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 KCI등재

        PAD/D(Political Art Documentation/Distribution)와 그룹 머티리얼(Group Material)의 민주주의: 예술에서의 행동주의와 참여

        이임수 서양미술사학회 2019 서양미술사학회논문집 Vol.51 No.-

        This study analyzes art projects organized by the two social art groups – Political Art Documentation/Distribution (PAD/D) and Group Material – during the two presidential election campaigns in the 1980s. PAD/D's State of Mind, State of the Union (1984-85) and Group Material’s Democracy (1988-89) demonstrated the change in the mode of activist art that used to be characterized by anti-museum actions and sociopolitical statements. The shift coincided with the mainstream museum’s accommodation of contemporary art activism and political art. As examining each of these projects, this study discusses the collaboration between activist art groups and art institutions while reflecting on the concept of participatory art. State of Mind, State of the Union consisted of exhibitions, performances, street works, video projections, and the Imagegram campaign, through which artists sought to make critical statements on the dangers of the conservative drift of American sociopolitical sectors under the Reagan Adminstration. Democracy, which was staged against the unprecedented media tactics used by the George H. W. Bush presidential campaign in 1988, comprised 4 exhibitions and town hall meetings with the aim of facilitating the political engagement of the audience. This study notes an evident difference in expected roles of the participants between the two projects: i.e., the participatory role shifted from the artists who made political statements to the audience who would interpret and experience the art program. 본 논문에서는 1984-1985년과 1988-1989년 미국 대통령 선거 및 취임 기간에 진행되었던 예술 행동주의 그룹의 프로젝트를 분석한다. PAD/D의 《심리 상태와 연두 교서》(1984-1985)와 그룹 머티리얼의《민주주의》(1988-1989)는 반미술관 행동과 사회정치적 발언이 특징이었던 20세기 후반의 행동주의 예술에 나타난 변화를 보여준다. 이 변화는 예술 행동주의와 당대의 정치적 미술이 주류 미술관에서 전시되기시작하던 시기와 일치한다. 본 논문에서는 각 프로젝트의 세부적인 프로그램을 살펴보면서 두 프로젝트사이의 차이에서 드러나는 행동주의 예술 그룹과 미술 기관 간 협업과 참여 미술 개념을 검토한다. 《심리상태와 연두 교서》는 로널드 레이건 대통령이 재선에서 승리를 거둔 제50대 대통령 선거 시기에 진행되었다. 예술가들은 레이건 정부 하에 가속화된 사회, 정치 영역의 보수화에 대해 심각성을 자각하고, 새로운 정부에 자신들의 문제의식과 비전을 전달하고자 이 프로젝트를 기획했다. 전시, 퍼포먼스, 거리작업, 비디오 상영, 이미지그램 등의 다매체 프로그램을 구성하여 예술가들이 예술을 매개로 발언하도록 했다. 《민주주의》는 공화당이 조지 H. W. 부시를 후보로 내고, 전례 없는 미디어 전술을 구사하던 시기에 민주주의 위기를 진단하고 이에 대한 대중의 인식을 높이기 위해 기획되었다. 4개의 주제별로 라운드테이블, 전시, 주민 회의를 구성하여 관객의 참여를 이끌어내고자 했다. 이 프로젝트는 그룹 머티리얼과 디아 아트 재단의 협업으로 진행되어 정치적 예술이 미술제도권 내로 포섭되는 사례로 꼽힌다. 민주주의를 주제로 한 두 프로젝트는 억압된 현실에 대해 발언하는 예술가에서 예술작업 과정에 참여하는 관람자로 행위의 주체가 전환되는 1980년대 후반 참여적 미술의 개념 형성 맥락과도 연관시킬 수 있다.

      • KCI등재

        모더니즘 이후 회화의 물질성과 시각성: 포스트미디엄 시대 회화의 존재 방식에 대하여

        이임수 명지대학교(서울캠퍼스) 인문과학연구소 2022 인문과학연구논총 Vol.43 No.1

        이 논문에서는 회화가 혁신적 미술 매체로서 영향력이 약해진 현재 상황에다시 모더니즘 회화의 변곡점으로 되돌아감으로써 당대 미술에서 회화의 존재방식을 밝히고자 한다. 우선 모더니즘 회화의 비평적 담론에서 빈번하게 논의되는 물질성과 시각성의 문제에 집중한다. 모더니즘의 매체 특정성에 의해 소진된매체 개념을 관습들의 복잡한 구조와 기술적 요소들의 집합적 속성에 주목하여극복한 포스트미디엄 개념은 회화를 당대의 주요 미술 매체로 거듭나게 할 수있을 것이다. 이 논문에서는 모더니즘 회화의 물질성과 시각성에 대한 해석들이어떻게 다른 전망으로 나아가며 모더니즘 회화의 변곡점이 되었는지 살핀다. 그후 포스트미디엄 조건 하에서 소진된 회화가 어떻게 재창안되고 존재하는지 밝힌다.

      • KCI등재

        공유경제 시대 미술관의 문화 논리

        이임수 한국예술종합학교 한국예술연구소 2019 한국예술연구 Vol.- No.25

        이 논문은 미술관이 제4차 산업혁명이라는 기술적인 혁신을 기반으로 부상한 공유경제 시대에 어떤 문화 논리에 기반해 기능하는지 검토한다. 이를 위해 공유경제 패러다임이 미술계와 미술시장에 어떻게 적용될 수 있는지 살펴보고 미술작품과 미술 경험을 공유할 수 있는 개방 플랫폼, 즉 예술 공유지로서 미술관의 가능성을 검증할 것이다. 나아가 4차 산업혁명과 공유경제 시대에 달라진 미술관의 문화 논리가 지능형 네트워크로 형성된 초연결성과 가상성의 조건에 맞춰져 있음을 밝힌다. 즉 미술관의 소셜 네트워크 이용자와 미술관 관람자가 소장품 정보와 예술 프로젝트에 참여할 수 있고, 그 결과 공유 공동체가 형성될 수 있다. 결론에서는 예술가들이 1960년대 후반과 1970년대 초반에 등장한 대안공간의 유산을 바탕으로 미술관 밖에서 실험적 전시 공간과 창작 플랫폼을 공유했고, 1990년대 이래 그들은 신자유주의 시장경제 체제에 자기조직화의 논리로 적응한 공간을 운영하고 대안적 예술 활동을 펼치고 있음에 주목한다. This study postulates that museums are becoming a crucial agent that brings forth and supports the cultural dimension of the sharing economy, which epitomizes the information-enabled Fourth Industrial Revolution. It examines how art community has been embracing the paradigm of the sharing economy and then discusses the adaptive transformation of museums as the platform for sharing artworks under this new paradigm. The cultural logic of museums in the era of the sharing economy is to be predicated by such concepts as hyperconnectivity and virtuality, which are the very properties of intelligent networks. By developing social media-aligned art programs based on those concepts, museums will effectively foster and sustain a sharing community among the public. We note that his kind of cultural logic has already been embraced by the artists who have been building their own sharing communities outside the museums since the first alternative spaces emerged in the late 1960s.

      • KCI등재
      • 讚耆婆郞歌에 대한 새로운 접근

        이임수 동국대학교 경주대학 1992 東國論集 Vol.11 No.-

        This paper is a study on the literary work of Chankiparangka(讚耆婆郞歌) written in the period of Silla Dynasty. I have reexamined the literary quality of the work in light of the several new interpretations(解讀) of the original text of Hyangchal(鄕札) and the development of the images in the work. The results of this study can be summarized as follows. 1) In order to cover the problem of the sound reading of all the five letters in the interpretation of Hyangchal, I have read '咽嗚爾處米' as 'ooroichimae(울오미치매)', which means 'crying oneself out', through the sad image of the death of Kiparang an archaic Korean 'ichida(이치다)' and the dialect. 2) I intend to interpret Hyangchal '逸烏川里' as a proper noun "Soomonari(수모나리 : 川)' because the place name of Ibchun-ri(卄川里), Yangbook-myun, Kyungju-koon is still called 'Simoonae(시무내)', or 'Smoonae(스무내)', or 'Soomonae(수무내)', or 'Soomonae(수몬내)', etc. and it is a dry stream(乾川) in which water flows beneath the pebbles. 3) The images of Chankiparangka consist of the opposition structures like the heaven vs. the earth, this life vs. the afterlife, Kiparang vs. the writer, this shore(此岸) vs. the other shore(彼岸), the sad reality of Koparang's death at his hometown, Soomonae vs. the white clouds, the image of paradise(理想鄕). These images of the opposition sublimate even common pebbles at the shore to the noble spirit of Kiparang through the media of 'the moon, the ferry, the river water, and the moonlight, etc.'. 4) Mojookjirangka and Chankiparangka are in praise of a Hwarang(a member of the elite corps of Silla) respectively, and they are similiar in terms of admiring a great and noble personality. However, in recognizing the realities of the death, Mojookjirangka is a lyrical work saturated with Buddhistic, shamanistic background. On the other hand, Chankiparangka, even though it was based on Buddhistic thoughts, was written in the reality-oriented spirit faithful to the Confucian ideas.

      • KCI등재

        《증인들: 우리의 사라짐에 저항하여》 전 연구: 1980년대 배제적 에이즈(AIDS) 담론과 예술적 포용의 장

        이임수 미술사학연구회 2022 美術史學報 Vol.- No.58

        This paper analyzes the exhibition, Witnesses: Against Our Vanishing, held in 1989. It addresses how the New York art world coped with the AIDS crisis in the 1980s in terms of the discourses of resistance and inclusion. In the 1980s’ epidemic, people with AIDS were excluded from the political discourse. Indifference of the government to AIDS, the homophobic behavior of the politicians and the church, and the biased view of mass media not only prevented correct information on AIDS from distributing to the public, but also spreaded deep prejudice against PWA to stigmatize them depraved, dirty, bad victims. In this situation, Witnesses: Against Our Vanishing was held at Artists Space in New York to show sincerely the life and death of PWA. Its curator Nan Goldin made her friends who were infected HIV or lost their friends due to AIDS participate the exhibition. In contrast to AIDS activist groups which took direct political actions, this exhibition attempted to remember and record friends who were PWA as they were. This paper argues that Witnesses formulated an alternative sphere for discourse on AIDS, taking a part of counter discourses of AIDS crisis, along with the militant political acts by AIDS activism. According to the concept of four discourses by Jacques Lacan who defines discourse as the social bond in intersubjectivity, while AIDS activism, which resistance, protest, complaint featured, can be regarded to demonstrate the discourse of the hysteric, Witnesses can be defined as the discourse of the analyst which produced a new master signifier in relation to AIDS by providing a sphere for individual expressions in the method of artistic inclusion. As its method was in the supplementary relation to that of AIDS activism, the exhibition made the counter discourse on AIDS more diverse and dynamic. 본 논문은《증인들: 우리의 사라짐에 저항하여》를 통하여 1980년대 에이즈(AIDS)의 유행으로 인해 미국 예술계가 직면한 위기와 고통을 극복했던 방식을 저항과 포용의 담론이라는 틀에서 살펴보고자 한다. 1980년대 에이즈 감염자들은 정치적 담론에서 배제되었다. 정부의 무관심, 정치인과 종교인의 동성애 혐오 발언, 미디어의 편향된 시각 등으로 인하여 에이즈에 대한 정확한 정보가 대중에게 전달되지 못했을 뿐만 아니라 에이즈 감염자에 대한 심각한 편견이 확산되어 이들은 타락하고 불결한 나쁜 피해자로 낙인찍혔다. 이런 상황에서 1989년 뉴욕 아티스츠 스페이스에서 개최된 전시《증인들: 우리의 사라짐에 저항하여》는 에이즈 감염자들의 모습을 진솔하게 보여주었다. 기획자인 낸 골딘은 에이즈 감염자이거나 에이즈로 친구를 잃은 예술가 친구들을 전시에 참여시켰다. 에이즈 행동주의 그룹이 직접 정치적 행동을 취했던 것과는 달리, 이 전시는 에이즈 감염자들인 지인들의 모습을 있는 그대로 보여주고 그들을 기억하고 기록하고자 했다. 본 논문은《증인들》 전이 대안적인 포용적 담론의 장을 형성하여 에이즈 행동주의의 투쟁적 정치 실천과 함께 에이즈 위기의 대항적 담론의 한 부분이 되었음을 밝힌다. 이때 담론을 상호주체성 속의 사회적 관계로 파악하고 설명하는 자크 라캉(Jacques Lacan)의 네 가지 기본적인 담론 구조를 참조한다. 정부에 대한 저항, 시위, 불평 등으로 특징지어지는 에이즈 행동주의가 히스테리 담론의 구조를 띠는 반면, 이 전시는 분석가 담론 구조를 띠는데, 예술적 포용이라는 방식으로 참여작가들의 개인적 표현의 장이 됨으로써 에이즈에 관한 새로운 주인기표를 생산한다. 이러한 방식은 에이즈 행동주의의 방식과 보충 관계에 있으면서 에이즈 대항 담론을 풍부하고 역동적으로 만들었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