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놀이와 교육 : 구성놀이에 대한 재고

        이종희 한국유아교육학회 1995 유아교육연구 Vol.15 No.2

        본 연구에서는 이제까지 이론적으로 많은 주목을 받지 못했던 구성놀이를 재조명해 보고자 하였다. 연구자는 지금까지의 놀이 이론과 연구가 주로 상징놀이를 중심으로 전개되어 왔던 점을 지적하면서, 구성놀이의 교육적 가치를 논하였다. 아울러 구성놀이에 대한 시사점을 갖는 것으로 생각되는 이전의 연구들로부터 구성놀이 행동을 판단할 수 있는 준거를 추출하여 유아의 구성놀이를 분석하기 위한 틀을 제시하였다. The present paper began under the following two assumptions : (1) Applying play to education is not an easy task because of the inherently conflicting characteristics of the two, and (2) the necessity to determine children's play in terms of its quality as a way to achieve. This paper disscusses constructive play as a harmonizer of play and education, and aiming at providing a framework of analyzing constructive play, suggests criteria for determining quality of constructive play. Questioning Piaget's notion that play is assimilation in its nature and therefore not adaptive, the researcher explores the idea of adaptive constructive play and argues the pertinence of the idea. In other words, constructive play is considered highly valuable because it can be ludic as well as adaptive. The researcher points out that play researchers, however, have not paid much attention to constructive play, and therefore neither questioned the existing definition of constructive play nor provided a systematic theory to explain it appropriately. Emphasizing the need of more studies on constructive play, the researcher expects that the four criteria identified in this paper will help us understand constructive play from a different angle as well as take a step forward to process-oriented, child-centered education.

      • KCI등재

        토론문화 활성화를 위한 공공의 역할에 관한 연구 - 선거방송토론위원회를 중심으로

        이종희 한국정치커뮤니케이션학회 2011 정치커뮤니케이션 연구 Vol.20 No.-

        본 연구는 토론문화 활성화를 위한 공공의 역할에 대한 정책 제안적 연구로서 선거방송토론위원회의 역할을 분석하고 효율적인 발전 방안을 제안하는 것을 연구목적으로 한다. 정치 공론장으로서 선거방송토론의 중요성이 점점 강조되고 있고 그 활용도도 점차 확산되고 있으나, 한국의 선거방송토론 제도는 개선해야 할 많은 문제점을 안고 있다. 또한 한국의 토론교육과 토론문화는 아직도 초기 단계에 머물고 있고, 선거방송토론에 대한 교육 프로그램은 찾아보기 힘든 실정이다. 본 연구에서는 첫째, 정치공론장으로서의 한국의 선거방송토론제도의 현황과 문제점을 분석한다. 둘째, 선거방송토론 교육프로그램 개발을 위한 제언을 하고자 하며, 셋째, 초・중・고등학교 토론문화 활성화방안에 관해 논하고자 한다. 이러한 다양한 노력들이 수반될 때 정치공론장으로서 선거방송토론은 정치체계에서 처리해야 할 현안들에 대한 “공명판”(Resonazboden)의 기능(Habermas, 1992)을 제대로 할 것이며 사회 전반적으로 민감한 사항에 대한 경고체계(Habermas, 1992)의 역할까지 수행하게 되는 동시에 한국에서의 토론문화는 더욱 활성화 될 수 있을 것이다. In recent years, there has been a growing recognition within Korea of the importance to society of constructive political discourse and debate. Although progress has been made, Korea’s debate culture is still in its infancy. More specifically, there are many areas in which the election broadcasting debate system needs to be improved. The Election Broadcasting Debate Commission (EBDC) was created in 2004 for the purpose of establishing and promoting political discourse. This study assesses the progress made by the EBDC towards this end. It addresses the role of Korea's election broadcasting debate system within the public sphere, the development of programs to educate college students and politicians in the practice of debate, and means of instilling within elementary, middle, and high schools students the foundations for political debate and discussion. In each of these areas, recommendations are made for improvement. In particular, educational programs still need to be created. It is hoped that through further progress, political discourse will perform the functions of a “sounding board” (Resonazboden) and a “warning system” (Habermas, 1992) on public issues that should be dealt with by the political system.

      • KCI등재

        사물의 "물에 뜨거나 가라앉는" 현상에 관한 4, 5, 6세 유아의 분류준거 및 준거 적용의 논리적 일관성

        이종희,김선영 한국유아교육학회 2003 유아교육연구 Vol.23 No.4

        본 연구에서는 유아들이 사물을 물에 뜨거나 가라앉는 것으로 분류할 때 적응하는 준거의 내용과 준거 적용의 일관성을 조사함으로써 비중에 관한 유아의 사고와 유아기 동안의 발달적 변화를 탐구하고자 하였다. 연구자들은 서울 시내 중산층 지역의 유치원과 어린이집에 재원중인 만 4세, 5세, 6세 유아 61명을 대상으로 면접을 실시하여 '물에 뜨고 가라앉는' 현상에 대한 이들의 사고 특징을 조사하였다. 연구결과. 유아들은 '물에 뜨고 가라앉는' 현상에 대하여 특유의 사고를 보였으며, 연령에 따른 차이점도 발견되었다. 이러한 결과에 근거하여 유아의 사고 특성과 부합되는 유아과학활동의 계획과 실시 방법을 논의하였다. This study examines causal explanations given by 4-, 5-, and 6-year-old children for 'floating or sinking' objects and the logical consistency of their applications. Sixty-one children were randomly selected from 2 kindergartens and 2 daycare centers located in Seoul, Korea. The children were asked to classify 21 selected objects according to whether or not they were 'floating or sinking' items. In addition, they were asked to give the reasons for their classifications. The results reveal that young children have unique thinking characteristics including dynamism and logical inconsistency. A significant difference in causal explanations occurred by age, and specifically between age 4 and age 5, 6. The categories that showed differences were 'weight', 'prior experience', and 'material', with the 5- and 6-year olds' giving more responses than those of the 4-year olds. There were no significant differences attributable to age in logical inconsistency. However, a significant difference by age was found in dynamism, with the 5- and 6-year olds' proffering more responses than those of the 4-year olds. The correlation was also significant between dynamism and logical inconsistency. On the basis of this study's findings, the researchers suggest implications for early childhood science education with specific focus on 'float or sink?' activities.

      • 서로 다른 디스크 運營體制間의 相互 File 變換器 開發에 關한 硏究

        李鍾姬,趙錫煥 영남이공대학 1985 論文集 Vol.14 No.-

        In this paper, the algorithm for converting from Pascal text files to DOS 3.3 text files by analyzing file formats. In order to get the Pascal files, one has to access the diskette on a direct track/sector basis because of the difference between Apple DOS 3.3 system and Pascal system file formats. This method may be applied to other operating systems. The conversions between all systems, whose directories and sector organizations are known, are possible.

      • 흉쇄유돌근 수축도의 보정이 전정유발근전위 결과에 미치는 영향

        이종희 대한임상병리사협회 2014 임상생리검사학회 발표자료집 Vol.2014 No.-

        배경 (Background) 전정유발근전위검사는 구형낭의 기능을 보는 유일한 검사방법으로 말초성 및 중추성 어지럼증 환자에게 유용한 검사로 시행되고 있다. 비침습적이고 간단하지만 검사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나이) 검사자세, 자극강도, 흉쇄유돌근의 수축정도, 환자의 협조 등..)이 여러 가지 있다. 그 중 흉쇄유돌근 수축도의 보정이 결과에 어느 정도를 영향을 미치는지 알아보고자 하였다. 방법 (Methods) 본 연구에서는 대조군 42명, 어지럼군 43명을 대상으로 Viking select (Nicolet biomedical madison, USA)를 이용하여 VEMP 측정 하였고, 흉쇄유돌근의 수축 정도를 알아보기 위해 여러 가지 방법으로 시행되어 왔으나 본 연구에서는 수축정도를 Labview (Laboratory Virtual Instrument Engineering Workbench, national instruments USA)분석장비를 통해 측정하였다. 결과분석방법으로 기본 IADR (interaural amplitude difference ratio)값은 양측 진폭의 합과 양측 진폭의 차이의 비율 [(우측 진폭-좌측 진폭) /(우측 진폭+좌측 진폭) x 100] 로서 계산하여 %로 나타내지만 본 연구에서는 측정된 전압값(수축정도)을 VEMP 진폭 에 보정하였다. 보정하는 방법은 진폭을 전압값으로 나누어 구하였고 보정값을 기존 IADR값 구하는 진폭에 대입하여 보정 IADR 값을 구하였다. 정상 범위는 분당서울대병원에서 정상인을 대상으로 측정한 23%-+23% (Mean+2SD) 를 기준으로 검사하였다. 또한 통계처리는 SPSS 18을 사용하여 대조군과 어지럼군의 잠 복기, 진폭, 흉쇄유돌근의 수축정도의 평균과 표준편차를 구하였다. 결과(Results) 보정 전,후 IADR값의 효용도 분석 결과 기본 IADR 민감도는 86%, 보정 IADR 민감도는 100%로 14%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고, 특이도 분석결과 기본 IADR 특이도는 67.4%, 보정 IADR 특이도는 79%로 11.6% 증가한 소견을 보였다. 또 위음성율과 위양성율이 감소하였다. 고찰(Discussion) 전정유발근전위검사시 흉쇄유돌근 수축값의 보정 유무가 검사 결과에 상당한 영향을 미친다는 점이 다시 한번 밝혀진 결과이고 위양성율과 위음성율을 줄여 진단의 정확성을 높이기 위해 보정이 꼭 필요하겠다.

      • KCI등재

        북부 동중국해 생태계의 NEMURO모델에 의한 하위생태계 분석

        이종희,장창익,Lee, Jong-Hee,Zhang, Chang-Ik 한국해양학회 2008 바다 Vol.13 No.1

        The NEMURO model is aimed to efficiently understand the interaction among factors of lower trophic level of a marine ecosystem, using data on solar radiation and sea water temperature. In this study, we analyzed the seasonal pattern of nutrients and planktons, and estimated productivity and biomass of planktons from 2002 to 2005. Nutrients($NO_3$, $NH_4$, and $Si(OH)_4$) which were used by phytoplankton showed a high concentration before the bloom of phytoplankton. Nutrients (DON, PON, and Opal) which were a byproduct of phytoplankton showed a high concentration in the same period as the bloom of phytoplankton. Both phytoplankton and zooplankton had two peaks in March and August. Estimated phytoplankton biomass from the NEMURO model showed a similar pattern with observed chlorophyll a concentrations. Biomasses of phytoplankton were bigger than those of zooplankton. Annual mean biomasses of small and large phytoplankton were estimated at 30.961 and $14.070\;{\mu}g\;l^{-1}$ respectively. Annual mean biomass of predatory zooplankton was greater than those of small and large zooplankton. NEMURO 모델은 태양복사에너지와 표층수온자료를 사용하여 해양의 하위영양단계의 인자들 사이의 상호작용을 효과적으로 이해하기 위하여 개발된 모델이다. 본 연구에서 영양염과 플랑크톤의 계절적 변동을 분석하였으며, 2002년부터 2005년 사이의 플랑크톤 생산량과 생체량을 추정하였다. 모델 내에서 식물플랑크톤이 직접적으로 이용하는 영양염인 $NO_3$, $NH_4$ 및 $Si(OH)_4$는 식물플랑크톤의 대번식시기 이전에 높은 농도를 나타내었다. 플랑크톤의 사망이나 배설에 의해 재생되는 영양염인 DON, PON 및 Opal은 플랑크톤의 대번식시기와 동시에 높은 농도를 나타내었다. NEMURO 모델에서 추정된 식물과 동물플랑크톤은 3월과 8월에 높은 생체량을 보인다. 이는 모델이 적용된 지역에서 관측된 chlorophyll a와 유사한 형태를 나타내었다. 식물플랑크톤의 생체량은 동물플랑크톤보다 더 컸으며, 포식형 동물플랑크톤의 연평균 생체량은 소형과 대형 동물플랑크톤보다 크게 나타내었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