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알루미늄합금주물의 응고해석과 수축공 예측

        이영철,홍준표,이학주 대한금속재료학회(대한금속학회) 1988 대한금속·재료학회지 Vol.26 No.8

        Solidification analysis of shaped castings and prediction of shrinkage cavity formation by the finite difference method were demonstrated with several examples. Several actual castings of aluminum alloy in sand mold wore experimented and the results were compared with those obtained by computer simulation. The two prediction parameters, temperature gradient and critical fraction solid for fluid flow, and an auxiliary parameter shrinkage potential, were adopted for predicting the formation of shrinkage cavity or porosity in aluminum alloy castings. It was found that a quantitative design of shaped castings can be made by the computer aided solidification analysis.

      • 의학도서관 CD-ROM 네트워크 활용 사례 조사

        이영철 한국의학도서관협의회 1993 한국의학도서관협의회지 Vol.20 No.1

        This study was done to know theoretical background, Component and Shape of CD-NET that was constructed by LAN and investigate a case of utilization of installed and operating system in the inside and outside of the country a present. And we proposed on item that will be considered when a library is planning CD-NET.

      • 마이크로 스트립 전송선로의 고속 디지털 신호 전송 특성 해석

        김기래,이영철 慶南大學校 附設 工業技術硏究所 1998 硏究論文集 Vol.15 No.2

        마이크로 스트립 전송 선로의 고속 디지털 펄스 신호에 대한 상호 결합 특성을 시영역에 의한 등가회로 모델을 사용하여 전송 특성을 나타냈다. 전송선로의 설계시 펄스의 주파수와 선로의 구조에 의한 특성 분석은 Pspice를 이용하였으며 해석한 결합 선로의 누화 특성을 Branin 법 및 측정 결과와 비교하여 일치함을 보였다. 결합 마이크로 스트립 선로의 기하학적 구조에 따른 사다리꼴 펄스 및 구형 펄스의 누화특성을 중심으로 본 논문의 결과는 CAD에 의한 M(M)IC 회로 설계시 신호의 주파수와 결합선로의 구조적 문제를 해석하는데 적용할 수 있다. The propagation properties of the high speed pulse signal in time domain using the equivalent circuits on the single and coupled microstrip lines are investigated. The PSpise method can analysis the propagation characteristics regard to structure of the coupled microstrip lines and signal pulses. The results of crosstalk of coupled microstrip lines compared to one by Branin method and measured, and they are obtained same results. The results of this paper are apply to the determination for the geometric structure and the frequency of signal pulse in design of MIC and MMIC by the CAD program.

      • KCI등재

        메타인지 훈련이 정신지체학생의 수학문제해결과 학습태도에 미치는 영향

        이영철,정춘순 한국정신지체아교육학회 2002 지적장애연구 Vol.4 No.-

        이 연구는 메타인지 훈련이 정신지체학생의 메타인지 수준과 수학문제해결에 미치는 영향을 연구하고자 하였으며, 메타인지 훈련 사전ㆍ사후 정신지체학생의 수학학습태도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고자 하였다. 연구결과 대상학생에 따라 메타인지 훈련이 미치는 영향이 각각 다르게 나타났으나, 메타인지 훈련은 정신지체학생의 메타인지 수준과 수학문제해결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리고 메타인지 훈련결과에 따른 정신지체학생의 수학학습태도도 긍정적인 쪽으로 변화된 것으로 나타났다.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influences of metacognitive training on the metacognition level, mathematics problem solving abilities and learning attitudes of students with mental retardation. The subjects were three middle students with mental retardation at H special school in Jeonbuk.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metacognitive training was effective in improving the metacognitive level of the subjects. According to the test of individually metacognitive levels, student 1 and 3 increased at metacognition level. Student 2 showed an increase in his cognitive strategies and self-examination with the exception of planning. The reason is that the subject was exposed to self-controlling activities in the process of problem solving, the provision of metacognitive knowledge and strategic monitoring among metacognitive training. Second, metacognitive training was effective in enhancing the mathematics problem solving abilities of students with mental retardation. The pretest and posttest of mathematics problem solving abilities showed that student 1 and 3 were highly influenced in terms of self-examination. Student 2 was influenced in terms of understanding and performing abilities with the exception of self-examination. The reason is that performing abilities capable of solving practical problems by means of offering the process of problem solving on a gradual basis through self-instruction, self-questioning, and self-monitoring among the process of metacognitive training. Third, metacognitive training turned out to have a positive influence on the subjects' attitudes. In terms of mathematics learning attitudes, student 1 and 2 weren't greatly influenced after metacognitive training, but such training gave them confidence in mathematics. Student 3 concentrated on the problem and was willing to try a variety of methods on a gradual basis when solving problems.

      • KCI등재

        의미의 기준으로서의 사용과 관상으로서의 의미 -후기 비트겐슈타인의 의미관에 대하여-

        이영철 한국분석철학회 2007 철학적 분석 Vol.0 No.15

        In his later period, Wittgenstein often said that meaning is use, seemingly identifying meaning with use. On the other hand, as meaning is determined by use, he also regarded use as the criterion of meaning. But if you mean by the dictum ‘meaning is use’ a simple identity of meaning and use, the idea of meaning as use does not fit in with the idea of use as the criterion of meaning. For, in general, that X is the criterion of Y implies the non-identity of the two. Moreover, in his Philosophical Investigations §568, Wittgenstein said: “Meaning [is] a physiognomy”. What is the relation of this puzzling words with the dictum ‘meaning is use’? Elucidating his later view of meaning requires answering this question and other related questions. Basically, my view is that Wittgenstein thought (or rather, should have thought) that meaning is not use itself but a physiognomy related with use, and that use is a criterion of meaning conceived as a physiognomy. I think this interpretation will open a new way to understand Wittgenstein's dictum (in particular, the section 43 of the Investigations): It is a grammatical description, not a definition of meaning. 후기 비트겐슈타인은 종종 ‘의미는 사용’이라고 말하였다. 이것은 그가 의미와 사용이 동일하다는 견해를 내세웠거나 전제한 것으로 간주되곤 한다. 그러나 한편으로, 그는 사용을 의미의 ‘기준’이라고도 이야기한다. 왜냐하면 그는 의미가 사용에 의해 결정된다고 보기 때문이다. 그러나 의미가 사용이라는 말이 의미와 사용의 단적인 동일성을 뜻한다면, 의미가 사용이라는 것과 사용이 의미의 기준이라는 것은 서로 맞지가 않는다. 왜냐하면, 일반적으로, 어떤 것 X가 어떤 것 Y의 기준이라는 말은 그 둘이 동일하지 않다는 것을 함축하기 때문이다. 더욱이 비트겐슈타인은 철학적 탐구 §568에서는 “의미[는] 하나의 관상(觀相)”이라고 수수께끼 같은 말을 하기도 한다. 이 말과 ‘의미는 사용’이라는 말은 어떤 관계에 있는가? 후기 비트겐슈타인의 의미관은 이런 의문들의 해명을 요한다. 이 논문은 의미, 사용, 관상에 대한 비트겐슈타인의 언급들을 분석하고 음미함으로써 그의 후기 의미관을 좀 더 깊이 이해해 보고자 한다. 필자는 기본적으로, 의미는 사용에 의해 결정되기는 하지만, 의미는 사용 자체가 아니라 사용과 관련된 하나의 관상이며, 사용은 이러한 의미의 기준이라는 것이 비트겐슈타인의 생각이라고―또는 생각이어야 한다고―볼 것이다. 이렇게 볼 때, ‘의미는 사용’이라는 그의 말을 올바로 이해할 수 있는 길도 열릴 것이다. 그것은 의미의 정의가 아니라 하나의 문법적 기술이다. 주 제 언어철학 주요어 (후기) 비트겐슈타인, 의미, 사용, 기준, 관상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