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BubR1 acetylation at prometaphase is required for modulating APC/C activity and timing of mitosis

        Choi, Eunhee,Choe, Hyerim,Min, Jaewon,Choi, Ji Yoon,Kim, Jimi,Lee, Hyunsook Nature Publishing Group 2009 The EMBO journal Vol.28 No.14

        <P>Regulation of BubR1 is central to the control of APC/C activity. We have found that BubR1 forms a complex with PCAF and is acetylated at lysine 250. Using mass spectrometry and acetylated BubR1-specific antibodies, we have confirmed that BubR1 acetylation occurs at prometaphase. Importantly, BubR1 acetylation was required for checkpoint function, through the inhibition of ubiquitin-dependent BubR1 degradation. BubR1 degradation began before the onset of anaphase. It was noted that the pre-anaphase degradation was regulated by BubR1 acetylation. Degradation of an acetylation-mimetic form, BubR1–K250Q, was inhibited and chromosome segregation in cells expressing BubR1–K250Q was markedly delayed. By contrast, the acetylation-deficient mutant, BubR1–K250R, was unstable, and mitosis was accelerated in BubR1–K250R-expressing cells. Furthermore, we found that APC/C–Cdc20 was responsible for BubR1 degradation during mitosis. On the basis of our collective results, we propose that the acetylation status of BubR1 is a molecular switch that converts BubR1 from an inhibitor to a substrate of the APC/C complex, thus providing an efficient way to modulate APC/C activity and mitotic timing.</P>

      • THE IMPACT OF HUMOR IN ANNOUNCEMENTS ON SERVICE CUSTOMER’S INTENTION TO COMPLY WITH THE ANNOUNCEMENT

        Eunhee Kim,Sunmee Choi,Shinyoung Kim 글로벌지식마케팅경영학회 2016 Global Marketing Conference Vol.2016 No.7

        Service customers influence the quality of service outcome through their role in the service delivery process. As a way of informing customers of their role and motivating customers to play the role well, service providers often use auditory announcements. However, how to design an effective announcement for service customers still remains largely under-studied. To fill this gap in the research, the current study examines the impact of humor in a service announcement on customer intention to comply with the announced message. Specifically, we examine the impact of two humor design factors: location of humor in the announcement and the degree of message-relatedness of the humor. Further, we explore the structure of the impact of humor on customer intention to comply. We propose that the two design elements of humor will first influence the degree of customer perceptions of funniness of the announcement, which will influence the degrees of customer attention to the announcement and customer memory of the message, which will eventually influence customer intention to comply with the message. To empirically examine our hypotheses, we conducted a two (positions of humor: beginning versus ending of the announcement) by two (message relatedness of humor: strong versus weak) between-subject experiment. The context of our experiment was college students’ course evaluation. In the message, listeners were asked to participate in an online evaluation of the course which they were taking. Pre-recorded messages were played to students at the beginning of five different sections of one particular course at a business school in a major university in Seoul, Korea. The results of an ANCOVA analysis demonstrated the significant impact of both humor position in the message and the message-relatedness of the humor. A structural equation modeling analysis showed that perceived funniness influence customer attention to the announcement but not customer memory of the message. The degree of customer attention, in turn, influenced customer intention to comply with the announced message.

      • KCI등재

        A Study on i-Fashion 3D Avatar's Consumer satisfaction & Comparison of 3D and Direct Masurement - Based of Domestic University Students

        Choi, Eunhee,Do, Wolhee The Society of Fashion and Textile Industry 2015 한국의류산업학회지 Vol.17 No.3

        This research is to understand customer satisfaction with virtual fitting based on a 3D body scanner and avatars as well as differences between avatars and the 'real me'. To this end, this research examined Korean college students to facilitate 3D body scanning, avatar generation and surveys. The author used 3D body scan data with direct measurements to identify differences between the 3D body scan data-based 'my avatar' and 'real me' in the virtual dress fitting system. The survey results on 'the level of customer awareness on 3D body scanner' found that the majority of both genders did not know about it and indicated a lower usability to incorporate IT technology into the fashion industry. The question in the 3D body scanning and avatar found an affirmative attitude. Satisfaction levels on the 3D avatars' similarity with 'own body' and garment fitting were positive and indicated a need for further technological improvements to express the avatars identical to customers' own body. More research is necessary for the accuracy of sizes for 3D body scanning that measure body sizes while wearing clothes. Avatars based on such datamay be less similar to 'own body' and cause customer dissatisfaction. Thus, further technology development is required to narrow gaps using data to make avatars that provide more accurate virtual fitting simulation services to customers.

      • 저수지 상ㆍ하류 생태통로 실태조사 및 구축방안마련

        최은희 ( Eunhee Choi ),이승헌 ( Seung Heon Lee ),주기재 ( Gea-jae Joo ),정광석 ( Kwang-seuk Jeong ) 한국농공학회 2011 한국농공학회 학술대회초록집 Vol.2011 No.-

        저수지의 둑을 높이는 과정 및 준공 이후에 걸쳐 파생되는 다양한 물리적 교란 상황은 현재 저수지 수체 내부 및 주변에 서식하는 생물상 분포에 영향을 미칠 수 있다. 그러나 국내에는 18,000여개의 농업용 저수지가 산재하여 있고, 담수 부존량의 상당부분을 농업용 저수지가 담당하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수표면적 기준), 농업용 저수지를 서식처로 활용하는 생물상에 대한 연구는 미진한 실정이다. 특히, 저수지 증고사업 시행 시 생물서식처에 대한 배려가 포함되지 않을 경우, 서식처의 단절을 야기할 수 있으며, 이는 서식처 파편화 (fragmentation)를 초래하여 생물자원 개체군의 감소로 이어질 수 있다. 따라서 농업용 저수지 둑높이기 사업 실시 중 저수지 내, 그리고 저수지 주변에서 서식처 단절로부터 생물상을 보호할 수 있는 생태계 네트워크 구축이 필요하다. 본 연구에서는 「농업용저수지 둑높이기 사업」추진 단계에서 생물분류군 분포를 보호할 수 있는 생태계 네트워크 구축 방안을 모색하고, 저수지의 현재 상황과 비교하여 서식처 보전 방향성을 제시하고자 한다. 저수지 생태통로 실태는 문헌 검토를 통해 수행되었다. 국내 문헌은 대부분이 영향평가보고서이며, 대체로 저수지의 유형, 수질, 저류량에 관한 내용이 주를 이루고 있었다. 국외문헌에서는 생물종과 서식처를 별개로 보지 않고 하나의 묶음으로 보고, 생태계 내에 존재하는 요소(entity), 연계성 혹은 상호관계(process), 환경(environment or landscape)을 수준에 따라 다양한 각도로 접근하여야 하고, 서식처의 보존을 통한 생물상 관리의 경우 인위적인 활동이 발생할 수 있는 곳으로부터 주요 서식처까지 완충구역(buffer)을 설정하고, core habitat을 집중적으로 관리하는 방안이 강조되고 있다. 저수지 수질의 경우는 대체로 양호한 수질을 보이는 저수지가 많이 있으나, 수계별 위치별 편차가 심하였다. 포유류 및 조류에 의해서 생물분류군 등급화가 크게 영향을 받지만, 저수지내 혹은 주변에 서식하는 어류 및 양서ㆍ파충류는 현장조사 결과 보호종이 거의 확인되지 않은 상태였다. 문헌조사 결과를 바탕으로 수질상태가 양호하고 생물분류군의 전체종수와 보호종수가 비교적 많이 분포하는 저수지를 목록화하여 수질/생물분류군 복합관리 우선순위 설정(안)을 마련하였다. 이들 저수지는 우선적으로 생물상과 수질의 보전 방안이 강구되어야 하며, 그 외 저수지 역시 보다 정밀한 생물상 조사가 실시될 경우 심도있는 보전 수준이 제시될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생태네트워크 구축(안)은 서식처의 단절성 회복 필요성, 제당 신축시 고려사항 및 저수지 공사 중 고려사항을 내용으로 마련되었다.

      • 농촌지역 에너지 자립마을 조성을 위한 바이오매스 활용 모델개발

        최은희 ( Eunhee Choi ),이승헌 ( Seung Heon Lee ),김병기 ( Byeongki Kim ) 한국농공학회 2009 한국농공학회 학술대회초록집 Vol.2009 No.-

        바이오매스 발생 및 이용현황, 바이오매스별 적용가능 기술방안 검토 및 농촌마을 농업형태를 토대로 농촌마을을 유형구분하여 농촌지역 에너지 자립마을 조성을 위한 바이오매스 활용모델을 개발하였다. 개발된 모델을 적용할 경우 농촌마을의 에너지 자립도 향상, 환경오염 저감, 마을이미지 개선이 기대되며, 자원순환 농업 활성화에도 기여 할 것으로 기대된다.

      • 미이용 농축산 바이오매스 발생특성 및 데이터베이스 구축

        최은희 ( Eunhee Choi ),정진희 ( Jinhee Jung ) 한국농공학회 2015 한국농공학회 학술대회초록집 Vol.2015 No.-

        우리나라는 저탄소 녹색성장을 새로운 국가비전으로 제시한 이후 「폐자원 및 바이오매스 에너지 대책」실행계획을 통해 폐자원 및 바이오매스를 국가 녹색성장 구현의 최적 대안으로 제시하고 다양한 사업 제안 및 실행계획을 수립하여 추진중에 있다. 이러한 활용정책 계획과 수립, 기술개발을 위해서는 폐자원 및 바이오매스 자원량에 대한 정확한 정보가 중요한데, 정확한 발생량 산정이 가능한 음식폐기물을 비롯한 생활계 폐자원바이오매스에 비해 국내 발생 바이오매스의 대부분을 차지하는 농산부산물바이오매스에 대해서는 별도의 통계조사를 시행하고 있지 않아 정확한 발생량 추정이 어렵다. 농산업에서 발생되는 바이오매스는 대부분은 작물 생산 과정에서 발생되며, 이중 식용부분을 제외한 비식용부분이 폐자원 바이오매스로 발생하는데, 이들의 효율적 이용을 위해서는 특성에 대한 정확한 정보가 필요하지만, 대부분의 연구는 식용 및 사료용 바이오매스 특성연구에 치중되어 있어 자원으로써 미이용 바이오매스의 활용계획 수립에 한계가 있다. 본 연구는 궁극적으로 지역단위 바이오매스 순환실증단지 모델 개발을 목표로 하고 있으며 이를 위해서는 지역에서 발생되는 바이오매스의 분류, 정확한 발생량 산정 및 특성을 바탕으로 한 활용방안 수립이 필요하다. 바이오매스는 에너지로서의 잠재성 이외에도 순환사회 구축을 위해 필수적인 물질자원으로서의 가치를 내재하고 있다. 따라서 바이오매스의 활용은 에너지 및 물질 순환을 고려한 방안 마련이 필요하다. 본 연구에서 바이오매스 순환단지모델지역의 물질자원화 및 에너지화를 위하여 지역별 특산물을 중심으로 농축수산 바이오매스 45종을 선정하여 발생특성을 조사하고 이화학적 성상분석을 통해 미이용계 농축수산 바이오매스45종에 대한 성상분석 데이터베이스를 구축하였다. 본 연구결과는 바이오매스 순환단지 추진을 위한 기초 자료로서의 가치를 가지며 향후 바이오매스 순환실증단지모델개발 및 사업화 과정에서 필수 자료로 활용될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 가축분뇨 바이오에너지화 적용을 위한 기준 안

        최은희 ( Eunhee Choi ) 한국농공학회 2011 한국농공학회 학술대회초록집 Vol.2011 No.-

        국내에서 발생되는 가축분뇨는 주로 자원화(퇴ㆍ액비화 95.5%)와 정화처리(4.5%)에 의해 처리되고 있으나, 비료자원화 여건이 불리하고, 농가의 분뇨관리가 어려워 해양투기 비율이 높고 부적정한 처리 및 무단방류하는 사례가 늘고 있다. 또한 2012년 가축분뇨의 해양투기 전면 금지결정에 따라 가축분뇨의 효과적인 처리방안 마련이 시급한 상황이며, 적정한 해결방안을 찾지 못할 경우 정책시행결과 상당량의 가축분뇨가 무단 방치되거나 임의로 방류되어 수질오염을 발생시킬 가능성이 높다. 또한 국민 식생활 변화로 축산물 수요가 점진적으로 증가하는 경향을 보이고 있으며, 향후 국내 축산업 규모가 대형화, 양적증가가 가속화됨에 따라 가축분뇨의 발생도 병행하여 증가할 것으로 예상되고 있어 이에 대한 대처방안 마련이 필요하다. 따라서 축산농가에서는 기존의 처리방법을 대체할 처리방법을 모색중인데, 새로운 처리방법은 친환경적이며, 저탄소 녹색성장의 국정방향에 부합하며, 경제적으로 이점을 가진 방법이어야 한다는 전제조건을 가지고 있다. 바이오에너지화는 가축분뇨를 바이오매스 자원으로 활용하는 방법으로 혐기성소화를 통해 바이오가스를 생산하고, 소화액은 액비형태로 농지환원하는 것으로 유럽, 일본 등에서는 상용화된 기술로서 고농도 유기성폐기물(가축분뇨, 농업부산물, 음식물쓰레기 등)의 처리라는 환경적 기능뿐만이 유기액비의 농지환원을 통한 자연 순환적 기능을 동시에 달성할 수 있는 기술이다. 그러나 바이오에너지화는 절대적인 대안이 될 수 없다는 것이 다양한 연구와 실계 적용사례에서 나타나고 있으며, 가축분뇨 바이오에너지 자원화시스템의 안정적인 도입을 위해서는 다양한 분야에서 필요조건에 대한 검토가 필요하고 이에 따른 기준이 마련되어야 한다. 본 연구에서는 바이오에너지 자원화시스템의 도입시 고려해 야할 주요요인을 설정하고 기준조건을 제안하고자 한다. 연구대상농가는 양돈이 밀집해 있는 OO면 21개 농가를 대상으로 하였고 가축사육현황, 분뇨처리시설 관리 운영실태, 분뇨 발생량은 전수조사를 시행하였다. 가축분뇨는 축산시설, 형태, 축산규모, 분 분리작업, 청소방법 및 청소횟수, 사용유량에 따라 매우 다양한 양상을 보였다. 이에 따라 바이오가스 발생량과 직접적인 연관이 있는 유기물농도도 매우 큰 편차를 보이고 있어 양돈농가의 가축분뇨 뿐만 아니라 축사관리 시스템의 개선이 필요하였다. 바이오가스화는 투입원료의 유기물이 메탄가스로 전환되고 나머지 물질들은 소화액에 잔류하게 된다. 이들 물질들은 비료성분을 함유하고 있기 때문에 소화액을 액비로 활용할 경우 시스템 운영에 있어 경제성을 높일 수 있지만, 우리나라 농업구조에 비추어 볼 때 살포기간의 제한, 악취문제, 살포 농경지 확보 등의 문제점을 해결해야 하며, 여건 상 액비로 활용하지 못할 경우에 대한 후처리 도입 검토가 필요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가축분뇨 바이오에너지 자원화를 위해 원료특성, 축사관리, 소화액 활용가능성을 고려인자로 제안하였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