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終結形의 變化와 近代的 文體

        이지영 한국어문교육연구회 2019 어문연구(語文硏究) Vol.47 No.4

        This paper aims to investigate changes of sentence-final forms in relation of modern writing style of Korean narratives in the early 20th century. We reviewed critically the various arguments of Korean literature and Korean stylistics in terms of Korean linguistics, and emphasized the need for consideration and understanding of different fields of study, for example, linguistics, literature, stylistics in the study of modern writing style of Korean narratives in the early 20th century. The results of this paper follows: First, sentence-final form '-ra' is the allomorph of '-da'. So change of writing style isn't oriented to the semantic-functional characteristics of these forms. Second, types of writing style, so-called '-ra' type and '-da' type include different semantic-functional sentence-final forms, and can not be the representatives of modern writing style. Third, the change of sentence-final form '-deora' to '-eossda' in narratives is due to the semantic-functional change of '-deo-' triggered by the change of past tense system in Modern Korean. So '-eossda' was chosen because it is the best sentence-final form for new writing style of the early 20th century, not '-deora'. 이지영, 2019, 종결형의 변화와 근대적 문체, 183 : 5~27 본고는 20세기 초에 나타난 근대적 문체의 형성이라는 관점에서 종결형의 변화를 논의하였다. 특히 한국어학의 입장에서 그간의 한국문학 및 문체론의 논의를 비판적으로 검토하고 문체론의 연구에서 다양한 분야의 논리와 관점이 종합적으로 고려되어야 함을 강조하였다. 본고의 내용을 정리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라’와 ‘-다’는 이형태(異形態) 관계인 형태들로서 문장 종결이라는 동일 기능을 가진다. 따라서 이들 형태의 의미·기능이 달라서 전근대적 문체의 특징과 근대적 문체의 특징을 각각 드러내는 것으로 오해해서는 안 된다. 둘째 소위 ‘-라’체와 ‘-다’체로 언급되는 문체 유형은 이질적인 특징을 가지는 종결형들을 포함하고 있다. 따라서 종결형의 의미·기능에 대한 엄밀한 이해를 바탕으로 근대적 문체 유형이 논의되어야 한다. 셋째, ‘-더라’형에서 ‘-엇다’형으로의 교체는 근대국어 시기의 시제 체계 변화에서 촉발된 ‘-더-’의 기능 변화에 기인한 것이다. 이에 20세기 초의 서사문이 추구하던 새로운 서술 방식에 ‘-더라’는 더 이상 적절한 종결형이 될 수 없었고 대신 ‘-엇다’가 선택되었다.

      • KCI등재

        초등학생의 책 선택 요인에 관한 이론적 고찰

        이지영,이지영 한국초등국어교육학회 2011 한국초등국어교육 Vol.46 No.-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synthesizing literatures about child-readers'book selection and reorganizing the factors which influence on child-readers'book selection. Those literatures are synthesized by the purpose, subject, and method of research. To begin with, the factors which influence on child-readers' book selection are categorized into ‘text factor’, ‘reader-inside factor’, and ‘context factor’. The text factor includes ‘difficulty-related physical characteristics’, ‘visibility -related physical characteristics’, ‘book-related meta-data’, and ‘contents-related factor’. The reader-inside factor - ‘interest’, ‘self-efficacy’, ‘reading inclination’,and ‘reader's background knowledge’ - are considered as a readers' affective characteristics that play an pivotal role during the readers' book selection process. The context factor includes ‘situated context’ and ‘socio-cultural context’. The ‘situated context’ is closely related to situation of readers' bool selection; otherwise, The ‘socio-cultural context’ is the social and cultural background which influences on the book selection of readers. This study might be able to provide the list of factors which affect on the book selection of readers. To develop this research area, more scrutinized and detail researches about each factors' effect on various readers' book choice are requested. 이 논문은 초등학생의 책 선택에 영향을 주는 요인에 관한 기존의 연구물들을 검토하여 책 선택의 요인을 재구조화한 것이다. 이를 위하여 책 선택에 관한 국·내외의 연구물들을 연구 목적, 연구 대상, 연구 방법에 따라 검토하였다. 독자의 책 선택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은 ‘텍스트 요인’, ‘독자 내적 요인’, ‘맥락 요인’으로 범주화할 수 있다. 텍스트 요인에는 난도와 관련된 물리적 특성, 독자의 시선을 끄는 텍스트의 물리적 특성, 텍스트와 관련된 상위 정보, 텍스트 자체 내용이 있다. ‘독자 내적 요인’은 책 선택에 관여하는 원천적이고 잠재적인 독자의 기본 성향인관심·흥미, 자아효능감, 독서 성향, 배경지식을 바탕으로 논의하였다. 독자 내적 요인은 책 선택에 영향을 주는 다른 요인을 작동시키는 강력한 내적 동기이자 결정적인요인이다. ‘맥락 요인’은 상황 맥락과 사회·문화적 맥락으로 나누었다. 상황 맥락이 독자가책을 고를 때 처해있는 상황과 직접적으로 관련된 요인이라면, 사회·문화적 맥락은독서 공동체나 상호텍스트와 같이 책 선택에 영향을 미치는 사회·문화 전반에 걸친요인으로 볼 수 있다. 책 선택 요인에 대한 연구는 책 선택과 관련된 실증 연구나 책 선택 지도에 시사하는 바가 크다.

      • KCI등재

        사회불안과 자기초점적 주의 성향의 관계

        이지영,권석만 한국인지행동치료학회 2009 인지행동치료 Vol.9 No.1

        자기초점적 주의란 자신의 생각, 느낌, 행동이나 외모 등에 초점이 맞추어지는 주의로서, 사회불안 및 사회공포증의 유지와 악화에 중요한 역할을 하는 것으로 제안되어 왔다. 그러나 사적자의식 척도(Pri SCS)를 사용하여 이루어진 자기초점적 주의와 사회불안 및 사회공포증의 관계에 대한 연구는 비일관된 결과를 보여주었다. 이는 심리적인 적응과 건강에 기여하는 한편, 불안 및 우울과 같은 부적응적인 측면에도 관련되는 자기초점적 주의의 이중성이 사적자의식 척도에 혼재되어 있기 때문이다. 본 연구는 이러한 두 가지 자기초점적 주의 성향을 구분해내기 위해 이지영과 권석만(2005)이 개발한 자기초점적 주의 성향 척도(SDSAS)를 사용하여, 사회불안과 자기초점적 주의 성향의 관련성을 살펴보고자 하였다. 연구 1에서는 사회불안 상/하 집단의 자기초점적 주의 성향을 조사하였다. 그 결과, 사회불안 성향자들은 방어적 자기초점적 주의 성향을, 사회불안이 낮은 사람들은 비방어적 자기초점적 주의 성향을 나타냈다. 연구 2에서는 사회적 상황에서 자기초점적 주의 성향이 사회불안 증상에 미치는 영향을 실험을 통해 검증하였다. 면접상황 동안 방어적 자기초점적 주의 성향 집단이 다른 집단들에 비해 가장 불안 수준이 증가하였고, 부정적인 자동적 사고를 많이 보였으며, 자신의 불안행동을 실제로 관찰된 수준보다 과장되게 지각하였다. 끝으로 본 연구에 대한 시사점과 제한점, 그리고 추후 연구에 대해 논의하였다. Self-focused attention refers to focus on one's own thoughts, feelings, behaviors, and appearance. It has been suggested to play a central role in maintaining and exacerbating social anxiety and social phobia. However, studies regarding the relationship of self-focused attention to social anxiety and social phobia by using the Private Self-Consciousness Scale showed inconsistent results. The reason is that self-focused attention contributes to the health and adaptation as well as the maladaptation such as anxiety and depression, and this duality of self-focused attention is reflected in the Pri SCS. Therefore, this study aims to investigate the relationship between social anxiety and dispositional self-focused attention, using the Scale for Dispositional Self-focused Attention in Social situation(SDSAS) which distinguishes two types of self-focused attention(Lee & Kwon, 2005). Study I explored the characteristics of the dispositional self-focused attention in high and low socially anxious individuals. Results indicated that high socially anxious individuals have defensive self-focused attention and low socially anxious individuals have nondefensive self-focused attention. Study Ⅱ was designed to evaluate the effects of dispositional self-focused attention on social anxiety symptoms in social situation. The results of the experiment indicated that during the interview, defensive self-focused attention group showed the most increase in anxiety and the most negative automatic thoughts and perceived their anxious behaviors exaggeratively compared to the evaluation of the interviewer. Finally, the implications and limitations of the study and suggestions for future research are discussed.

      • KCI등재

        자기초점적 주의 성향과 정신병리의 관계: 적응적 대 부적응적 자기초점적 주의

        이지영 한국심리학회 2010 한국심리학회지 일반 Vol.29 No.2

        Self-focused attention has been considered to contribute to both psychopathology and psychotherapy. Thus Lee and Kwon (2005) developed the Scale for Dispositional Self-focused Attention in Social situation (SDSAS) in order to differentiate two types of dispositional self-focused attention in social situation, with postulating the existence of two types of dispositional self-focused attention, defensive self-focused attention and nondefensive self-focused attention. This study aimed to investigate if two types of dispositional self-focused attention distinguished by SDSAS can be differentiated on psychopathology measures. For this purpose, SDSAS and the Symptom Checklist-Revised (SCL-90-R) were measured among undergraduate students. First, correlation analysis between SDSAS and SCL-90-R showed that there was no significant correlation between general dispositional self-focused attention scale and psychopathology scores, whereas self-absorption scale was positively correlated with psychopathology scores. Second, defensive/nondefensive self-focused attention group and low self-focused attention group were selected by SDSAS and participants' levels of psychopathology were compared. Results revealed that defensive self-focused attention group showed significantly higher scores on psychopathology measures than nondefensive self-focused attention group and low self-focused attention group. Furthermore, there were no significant differences in psychopathology scores between nondefensive self-focused attention group and low self-focused attention group. Implications and suggestions for future research are discussed. 자기초점적 주의는 정신병리 영역에서는 우울 및 불안을 유발 및 악화시키는 요인으로, 심리치료 영역에서는 심리적 적응과 건강에 기여하는 요인으로 간주되어져 왔다. 이에 이지영과 권석만(2005)은 질적으로 다른 두 가지 자기초점적 주의 성향의 존재를 가정하고 이를 구분해낼 수 있는 자기초점적 주의 성향 척도(SDSAS)를 개발하였다. 본 연구는 SDSAS의 두 가지 자기초점적 주의 성향이 정신병리 및 정신건강 측정치 상에서 타당하게 구분되는지 확인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대학생 집단을 대상으로 SDSAS와 간이정신진단검사(SCL-90-R)를 실시하였다. 먼저, SDSAS의 두 하위척도와 SCL-90-R의 상관분석을 실시한 결과, 일반적 자기초점적 주의 성향 척도는 정신병리와 유의미한 상관을 보이지 않은 반면, 자기몰입 척도는 높은 정적 상관을 나타냈다. SDSAS의 두 하위척도 점수에 근거해 방어적/비방어적 자기초점적 주의 성향 집단을 선발하고, 자기초점적 주의 성향이 낮은 집단을 비교집단에 포함시켰다. 종속측정치 상에서의 세 집단 간의 차이를 조사한 결과, 방어적 자기초점적 주의 성향은 비방어적 자기초점적 주의 성향 집단과 자기초점적 주의 성향이 낮은 집단에 비해 정신병리 수준이 유의미하게 높았다. 비방어적 자기초점적 주의 성향 집단과 자기초점적 주의 성향이 낮은 집단은 정신병리 수준에서 유의미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끝으로 본 연구의 의의와 앞으로의 연구 방향에 대해 논의하였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