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한국형 우주망원경 개발을 위한 공동기획 Working Group 제안

        한정열,박우진,전유라,김지헌,김윤종,최성환,김영수,백지혜,문봉곤,장비호,김재우,홍성욱,정연길,박수종,정소영,Han, Jeong-Yeol,Park, Woojin,Jun, Youra,Kim, Jihun,Kim, Yunjong,Choi, Seonghwan,Kim, Young-Soo,Baek, Ji-Hye,Moon, Bongkon,Jang, Biho,Kim, Ja 한국우주과학회 2021 우주기술과 응용 Vol.1 No.3

        미국 NASA(National Aeronautics and Space Administration)와 유럽의 ESA(European Space Agency)에서는 미지의 세계를 탐구하려는 인류의 지적 호기심을 충족하는 목적과 더불어, 우주를 안전하고 지속가능한 환경으로 개척하려는 원대한 꿈을 모토로 하여 다양한 연구개발에 착수하고 있다. 2020-30 년대에는 10 미터급 우주망원경이 개발되는 등 첨단 거대관측장비가 가동될 것으로 예상하며, 한국에서도 0.15 m 급 NISS(near-infrared imaging spectrometer for star formation history) 개발에 이어 0.2 m급 SPHEREx(spectro-photometer for the history of the universe, epoch of reionization, and ices explorer) 등 소형탐사망원경에 국제협력 파트너로 참여하고 있다. 그러나, 아직 우주망원경의 개발과 운영에 있어 국내 경험은 부족하고, 한국에서 주도하여 망원경을 개발하기 위한 장기적인 계획이 부재한 상황이다. 우리 손으로 만든 장비를 사용하여 인류가 경험하지 못한 미지의 세계에 대한 질문에 답하려면, 산학연관 관계자 간 긴밀한 협력을 통해 우주망원경 건설의 기획과 준비가 절실히 필요하다. 본 연구에서는 한국형우주망원경 개발의 필요성, 배경과 개발목표 및 기대효과를 개념적으로 정리하며, 장기적 안목에서 기획을 준비하는 워킹그룹을 제안한다. 이를 통하여 한국형 우주망원경 개발계획을 우리나라가 주도하여 수립하고, 우주개발 기술연구 분야에서 국가의 방향성을 수립하기 위한 소중한 발걸음을 시작하며, 한국형 우주망원경 워킹그룹이 우리나라의 우주천문학의 이정표를 세우는 기점이 되기를 기대한다. In order to satisfy the intellectual curiosity of mankind to explore the unknown, National Aeronautics and Space Administration (NASA) in the United States and European Space Agency (ESA) in Europe are embarking on various R&D under the motto of the grand dream of pioneering space into a safe and sustainable environment. In the 2020s and 30s, it is expected that advanced giant observation equipment will be in operation, such as the development of a 10-meter-class telescope in space. In Korea, following the development of the 0.15 m Near-Infrared Imaging Spectrometer (NISS), Korea Astronomy and Space Science Institute (KASI) is also participating a 0.2 m Spectro-Photometer for the History of the Universe, Epoch of Reionization, and Ices Explorer (SPHEREx) as an international cooperation partner in small exploration telescope. However, domestic experience in the development and operation of the space telescopes is still insufficient, and there is no plan with long-term prospects for constructing telescopes. In order to answer questions about the unknown world that mankind has not experienced using our own equipment, planning and preparation for the construction of a space telescope through close cooperation among industry-university-institute-government is urgently needed. In this paper, the necessity, background, development goals, and expected effects of the development of the Korean Space Telescope are summarized conceptually, and a working group (WG) is also proposed. In the WG activities, Korea shall take the lead in establishing the Korean-style space telescope development plan, and will start a valuable step to establish the national direction in the field of space astronomy and related technologies. We hope that the WG will be another milestone in Korea's space development.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