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주사위 놀이와 우표 속 남녀 비율 및 여성 역사 위인 한일 비교

        금영 경희대학교(국제캠퍼스) 비교문화연구소 2023 비교문화연구 Vol.69 No.-

        In this paper, the male-to-female ratio and characteristics of female characters appearing in dice board games and postage stamps in both Korea and Japan were examined from the perspective of gender. First, the ratio of men and women in backgammon, which is a great historical figure in Korea, is 13.5:1, and the ratio of men and women in postage stamps is 5.5:1, which means that there are relatively fewer women than men. There were many virtuous women or anti-Japanese patriotic martyrs from a Confucian perspective. On the other hand, the ratio of men and women in Japanese backgammon is 8:1, and the ratio of men and women in postage stamps is 2.4:1, and similarly, there are fewer women. As for the female characters, there were many poets of waka (和歌) or female writers. It can be seen that the ratio of female figures in Japan is about twice as high as that in Korea, and this is related to the gender ratio gap (8:1 in Korea, and 4:1 in Japan) confirmed in keywords, such as filial piety, and classic databases in both Korea and Japan. In particular, the 9:1 male-to-female ratio in the Japanese culture postage stamp series is interesting, as it symbolizes gender inequality in modern Japanese politics. 본고에서는 한일 양국의 주사위 놀이와 우표에 등장하는 역사 위인의 남녀 비율 및 여성 역사 위인의 양국 간 차이에 관하여 양성평등 젠더의 관점에서 고찰하였다. 먼저, 한국의 역사 위인 주사위 놀이에서의 남녀 비율은 13.5대 1이고 우표에서의 남녀 비율은 5.5대 1로 여성이 상대적으로 적었다. 우리나라의 여성 역사 위인들은『삼강행실도(三綱行實圖)』의 관점에서 평가받는 열녀 내지는 항일 애국 열사가 많았다. 반면, 일본의 역사 위인 주사위 놀이인 에스고로쿠(絵双六)에서의 남녀 비율은 8대 1이고, 우표에서의 남녀 비율은 2.4대 1로 마찬가지로 여성이 적었다. 일본 여성 역사 위인들은 『햐쿠닌 잇슈(百人一首)』의 와카(和歌) 가인(歌人) 또는 여류 문학자가 많았다. 우리나라보다 일본의 여성 비율이 2배 정도 높다는 것을 알 수 있는데, 이는 한일 양국의 효자전(孝子伝)(한국 8대 1, 일본 4대 1)이나 고전 데이터 여성 키워드 비율(한국 여성 1.6배, 일본 여성 2.6배)에서 확인되는 남녀 비율 격차의 연장선에서 바라볼 필요가 있다. 특히 「일본 문화인 우표 시리즈」에서의 남녀 비율 9대 1은 현대 일본정치 영역에서의 양성 불평등(중의원 남녀 비율)과 일치하는 수치라는 점에서 흥미롭다.

      • Acetaldehyde폐수의 활성오이법에 의한 기질제거조건

        금영,금두조 대한환경위생공학회 1993 대한환경위생공학회지 Vol.8 No.1

        This study is conducted to investigate treatability by activated sludge process for wastewater from acetaldehyde manufacturing plant. The optimum hydraulic retention time in aeration tank for removal of high strength substrate were measured. The removal efficiency were checked out by hydraulic retention time : 35hr., 40hr. and 45hr., respectively. $COD_{Cr}$, like substances were removed in all hydraulic retention time zone directed for efficiency, but non-biodegradable substances were remained. $COD_{Cr}$ biomass loading was 0.81kg $COD_{Cr}/kgMLVSS$ . day at 35hr. of retention time, 0.34 kg$COD_{Cr}$/kg MLVSS . day at 40hr., and O.l9kg$COD_Cr$/kgMLVSS . day at 45hr. And the mean $COD_{Cr}$, removal efficiency was 65.5%, 81.6% and 83.0%, respectively. And also $COD_{Cr}$, volume loading was 1.01kg$COD_{Cr}/m^3$ day, 0.87kg$COD_{Cr}/m^3$ - day, and 0.79kg$COD_{Cr}/m^3{\cdot }$day, respectively. The basic design parameter obtained is as fallows. The value of Specific substrate removal rate coefficient (k), Yield coefficient(Y) and Decay coefficient($k_d$) was $0.0013day^{-1}$, $0.505kgMLVSS/kgCOD_{Cr}$ and $0.040day^{-1}$, respectively.

      • KCI등재

        지명 즈쿠시(地名尽くし)의 배열방식 한일비교

        금영 한양대학교 일본학국제비교연구소 2016 비교일본학 Vol.37 No.-

        본 논문에서는 일본의 지명즈쿠시와 한국의 지명풀이 노래에 보이는 지명배열방식의 차이점과 특징에 대하여 살펴보았다. 그리고 그 결과, 지리적 연결성, 방향성, 언어유희성에있어서 한일양국간의 차이점이 확인되었다. 첫 번째로, 일본의 『구니 즈쿠시(国尽くし)』에 보이는 전통적인 지명배열방식에서는 인접한 지명과 지명을 마치 한 붓 그리기처럼 잇는 지리적 연결성이 보임을 알 수 있었다. 그리고 이 점은 부분적인 지리적 연결성이 보일 뿐, 전체적으로는 단절성이 보이는 『팔도읍지가(八道邑誌歌)』의 그것과 상이한 것이다. 두 번째로, 일본의 『구니 즈쿠시』에서는 모든 지명들이 교토에서 지방으로 멀어져 가는방향성(京→郷)과 더불어, 동일본의 모든 지명들은 서쪽의 교토를, 서일본의 모든 지명들은동쪽의 교토를 향하는 방향성(郷→京←郷)을 동시에 갖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그리고 이점은 국토를 남과 북, 동과 서, 좌와 우로 이분하는 한국의 지명배열 방식에서는 찾아보기힘든 특징이라 할 수 있다. 세 번째로, 『도카이도 오라이(東海道往来)』에 보이는 일본의 지명배열에서는 53개의 숙박지 지명이 끝말잇기 형태의 언어유희를 통해 마치 렌가(連歌)처럼 서로 긴밀하게 연결되는 반면, 『호남가(湖南歌)』 등에 보이는 한국의 지명배열에서는 동음이의어인 둘 혹은 네개의 지명들이 마치 한시(漢詩)처럼 대구를 이루며 연결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지명배열에서 보이는 한일 양국의 이러한 방식의 차이는, 비단 문학작품에서뿐만 아니라 오늘날의 행정구역, 시외전화 국번, 체전 입장순서, 우편번호에 대한 고려로 나타나고있다. This paper tried to examine the differences and features the array system of Japanese and korean's toponymy(traveling) songs. And as a result, I was able to find the difference in three aspects, geographical connectivity, and directionality, to play on words in both Japanese and Korean's array system, First, We could see the method that Japanese kunizukushi(place name song) connects the cities and cities adjacent to a point and a line. Japanese kunizukushi has an overall uniformity and I defined that it is a geographical connectivity. But korean kunizukushi has a patial uniformity. It seems that the reason is came from korean's traditional idea that to divides country's administrative district into two. Paldo eupjiga is a good example. Second, Japanese kunizukushi has two types directionality, one is from Kyoto to country side, the other is from country side to kyoto. Japanese array system of toponymy directs all districts to countryside. But, on the other hand, every districts direct to kyoto. It does not conflict. Because every districts direct to their Emperor who live in kyoto. Third, Japanese kunizukushi has the method of to play on words, word chain game. This type's to play on words connect all place closely. It seems that this method similar to that Japanese continuous poem, lenga. But Korean kunizukushi connects every place name two by two, or four by four. This method looks like the couplet system of Chinese poetry.

      • KCI등재
      • KCI등재
      • KCI등재

        東アジア笑話に見る放屁譚 - 笑いとネタの共有をめぐって -

        琴榮辰 단국대학교 일본연구소 2011 일본학연구 Vol.34 No.-

        중국과 조선소화를 포함한, 동아시아소화 전체를 시야에 놓고 에도 하나시본의 방귀 이야기에 등장하는 인물양상을 바라보았을 때, 우리는 이들 방귀이야기들 중 여럿이, 동아시아에서 일찍이 공유되어 왔을 가능성을 상상할 수 있다. 즉, 중국의 어리석은 사위 이야기가 일찍이 동아시아에서 널리 유포되었다는 것은 주지의 사실인데, 그 안에 보이는 「어리석은 사위와 장모의 방귀」를 다룬 이야기가, 사실은「며느리와시어머니의방귀」를 다룬 이야기와 쌍을 이루고 있다는 사실을 놓고 볼때, 이러한「시어머니의방귀」를 다룬 소화가 중국에서 일본과 조선으로 각각 전래되었을 가능성을 충분히 추정해 볼 수 있는 것이다. 또한, 새로운 유화 자료를 통해 우리는, 에도 하나시본에 보이는「하녀의방귀」를 다룬 이야기가동아시아에서 공유 되었을 가능성을 알 수 있으며, 에도 하나시본 속에 보이는「도둑의방귀」를 다룬이야기가 중국 소화의 영향을 받았을 가능성, 그리고 이러한「도둑의방귀」를 다룬 이야기를 구연하는 과정에서「성대연기」가행해졌을가능성과, 그것이에도 시대에 일본에 전래된 중국소화의 영향에 의한 것일 가능성을 추정해 볼 수 있겠다. 끝으로, 에도 하나시본의 방귀이야기에는 유곽의「유녀와손님」 사이에서 벌어지는 방귀 관련 해프닝이 많이 보이는데, 이는, 『우지슈이모노가타리의방귀이야기나, 근세 초기의 남색관계에서의 방귀이야기에서 보는 바와 같이, 사랑하는 관계의 두 인물을 설정하는 기법이 일본의 방귀이야기에서는 오래전부터 이용되어 왔고, 그러한 전통이 태평성대의 도래에 따른 유곽문화의 발달과 소화제공자의 환경변화에 따른 청중층의 변화라는 여러 가지 시대적 변화와 맞물린 결과, 유녀의 방귀」를 다룬 방귀이야기가에도 하나시본에 풍부하게 나타난 것이 아닌가 여겨진다. 그리고 물론, 「시어머니와 며느리」, 「하녀와 주인」, 「도둑과 집주인」등, 상대방 앞에서 방귀 소리를 내는 것이터부시 되는 긴장관계가「유녀와손님」사이에서도 여전히 존재한다는 사실에는 변함이 없다 하겠다. 에도 하나시본의 방귀 이야기는 동아시아에서의 웃음과 소재의 공유의 실태를 여실히 보여 준다는 점에서 주목할 만하다 하겠다. The diffusion of comedic stories throughout East Asia influenced the Edo Hanashibon (Japanese funny tales of the Edo period) where fart stories became a major subject. We have considered the whole horizon of funny tales in East Asia, which includes Korean ones too. If we take a look at the characters that appear in “fart stories” in general, we can find some of the features that are common to this particular genre all over East Asia (In our research this area includes only China, Korea and Japan). In the Edo Hanashibon compilation we have the work titled “The mother-in-law’s fart” “The maid’s fart”(We can find the same theme in Aesop’s fables and “The tale of the wise Sinbad”. ), and “The burglar’s fart” which became a common tale to those three countries in East Asia between the 16th and 19th centuries. Lastly, we will center in another subject of the Edo Hanashibon. In this compilation we could also find many funny stories about the theme of fart’s happening in prostitution scenes, that is to say, between the prostitute and her client. The funny point of these stories is the same as the one in “the mother-in-law”, “the maid” or “the burglar”, namely the taboo represented by the act of farting before a partner to whom the relationship is quite strained. The abundance of these stories is probably the result of the particular moods of that period, which asked often for such kind of setting and such kind of strained-related characters. We postulated that the latter formation of tales is just the natural development of these concrete motifs.

      • KCI등재
      • KCI등재

        胡瑗의 『周易口義』가 伊川 『易傳』에 준 영향

        金榮官(Kim, Young-Kwan) 한국사학사학회 2012 韓國史學史學報 Vol.0 No.25

        In the early Song Dynasty following five kings of the end of Ting Dynasty the development of society・economy triggered the opening of the door of thought and the prosperity of culture, and the government promoted social stability and the establishment of the order through the civil-minister centralism. But owing to the prosperity of Buddhism and Taoism Confucianism didn’t construct still its foundation, and many government officials who accomplish the institutional reform were not fostered at schools, depending only on the civil service examination. Notwithstanding this environment, the Confucian scholars of the early Song Dynasty newly launched SongXue(宋學). In the SongXue as Learning of Righteousness & Principle, ZhouYi(周易) where humanistic reason is well expressed together with the Four Books was respected. In the position of YiLiXue(learning of righteousness, 義理學) which emphasized the human relations the scholar who set up ‘Yi’ newly is HuYuan(胡瑗). HuYuan established his own theory about ‘Yi’. He also enhanced the spirit of the scriptures and compiled his explanations, which is ZhouYiKouYi(周易口義). Out of more than 1,700 disciples who received Huyuan’s direct and indirect teachings, the representative disciple who explained ‘Yi’ based on righteousness and succeeded to the teacher's doctrine is the very ‘ChengYi(程頤)’. Unlike the thought of HuYuan who based the righteousness in the center of ‘Yi’, ChengYi introduced a new idea ‘arrangement(理)’ and developed the interpretation method of ‘Yi’ and provided the behavioral norm and existence principle for the order and expanded it to many nobilities later. Based on ‘Yi’ idea shown in HuYuan’s ZhouYiKouYi, ChengYi wrote YiChuan(易傳), and developed the learning succeedingly and completed neo-Confucianism(程朱學). 이 글은 胡瑗과 程頤의 학통 계승 내용을 밝힌 것이다. 송유들은 사회를 안정시키고 上下・尊卑 질서를 확립하고자 이전 六經 중심의 훈고를 비판하며 佛・道의 사상을 받아들여 새로운 유학인 송학을 태동시켰다. 송학에서 가장 중시한 것은 義理이다. 義理之學으로서의 송학에서는 四書와 함께 ‘易’이 새롭게 존숭받기 시작하였다. 의리지학의 입장에서 ‘易’을 새롭게 정립한 자가 胡瑗이다. 호원은 易’ 사상을 기반으로 엄격한 학규를 세워 실천하며 제자를 육성하여 기강을 수립하고 혼란한 사회를 바로 잡으려 하였다. 호원의 의리로서의 ‘易’ 사상은 經書를 존숭하는 마음을 유지시키면서도 가르침과 다스림을 강조한 『周易口義』에 잘 나타나 있다. 호원의 직・간접적 가르침을 받은 제자 가운데 의리를 근본으로 ‘易’을 설명하며 스승의 학설을 계승한 대표적 제자가 바로 程頤이다. 程頤는 胡瑗의 ‘易’ 사상을 토대로 송학을 발전시켜 정주학으로 완성하였다. 송학과 정주학 형성의 근거가 된 호원의 『周易口義』와 程頤의 『易傳』의 비교 분석을 통해 영향을 준 내용을 확인해 보았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