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일반성분분석을 통한 군납 건빵의 배합비 관리 연구

        이동헌,정민홍,변지은 한국품질경영학회 2018 한국품질경영학회 학술대회 Vol.2018 No.-

        본 연구는 군납 건빵의 제조과정에서 쌀가루와 밀가루의 배합에 따른 완제품의 일반영양성분(지방, 단백질, 수분, 회분) 비율을 연구하였다. 일반적으로 건빵 제조 시, 생미분과 밀가루의 배합으로 인하여 반죽 물성이 변화하고, 이에 따라 반죽성형에 어려움이 발생하기 때문에 배합비가 규격에 따라 잘 지켜지지 않는 문제가 있었다. 또한 광범위한 공차를 인정하는 완제품 규격으로 인하여 완제품의 일반성분 분석 결과로는 배합비 검증이 불가하였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약 7년 간 수집된 건빵의 일반성분비와 각 시험분석을 수행한 3개 기관에 대한 HorRat평가로 Collaborative study 가능성을 평가 하였다. 각 시험기관의 HorRat은 수분을 제외한 나머지 항목에서 적정한 것으로 평가되었으며, 수집된 데이터를 바탕으로 대조군과 10% 정도의 배합비 비율이 차이는 시험군 데이터를 투입하여 검증하였다. I-MR 관리도를 이용한 검증에서 시험 군에서는 단백질 및 회분 항목에서 3σ 범위를 벗어나는 것으로 평가 되었으며, 이를 통해 완제품 분석 값을 통한 배합비의 검증 가능성을 확인할 수 있었다.

      • KCI등재

        Evolution, global spread, and pathogenicity of highly pathogenic avian influenza H5Nx clade 2.3.4.4

        이동헌,Kateri Bertran,권정훈,David E. Swayne 대한수의학회 2017 Journal of Veterinary Science Vol.18 No.-

        Novel subtypes of Asian-origin (Goose/Guangdong lineage) H5 highly pathogenic avian influenza (HPAI) viruses belonging to clade 2.3.4, such as H5N2, H5N5, H5N6, and H5N8, have been identified in China since 2008 and have since evolved into four genetically distinct clade 2.3.4.4 groups (A–D). Since 2014, HPAI clade 2.3.4.4 viruses have spread rapidly via migratory wild aquatic birds and have evolved through reassortment with prevailing local low pathogenicity avian influenza viruses. Group A H5N8 viruses and its reassortant viruses caused outbreaks in wide geographic regions (Asia, Europe, and North America) during 2014–2015. Novel reassortant Group B H5N8 viruses caused outbreaks in Asia, Europe, and Africa during 2016–2017. Novel reassortant Group C H5N6 viruses caused outbreaks in Korea and Japan during the 2016–2017 winter season. Group D H5N6 viruses caused outbreaks in China and Vietnam. A wide range of avian species, including wild and domestic waterfowl, domestic poultry, and even zoo birds, seem to be permissive for infection by and/or transmission of clade 2.3.4.4 HPAI viruses. Further, compared to previous H5N1 HPAI viruses, these reassortant viruses show altered pathogenicity in birds. In this review, we discuss the evolution, global spread, and pathogenicity of H5 clade 2.3.4.4 HPAI viruses.

      • KCI등재

        Analysts’ Multi-period Forecasts and Future Earnings Persistence

        이동헌,이세중 한국국제회계학회 2022 국제회계연구 Vol.- No.101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whether analyst multi-period forecasts reflect the future earnings persistence information. [Methodology] Our sample period covers from 1993 and 2013. We establish 8,867 final samples from the intersection of the Compustat, CRSP, and I/B/E/S. We test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actual future earnings persistence and analysts’ earnings persistence forecasts implied in the multi -period earnings forecasts. Also, we investigate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expectation in earings persistence change and future stock returns volatility. Lastly, we regress future abnormal returns on the expectation of change in earnings persistence. [Findings] After estimating analysts’ earnings persistence forecasts embedded in their multi- period earnings forecasts, we find that the expectation of change in future earnings persistence implied in the multi-period forecasts captures actual change in future earnings persistence. We also find that when analysts anticipate a rise in future earnings persistence, future stock returns increase while future stock returns volatility declines. [Implications] Our findings support the argument that, although analysts’ multi-period forecasts convey information regarding the future earnings persistence variation, investors do not fully understand the implication and respond on a delayed basis.

      • 都心地內 土地利用과 住居不在에 관한 小考

        李東憲 관동대학교 1981 關大論文集 Vol.9 No.1

        이리하여 本 論題를 展開하였던 바, 要約을 하면 다음과 같다. 근 30年間의 産業化 過程에서, 産業構造의 變動은 人口의 流動과 아울러 都市로의 集中을 야기 시켰고, 他地에서 온 移住民들이 都心과 外廓地로 流入되면서 都心地의 土地利用에서 亂在 혹은 混在가 되고 環境은 惡化一路에 놓이게 되었다. 이를 解決코자 都市全般에 걸쳐 用途地區制 묶어 버리자, 職住分離 , 晝夜間 人口의 過小過密現像, 出退勤時 急激한 交通難, 都心의 維持管理, 또 外廓地에서는 슬럼의 형성과 함께 都市의 無節制한 擴散, 不動産 投機等, 問題가 쌓이게 되었다. 이에 대해 都市整備, 環境改善을 위하여 再開發을 하였으나, 막대한 豫貨와 經費가 所要되었음이도 불구하고 滿足할 만한 成果를 얻지 못하고, 都心은 都心대로 外廓은 外廓대로 二重으로 投資되는 結果가 되었다. 이러한 現像에 대한 主要因은 다음과 같이 압축시킬 수 있다. ㅇ 産業構造 變化와 産業體의 과도한 都市集中 ㅇ 人口流動의 深化와 都市內 住居의 需要增大 ㅇ 地域地區利의 과다한 用途緩和와 都心地內의 住居不在 이러한 要因들을 좀더 根本的으로 把握하기 위해 都心內로 接近하여 보니 다음과 같은 點으로 要約 할 수 있었다. ㅇ 家族構成의 變化와 核家族 ㅇ 家族收容性의 限界 ㅇ 空間利用의 非實用性과 非效率性 ㅇ 外部空間의 位系秩序 未備 ㅇ 融通性 缺如 이상의 主要因에 對하여 다음과 같이 提言하고자 한다. 1. 지나친 用途純和的 開發止揚 2. 常住人口에 대한 收容態勢에 대한 對備-즉 密度配分에 신중한 考慮 3. 單位住居의 內部的 葛藤제거 ㅇ 家族構成의 變化에 대한 對處 ㅇ 核家族을 中心으로 한 指標止揚 4. 都心地의 住宅類型 開發 ㅇ 土地分割의 效用性 考慮 ㅇ 最大의 收容性을 부여 ㅇ 最大의 融通性을 부여 ㅇ 土地利用과 住宅과의 位系秩序確立

      • 設計와 知覺 環境의 效果分析에 關한 硏究 : 地區次元에서의 設計方法과 認知效果를 中心으로

        李東憲 관동대학교 1986 關大論文集 Vol.14 No.2

        Till now, we have faced on the confusion over the design research and method in architecture, urban design, planning, toward the urban development, because the increasing awarness of the complexity in those field problem. Therefore this research aims at more improvement of design process by exploration in it`s theories through the analysis of case study and the effectivencss of perceptual environment, including the problem of the authorities concerned, users, clients, kenters, citizens, and experts in architecture & urban field. According to the developing the method of design process, the guideline, criteria must be based on, not only architecture, but also urban structure, region, site context. And the perceptual environment, too, has too, has to reviewed by the dialectic approach in design. Thus the design would be more acceptable to the realization through the design languagetypology, mass, form, shape, style and detail. Those also can be standard evaluation lighten the complexity in our city & architecture.

      • KCI등재

        불성실공시 지정기업의 감사보수와 감사시간

        이동헌,최정운 韓國公認會計士會 2013 회계·세무와 감사 연구 Vol.55 No.1

        본 연구는 불성실공시 지정이 감사보수와 감사시간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한다. 구체적으로 불성실공시를 해당 사유발생연도와 실제 지정연도로 구분하여 감사보수와 감사시간과의 관계를 분석한다. 추가적으로 표본을 불성실공시 지정기업으로 한정하여 불성실공시 지정 전후의 감사보수와 감사시간의 변화를 분석한다. 분석결과 불성실공시 지정기업은 사유발생연도에 비지정기업에 비하여 비정상감사보수가 높게 나타났다. 또한 실제 불성실공시 지정연도에 지정기업은 비지정기업에 비하여 비정상감사보수가 높게 나타났다. 표본을 불성실공시 지정기업으로 한정하여 지정 전후를 비교한 분석에서는 지정 이후의 기간에 비정상감사보수가 높게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를 종합해 볼 때, 불성실공시 지정은 감사인에게 감사위험으로 인식되어 해당 기간의 감사보수의 증가로 나타나지만, 해당 감사보수의 증가가 비정상감사시간에 기인한 것은 아니라고 해석할 수 있다. 본 연구는 불성실공시 지정이 감사보수와 감사시간에 미치는 영향에 초점을 맞추고 있다. 불성실공시 지정이 감사인에게 감사위험으로 인식되어 감사보수에 영향을 미친다는 결과는 해당 제도의 유효성을 판단하는 근거를 제공한다는 점에서 정책적 공헌점이 있다. This paper examines the effect of unfaithful disclosure designation on auditors' decision. Specifically, we analyze the association between unfaithful disclosure designation and auditors' decision such as audit fees and audit hours, differentiating the reasons and the periods for designation. In addition, we do analyze the difference between audit fees(audit hours) in the pre-designation period and in the post period. Our findings are as follows. First of all, there is a positive relation between abnormal audit fees and the unfaithful disclosure firms, which implies that auditors reflect audit risk to their contract. But there is not a significant relation between abnormal audit hours and the unfaithful disclosure firms. Overall, these results shows that auditors recognize the designation of unfaithful disclosure firms as a signal for audit risk, and reflect this signal into audit contract. Also these results are consistent with the fact that auditors take firms' audit risk into their account, which has been supported by previous research. This study contributes to the literature linked to audit area by observing the response of auditors to audit risk. and provides a implication for regulators by showing the effect of designation for unfaithful disclosure on audit firms.

      • The Violation by Korea of the Article 25 (e) of the Convention on the Rights of the Persons with Disabilities, and the Measures to Be Taken : Focusing on the Korean Commercial Act Article 732

        이동헌 이화여자대학교 법학전문대학원 2016 Ewha Law Review Vol.6 No.-

        상법 제732조는 심신상실자의 사망을 보험사고로 하는 보험계약을 금지한다. 이 조항으로 인해 한국의 정신 장애인들은 의료보험과 생명보험 혜택으로부터 완전히 배제된다. 한국 정부는, 상법 제732조를 폐지하지 않음으로써, 한국이 가입한 장애인인권협정(CRPD)을 위반하고 있는 것이다. 장애인인권협정 25조 (e)항은 가입국들이 ‘장애인들은 가능한 최고 수준의 건강을 누리고, 이에 대해 장애를 이유로 한 차별을 받지 않을 것을 인식할 것’을 요구한다. 특히 25조 (e)항은 정신장애인을 의료보험과 생명보험 측면에서 차별하는 것을 금지한다. 따라서 상법 제732조와 장애인인권협정 25조 (e)항은 서로 충돌한다. 한국은 상법 조항과 상충하는 장애인인권협정 25조 (e)항에 대해 유보를 하였으나, 그 유보조항은 장애인인권협정의 목적과 취지에 반하기 때문에 무효이다. 따라서 25조 (e)항의 위반을 정당화하는 근거가 없으므로, 한국은 국제법을 위반하는 것이고, 국가 책임이 발생한다. 그러나 한국에 대하여 국제법 위반에 따른 국가책임을 강제하는 것은, 현재로서는 어떤 방식으로도 불가능해 보인다. 한국정부를 상대로 장애인인권협정에 가입한 다른 국가의 국내법원에 재판을 청구하는 것은, 국가 주권 때문에 불가능하다. 장애인인권협정에 가입한 다른 국가로 하여금 이 사건을 ICJ에서 문제삼도록 하는 것은, 다른 국가들이 이 사건에 대해 소의 이익이 없으므로 역시 효과적인 방법이 아니다. 그나마 효과적인 해결책은 이 사건을 장애인인권위원회에서 문제삼는 것이다. 한국의 장애인들에게는 불행하게도, 그들은 이 사건을 장애인인권위원회에서 문제 삼을 수 없다. 이는 한국이 장애인인권협약의 선택의정서에는 가입하지 않았기 때문이다. 한국의 장애인들이 의료보험과 생명보험에 관한 차별을 멈출 수 있는 유일한 방법은, 한국정부가 선택의정서에 가입하고 이에 구속되도록 하는 방법뿐이다. 다행히도 장애인인권위원회도 이 문제를 인식하고 있다. 따라서 한국의 장애인들은 장애인인권위원회와 함께 그들의 권리를 위한 투쟁을 해야 할 것이다. The Article 732 of the Korean Commercial Act, prohibits people with mental disabilities from taking part in an insurance contract as the insured. This article results in complete exclusion of the mentally incompetent from health and life insurances in Korea. The Korean government is violating the Convention on the Rights of the Persons with Disabilities which Korea is party to, by not repealing the Article 732 of the Korean Commercial Act. The Article 25 (e) of the CRPD requires the parties to ‘recognize that persons with disabilities have the right to the enjoyment of the highest attainable standard of health without discrimination on the basis of disability.’ In particular, paragraph (e) of Article 25 prohibits discrimination of the mentally incompetent in respect of health insurances and life insurances. So the Article 732 of the Korean Commercial Act and the Article 25 (e) of the CRPD conflicts with each other. Korea made reservation to the Article 25 (e) of the CRPD which conflicts with the article of the Korean Commercial Act but the reservation is invalid because it is incompatible with the objective and purpose of the CRPD. With no justifying grounds to be found, Korea is violating the international law and thus state responsibility is created. However, accusing Korea of the violation and state responsibility seems impossible for now, whichever way considered. It is not possible to accuse the Korean government of the violation in front of domestic courts of other state parties to the CRPD because of state responsibility. Making the other state parties to take the case to the ICJ is also not an effective way because the other countries have no interest of litigation in this case. Taking the case to the Committee on the Rights of the Persons with Disabilities seems like an effective and realistic solution. Unfortunately for the disabled people of Korea, they cannot take the case to the committee on the Rights of the Persons with Disabilities because Korea is not party to the optional protocols. The only chance for the disabled people to stop discrimination in respect of health and life insurances is to make the Korean government sign the optional protocols and be bound by it. Fortunately, the Committee on the Rights of the Persons with Disabilities is also aware of this problem. So the disabled people of Korea should fight for their rights alongside with the committee.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