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 KCI등재

        SWOT 분석을 통한 장애학생지원센터의 현황과 발전전략 모색(P 대학을 중심으로)

        김자경(Kim, JaKyoung),장성욱(Jang, SungWook)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017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Vol.17 No.3

        Although the needs to support post-secondary education for students with disabilities are increased, the educational environment is still not enough.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internal environment and external environment of a support center for students with disabilities using SWOT analysis and present the developmental strategies. The SWOT analysis was used to determine the factors such as strengths, weaknesses, opportunities, and threats of the Support Center for Students with Disabilities at the P university. Various materials were collected for the analysis such as laws, government policies for special education, survey reports, self-evaluation of the P university on the support for students with disabilities, and previous research etc. We developed our future directions for the center on the basis of the SO strategy, the WO strategy, the ST strategy, and the WT strategy, which are obtained from the SWOT analysis. The development strategies from SWOT analysis are to expand center’s expertise, increase cooperation between the authorities, strengthen the notification and publicity campaign, expand production of useful information and accessibility, and establish the identity and mission of the center. 장애인에 대한 고등교육 지원의 필요성은 증가하고 있으나, 이를 실제적으로 지원할 사회적, 교육적 환경은 여전히 부족한 실정이다. 장애대학생을 위한 대표적인 지원 체계인 장애학생지원센터는 내·외적인 환경 요인들로 인해 장애학생들의 필요를 충분히 만족시키는데 어려움을 가지고 있다. 이에 본 연구는 SWOT 분석을 활용하여 장애학생지원센터의 강점, 약점, 기회, 위협 요인을 분석하고, 이를 바탕으로 발전 전략을 제시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연구는 장애학생지원센터의 설립 근거가 되는 법령, 정부 정책 및 선행연구 자료들에 대한 문헌고찰과 P 대학의 장애학생지 원센터를 중심으로 SWOT 분석틀을 활용하여 내·외적 환경요인들을 분석하였다. 분석결과로 교육복지 지원 관련 법령 및 정책의 증가, 도우미제도 등 지원의 강화와 같은 기회 요인들과 지원 정보 및 전문성의 부족, 접근성의 제한 등의 위협 요인들이 나타났다. 전담 독립 기관으로 설치된 점과 전문 인력 및 지원체계 등은 P 대학 지원 센터가 가진 강점이었고, 시설 및 설비의 부족과 같은 약점이 존재했다. 이를 바탕으로 SO전략, WO전략, ST전략, WT전략을 제시하였다. 제시된 전략들은 전담 독립기 관으로서의 역할과 전문성 확대, 협력적 체제 구축, 다양한 정보 생산 및 접근성 강화, 지원 영역의 확장, 센터 미션 및 정체성 확립 등이 도출되었다.

      • KCI등재

        초임 초등 특수교사의 직무스트레스, 대인관계능력, 직무만족도 간의 관계

        김자경(Kim Jakyoung),신보희(Shin Bohee)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019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Vol.19 No.2

        본 연구는 초임 초등 특수교사의 직무스트레스, 대인관계능력, 직무만족도 간 관계를 살펴보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Y지역에 소재하는 일반 초등학교와 특수학교에 근무하는 초임 특수교사 55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하였으며, 결과분석은 기술통계, t-test, 중다회귀분석, Baron과 Kenny(1986)의 3단계 절차에 따른 중다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연구결과를 살펴보면 첫째, 초임 초등 특수교사의 직무스트레스는 학생 행동과 시간관리 영역이, 대인관계능력은 정서적 지지 및 조언, 대인갈등 다루기 영역이 상대적으로 높게 나타났다. 직무만족도는 인간관계와 직무 영역에서 상대적으로 높은 편이나, 보상에 대한 만족도가 가장 낮았다. 한편 근무지 형태에 따른 차이를 살펴본 결과, 직무스트레스 하위 영역 중 학생행동에서 일반학교 초임 특수교사가 특수학교 초임 특수교사보다 높게 나타났다. 대인관계능력에서는 두 집단 간 차이가 없었다. 직무만족도는 전체 점수와 하위영역 중 보상과 행정체제 영역에서 특수학교 초임 특수교사가 일반학교 초임 특수교사보다 높게 나타났다. 둘째, 초임 초등 특수교사의 직무스트레스와 대인관계능력이 직무만족도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직무스트레스의 하위영역 중 학생행동과 대인관계능력의 하위영역 중 처음관계 맺기가 직무만족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으로 나타났다. 셋째, 초임 초등 특수교사의 직무스트레스와 직무만족도 간 관계에서 대인관계능력이 매개효과를 가진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직무스트레스가 직무만족에 영향을 미치나 대인관계 능력이 매개될 때 직무만족에 미치는 부정적인 영향을 줄일 수 있음을 시사한다. This study investigates the relationship among job stress, interpersonal competency and job satisfaction of the beginning special education teachers in the elementary schools, both general and special. For this purpose, a questionnaire survey was conducted for 55 beginning elementary special education teachers in general schools and special schools of the Y area. The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the job stress of the subject was relatively high in the area of the student behavior and the time management. The interpersonal competency of these teachers were relatively high in the areas of the emotional support and advice, and dealing with interpersonal conflicts. Job satisfaction of these teachers was relatively high in human relations and work performance, but it has the lowest satisfaction with compensation. Also this study compared the beginning special education teachers in general schools with those in special schools on the three variables, as for the students behavior among the sub-domains of job stress, the special education teachers in the general schools showed higher scores than those in special schools. There was no difference between two groups regarding interpersonal competency. Regarding the job satisfaction, special education teachers in the special schools showed higher scores than those in the general schools in terms of the total score and the two sub-areas, compensation and the administrative system. Second, job stress and interpersonal competency of the subject appeared to be important factors for their job satisfaction. Third, the interpersonal competency appeared to have mediating effects on the relationship between job stress and job satisfaction. This study suggest that job stress and interpersonal competency are the major factors influencing on the job satisfaction and the effect of job stress on the job satisfaction is changed according to the interpersonal competency.

      • KCI등재

        장애대학생의 장애수용과 대인관계능력이 대학생활적응에 미치는 영향

        김자경(Kim, Jakyoung),신보희(Shin, Bohee),장성욱(Jang, SungWook)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017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Vol.17 No.14

        본 연구는 장애대학생의 장애수용과 대인관계능력이 대학생활적응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보는데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부산과 경상도에 소재하고 있는 4년제 대학의 장애대학생 91명을 대상으로 장애수용, 대인관계능력, 대학생활적응 설문을 실시 하였으며, 수집된 자료는 기술통계, pearson 적률상관, 단계적 중다회귀분석을 실시하여 통계 처리하였다. 연구결과, 장애대학생의 장애수용 수준은 낮게 나타났으며,대인관계능력과 대학생활적응 수준은 보통으로 나타났다. 또한 장애대학생의 장애 수용과 대인관계능력은 대학생활적응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장애대학생의 장애수용 하위영역 중 비교가치에서 내적가치로 전환이 학업적 적응에유의한 영향을, 장애의 부정적 효과 차단, 가치영역확대 순으로 사회적 적응에 유의 한 영향을, 장애의 부정적 효과 차단이 개인정서 적응에 유의한 영향을, 가치영역확대, 비교가치에서 내적가치로 전환 순으로 대학애착에 유의한 영향을 미쳤다. 장애대학생의 대인관계능력 하위영역 중 처음관계맺기가 학업적 적응과 사회적 적응에 유의한 영향을, 권리주장, 정서적지지 순으로 개인정서 적응에 유의한 영향을 처음관계맺기, 정서적지지 순으로 대학애착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를 통해 장애대학생의 장애수용과 대인관계능력은 대학생활적응에 유의한영향을 미치는 요인임을 확인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effects of disability acceptance and interpersonal competence on college adjustment of student with disabilities. For this purpose, 91 students with disabilities in B city and K Provinces were surveyed their disability acceptance, interpersonal competence, and college adjustment questionnaire. The collected data were analyzed by descriptive statistics, pearson correlation, and regression analysis. As results of this study were as follows: The results showed that the level of disability acceptance was low but interpersonal competence and college adjustment were normal, and all three variables showed a significant positive correlation. And disability acceptance and interpersonal competence are an important factor for college adjustment of student with disabilities

      • KCI등재

        학교기반 RTI 실행: 미국 초등학교의 사례 연구

        김자경 ( Jakyoung Kim ) 한국특수아동학회 2015 특수아동교육연구 Vol.17 No.2

        본 사례 연구는 학습장애 진단 모형으로 제시된 RTI를 실행하고 있는 미국 중서부지방의 중소도시에 소재한 P초등학교를 분석하였다. 이 초등학교는 해당 시교육청에서 지정한 RTI 파일럿 학교로서 학교 기반 RTI를 실행해오고 있다. 이 학교 구성원의 RTI 실행에 대한 인식과 RTI 실행과정을 면밀히 살펴보고자, RTI 계획과정과 운영과정에 핵심 인력으로 참여한 7명을 반구조화된 질문에 기초하여 집단 인터뷰하였으며, 평가 팀 회의를 비롯한 각종 RTI 관련 팀 회의에 참여관찰하였으며, RTI 관련 학교 자료들을 수집하였다. 주요 테마로 RTI 실행에 대한 학교 구성원의 긍정적인 인식, 3단계-RTI 실행과정: 읽기와 수학, 쓰기 영역으로의 RTI 확대, 정기적인 팀회의를 통한 지속적인 의견 수렴 및 결정: 중재 및 측정 과정에 대한 성찰이 도출되었다. 본 연구에서 얻은 결과에 대한 논의를 통해 성공적인 RTI 실행을 위한 시사점을 제시하였다. RTI is an alternative model for the classification of learning disabilities. This study analyzed P elementary school located in Midwest USA. P school is one of RTI pilot schools in the state and has implemented RTI for 4 years. For the study, 7 main members were group-interviewed with semi-structured questionnaire regarding the development and implementation of school-based RTI. The author observed various RTI team meetings, and collected school documents and meeting records related to the school RTI. Major themes include positive perception of school members on RTI implementation, 3-tiered RTI implementation: escalation of RTI to the areas of reading, math and writing, and continuous opinion collection and decision making through team meetings: reflection on intervention and measurement. Several insights for successful school-based RTI implementation are suggested based on the results from this study.

      • KCI등재

        특수학급에 입급된 장애아동의 사회적 지위와 정서/행동특성에 관한 연구

        김자경 ( Jakyoung Kim ),김기주 ( Kiju Kim ) 한국특수교육문제연구소 2007 특수교육저널 : 이론과 실천 Vol.8 No.1

        본 연구는 초등학교 특수학급 아동의 사회적 지위에 대해 살펴보고, 이들 아동의 사회적 지위에 따른 정서/행동 특성에 대해 고찰하고자 한다. 장애아동의 사회적 지위는 원적학급 담임교사의 평가에 의해 인기/수용형, 무시형, 거부형 집단으로 구분되었다. 장애아동의 정서/행동 특성은 행동평가척도(Behavior Evaluation Scale-2, BES-2)로 측정되었는데, 이 척도는 학습 문제, 대인관계 문제, 부적절한 행동문제, 우울/불행, 신체적 증상/두려움의 5가지 하위영역으로 구성되어 있다. P시 소재 초등학교 특수학급에 시간제로 입급되어 있는 132명의 아동을 대상으로 사회적 지위를 살펴본 결과, 인기/수용형 집단은 38명(28.8%), 거부형 집단은 41명(31.1%), 무시형 집단은 53명(40.2%)으로, 초등학교 특수학급에 입급된 아동의 70% 이상이 부정적인 사회적 지위를 가지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사회적 지위에 따른 정서/행동 특성을 분석한 결과, 학습문제, 대인관계 문제, 부적절한 행동문제, 우울/불행, 신체적 증상/두려움 등 5가지 모든 영역에서 집단 간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dentify social status and emotional/behavioral functioning among elementary school students with disabilities in the regular classroom setting. 132 subjects in this study are classified into three groups: the popular/accepted group (38 students), the neglected group (53 students), and the rejected group (41 students). The classification is determined on the basis of their classroom teachers`` evaluation. The analysis of the data for each of the five sub-areas (learning problems, interpersonal problems, inappropriate behaviors, unhappiness/depression, and physical symptoms/fears) indicates that significant differences exist in terms of the mean standard scores among the three social status groups.

      • KCI등재

        CRA 전략 기반 수감각 프로그램의 효과 검증: 중재반응모델 2단계 적용

        김자경(Kim, Jakyoung),강혜진(Kang, Hyejin),서주영(Seo, Juyoung),신정원(Shin, Jeongwon) 부산대학교 교육발전연구소 2019 교육혁신연구 Vol.29 No.4

        연구목적: 본 연구는 CRA 전략 기반 수감각 2단계 중재가 수학장애 위험군 아동의 수감각과 수학성취도 향상에 효과적인지 검증하는 데 목적이 있다. 연구방법: 수감각 수준이 낮은(-1SD 이하) 만 6세 아동 5명을 대상으로 수감각 2단계 중재를 실시한 후 수감각과 수학성취도 검사에서 향상이 있는지 알아보았다. 수감각 2단계 중재는 매 차시 C(구체적)-R(표상적)-A(추상적) 단계의 활동으로 5주간 총 29회기 진행되었다. 각 회기는 도입(5분), 전개(20분), 정리(5분)로 구성되었다. 수감각의 진전도를 확인하기 위해, 김자경 등(2018)이 개발한 수감각 검사로 사전, 중간, 사후 검사를 실시하였으며, 수학성취도 향상을 확인하기 위해 KISE-BATT:수 영역 검사로 사전, 사후검사를 실시하였다. 연구결과: 첫째, 수학장애 위험군 아동들의 수감각 총점에 대한 진전도를 분석해 보면, 매회기 점차적으로 향상되는 경향을 나타냈다. 수감각 사전-사후 점수의 비교를 위해 비모수통계를 실시한 결과, 통계적으로 유의한 변화를 보였다. 둘째, 수학장애 위험군 아동들의 수학성취도 사전-사후 점수의 비교를 위해 비모수통계를 실시한 결과, 통계적으로 유의한 변화가 나타나지 않았다. 하지만 한 명을 제외한 모든 아동의 수학성취도 사후 점수가 사전 점수보다 향상되었다. 논의 및 결론: 본 연구를 통해 수감각 2단계 중재는 수학장애 위험군 아동의 수감각 향상에 효과가 있음을 알 수 있다.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effectiveness of the Number Sense Teaching Program based on CRA (concrete-representational-abstract) for children at risk for mathematics learning disabilities. Method: 5 children at risk for mathematics learning disabilities (6-year-old) participated in the CRA-based Number Sense Teaching Program for 29 sessions during 5 weeks. Each session was made of introduction (5 min), main lesson (20 min), and wrap-up (5 min). The main lesson consisted of C(Concrete)-R (Representational)-A (Abstract) stages. Children at risk for mathematics learning disabilities were measured with a Number Sense Test, developed by Kim et al. (2018) and the Number Subtest of KISE-BATT: Math (Basic Academic Achievement Test: Math), which is a standardized test of math achievement. Results: The results from this study were as following: First, the number sense of children at risk for mathematics learning disabilities gradually improved during the intervention. The non-parametric test was performed to compare the pre- and post-test scores of the number sense, and statistically significant changes were observed. Second, the non-parametric test was performed to compare the pre- and post-test scores of the math achievement in Number, and statistically significant changes were not observed. However, all children except one showed higher scores on the post-test than the pre-test on the Number Subtest of KISE-BAAT: Math. Conclusion: The results of this study showed that the number sense intervention based on CRA was effective in improving the number sense of the children at risk for mathematics learning disabilities.

      • KCI등재

        스킬스트리밍 프로그램이 지적장애 초등 고학년 학생의 사회성 기술, 자기표현능력, 교우관계에 미치는 효과

        김경석 ( Kim¸ Gyeongseok ),김자경 ( Kim¸ Jakyoung ),백은정 ( Baek¸ Eunjung ) 한국지적장애교육학회 2021 지적장애연구 Vol.23 No.3

        본 연구의 목적은 스킬스트리밍 프로그램이 지적장애 초등학생의 사회성 기술, 자기표현능력, 교우관계에 미치는 효과를 살펴보는 데 있다. 이를 위해 일반초등학교에 재학 중인 6명의 고학년 지적장애학생을 대상으로 14주 동안 총 16회기에 걸쳐 스킬스트리밍 프로그램을 제공하였으며, 실험집단 사전-사후 점수 차이를 비교하기 위해 윌콕슨 부호-순위 검증을 실시하여 프로그램의 효과를 살펴보았다. 연구결과는 통합학급 담임교사가 평정한 결과에 따르면, 스킬스트리밍 프로그램은 지적장애학생의 사회성 기술을 비롯하여, 자기표현능력, 교우관계에서의 향상을 가져왔다. 한편 학부모에 의해 평정된 교우관계와 자기표현능력 검사결과에서는 효과가 제한적이었다. 이러한 결과를 바탕으로 스킬스트리밍 프로그램의 교육적 함의와 제한 점을 논의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effectiveness of the Skillstreaming program on the social skills, self-expression ability and peer relationships for upper-grade elementary students with intellectual disabilities. Six students with intellectual disabilities participated in the program for 16 sessions during 14 weeks. The pre-post score differences were compared to analyze examine the effects of the program. Wilcoxon Signed-Rank test was conducted to compare the one sample pre-post score differences. According to the rating of the general education teachers, the Skillstreaming program was effective to improve social skills, self-expression ability, and peer relationships of students with intellectual disabilities. However, no differences were found in the total scores of peer relationships and self-expression ability according to the rating of parents. On the basis of the results, educational implications and limitations of the program were discussed.

      • KCI등재

        학습장애 진단 의뢰 과정에 대한 초등학교 일반교사의 인식 : 포커스 그룹 인터뷰를 중심으로

        김슬기(Kim Seulgi),김자경(Kim, Jakyoung),서주영(Seo Juyoung)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021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Vol.21 No.1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perception of the elementary school general teacher s learning disability diagnosis request process. As a participant in the study, 10 elementary school teachers who had experience in requesting a diagnosis of learning disabilities or who had been in charge of students with a risk of learning disabilities were collected for nomadic purposes and divided into two groups to conduct a focus group interview. The content of the interview was conducted through qualitative analysis through open coding, and five categories - ‘understanding of learning disabilities’, ‘diverse characteristics suspected of learning disabilities’, ‘reasons in difficult to request a diagnosis of learning disabilities in the field of education’, ‘difficulty in supporting students with risks of learning disabilities and learning disabilities’ and ‘various demands for effective learning disability selection and support’ - 17 subcategories were derived under research topics. The results will be the basis for diagnosis and supports the students with risks of learning disabilities 본 연구에서는 학습장애 진단 의뢰 과정에 대한 초등학교 일반교사의 인식을 알아보기 위해 포커스 그룹 인터뷰를 실시하였다. 연구대상은 B · U광역시 및 G도 소재 초등학교에 근무하는 3년 이상의 교육경력을 가진 일반교사이며 총 10명의 교사들을 연령 · 성별에 제한을 두지 않고 5명씩 2그룹으로 나누어 실시하였다. 인터뷰 내용은 개방형 코딩을 통한 질적 분석을 실시하였다. 분석 결과 ‘학습장애에 대한 이해’, ‘학습장애로 의심되는 다양한 특성’, ‘교육현장에서 학습장애 진단 의뢰가 어려운 이유’, ‘학습장애 · 학습장애 위험군 학생 지원의 어려움’, ‘효과적인 학습장애 선별과 지원을 위한 다양한 요구’의 5개의 범주가 도출되었으며, 이를 중심으로 17개의 하위범주가 도출되었다. 본 연구결과는 학습장애 위험군 학생을 보다 적극적으로 진단 의뢰하기 위한 방안을 마련하는데 토대가 될 것이다.

      • KCI등재후보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