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SCOPUSKCI등재

        면역약침(免疫藥鍼)을 이용(利用)한 방광암(膀胱癌) 치험(治驗) 1례(例)

        김동석,오성종,이상룡,Kim, Dong-Suk,Oh, Sung-Jong,Lee, Sang-Ryong 대한약침학회 2002 Journal of pharmacopuncture Vol.5 No.1

        In oriental medicine bladder cancer had been called '溺血(Hematuria)', 血淋(Blood Stranguria)', 濕熱河注(Downward Flow of Damp-heat)' and so on. The symptoms are Hematuria, Oliguria, Lower abdomen pain, febrile sensation and Anemia etc. These are similar to the symptoms of bladder cancer by modem medicine. I have experienced a bladder cancer patient who was diagnosed as stage Ⅲ. She has been treated bladder cancer with Immunity herbal acupuncture and Her clinical and objective symptoms have been better. Therefore I report this results.

      • KCI등재

        치매(痴?)의 침구치료(鍼灸治療)에 대(對)한 문헌적(文獻的) 고찰(考察)

        김동석,서상수,권순철,Kim, Dong-Suk,Seo, Sang-Su,Kwon, Sun-Chul 경락경혈학회 2004 대한침구의학회지 Vol.21 No.2

        Objectives : This study is designed to investigate the pathology, acupuncture and moxibustion therapy applicable of the dementia through literature of oriental medicine. Results : The finding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 1. The cause of dementia is internal damage of seven emotions(七情內傷), deficiency of the kidney essence(腎精不足), retention of dampness in the mental(痰迷心竅). 2. The acupuncture meridians used often for dementia are $Tok-maek(GV),\;Chok-t'aeyang\;Pang-gwang-Ky\check{o}ng(BL),\;Chok-yangm\check{o}yng\;Wi-Ky\check{o}ng(ST),\;Su-gwor\check{u}m\;Shimp'o-Ky\check{o}ng(PC),\;Su-so\check{u}m\;Shim-Ky\check{o}ng(HT)$. 3. The spots on the body suiTable for acupuncture used for therapy of the dementia are 98 points and extra points are 6 points, total therapeutic acupunture points are 104 points. And acupunture points are frequently used Shinmun(神門-HT7, 24), Paek'oe(百會-GV20, 19), Chok-samni(足三里-ST36, 18), Sugu(水溝-GV26, 17), P'ungnyung(豊隆-ST40, 16), Taech'u(大椎-GV14, 14), $Sam\check{u}mgyo(三陰交-SP6,\;14)$, Shimsu(心兪-BL15, 14), $Taen\check{u}ng(大陵-PC7,\;11)$, Nogung(勞宮-PC8, 11), Sosang(少商-LU11, 10), Kansa(間使-PC5, 10), Naegwan(內關-PC6, 10). 4. The acupoints used often on moxibustion are Paek'oe(百會-GV20), Chang-gang(長强-GV1), Taech'u(大椎-GV14), Kansa(間使-PC5). Conclusion : It is recommended that further study of many sided investigations in the future.

      • KCI등재

        『白雲筆』硏究

        金東錫(Kim, Dong-Suk) 한국고전번역원 2007 民族文化 Vol.- No.30

        延世大學校에 소장된 『白雲筆』은 李鈺의 晩年작품으로 근래에 새롭게 所在地와 作者가 밝혀진 책이다. 『白雲筆』의 上卷은 「談鳥」· 「談魚」·「談獸」·「談蟲」·「談花」, 下卷은 「談穀」·「談果」·「談菜」·「談木」·「談草」로 구성되어 있는데, 각각 새 · 물고기 · 짐승 · 벌레 · 꽃 · 곡식 · 과일 ·채소나무 · 풀에 얽힌 일화를 소개하고, 典故를 밝히는 형식을 취하고있다. 이런 소재의 선택에 대하여 李鈺자신은 서문에서 范益謙의 七不言에 포함되는 조정의 利害, 州縣의 長短, 官職의 財利, 女色과 酒食등의 내용을 피하기 위한 것이라고 말하고 있다. 『白雲筆』의 형식은 『爾雅』와 유사하다. 그리고 백과사전적 지식이 가득한 『白雲筆』의 내용에는 그가 사회적 좌절에서 오는 절망감을 지독한 역설로 표현한 부분도 있다. 『白雲筆』에 방대한 전고를 동원할 수있었던 것은 그가 북학파의 일원으로 북경의 書肆에 밝은 柳得恭과 姻戚관계에 있었기 때문에 가능하였으리라고 본다. 『白雲筆』은 바로 이런 배경을 가지고 있다. 본고는 이런 『白雲筆』을 통하여 그의 글쓰기 속에 투영된 의식과 현실을 바라보는 세계관을 살피고, 동시에 이런 글이 창작된 배경을 살펴 보기 위하여 작성하였다. 특히 『白雲筆』의 형성과정을 당시 淸나라에 만연하였던 考證學과, 朝鮮에서 특별한 의미를 가지는 漢學과 宋學과도 연관지어 보았다. 여기에 『白雲筆』창작에 영향을 준 것으로 보이는 1801년 청나라 書肆의 분위기도 柳得恭의 『燕臺再遊錄』을 통하여 살펴 보았다. 이런 연구가 진행된다면, 『白雲筆』의 창작 의의를 부각시킬 수 있고, 漢學과 宋學이 대립적 입장으로 이해되던 시기에 『白雲筆』이 가지는 위상도 알 수 있을 것이다. 그리고 부수적으로 작품 속에 나열된 禽獸草木등의 변천과정을 통하여 그간에 자연 생태계의 변화도 느낄 수 있을 것이다. 하지만 무엇보다도 우리의 문학이 자기 위상을 찾지 못한 시기에 남다른 그의 작품 세계를 통하여 한 명의 작자의 세상관도 부각 될 수 있을 것이다. 『Bak Yun Pil, 白雲筆』was written by Lee, Yok(李鈺) in korea at the beginning of 19 th century during Chos?n dynasty(朝鮮王朝). At that time Korean cultured man used classical chinese character to write. Under the influence of confucianism, Chos?n dynasty advocates classical type of writing based on confucian classics. As a student in Sung Kyun Kwan, Lee-Yok(李鈺) have written examination paper with the style of witting based on novel which is against the classical type of writing. So he have to go exile. And it takes many years for him to recover his right. He was freed from his exile in 1800, and 『Bak Yun Pil, 白雲筆』was started to be written in 1803. It takes for him about two years. At that time there are constant controversy between 〔HanXue: 漢學〕 and 〔SongXue : 宋學〕 in China. After that 〔HanXue : 漢學〕became the main streem in China. But Chos?n dynasty advocates〔SongXue: 宋學〕 and opposed 〔HanXue: 漢學〕. It is because Chos?n dynasty advocates ideology of confucianism, so they have to choose 〔SongXue: 宋學〕. But the characteristic of this book is that it is close to 〔HanXue: 漢學〕. And it means that Lee-Yok(李鈺) is somewhat free from ideology of confucianism. The reason why he is freed from ideology of confucianism is partly because he was influenced by his cousin Liu, de gong 柳得恭who have been to Chiana many time as a envoy. Liu, de gong 柳得恭is well informed about chia intelligence. Through 『Bak Yun Pil, 白雲筆』, we can understand korean traditional animals and plants. And we can understand the thinking of author who are freed from exile and isolated from their society. It is meaningful that this book is written during the time of changing from 〔SongXue : 宋學〕 to 〔HanXue : 漢學〕 in 19th century Korea. And the formality of 『Bak Yun Pil, 白雲筆』was influenced by 〔HanXue : 漢學〕in China.

      • KCI등재
      • 모바일 협업 환경하에서 헬스케어 응용 서비스의 구현

        김동석(Dong-Suk Kim),정창원(Chang-Won Jeong),주수종(Su-Chong Joo) 한국정보과학회 2006 한국정보과학회 학술발표논문집 Vol.33 No.1

        본 논문에서는 다수의 모바일 장치가 협업을 할 수 있는 환경을 제안하고, 이를 기반으로 헬스케어 응용 서비스에 적용함을 보였다. 제안한 협업 환경은 센서와 모바일 장치, 모바일 장치와 모바일 장치, 모바일 장치와 홈 서버의 상호작용을 3가지 타입으로 정의 하였다. 또한 이들간의 정보 교환은 Push와 Pull방식으로 구분하였으며, 다수의 센서로부터 수집된 정보는 보안 정책에 따라 모바일 장치간 정보를 교환하거나 홈 서버에게 전달한다. 보안 정책은 개인 의료처방과 예방을 위한 개인 정보와 주변 환경에 관련된 공개 정보로 나누어 관리하여 협업 환경에 적용하였다. 이는 개인 사용자마다 상이한 서비스를 제공하는데 기반이 된다. 이를 위한 구현 기술로는 적시성을 보장하는 TMO 스킴을 이용하여 컴포넌트를 설계 및 구현하였으며, 이들간의 상호작용은 TMOSM을 사용하였다.

      • KCI등재후보

        장서각 소장 『玉振齋詩稿』 연구

        김동석(Kim, Dong-suk) 한국학중앙연구원 2014 장서각 Vol.0 No.32

        이 글은 藏書閣에 소장되어 있는 周命新의 『玉振齋詩稿』를 고찰하였다. 『옥진재시고』는 주명신이 1780년과 1784년에 북경을 갔다 오면서 남긴 기행시를 수록하고 있다. 특히 1780년 북경에 함께 간 사람은 正使 朴明源과 朴趾源, 盧以漸 같은 사람이 있는데, 이중 子弟軍官의 신분인 박지원은 『熱河日記』를, 정사의 裨將인 노이점은 『隨?錄』을 남겼다. 그리고 정사의 裨將인 주명신의 『玉振齋詩稿』는 박지원과 노이점, 박명원 같은 사람들과 和韻한 시뿐만 아니라 북경에 가면서 보았던 명승지, 자신이 느꼈던 감회 같은 것을 기록하고 있다. 이들의 세계관은 독특하다. 박지원이 북학사상을 주창하고 있었을 때 노이점은 여전히 북벌을 이야기하였다. 주명신도 瀋陽에 가서 정묘호란과 병자호란의 아픔을 노래했고, 廣寧城에서는 李成梁의 양자인 누르하치[努爾哈赤]의 등장을 안타까워하였다. 寧遠城에 가서는 청나라에 투항한 祖大壽와 祖大樂을 비판적인 시각으로 보았다. 배청사상이 역사 유적지에 가서 표출된 것이다. 1780년 주명신은 정사 박명원을 따라 박지원과 함께 열하에 다녀오면서 7言古詩 형태로 126句로 구성된 「熱河行」이라는 장편의 서사시를 남긴다. 이 글에서는 열하에 다녀오면서 남긴 주명신의 시와 박지원의 『열하일기』도 함께 분석하였다. 한편 1784년 10월 주명신은 또 다시 북경으로 떠난다. 정사 李徽之와 부사 姜世晃, 서장관 李泰永이었다. 1784년 연행은 강세황이 그림을 남긴 것으로도 유명하다. 주명신은 이때의 체험을 주로 7언절구와 5언율시, 7언율시의 형식을 빌려 쓴 시가 많다. 이 글에서는 주명신의 1780년 기행시를 중심으로 『열하일기』와 『수사록』의 내용을 함께 살펴보았다. 박지원이 7월 15일 남긴 『열하일기·馹?隨筆』의 기록과 『옥진재시고』를 비교해 보면, 박지원이 지목한 中士의 실체가 周命新이라는 것을 추정할 수 있다. 특히 上士가 盧以漸을 두고 말한 것으로 보아 박지원은 정사 주변의 있던 사람들이 보여주었던 대청인식을 비판하면서 자기의 北學이론을 改進한 것으로 보인다. 노이점은 『수사록』에서 주명신을 자주 언급하고 있다. 이 기록을 통해 북경 가는 도중에 있었던 주명신의 모습과 일화도 파악할 수 있으며, 이를 통해 그의 『옥진재시고』에 나타난 시세계를 깊이 있게 이해할 수 있다. 주명신이 『옥진재시고』에서 노래한 시세계를 통해 당시 여행의 풍경도 풍부하게 이해할 수 있다. 무엇보다도 『옥진재시고』는 『열하일기』와 『수사록』을 깊이 있게 이해할 수 있게 하여 주고, 『열하일기』와 『수사록』은 『옥진재시고』의 가치를 높여 준다고 할 수 있다. This book OkJinseSiGo (玉振齋詩稿) by ZuMongSin (周命新) is in Jangseogak Archives (藏書閣). ZuMongSin had been to china in 1780 and wrote many poem during his travel in OkJinseSiGo This journey he went with RoYiZum (盧以漸) and ParkJiWon (朴趾源). And RoYiZum left SUSAROK (隨?錄) after had been to BeiJing while ParkJiWon wrote YULHAILKI (熱河日記) in classical chinese. YULHAILKI which is very similar to narrative is one of the most important traveling book. But there are also differences in content and form with SUSAROK and YULHAILKI, SUSAROK. OkJinseSiGo is a poem while the others are prose. In contents, While OkJinseSiGo and SUSAROK were written as a position of attacking the Qing dynasty if possible in order to revenge the Manchu war of 1636 (丙子胡亂). But in YULHAILKI persists to accept China culture. But this contradictory opinions between three pepple make us to underestand Cho Sun dynasty at that time more better. During they are journey, ParkJiWon and ZuMongSin had been to ChengDeRiHe (承德熱河) because Emperor Qianlong was there while RoYiZum is in BeiJing. And ZuMongSin left something like epic poet YulHaHang (熱河行). So through comparing YulHaHang and YULHAILKI, what the the Joseon Dynasty envoy came into conflict with Qing Dynasty high-ranking government officials.

      • KCI등재

        기획논문 : 연민학(淵民學) 제7차 학술대회 ; 연민선생의 『연암소설연구』; 허생의 삼대책(三大策)을 중심으로

        김동석 ( Dong Suk Kim ) 연민학회 2012 연민학지 Vol.18 No.-

        서구세력이 점차 동양으로 진입하여 커다란 변화가 예상될 무렵 연암은 북경을 다녀오고, 자신의 견문을 담은 『열하일기』를 창작한다. 연암이 남긴 서사작품 「허생」은 「호질」과 함께 『열하일기』에 있는 작품이다. 본고에서는 허생의 삼대책(三大策)을 살펴보고자 한다. 연민 선생은 연암소설연구에서 허생이 이완장군에게 제시한 삼대책을 용첩(用諜)과 입학(入學), 유환(遊宦), 통상(通商), 치발(치髮), 호복(胡服) 같은 것으로 나누어 고찰하였다. 본고에서는 연암소설연구에 고찰한 三大策을 후속연구의 일환으로 허생이 이완에게 제시한 삼대책과 관련된 내용을 『열하일기』에서 찾아 분석하려고 한다. 허생이 제시한 용첩과 입학, 유환, 통상 같은 것은 중주인물과 교류하여 북벌을 실행할 수 있는 것이다. 사람을 만나야 변화하는 시대의 정보를 구할 수 있고, 일을 할 수 있기 때문이다. 이에 북학파의 태동 이후 북경에서 연암이 만나 교류한 사람에 대하여 살펴보았다. 연암은 북경에서 이여송(李如松)의 후손을 만나 조선에 있는 집안사람에게 족보를 보낸 적이 있다. 전후 과정이 허생이 제시한 명나라 후손과 관련이 있고, 이것이 삼대책의 중요한 소재가 된 것으로 보인다. 의복에 대한 견해로 그의 시대관을 엿볼 수 있다. 장자에 있는 말을 인용하여 깨진 기왓장과 똥거름 속에서도 볼 것이 있다고 주장한 연암은 복장 문제도 간과하지 않는다. 특히 조선 사신의 일행이 북경을 연행할 때 만난 청나라 사람들이 조선 사람들의 복장을 조롱하는 일화가 있었다. 분명 연암도 이런 대열에서 이것을 체험하였을 것이다. 연암이 이런 체험이 의복에 대한 관심을 더욱 자극하였을 것이라고 본다. 『연암소설연구』에서 문체 파동에 대하여 비중 있게 연구된 적이 있다. 특히 조선에서는 과거제도를 통해 더욱 유교 중심 사회를 이룩하려고 한다. 본고에서는 작품에서 허생이 이완에게 제시한 유환은 연암 당시에는 어떤 의미를 가지는 지 살펴보았다. 『열하일기』에 『장자』의 말을 수시로 인용하는 것은 분명 관료를 지향했던 선비들에게 금기시 되는 저술활동이다. 또 중국 한자에서 잘 쓰지 않는 한자어도 연암은 자신이 구상하려는 것을 표현하기 위하여 조어(造語)에 가까운 표현을 한다. 이런 경우를 몇 가지 살펴보기로 한다. YeonArm is one of the important literary man in 18 century in the Zosun dynasty. In 1980, YeonArm who is called ParkJiWon has been to BeiJing and write 『YULHAILGYI』. An analogy of Heshang come from in In this book. An analogy of Hesheng contains the story between Hesheng and general Yiwan. This analogy is based on the background in 16century. At that time Joseon Dynasty was invaded by Qing dynasty. In order to overcome this situation Yiwan ask Hesheng for some advice how to attack Qing dynasty. Heshang made 3 policy for overcoming Qing dynasty. Even though 3 policy for overcoming Qing dynasty in 16 century, its policy is very cloely related with situation in 18 century when the writer wrote this story. So this paper investigate into 『YULHAILGYI』 to find some elements that is related with Heshang` 3 policy. First, Heshang suggested to wear casual clothes in order to carry out war in 16century. But general Yiwan rejected that request because it is almost impossible to change traditional clothes. When Parkziwon and Royizom visited Beijing in 1780 with an Joseon Dynasty envoy, they are sometimes ridiculed on the street by chinese children because their clothes are quite different from chinese people. Royizom wrote down what he feeled shameful in his traveler` note that is called 『Susalok』. But Parkziwon didn`t note down in his traveler` note that is called 『YULHAILGYI』. Even though Parkziwon didn`t note down this thing, he expressed many another words about clothes. So what the Heshang` said about clothes is closely related his experience in Beijing. This paper conclude that the voice of Hesheng in the voice of Parkziwon in 18century. Hesheng advised general Yiwan to urge Joseon Dynasty state minister to let their descendant marry Ming明 Dynasty descendant who were living in Korean peninsular in 16 century. General Yiwan also denied Hesheng` proposal because Joseon Dynasty were so conservative that they wouldn`t accept this proposal. Hesheng`s this idea come from Parkziwon` experience. During his staying in Beijing in 1780. In 『YULHAILGYI』, Parkziwon` met with Leehongmoon who is the descendant of Ming Dynasty general Leesheng- yang. Leehongmoon asked Parkziwon to deliver by hand their family tree book. Under Qing Dynasty it is taboo. Through this paper, it cud be said that many people in Joseon Dynasty in 18 century still strongly want to revenge Qing Dynasty because Joseon Dynasty were conquered by Qing Dynasty in 16 century. So Parkziwon criticize his society atmosphere through Hesheng`s saying in his writting 『YULHAILGYI』. And by overcoming an expedition to conquer the north, Qing Dynasty, it is possible to learn Qing Dynasty that is the only country at that time that Joseon Dynasty could meet outside world at that time.

      • 영도대교 초박층 교면포장재 개발

        김동석 ( Kim Dong-suk ),이정현 ( Lee Jeong-hyun ) 한국구조물진단유지관리공학회 2022 한국구조물진단유지관리공학회 학술발표대회 논문집 Vol.26 No.2

        국내 유일의 도개교이자 부산을 대표하는 관광지인 영도대교의 초박층 교면포장 연구개발 추진배경은 도개교 특성상 준공당시 경량화를 위해 T=1로 포장시공 되었으나, 도로노면 포장상태가 중차량의 지속적인 이동과 공용년수 경과에 따라 균열박리, 박락 등이 지속적으로 발생하였고, 준공(‘13년)당시 도개교 구간 포장 시공자재가 미국산으로 물품수급에 장시간이 걸리는 등 적기 보수에 어려움이 있었다. 국내에서 도개교 구간 포장은 영도대교 이외 국내시공이 전무하여 시설물 공영수명 연장을 위해 영도대교 도개구간의 포장 대체제 개발을 인식하게 되었고, 부산지역업체와 1년 6개월간 기술개발 협업을 통해 교면포장용 초박층 포장재 특허출원을 하게 되었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