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Two-dimensional mental health and related predictors among adolescents in Korea

        Changmin Yoo,Sang Kyoung Kahng 한국사회복지학회 2019 Asian Social Work and Policy Review Vol.13 No.1

        This study examined whether the factor structure of mental health consists of two dimensions (positive and negative mental health) and whether the two dimensions are associated with different predictors. For this purpose, data from the 471 adolescents who participated in the 2012 Children Supplementary Survey of Korean Welfare Panel Study were used. Confirmatory factor analysis indicated that the twofactor correlated model fits the data significantly better than the one‐factor model. Multivariate analyses revealed that factors associated with positive mental health differ from factors associated with negative mental health. These findings suggest that mental health professionals should consider the dual structure of subjective well‐being and suicidal ideation in the process of assessment and intervention.

      • KCI등재

        Caregiving-related stresses and parents attitude towards the marriage of people with intellectual disability in South Korea

        Yoo, Changmin(유창민) 연세대학교 사회복지연구소 2017 한국사회복지조사연구 Vol.53 No.-

        본 연구는 사회복지서비스를 경험하는 것이 지적장애자녀를 돌보는 부모의 돌봄스트레스가 지적장애자녀의 결혼에 대한 부모의 태도에 미치는 영향을 조절하는지 확인하는 게 그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서 2011년 발달장애인 활동지원 등을 위한 욕구조사 및 정책과제 수립 연구 중 발달장애인 실태조사 자료를 활용하였고, 최종 연구참여자는 지적장애자녀를 돌보는 739명의 부모이다. 주요 연구문제를 다루기 위해서 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구체적으로 상호작용효과를 검증하였다. 주요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지작장애자녀를 돌보는 부모 중 사회복지서비스를 경험한 경우 돌봄시간과 지적장애자녀의 결혼에 대한 부모의 태도가 서로 부적인 관계를 가졌다. 그러나 사회복지서비스를 경험하지 못한 경우 이러한 관계가 반대로 나타났다. 이러한 발견은 돌봄 스트레스가 지적장애자녀의 결혼에 대한 부모의 태도에 미치는 영향이 사회복지서비스 경험여부에 따라서 조절됨을 의미한다. 따라서 사회복지서비스를 경험할 수 있도록 정책적, 제도적 개입의 확대가 필요하다. This study aims to examine whether the social welfare service experience provided by the Korean Ministry of Health and Welfare can moderate the effects of caregiving stresses on parents of children with intellectual disabilities attitude towards marriage. For this purpose, we used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involving 739 parents who participated in the Korean National Survey on Individuals with Developmental Disabilities and their Families in 2011. In order to address the research questions, multiple regression analyses were used. Specifically, interaction effects were tested for moderating effects. Main results are as follows. When the parents had experienced social welfare services, the relationship between time demands of caring and parents negative attitude of marriage is negative. However, when the parents had never experienced social welfare services, the results were reversed. The findings suggest that the effect of caregiving stresses on parents attitude towards marriage varied by social welfare service experience. Therefore, intervention on social welfare service experience in South Korea is necessary.

      • KCI등재

        다문화가정 청소년의 이중문화수용태도 변화 유형

        유창민(Yoo, Changmin) 숙명여자대학교 아시아여성연구원 2020 다문화사회연구 Vol.13 No.3

        본 연구는 우리나라 다문화가정 청소년의 이중문화수용태도의 변화궤적이 단 하나의 유형으로만 나타나는지 또는 다양한 특성을 가진 하위 잠재계층으로 구분되는지 확인하였다. 또한 이러한 다양한 잠재 하위계층은 어떠한 특성을 가지고 있는지 확인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서 한국청소년정책연구원에서 수집하는 다문화청소년패널조사의 1차년도(2011년)부터 6차년도(2016년)까지 총 6년간의 종단자료를 활용하였고, 최종분석대상은 총 1,628명이다. 주요 연구문제를 다루기 위해서 잠재계층성장분석을 활용하였다. 그 결과 첫째, 우리나라 다문화가정 청소년이 이중문화수용태도의 변화궤적 잠재계층은 3개의 집단(중간초기치 무변화집단(60%), 저초기치 무변화집단(23.1%), 고초기치 증가집단(16.9%))으로 분류되었다. 둘째, 다문화가정 청소년의 이중문화수용태도 변화궤적 잠재계층유형과 관련된 요인을 분석한 결과, 성별, 국가정체성, 자아존중감, 탄력성, 부모의 자아존중감, 그리고 교사지지가 이중문화수용태도 잠재계층과 유의한 관련이 있었다. 이러한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다문화가정 청소년의 이중문화수용태도 형성과 관련된 함의와 제언을 논의하였다.정 We examined the different trajectories of bicultural adaptation in adolescents from multicultural families. For this purpose, we employed latent class growth analysis and multinomial logistic regression. We analyzed data from the Multicultural Adolescents Panel Study[2011-2016]. Latent class growth analysis revealed three developmental trajectories. First, those following the middle-stable trajectory demonstrated a moderate level of bicultural adaptation [60.0% of participants]. Second, those following the low-stable trajectory demonstrated the least bicultural adaptation[23.1% of participants]. Third, those following the high-increasing trajectory demonstrated the greatest bicultural adaptation, which increased over time[16.9% of participants]. We found that gender, national identity, self-esteem, resilience, parents’ self-esteem, and teacher support were significantly associated with the identified trajectories. Based on these results, we discuss implications and provide suggestions for future research.

      • 우리나라 청소년의 결속형 사회적 자본 형성 변화 과정 : 가족,학교, 지역사회 각 영역별 결속형 사회적 자본 변화궤적과 예측요인 탐색

        유창민 ( Yoo Changmin ) 초록우산 어린이재단(구 한국복지재단) 2017 어린이재단 연구논문 모음집 Vol.2017 No.-

        본 연구는 우리나라 청소년의 가족 내, 학교 내, 지역사회 내 결속형 사회적 자본의 변화과정과 예측요인을 확인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이를 위해서 한국아동·청소년패널조사 자료 중 중학교 1학년 코호트의 1차년도부터 6차년도(2015년)까지 총 6개년도 자료를 이용하였고, 최종분석대상은 2,344명이다. 주요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우리나라 청소년의 부모자녀관계는 시간이 흘러도 변화 없이 유지되는 경향, 또래관계는 증가하는 경향, 이웃관계는 감소하는 경향을 보였다. (2) 부모자녀관계, 또래관계, 이웃관계 변화궤적에 대한 예측요인 유형이 ① 심화요인(부모자녀관계=성별; 또래관계=없음; 이웃관계=가구소득), ② 유지요인 (부모자녀관계=가족구조; 또래관계=형계유무, 가구소득; 이웃관계=성별, 성적만족도, 형계유무), ③ 완화요인(부모자녀관계=자아존중감, 공동체의식, 숙달지향목적; 또래관계=성별, 자아 존중감, 공동체의식, 숙달지향목적; 이웃관계=자아존중감, 공동체의식, 숙달지향목적), ④ 무 영향요인 (부모자녀관계=성적만족도, 형계유무, 가구소득; 또래관계=성적만족도, 가족구조; 이웃관계=가족구조)으로 구분되었다. 이러한 연구결과는 우리나라 청소년의 결속형 사회적 자본 형성을 위해서는 가족, 학교, 지역사회에 종합적인 개입이 필요하며, 예측요인의 유형을 고려한 접근이 필요함을 보여준다. This study aims to examine the family, school, and community bonding social capital trajectories and their predictors for Koreans adolescents. For these purposes, we used latent growth curve modeling involving 2,344 students participated in the Korea Children and Youth Panel Survey from 2010, 2011, 2012, 2013, 2014, and 2015. Major findings are as follows. 1) Adolescent’s parent-child relationship have maintained with time, peer relationship have increased with time, and neighbor relationship have decreased with time. 2) The predictors that affect bonding social capital can be divided into four types: ① intensified (family bonding social capital=gender; school bonding social capital=non; community bonding social capital=income), ® maintained (family bonding social capital=family structure; school bonding social capital=sibling existence, income; community bonding social capital=gender, grade satisfaction, sibling existence), ③ alleviated (family bonding social capital=self-esteem, community spirit, academic mastery goal; school bonding social capital=gender, self-esteem, community spirit, academic mastery goal; community bonding social capital=self-esteem, community spirit, academic mastery goal), ④ non effected (family bonding social capital=grade satisfaction, sibling existence, income; school bonding social capital=grade satisfaction, family structure; community bonding social capital=family structure). These results suggest that a comprehensive intervention in family, school, and community is needed for the formation of bonding social capital in Korean adolescents and that an approach considering the type of predictor is needed.

      • KCI등재

        선호된 리더십과 인지된 리더십의 일치가 중학교 학생선수들의 만족에 미치는 영향

        유창민 ( Yoo Changmin ),권형일 ( Kwon Hyungil ) 한국스포츠산업경영학회 2018 한국스포츠산업경영학회지 Vol.23 No.2

        본 연구는 Chelladurai(1978)가 제시한 다차원리더십모형을 바탕으로 운동부 지도자의 선호된 리더십 행동과 인지된 리더십 행동의 일치가 중학교 학생선수들의 만족에 미치는 영향을 연구하는데 목적이 있다. 연구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경기도의 중학교에서 운동을 하고 있는 264명의 학생선수들로부터 설문지를 통해 자료를 수집하였다. 표집방법은 편의표본 추출방법을 사용하였으며, 자기평가 기입법을 사용하였다. 자료처리방법은 SPSS 22, AMOS 22 프로그램을 사용하였으며, 기술 통계분석, 확인적 요인분석, 위계적 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분석결과 Leadership Scale for Sports(LSS)의 5개의 하위요인인 훈련과 지시, 권위적 행동, 민주적 행동, 사회적 지지, 긍정적 피드백 중에서 권위적 행동에서의 일치만이 학생선수들의 만족도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즉, 학생선수들에게 있어서 훈련 과정에 있어서 의사결정권을 부여하지 않고 지도자 스스로가 독단적으로 계획 및 실행 하는 것에 대한 선호정도와 인지정도가 일치할 경우 이 요인이 학생선수의 만족도에 영향을 주는 것으로 나타났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whether the congruence between preferred leadership and perceived leadership has positive influence on middle school student-athletes' satisfaction level based on Multidimensional Model of Leadership. To accomplish the purpose of the study, total of 264 questionnaires were collected from student athletes in middle schools in Gyeonggi-do in 2016. Research sample was selected using a convenience sampling method. The respondents read and answered questions by themselves based on self-administration method. Using SPSS 22 and AMOS 22 program, descriptive statistics, confirmatory factor analysis, and hierarchial regression analysis were performed. The results indicated that among five sub-factors of Leadership Scale for Sports(LSS), only the congruence in autocratic behavior had significant effect on student athletes' satisfaction.

      • KCI등재

        이원적 자아존중감의 10년간의 변화과정: 성인초기, 중년기, 노년기를 중심으로

        유창민 ( Yoo Changmin ) 한국보건사회연구원 2018 保健社會硏究 Vol.38 No.3

        본 연구는 우리나라 성인의 긍정적 자아존중감과 부정적 자아존중감의 변화궤적이 성인초기, 중년기, 노년기에 따라서 어떠한지를 확인하였고, 이러한 각 집단의 궤적에 영향을 미치는 예측요인이 긍정적·부정적 자아존중감에 따라서 다른지 종합적으로 분석하였다. 이를 위해서 한국복지패널 1차 년도부터 10차 년도까지 10년간의 종단패널자료를 활용하였고, 최종분석대상은 성인초기 4,781명, 중년기 4,629명, 노년기 4,735명이다. 주요한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1) 우리나라 성인의 자아존중감의 요인구조가 1요인보다 2요인구조가 더 적합한 것으로 나타났다. (2) 긍정적 자아존중감의 경우 우리나라 성인초기에 해당하는 사람들은 시간이 지남에 따라 증가하는 궤적을, 중년기에는 유지하는 궤적을, 노년기에는 감소하는 궤적을 보였다. 부정적 자아존중감의 경우 우리나라 성인초기에 해당하는 사람들은 시간이 지남에 따라 유지하는 궤적을, 중년기에는 감소하는 궤적을, 노년기에는 증가하는 궤적을 보였다. (3) 예측요인을 인구사회학적요인(연령, 성별, 배우자유무), 사회경제적요인(직업상태, 교육수준, 소득), 심리·신체·사회적요인(우울, 만성질환, 가족관계)으로 구분하여 이원적 자아존중감 변화궤적과의 관계를 확인해본 결과, 자아존중감 하위 유형에 따라서, 그리고 생애주기에 따라서 예측요인의 유형이 다르게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는 중요한 보호요인이자 내적자산이 되는 자아존중감에 대한 연구 및 실천적 개입을 할 때, 단일차원의 자아존중감이 아닌 이원적 자아존중감 각각을 구별해야 한다는 점과, 생애주기에 따라서 달라야 한다는 점을 의미한다. This study examined the two dimensional self-esteem trajectories and their predictors for Koreans aged 19 and over. For these purposes, we used the hierarchical linear model for 4,781 young aged (20-39), 4,629 middle-aged (40-59), and 4,735 older adults (60 and over) who participated in the Korean Welfare Panel Study from 2006 to 2015. Major finding are as follows. (1) Related to the positive self-esteem trajectories, the young aged group increased with time, the middle-aged groups maintained with time, and adult group decreased with time. Related to the negative self-esteem trajectories, the young aged group maintained with time, the middle-aged group decreased with time, and the adult group increased with time. (2) The predictors that affect two dimensional self-esteem were divided into demographic factors (age, gender, marital status), socioeconomic factors (employment status, education level, income), and psychological, physical, and social factors (depression, chronic disease, family relationship). As a result, it was found that the types of predictors were different according to the sub-types of self-esteem and life cycle.

      • KCI등재

        청년층의 다양한 우울 변화유형 확인

        유창민(Changmin Yoo) 충남대학교 사회과학연구소 2022 사회과학연구 Vol.33 No.4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determine whether the change in the trajectory of depression among young South Korean adults appears only in a single population or in various qualitatively different latent subgroups and to discover the factors that are related to the differences between these subgroups. For this purpose, longitudinal data for a total of 8 years from the Korea Welfare Panel Study (KoWePS) 2012 to 2019 were used. The final subjects included 1,695 people aged 19 to 34 years. To achieve the above goals, we used latent class growth analysis. The major findings were as follows: First, four latent classes were identified (high depression decrease group, high depression maintenance group, low depression maintenance group, and low depression increase group). Second, the lower the level of education⋅self-esteem, the poorer the living environment, the lower the number of health checkups, and the higher the probability of belonging to the group with a high level of depression.

      • KCI등재

        장애인과 비장애인의 우울 불형평 정도: 2006년부터 10년간의 변화궤적을 중심으로

        유창민 ( Yoo Changmin ) 한국보건사회연구원 2017 保健社會硏究 Vol.37 No.2

        본 연구는 장애인과 비장애인의 우울수준이 지난 10년 동안 어떻게 변화했는지 살펴보고, 이러한 변화궤적과 예측요인의 관계가 장애유무에 따라서 다른지 확인하였다. 이를 위해 한국복지패널 1차년도(2006)부터 이후 10년 동안의 자료를 사용하여 분석을 하였고, 최종분석대상은 장애인 989명, 비장애인 12,777명이다. 주요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1) 우울궤적의 무조건모형에 대한 다집단분석결과, 장애인의 우울궤적이 비장애인보다 더 좋지 않은 것으로 나타났다. (2) 우울궤적의 조건모형에 대한 다집단분석결과, 집단 내, 집단 간 차이가 존재하였다. 구체적으로 예측요인이 ① 심화요인(장애인과 비장애인 모두 연령), ② 유지요인(장애인: 결혼, 만성질환, 소득, 직업; 비장애인: 성별, 결혼, 직업, 교육) ③ 감소요인(장애인: 성별, 자존감; 비장애인: 자존감, 만성질환, 사회적지지, 소득) ④ 무영향요인(장애인: 사회적지지, 교육)으로 구분되었다. 이러한 결과는 장애인과 비장애인 집단 간 우울궤적이 불형평하고, 그 예측요인의 유형이 다름을 의미한다. 따라서 우울을 감소시키고 예방하기 위해서는 장기적인 개입과 함께 장애여 부를 고려해야 한다. This study examined depressive symptom trajectories and their predictors for Koreans aged 19 and over, and analyzed whether there were any differences in association of the trajectories and their predictors between people with disabilities and those without. For these purposes, we used latent growth curve modeling and multi-group analysis involving 13,766 individuals who participated in the Korean Welfare Panel Study from 2006 to 2015. The depressive symptom trajectories were more unfavorable among people with disabilities than among those without disabilities. Multi-group analysis revealed that the depressive symptom trajectories and their predictors varied within and between the two groups. These results can be divided into four types: ① inequality intensified (i.e., aged), ② inequality maintained (i.e., w/disabled: marital status, chronic disease, income, employment state; w/o disabled: gender, marital status, employment status, education) ③ inequality alleviated (i.e., w/ disabled: gender, self-esteem; w/o disabled: self-esteem, chronic disease, social support, income), ④ non effected (i.e., w/ disabled: social support, education; w/o disabled: non). These findings suggest that the depression related interventions should be considered differently depending on the disabled and non-disabled people.

      • Light Quality Effects on the Growth, Phytochemicals and Ion Contents of Red Beet (Beta vulgaris L.)

        Changmin Oh,Jai-Eok Park,Yang-Ju Son,Nam-Il Park,Chu Won Nho,Gyhye Yoo 한국원예학회 2021 한국원예학회 학술발표요지 Vol.2021 No.10

        Red beet (Beta vulgaris L.), one of the plants of the Chenopodiaceae family, consumed and cultivated all of the world. It contains a plenty of inorganic nitrates and a variety of secondary metabolites including betalains, flavonoids, and polyphenols, which known to improve human health. Because most red beets are cultivated in open field, the concentration of their ingredients are affected by their surrounding environments (drought, cold, pests etc.). A Vertical Farm (VF), an indoor facility to raise plants in multiple layers with artificial environment, provides constant and planned environment to plants, leading to supplementation of stable plants with high concentrated components. In the present study, we investigated the effect of light quality on red beets and its components in a vertical farm. The light used in the experiment was Control (CON, Red:Blue-White = 2:1), RED (RED, Red:Blue-White = 4:1) and Blue-White (BW, Red:Blue-White = 2: 3) was set. At the 13 Weeks after sowing (WAS), RED treated shoots significantly elevated Total phenolic contents (TPC) compared to other treatments and antioxidative property was increased 3 times higher in shoots of RED treated than in shoots of CON treated at 13WAS. The fructose and glucose content of shoot and root increased significantly in RED treated beets than in CON treated one, while the sucrose content in the roots was decreased by RED or BW treatment at the 12 WAS and 13 WAS. RED treated roots had significantly higher betanin level at the 13 WAS compared to CON treated one. Vulgaxanthin-1 content of shoots was increased in plants subjected to RED treatment but decreased in plants influenced to BW treatment compared to CON treatment, respectively. Inorganic nitrates and Chloride was increased by BW treatment not RED compared to CON. In conclusion, light quality alters the concentration of beet components and RED light elevated TPC, sugars and betalains. Therefore, the elevation of RED light when growing red beets could be a way to produce improved red beets for human health.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