroxyanisole (BHA)과 ascorbic acid는 세포사망과 HO-1의 발현 유도를 차단하지 않았다. 이와 같은 결과들은 PGA₂는 산화성 손상에 의해서가 아니라 PGA₂의 thiol-reactivity에 의하여 apoptosis와 HO-1의 발현을 유도하며, HO-1의 발현은 PGA₂에 의한 apoptosis와는 독립적인 현상이거나 기능적으로 apoptosis 유도의 하부에 위치하고 apoptosis의 진행에는 기여하지 않을 것이라는 것을 시사해 준다. Prostaglandin A₂ (PGA₂), one of cyclopentenone PGs, induced both apoptosis and heme oxygenase (HO)-1 expression in U2OS cells. PGA₂-induced apoptosis was not perturbed by either over-expression or knock-down of HO-1, whereas H₂O₂-induced cell death was inversely modulated by the expression level of HO-1. In addition, N-acetyl-L-cysteine (NAC), a thiol antioxidant, blocked both apoptosis and HO-1 expression induced by PGA₂. But, non-thiol antioxidants like butylated hydorxyanisole (BHA) and ascorbic acid did not block either apoptosis or HO-1-induction. Taken together, these results suggest that PGA₂ induces both apoptosis and HO-1 expression, which are critically related to the thiol-reactivity of PGA₂, but not oxidative stress, and HO-1 expression may be independent or functionally located downstream of apoptosis by PGA₂ without contribution to apoptosis progression.

      • 한국산 거미의 종 목록(2015년도 개정)

        주필(Joo Pil Kim),예성훈(Seong Hun Ye),이준기(Jun Gi Lee),이준호(Jun Ho Lee) 한국거미연구소 2015 한국거미 Vol.31 No.1

        한국산 거미 목록을 최근 분류체계와 새롭게 추가된 분류군을 총망라하여 재정리하였다. 그 결과, 한국산 거미류의 수는 총 48과 281속 795종으로 조사되었으며, 이전 김과 김(2010)의 발표보다 2과 16속 69종이 많았다. 이전의 김과 김(2010)의 목록에서 이용된 분류체계와 비교해 크게 변동된 사항으로는 기존의 코리나거미과(Family Corinnidae)에 속하는 3개 속(Genus Cetonana 괴물거미속(개칭), Genus Paratrachelas 어리괭이거미속, Genus Trachelas 괭이거미속)과 2개 속(Genus Orthobula 십자삼지거미속, Genus Phrurolithus 도사거미속)이 각각 괭이거미과(Family Trachelidae)(신칭)와 도사거미과 (Family Phrurolithidae)(신칭)로 분리, 신설되었으며(Ramírez, 2014), 밭고랑거미과(Family Liocranidae)의 족제비거미속(Genus Itatsina)이 미투기거미과(Family Miturgidae)의 1속(Genus Prochora)에 하위 동종이명(synonymy)으로 편입됨(Bosselaers & Jocqué, 2013)에 따라 Prochora 속의 국명이 족제비거미속으로 개칭되었다. 또한 오소리거미과(Family Zoridae)가 미투기거미과(Family Miturgidae)에 하위 동종이명으로 편입되었으며(Ramírez, 2014), 기존에 미투기거미과에 속해 있던 1속(Genus Cheiracanthium 어리염낭거미속)이 미투기거미과로부터 분리, 신설된 장다리염낭거미과(Family Eutichuridae)(신칭)로 분류되었다(Ramírez, 2014). 그 밖에 속, 종의 단위에서 분류군 신설, 동종이명, 오동정 등의 분류 체계 변동 사항이 있었으며, 이를 본 목록에서 확인할 수 있다. 더불어 근래에 추가된 2종의 무자격명(Nomen nudum) 처리된 종과, 국립공원 생물종 목록집(2012)에 기재되었으나 논문으로 정식 발표되지 않은 미기록종 22종을 별도로 기술하였다. 한국산 거미류는 접시거미과(101종), 꼬마거미과(84종), 왕거미과(79종), 깡충거미과(73종), 그리고 늑대거미과(57종) 이하 순으로 종수가 많았으며, 위의 5과가 전체 종수의 약 50%(394종)을 차지하였다. 전체 795종 중 한국산 고유종은 173종(21.8%)이었고, 일본산 거미류와 512종(64.4%), 중국산과 497종(62.5%), 러시아산과 360종(45.3%), 대만산과 103종(13.1%) 동일종이었다. 또한, 구북구산(Palearctic region)이 80종(10%), 전북구산(Holarctic region)이 37종(4.7%), 그리고 세계공통종(Cosmopolitan species)이 13종(1.6%)으로 분석되었다. A revised new-version of the check list of Korean spiders, including recent systematic systems and new taxa, is presented in this paper. According to additional references in the last 5 years, a total of 795 species of 281 genera belonging to 48 families were checked in Korean spider fauna, and there are 69 species of 16 genera belonging to 2 families more than the previous check list(Kim & Kim, 2010). Typical examples of some changes in systematic systems of Korean spiders compared with the previous check list(Kim & Kim, 2010) are as follows : Two families, the family Trachelidae and the family Phrurolithidae, previously in the family Corinnidae are raised to family status(by Ramírez, 2014). In Korea, the family Trachelidae includes 3 genera(Gen. Cetonana, Gen. Paratrachelas, Gen. Trachelas) and the family Phrurolithidae includes 2 genera(Gen. Orthobula, Gen. Phrurolithus); The family Eutichuridae is raised to family status, which was previously in the family Miturgidae(by Ramírez, 2014). There is one genus(Gen. Cheiracanthium) in the family Eutichuridae in Korea; The family Zoridae is included as a junior synonym of the family Miturgidae(by Ramírez, 2014); The genus Itatsina is included as a junior synonym of the genus Prochora in the family Miturgidae(Bosselaers & Jocqué, 2013). One Pisaurid species(Dolomedes jirisanensis) and a Sparassid genus(Gen. Joopilia, Joopilia joopilis) are nomina nuda. Additionally, There are 22 unrecorded species, which was found by Korean National Park Research Institute(2012) but was not described as papers, check list of them is presented separately from the check list of Korean spiders in this paper. Linyphiidae(101 sp.), Theridiidae(84 sp.), Araneidae(79 sp.), Salticidae(73 sp.), and Lycosidae(57 sp.) spiders are the most in the Korean spider fauna, and species in that 5 families formed about 50%(394 sp.) of the whole Korean spiders. In zoogeographical distribution, Korean spider fauna was found containing 80 Pa, 37 Holarctic, 13 Co, and 173 Korean endemic species. And comparison with faunas of neighboring countries, 512 species of Korean spiders also live in Japan(64.4%), 497 species live in C(62.5%), 360 species live in Russia(45.3%) and 103 species live in Taiwan(13.1%).

      • KCI등재
      • SCOPUSKCI등재
      • KCI등재

        국소적 도포법을 이용한 Hair-follicle specific promoter를 가진 HPV-16 E7 DNA vaccine의 효용성

        찬주 ( Chan Joo Kim ),태우 ( Tae Woo Kim ),노경희 ( Kyung Hee Noh ),이근호 ( Keun Ho Lee ),이해남 ( Hae Nam Lee ),이용석 ( Yong Seok Lee ),박태철 ( Tae Chul Park ),남궁성은 ( Sung Eun Namkoong ),박종섭 ( Jong Sup Park ) 대한산부인과학회 2007 Obstetrics & Gynecology Science Vol.50 No.3

        목적: 경피적 면역법 (TCI; Transcutaneous Immunization)이란, 피부 표면에 직접 백신을 도포하는 방법으로, 단백질이나, peptide백신의 경우 adjuvant와 함께 투여하여 세포 면역과 액상 면역반응을 효과적으로 유도함이 보고되어 있다. 경피적 면역을 통한 효과적인 HPV E7 DNA vaccine 개발을 위하여, HPV-16 E7 opt+K 부분과 Hair-follicle 특이성 pK6hf-promoter를 융합한 DNA가 다양한 면역 증강제와 함께 투여되어 효과적인 면역반응을 유도할 수 있는지 알아보고자 한다. 연구 방법: 먼저 HPV-16 E7 opt+K 부분과 Hair-follicle 특이성 pK6hf-promoter를 융합하였다. 다음단계로 C57/BL6 쥐의 피부에 pK6hf-E7 +K DNA와 면역 증강제로 cholera toxin (CT), CpG oligodeoxy nucleotide (ODN)을 사용하여 경피적 면역을 시행한 후 세포독성 T 임파구 (CTL; Cytotoxic T lymphocyte) 반응을 E7-specific IFN-gamma- secreting CD8+ T cells의 수를 intracellular cytokine staining 후 flow cytometric analysis하였다. 결과: 경피적 면역법으로 pK6hf-E7 opt+K DNA 만 투여한 경우와, DNA와 LipofectAMINE 2000을 투여한 군보다 pK6hf-E7 opt+K DNA, Lipofectamine2000, CT을 투여한 군이 더 높은 E7-specific CD8+ T cells의 수를 보였다. 결론: 위의 실험에서 E7 opt+K DNA를 pK6hf와 연결시킨 DNA와 CT을 adjuvant로 이용한 경피적 면역법이 항원 특이성 CTL유도를 할 수 있음을 밝혀내었다. 또한 이러한 결과는 pK6hf promoter를 가진 HPV-16 E7 DNA 백신을 경피적 면역법에서의 가능한 방법임일 제시하고 있다. Objective: Previous reports have shown that transcutaneous immunization (TCI) with proteins or peptides in combination with adjuvants efficiently induces specific cellular and humoral immune responses. We compared the immune response after TCI with new construct which was derived from HPV-16 E7opt+K and pK6hf promoter instead of pCMV promoter and various adjuvant. Methods: First, we made new construct ligated with HPV-16 E7 opt+K to Hair-follicle Specific pK6hf Promoter. Second, we applied pk6hf-E7 opt+K DNA with or without Lipofectamine 2000 and a combination of cholera toxin (CT) and CpG oligodeoxynucleotide (CpG) onto cold wax-depilated and hydrated bare skin of C57 BL/6 mice. To assess the ability of CTL(cytotoxic T-lymphocyte) activity, we performed intracellular cytokine staining with flow cytometric analysis to determine the number of E7-specific IFN-gamma- secreting CD8+ T cells generated in vaccinated mice with the DNA vaccine. Results: Female C57BL/6 mice immunized by TCI methods with 30 microgram of pk6hf-E7 opt+K DNA with Lipofectamine2000 and CT efficiently generated E7-specific CD8(+) T cells compared with the group of pk6hf-E7 opt+K DNA only or DNA with Lipofectamine2000. Conclusion: Our results demonstrate that TCI of the linkaged-E7 DNA , E7 opt+K DNA to pk6hf, and Lipofectamine2000 and CT induced an antigen-specific CTL response. This result is of potential relevance for the development of therapeutic HPV-specific DNA vaccines with TCI and pK6hf promoter can be used safely.

      • KCI등재

        45,X / 47,XYY 모자이크 터너증후군

        세광(Sei Kwang Kim),재욱(Jae Wook Kim),양영호(Young Ho Yang),현주(Hyun Joo Kim),모형진(Hyoung Jin Mo),배상욱(Sang Wook Bai),인규(In Kyu Kim) 대한산부인과학회 2000 Obstetrics & Gynecology Science Vol.43 No.1

        45,X/47,XYY mosaicism is a rare sex chromosomal disorder with clinical information limited to 25 cases in the literature. We report an unusual mosaic Turner syndrome case in a 35-year old Korean woman with a phenotypic female, primary amenorrhea, short stature, immature secondary sexual characteristics. Cytogenetic analysis including G- and Q-banding revealed 45,X/47,XYY mosaicism, and SRY gene was demonstrated by polymerase chain reaction(PCR). Prophylactic bilateral gonadectomy was performed because the presence of Y-chromosomal sequences in Turner stigmata may predispose this patient to gonadoblastoma formation.

      • KCI등재

        산전 초음파검사로 진단된 척추이분증 3예

        성(Sung Kim),이동민(Dong Min Lee),김호영(Ho Young Kim),재연(Jae Yun Kim),최영렬(Young Ryoul Choi),유재경(Jae Kyoung Yoo),윤길중(Gil Jung Yoon),황인수(In Su Hwang) 대한산부인과학회 1999 Obstetrics & Gynecology Science Vol.42 No.11

        The prenatal diagnosis of spine bifida include the combined use of maternal serum α-fetoprotein (MSAFP) screening and fetal sonography. Sonographically, spina bifida is characterized by direct signs of the visualization of the spinal defect, and indirect signs of the cranial markers : the lemon sign, the banana sign, and ventriculomegaly. These ultrasonographic signs are more accurate in defining the cranial malformations associated with spina bifida than evaluation of the spine. Recently, three cases of spina bifida which was diagnosed as splaying of the posterior ossification centers, meningomyelocele sac at the lumbosacral area, lemon sign, banana sign and ventriculomegaly by ultrasonography at 21+2 gestational weeks in a 32 years old nullipara, at 21+2 gestational weeks in a 26 years old nullipara, at 23+6 gestational weeks in a 26 years old multipara were experienced at our department. We present this cases with a brief review of literatures

      • KCI등재

        호르몬 대치요법이 60세 이상의 폐경후 여성 골밀도에 미치는 영향

        우선 ( Woo Sun Kim ),윤병구 ( Byung Koo Yoon ),지영 ( Ji Young Kim ),최두석 ( Doo Seok Choi ),이제호 ( Je Ho Lee ),주한 ( Joo Han Kim ),광원 ( Kwang Won Kim ),민용기 ( Yong Ki Min ) 대한폐경학회 2007 대한폐경학회지 Vol.13 No.2

        연구목적: 호르몬 대치요법은 폐경후 여성의 골밀도 소실을 억제한다. 노인 인구가 증가하면서 골다공증 및 골다공증성 골절이 의학적, 사회 경제적 문제로 대두되고 있으나, 우리 나라 에서는 노인에게 시행한 호르몬 대치요법이 골밀도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가에 대한 연구가 드물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60세 이상의 폐경후 여성에게 투여한 호르몬 대치요법이 골밀도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하였다. 연구재료 및 방법: 삼성 서울 병원을 방문한 폐경후 여성 86명을 대상으로 하였다. 60세 미만 (n=58)과 60세 이상 (n=28)을 두 군으로 분류하여, conjugated estrogen 0.625 mg/day 또는 이와 동등한 역가를 가진 여성호르몬을 매월 25일 이상 투여하였다. 자궁이 있는 여성에게는 프로게트토겐을 지속적 또는 순차적으로 병합투여 하였다. 요추와 대퇴부의 골밀도는 이중에너지 X-선 흡수 계측법으로 호르몬 대치요법 전, 개시 6, 12, 24 개월에 측정하였다 결과: 60세 이상의 폐경 여성의 호르몬 대치요법 시행 24개월 후의 골밀도는 60세 이하 폐경 여성과 마찬가지로 치료 전에 비하여 유의하게 증가하는 양상을 보였다. 특히, 60세 이상 폐경 여성군의 호르몬 대치요법 시행 6개월 후 요추 골밀도의 증가율은 60세 이하의 여성보다 더욱 현저하였다 (3.6±3.7% vs. 5.7±7.3%, P<0.05). 골교체율 생화학적 표지자는 치료 전 두 군간 차이가 없었으며, 호르몬 대치요법 3개월 경과 후 두 군 모두 유의하게 감소된 양상을 보였다. 결론: 호르몬 대치요법을 받은 60세 이상의 폐경후 여성의 골밀도 증가는 60세 미만의 여성과 유사하였다. 또한 호르몬 대치요법 개시 6개월 후 요추 골밀도의 변화는 60세 이상의 여성에서 더욱 현저하였다. Objectives: Hormone replacement therapy (HRT) prevents bone loss in postmenopausal women. We studied the effect of HRT on bone mineral density (BMD) in Korean women over the age of 60. Methods: We measured BMD at the lumbar spine and femur neck by dual-energy X-ray absorptiometry at baseline, 6, 12, and 24 months after HRT in 86 Korean postmenopausal women (age over 60, n=28; below 60, n=58). Women were given 0.625 mg of conjugated estrogen or the equivalent for 25 days or more each month. Women with uterus received continuous or sequential progesterone additionally. Results: HRT in women over the age of 60 was equally effective as in younger women in increasing BMD. The percentage changes, especially of lumbar BMD at 6 months after HRT were greater in the older women (3.6±3.7% vs. 5.7±7.3%, P<0.05). There was no difference in biochemical markers of bone turnover (serum osteocalcin, urine deoxypyridinoline) at baseline between two groups, they decreased significantly in both groups at 3 months after HRT. Conclusion: Data shows that postmenopausal women over the age of 60 tend to respond to HRT with similar increments in BMD compared to those in women below the age of 60. Moreover, the increment in lumbar BMD of women over the age of 60 is greater than that of the women below the age of 60.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