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자폐증에 대한 새로운 시각 : 마음 이해의 결함 The deficit in understanding mind

        김혜리 서울大學校 社會科學大學 心理科學硏究所 1998 心理科學 Vol.7 No.2

        The theory of mind view of autism: The deficit in understanding mind The theory of mind view of autism suggests that the social and communication impairment of individuals with autism can be well explained in terms of a deficit in one specific component, the ability to understand the representational mind. Baron-Cohen is the pioneer of this view. This paper has reviewed the Baron-Cohen's neuropsychological model of the normal and abnormal development of mindreading system. The psychological evidence and neuropsychological findings which support his model have been reviewed. The possibility to apply his model to early diagnosis and treatment of autism has been discussed.

      • KCI등재

        인지스타일로서의 공감하기-체계화하기

        김혜리(Hei-Rhee Ghim) 가톨릭대학교(성심교정) 인간학연구소 2017 인간연구 Vol.0 No.33

        사회적 상호작용과 의사소통에 결함을 보이며 특정 분야에 제한된 관심을 보이는 자폐스펙트럼장애를 설명하기 위해 Baron-Cohen이 제안한 개념인 공감하기-체계화하기가 정보처리 방식에서의 개인 특성을 기술하는 인지스타일로서 개념화 될 수 있는지를 고찰하였다. 공감하기란 상대방의 감정과 생각을 이해하고 이에 공감적으로 반응하려는 동기이며, 체계화하기란 “if-then”과 같은 상관관계 법칙에 따라 작용하는 체계를 분석하고 탐색하려는 욕구이다. Baron-Cohen에 의하면 이 두 기능은 개인차가 있어서 공감하기가 더 발달된 “공감자”가 있는 반면에 체계화하기가 더 발달된 체계화가 있으며, 또 두 기능이 균형적인 “균형잡힌 자”도 있다. 관련 연구들에 대한 이론적 고찰에 의하면, “공감자”에는 다른 사람과 어울리면서 친밀한 관계를 잘 맺는 사람들, 예컨대, 여성, 인기있는 아동과 인문학 전공 대학생들이 포함되며, “체계화자”에는 친밀한 관계를 잘 형성하지 못하지만 체계 내에 작동하는 원리와 규칙을 찾아내는 일을 잘 하는 사람(남성, 자폐인, 천재 과학자, 이공학 전공 대학생)이 포함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Baron-Cohen의 “공감자”와 “체계화자” 개념은 능력과 관련된다는 점에서 기존의 인지스타일과 다르지만, 세상을 이해하는 방식에서의 개인차를 설명한다는 점에서 인지스타일과 유사하다고 볼 수 있다. 또 “공감자”와 “체계화자”는 인간의 적응에 필요한 두 가지 영역의 기능, 즉 사람의 마음을 이해하고 이에 공감적으로 반응하는 기능과 규칙에 의해 지배되는 다양한 체계를 이해하는 기능으로 개인차를 설명하므로, 다양한 집단의 사고와 행동 차이를 폭넓게 설명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 자폐장애와 같이 중증의 장애를 가지고 있는 사람이 정상적인 사람들과 질적으로 다른 사람이 아님을 보여줌으로써 이들에 대한 편견을 감소시키는 데에도 기여한다. This paper examines whether empathizing and systemizing, developed by Baron-Cohen to explain autism spectrum disorders, could be thought of as cognitive styles. Empathizing is the drive to identify and respond to mental states with an appropriate emotion, and systemizing is the drive to analyze or construct law-governed systems. According to Baron-Cohen, some individuals are “empathizers,” for whom empathizing is stronger than systemizing. Some individuals are “systemizers,” for whom systemizing is stronger than empathizing. The rest of the population are “balancers” for whom systemizing and empathizing are operating equally. Many studies have typically categorized womens, popular students and humanities students as “empathizers” who tend to have close relationships with others. On the other hand, those who find it challenging to interact others, but who are proficient at determining the rules of the system are categorized as “systemizers.” This group might include men, individuals with autism, genius scientists, and science students. The “empathizer” and “systemizier” classifications are similar to the cognitive styles that describe an individual’s manner of cognitive functioning with respect to acquiring and processing information. The “empathizer” and “systemizer” classifications are useful in that they explain individual differences in the functions of the two domains necessary for human adaptation, namely the ability to understand and respond empathically to the other’s mind, and the ability to understand the various systems governed by rules. In addition, the “empathizer” and “systemizer” classifications contribute to the reduction of our prejudice by showing that individuals with severe disabilities like autistic disorders are not qualitatively different from typical person.

      • KCI등재후보
      • KCI등재
      • KCI등재

        한국 노인의 사회경제적 지위와 정서조절 간의 관계 : 금전 문제에 대한 반추의 매개효과

        허아정(Ahjeong Hur),김혜리(Hei-Rhee Ghim),김문걸(Moongeol Kim) 한국노년학회 2021 한국노년학 Vol.41 No.6

        본 연구에서는 노인의 사회경제적 지위에 따라 정서조절 능력이 달라지는지를 검증하고자 하였다. 구체적으로는, 사회경제적지위가 낮은 노인은 경제적인 문제에 대해 생각을 많이 하게 되므로 성공적으로 정서조절을 하는데 필요한 인지적 자원이 부족하게되며, 그 결과 적응적인 정서조절 전략은 잘 사용하지 못하고 덜 적응적인 정서조절 전략은 더 많이 사용하는지에 대해 알아보았다. 즉 사회경제적 지위와 정서조절 간의 관계를 금전 문제에 대한 반추가 매개하는지 연구하였다. 만 60세 이상 고령자 279명을 대상으로객관적 사회경제적 지위(수입, 교육 수준)와 주관적인 사회경제적 지위를 평가하는 척도, 인지적 정서조절 척도, 금전 문제에 대한반추 척도에 응답하게 하였다. 연구 결과 주관적 사회경제적 지위가 낮을수록 적응적인 정서조절 전략을 덜 사용하였다. 그리고 그관계를 금전 문제에 대한 반추가 부적 관계로서 매개하였다. 즉, 주관적 사회경제적 지위가 낮을수록 금전 문제에 대한 반추를 더많이 하는 경향이 있었는데 이것은 적응적인 정서조절 전략을 더 적게 사용하는 것과 관련이 있었다. 반면 객관적 사회경제적 지위와적응적인 정서조절 전략 사용 간의 관계는 유의하지 않았다. 본 연구는 노년기 주관적 사회경제적 지위에 따라 정서조절 능력의 차이가있으며, 이러한 차이가 금전 문제에 대한 반추와 관련됨을 보여주었다. 객관적 사회경제적 지위와는 달리 주관적 사회경제적 지위가정서조절에 차별적으로 미치는 영향에 대해 논의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verify whether the ability to regulate emotions varies depending on the socioeconomic status in old age. Older people with low socioeconomic status will spend more of their cognitive resources on worrying about financial problems, and as a result, they will lack the cognitive resources necessary for successful emotion regulation. This study tested whether the relationship between socioeconomic status and emotion regulation of the elderly is mediated by rumination on financial problems. Two hundred a nd seventy-nine older adults over 60 years of age or older participated in this study. Participants were asked to answer the survey questions evaluating objective and subjective socioeconomic status, cognitive emotion regulation, and rumination on financial problems. The result showed that the lower the subjective socioeconomic status, the less older adults used the adaptive emotion regulation strategies. In addition, the rumination on financial problems mediated the relationship. On the other hand,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use of adaptive emotion regulation strategies and objective socioeconomic status was not significant. This study showed that the emotion regulation abilities of the elderly differed according to their subjective socioeconomic status. Unlike the objective socioeconomic statue, the differential effects of subjective socioeconomic status on emotion regulation were discussed.

      • KCI등재

        노년기 자아통합 척도의 개발 및 타당화 연구

        최수현(Choi Su Hyeon),김혜리(Ghim Hei Rhee) 한국노년학회 2016 한국노년학 Vol.36 No.2

        본 연구는 자아통합을 과거수용으로 정의하고 이를 측정하는 척도를 개발하여 신뢰도와 타당도를 검증하고자 실시하였다. 전문가 집단의 문헌연구를 통한 문항 개발과 문항 검토를 통해 15개의 문항을 최종 예비문항으로 선정하였고 이를 60세 이상 노인 436명에게 실시하였다. 이중 404명의 자료로 문항 분석과 탐색적 요인분석을 실시하였고, 이를 통해 2요인 10문항으로 이루어진 자아통합 척도를 개발하였다. 요인 1은 모두 6개 문항으로 과거 삶의 의미를 이해하고 이를 수용하였는지를 알아보는 문항들로 구성되어, 요인 1을 ‘삶에 대한 긍정적인 태도’로 명명하였다. 요인 2는 4개 문항으로 자신의 삶을 부정하거나 과거를 있는 그대로 받아들이지 못하는 문항들로 부적 반응이 강할수록 과거를 수용한 것으로 볼 수 있기에, 요인 2를 ‘과거 수용’으로 명명하였다. 척도 전체 Cronbach α는 .87, 요인별 Cronbach α는 .92, .81이었다. 개발된 척도에 대한 확인적 요인분석과 추가적인 탐색적 요인분석 결과 2요인 구조 모형이 적합한 것으로 검증되었다. 또 관련 검사들과의 상관분석 결과, 척도의 타당도가 확인되었다. 본 척도의 특징은 현재 삶의 외적인 조건에 의해 자아통합 수준이 영향을 받을 수 있는 현재 삶의 만족 등을 묻는 문항은 포함하지 않았다는 것이다. 또한 본 척도는 비교적 적은 수의 문항으로 구성되어 노인들에게 쉽게 사용될 수 있다는 특징이 있다. 끝으로 본 연구의 의의와 한계점을 논의하고 후속 연구 방향을 제안하였다. This study was performed to develop a new ego-integrity scale and to test its reliability and validity. First, the preliminary 15 items were obtained by item development through literature review and by item selection from existing scales. These items were administered to 436 elderly. Through item analysis and exploratory factor analysis, an ego-integrity scale consisted of 10 items with 2 factors was developed. Factor 1 was consisted of 6 items measuring the understanding of the meaning of past life and acceptance of past life, so it was labeled as positive attitude to life . Factor 2 was consisted of 4 items measuring the denying one s own past life, blaming others, and not accepting one s own life as it is. This factor was labeled as “acceptance of past life”. Cronbach α of total 10 items was .87, and items in two factors were .92 and .81 each. Confirmatory factor analysis and additional exploratory factor analysis demonstrated that the 2 factor model was satisfactory. Reliability analysis of the ego-integrity scale and correlation analysis with the related tests indicated that the ego-integrity scale was a reliable and valid test. One characteristic of this test is not containing the items asking the present life satisfaction that could be affected by the external life conditions. In addition, this test was composed of a relatively small number of items that it would be appropriate to the elderly. The implications and limitations were discussed and directions for the further research were suggested.

      • KCI등재

        깨진 거울인가 깨지지 않은 거울인가?

        손정우(Jung-Woo Son),김혜리(Hei-Rhee Ghim) 대한소아청소년정신의학회 2013 소아청소년정신의학 Vol.24 No.3

        20세기의 가장 중요한 신경과학적 업적 중의 하나인 거울 뉴런의 발견은 ASD에서의 모방 및 공감 문제를 설명해줄 핵심 원인으로 인식되었으며 결국 2000년대 중반 ‘깨진 거울 이론’이 공식적으로 등장하게 되었다. 깨진 거울 이론은 돌출풍경 맵 이론에 의해 보완되면서 ASD에서의 과잉 모방 및 자율신경계 과다 항진까지 보다 정교하게 설명할 수 있게 되었다. 그러나 ASD 환자가 항상 모방 문제를 보이지는 않는다는 것, 모방과 에뮬레이션에 대한 구별이 중요하다는 것이 밝혀졌다. ASD의 깨진 거울 이론에 대한 한계점을 비판하는 연구자들은 결국 모방과 공감에 대한 뇌의 사회적 하향 조정 시스템 문제를 강조하는 ‘STORM 이론’을 내놓게 되었다. 깨진 거울 이론과 STORM 이론 중 어느 것이 더 옳은 이론이라고 현재 단정지을 수는 없다. 깨진 거울 이론은 여전히 학계의 지지를 받고 있으며 지금까지 상당한 연구 성과를 내고 있다. 그러나 STORM 이론은 깨진 거울 이론에서 특별히 강조하고 있지 않은 ‘사회적 맥락’의 중요성을 강조하며, 마음 이론 등의 정신화 기제가 뇌의 거울 뉴런계를 직접 조정하여 보다 더 세밀한 모방이 이루어진다는 것을 잘 보여주고 있다. 향후 STORM 이론 관련 연구 결과들이 어떻게 나올지를 관심있게 지켜볼 필요가 있다. 이 두 이론은 ASD의 사회적 인지에 관한 연구를 실시할 때 연구 방법이 얼마나 정교해야 하는지를 잘 알려주고 있다. 이는 모방과 공감 문제에 대한 치료 프로그램을 개발하는 경우에도 마찬가지로 적용되는 문제이다. 그러나 이러한 노력은 필연적으로 ASD에 대한 이해의 폭을 넓히게 되며 궁극적으로 ASD 환자에 대한 생물학적, 비생물학적 치료법의 발견에 기여하게 될 것이다. 두 이론을 각각 지지하고 있는 연구자들 간의 모범적인 논쟁을 지속적으로 기대하고자 한다. The discovery of the mirror neuron system (MNS) is one of the most important neuroscientific achievements in the 20th century. Some researchers had reported that MNS dysfunction was discovered in autism spectrum disorders (ASD). Finally, the ‘broken mirror’ theory of ASD was announced in the mid 2000’s. According to this theory, ASD cannot simulate the mind and behavior of others due to MNS dysfunction; therefore, they cannot imitate the behaviors and empathized with the mind of others. However, ASD does not always show imitation problems. The researchers who have criticized the ‘roken mirror’theory proposed the ‘ocial top-down response modulation (STORM)’theory. On STORM theory, the medial prefrontal cortex or temporoparietal junction, brain areas related with mentalising, might modulate MNS according to social context. We compared the strengths and weaknesses of each theory.

      • KCI등재

        남은 시간 인식이 회상기억에 미치는 영향

        안미소(An, Mi So),김혜리(Ghim, Hei-Rhee) 한국노년학회 2018 한국노년학 Vol.38 No.1

        사회정서적 선택이론에 의하면, 사람들이 자신의 미래가 길다고 인식하면 미래지향적인 삶의 목표를 가지나, 짧다고 인식하게 되면 삶의 목표가 현재의 정서적 만족을 추구하는 것으로 변화된다. 따라서 나이가 들어 남은 인생기간이 짧다고 인식하게 되면, 현재의 정서 상태를 긍정적으로 유지하기 위해 부정적인 자극보다 긍정적인 자극에 더 주의하고 더 잘 기억하게 되는데, 이를 긍정성 효과라 한다. 본 연구에서는 사회정서적 선택 이론의 주장과 같이 긍정성 효과는 남은 인생기간이 짧다고 인식하여 나타나는 현상인지를 연구하였다. 참가자에게 시간이 확장되거나 제한되는 가상의 상황에 대한 시나리오를 제시하고 그 상황에서 어떤 일을 할 것인 지, 누구와 시간을 보내고 싶은지 등에 대해 대화를 나누도록 하여 가상의 상황에 몰입하도록 하였다. 그 후 긍정, 부정, 중립적인 정서 사진들을 제시하고 10분 후에 회상시켰다. 75명의 대학생과 65명의 노인이 연구에 참여하였다. 남은 인생기간을 조작하지 않는 통제조건에서 노인은 부정사진 보다 긍정사진을 더 많이 회상하는 긍정성 편향을 보였으며, 청년은 반대로 부정사진에 대한 편향을 보였다. 시간확장조건의 노인은 통제조건의 노인에 비해 긍정사진을 덜 회상하였고 부정사진은 더 많이 회상하였다. 이에 반해 시간제한 조건의 청년은 통제조건의 청년에 비해 부정사진을 덜 회상하였다. 이는 노인도 남은 인생기간을 길게 인식하면 긍정 회상이 감소하고 부정 회상은 증가하여 긍정성 편향을 보이지 않는다는 것을 보여준다. 반대로 청년의 경우 남은 시간이 제한적인 상황에서 부정 회상이 감소하는 긍정성 편향과 유사한 반응을 보였는데, 이러한 반응은 노인이 보이는 반응과 유사한 것이다. 이러한 결과는 긍정성 편향은 남은 시간을 제한적으로 인식할 때 나타나는 현상임을 보여준다. According to socioemotional selectivity theory, if people perceive their time left in life as expanded, they have a future-oriented goal of life, but if perceive as limited the goal of life is changed into the pursuit of present emotional satisfaction. Thus, if we perceive our time left as getting limited as we get older, we pay more attention to the positive stimuli than the negative ones and remember more the positive stimuli in order to maintain the current emotional state as positive. This is known as the positivity effect. This study examined whether the positivity effect is caused by a limited future time perspective. The participants were presented with scenarios for hypothetical situations in which the future time was expanded or limited, and were encouraged to immerse in the virtual situation by talking about what they would like to do and whom they wanted to spend time with. Then the participants were presented with 48 positive, negative, and neutral emotional pictures and were asked to recall after 10 minutes delay. 75 university students and 65 elderly participated in the study. In the control condition where the future time perspective was not manipulated, the elderly showed the positivity effect but the youth showed the bias toward negative pictures. The elderly in the expanded time condition recalled positive pictures less and negative pictures more than the elderly in the control condition. On the other hand, the youth in the limited time condition recalled less the negative pictures than the youth in the control condition. These results demonstrated that the elderly did not show the positive bias when the future time perspective was expanded, and that the youth showed the positive bias when the future time perspective was limited. These results show that the positivity effect is related with the limited future time perspective.

      • KCI등재

        정서경험 빈도와 정서조절 방향에 나타난 한국 노인의 정서최적화 특징

        안미소(An Mi So),김혜리(Ghim Hei Rhee) 한국노년학회 2017 한국노년학 Vol.37 No.1

        나이가 들면서 남은 인생이 제한적임을 느끼게 됨에 따라 부정정서 경험을 최소화하고 긍정정서 경험을 극대화하는 방향으로 정서조절하게 된다는 사회정서적 선택이론을 한국 성인을 대상으로 검증하였다. 긍정적인 정서의 부정적 측면과 부정적인 정서의 긍정적 측면이 존재함을 인정하는 동양의 변증법적 정서개념에서는 부정정서를 최소화하고 긍정정서를 극대화할 필요성이 크지 않을 수 있다. 따라서 변증법적 정서개념에 기초한 동양문화권의 한국 노인은 긍정정서를 극대화하고 부정정서를 최소화하기보다는 각성을 줄여서 편안한 상태를 유지하는 방향으로 정서 조절할 가능성이 있다. 166명의 청년, 중년, 노인을 대상으로 PANAS 척도를 사용하여 각성수준이 다양한 긍정, 부정 정서경험의 빈도를 평가하였으며, 정서경험 상황에서 정서를 약화/순응/극대화 하는 지에 대해 질문하였다. 노인이 청년보다 부정정서 뿐만 아니라 긍정정서도 덜 빈번하게 경험하였다. 또 정서문항을 각성수준에 따라 분류하여 분석한 결과, 청년들은 고각성 정서를 저각성 정서보다 더 자주 경험하였으나, 노인들은 고각성 정서를 덜 경험하였다. 또 노인은 청년보다 부정정서를 약화시킨다는 반응과 긍정정서를 약화시킨다는 반응을 더 많이 하였다. 이에 반해 긍정정서를 극대화한다는 반응은 청년이 가장 많았다. 이러한 결과는 한국 노인은 각성수준이 높은 긍정정서와 부정정서를 모두 약화시켜서 정서적 안정을 유지함을 시사한다. This study was performed to test the socioemotional selectivity theory (SST) with Korean adults. According to SST, perceiving their life as limited, people are motivated to enhance their mood by regulating their mood in such a way to maximize the positive emotions and weaken the negative ones. Being founded on the dialectical constructs which assume the positive and negative sides of emotional experience coexist, Korean adults were supposed to be less motivated to maximize positive emotions and weaken negative emotions. Thus the elderly koreans might regulate emotions not in the direction of maximizing the positive emotions and weakening the negative ones, but in the direction of not being highly aroused. 166 youth, middle-aged, and elderly were asked to rate the frequencies of 31 positive and negative emotions they had experienced during the last month. In addition, they were asked to judge whether they weaken / adapt / maximize their emotions after experiencing positive and negative events. The elderly experienced less positive emotions as well as negative emotions than youth. Youth experienced emotions of high arousal more often than those of low arousal, but the elderly experienced emotions of high arousal less often. The responses of weakening their negative emotions and their positive emotions were largest in the elderly group. On the other hand, the response of maximizing their positive emotions were largest in the youth group. These results show that the elderly maintains emotional stability by weakening both positive and negative emotions of high arousal.

      • KCI등재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