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노트필기 전략프로그램 참여 여부에 따른 학업성취도 분석

        양정모 인문사회 21 2022 인문사회 21 Vol.13 No.5

        Analysis of Academic Achievement According to Participationin Note-taking Strategies ProgramJoungmo Yang Abstract: The main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effectiveness of note-taking strategies program among the learning competency enhancement programs. For this study, the analysis was conducted with the focus on the academic achievement of the students who participated in the note-taking strategies program for four semesters. The results of the study are as follows, First, it turned out that the group who participated in the note-taking strategies program showed numerically higher academic achievement than the group who did not. Second, it was statistically deduced that the group who participated more in the note-taking strategies program showed higher academic achievement than the group who did not. Third, it turned out that academic achievement improved in all groups, and there was a greater effect in the group with low grades. This study shows that note-taking strategies program has a great influence on the academic achievement of undergraduates. Especially, the group with low academic achievement shows the reliable difference in academic achievement after participating in the program. To sum up, this program will help immensely students on academic probation or those with academic underachievement. Key Words: Note-taking, Academic Achievement, Learning Competency, Learning Strategy, Students on Academic Probation 노트필기 전략프로그램 참여 여부에 따른 학업성취도 분석양 정 모* 연구 목적: 이 연구는 학습역량 강화프로그램 중 노트필기 전략프로그램의 효과성을 탐색하는 데에 주목적이 있다. 연구 방법: 본 연구의 방법은 4학기 동안의 A대학 전체 학생 중 노트필기 전략프로그램에 참여한 학생들의 학업성취도를 중심으로 분석을 진행하였다. 연구 내용: 이 연구의 결과는, 첫째, 노트필기 전략프로그램에 참여한 집단이 그렇지 않은 집단에 비해 학업성취도가 더 높은 것을 통계적으로 확인할 수 있었다. 둘째, 노트필기 전략프로그램에 더 많이 참여한 집단이 그렇지 않은 집단에 비해 학업성취도가 더 높은 것을 도출할 수 있었다. 셋째, 초기 학업성취도에 따른 그룹화 이후 노트필기 전략프로그램 참여 여부에 따른 효과성을 비교해 보면 모든 그룹에서 학업성취도가 향상된 것을 볼 수 있었으며, 성적이 낮았던 집단에서 더 큰 효과를 보는 것으로 나타났다. 결론 및 제언: 본 연구는 노트필기 전략프로그램이 대학생의 학업성취도에 큰 영향을 준다는 것을 말해준다. 특히 학업성취도가 낮았던 집단도 노트필기 전략프로그램은 확실한 학업성취도의 차이를 보여주기에 추후 학사경고자나 학업저성취자에도 큰 도움이 될 것으로 보인다. 핵심어: 노트필기, 학업성취도, 학습역량, 학습전략, 학사경고자 □ 접수일: 2022년 8월 25일, 수정일: 2022년 9월 15일, 게재확정일: 2022년 10월 20일* 세경대학교 사회복지학과 교수(Professor, Saekyung Univ., Email: yang@saekyung.ac.kr)

      • KCI등재

        스트림암호에서 원시다항식에 대한 고찰

        양정모 한국융합보안학회 2018 융합보안 논문지 Vol.18 No.4

        스트림 암호는 1회용 패드(one time pad)형 암호 알고리즘으로 랜덤한 비트(또는 문자)들의 열을 열쇠로 사용하여 평문과 XOR과 같은 간단한 연산을 통해 암호화하므로 알고리즘의 안전성은 사용되는 열쇠의 난수성에 의존한다. 그러므로 사용되는 열쇠에 대해 주기, 선형복잡도, 비선형도, 상관면역도 등의 수학적 분석을 통해 보다 안전한 암호시스템을 설계할 수 있는 장 점이 있다. 스트림 암호에서의 암호화 열쇠는 고유다항식을 가지고 LFSR(linear feedback shift register)에서 열쇠이진 수열을 생성하여 사용한다. 이 고유다항식 중 비도가 가장 우수한 다항식이 바로 원시다항식이다. 원시다항식은 스트림 암호뿐만 아 니라 8차 원시 다항식을 사용한 블록암호인 SEED암호, 그리고 24차 원시 다항식을 사용하여 설계한 공개열쇠암호인 CR(Chor-Rivest) 암호 등에서도 널리 이용되고 있다. 본 논문의 주요내용은 이러한 암호알고리즘을 연구하는데 사용되는 갈 루아(Galois)체에서의 원시다항식에 대한 개념과 다양한 성질들을 고찰해 보고 소수 p의 값이 2이상인 경우 Fp에서의 기약 다항식과 원시다항식의 개수를 구하는 정리를 증명해 보았다. 이러한 연구는 보다 비도가 높은 원시다항식을 찾아 새로운 암 호알고리즘을 개발하는 기반 연구가 될 수 있다. Stream cipher is an one-time-pad type encryption algorithm that encrypt plaintext using simple operation such as XOR with random stream of bits (or characters) as symmetric key and its security depends on the randomness of used stream. Therefore we can design more secure stream cipher algorithm by using mathematical analysis of the stream such as period, linear complexity, non-linearity, correlation-immunity, etc. The key stream in stream cipher is generated in linear feedback shift register(LFSR) having characteristic polynomial. The primitive polynomial is the characteristic polynomial which has the best security property. It is used widely not only in stream cipher but also in SEED, a block cipher using 8-degree primitive polynomial, and in Chor-Rivest(CR) cipher, a public-key cryptosystem using 24-degree primitive polynomial. In this paper we present the concept and various properties of primitive polynomials in Galois field and prove the theorem finding the number of irreducible polynomials and primitive polynomials over Fp when p is larger than 2. This kind of research can be the foundation of finding primitive polynomials of higher security and developing new cipher algorithms using them.

      • KCI등재

        정보보호 교육과정 표준화모델 개발 연구 : 국내 대학 사례를 중심으로

        양정모 한국융합보안학회 2018 융합보안 논문지 Vol.18 No.5

        Modern society has entered the era of the fourth industrial revolution beyond the information age. In other word s, technology innovations such as life science, unmanned automobiles, drone, artificial intelligence, big data, robot tec hnology, Internet of things, and nano-technology are leading the change of the world. In these technologies use and delivery of information is playing a key role, and the field of information security for the safe use of information ha s become an indispensable discipline. In this sense, it is necessary to standardize the curriculum of universities to fo ster security manpower to meet the needs of the era. In this paper, we develop and present a model to standardize the curriculum in the field of information security. Using this model, each educational institution will be able to select the necessary track or field to guide the student s and cultivate information security manpower effectively. 현대사회가 정보화 시대를 넘어서 4차 산업혁명시대로 접어들었다. 즉, 세계적으로 생명과학이 주도하는 시 대가 도래 하였다. 바야흐로 무인자동차, 드론, 알파고와 같은 인공지능, IT기술로 탄생한 인간을 대신하는 로봇 시대가 도래하였다. 이는 IT의 근간인 정보전달의 핵심가치를 기반에 두고 있는 것이다. 이러한 4차 산업 혁명 시대에 즈음하여 정보보호분야가 필수불가결한 학문분야가 되었다. 웹기반 보안, 시스템기반 보안, 클라이언트 기반 보안, 모바일보안, 그리고 무선보안 등 컴퓨터 기반 IT기술 전반에 보안문제는 필수사항이 되었 다. 이에 발맞추어 보안인력양성을 위한 대학의 교육과정을 시대에 요구에 맞도록 표준화할 필요가 있다고 보여 진다. 본 논문은 정보보호분야의 교육과정을 표준화하기 위한 모델을 개발하여 제시하고자 한다. 이러한 모델을 통하 여 각 교육기관에서는 필요한 트랙이나 분야를 선택하여 학생들을 지도하여 효과적인 정보보호인력양성에 기여 하고자 한다.

      • KCI등재후보

        영재는 전체 인구의 몇%인가?: 영재의 출현 비율에 대한 문헌연구

        양정모,진석언 한국창의정보문화학회 2018 창의정보문화연구 Vol.4 No.3

        This study tried to answer the most basic question, ‘what percentage of the population is gifted?’ The research method that this study adopted to answer this question was to conduct the literature review with the focus on the issue of the appearance rate of gifted children. The results can be summarized into two main findings. First, although most researchers or countries touched on the rate of appearance of gifted children between the top 1 % and 10 %, their rates of emergence varied widely and there was no apparent tendency. Second, few researchers have presented theoretical and empirical basis for specific figures presented for the rate of appearance of gifted children. If we expect gifted education to be provided continuously in the field of education, we should be able to present who and how many are gifted students as subjects of education policy. To be able to do so, empirical studies should be conducted on the percentage of those. 본 연구에서는 여러 연구자들에 의해 제시된 영재의 출현비율과 관련한 선행연구를 살펴보았고, 그에 따른 연구 결과를 크게 두 가지로 정리하였다. 첫째, 대부분의 연구자나 국가가 상위 약 1%에서 10% 정도 사이를 영재의 출현 비율로 보고 있다. 둘째, 영재의 출현비율에 대해 자신의 의견을 제시한 여러 연구자가 있지만 특정 출현비율 수치에 대한 이론적, 경험적 근거를 제시한 연구자는 거의 없었다. 영재의 출현 비율에 대한 오랜 의문에도 불구하고 대부분의 학자가 출현비율에 대한 이론적 근거나 경험적 근거를 제시하지 못한 이유는 우선 영재의 정의에 대한 명확한 합의가 도출된 적이 없었기 때문이고, 다른 한편으로는 실제 데이터에 근거한 영재의 출현비율에 대한 연구를 거의 시도하지 않았기 때문이다. 현장에서 진행되는 영재교육의 지속적인 발전을 위해서는 영재 학생들이 특수교육의 대상임을 사회가 인정하고, 영재교육 프로그램이 특수교육 정책의 일환으로서 제공되어야 할 필요가 있다. 영재 학생들이 특수교육 정책의 대상이 되기 위해서는 영재의 개념에 대한 현실적 합의가 도출되어야 하며, 이에 근거한 특수교육 대상으로서의 영재학생의 출현비율이 제시되어야 할 것이다. 따라서 향후에는 영재의 출현 비율에 대해 실제 데이터에 근거한 연구가 반드시 시도되어야 할 필요가 있다.

      • KCI등재

        21C 대학생 역량이 학업성취도에 미치는 영향

        양정모 인문사회 21 2020 인문사회 21 Vol.11 No.4

        본 연구의 목적은 21C 대학생 역량을 분석하여 도출된 유형별 학업 성취도와의 관계를 확인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C 지역 소재의 4년제 대학교 재학생 441명을 연구대상으로, 10가지 하위 요인을 설정한 21C 대학생 역량검사를 하였다. 또한, 검사 결과를 잠재프로파일 분석(LPA)을 통하여 연구대상의 유형을 세 가지로 분류하였다. 도출된 프로파일 유형과 학업 성취도와의 관계를 확인한 결과, 역량이 높은 집단이 학업 성취도가 월등히 높았으며, 역량이 낮은 집단은 학업성취도 또한 낮다는 결과가 도출되었다. 따라서 본 연구는 역량 강화를 통해 학업 성취도를 향상할 수 있으며, 역량이 낮은 학생들을 향한 정부와 교육기관의 관심과 지원이 필요하다고 제언한다. 또한, 학습자의 역량과 학업 성취도의 정적 상관관계를 바탕으로 대학 기관에서도 역량에 따른 수준별 수업 제도에 관한 도입이 필요하다고 제안해 본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dentify the relationships between each of the types which are deduced from the analysis of the 21st Century College Student Competency and academic achievement. The participants of the study were 441 students at a university in C province, and the 21st Century College Student Competency test was carried out with 10 scales. In addition, based on LPA of the test result, the participants were classified into 3 types. As a result of verifying the relationships between the deduced profile types and academic achievement, it was reported that the group with high competency had a high level of academic achievement, while the group with low competency had a low level of academic achievement. Therefore, this study suggests that the empowerment will lead to the improvement in academic achievement and that there should be attention and support of the government and educational institutions toward students with low competency. Furthermore, based on the positive correlation between learner's competencies and academic achievement, it is suggested that universities also need to introduce a level-differentiated teaching system based on competency.

      • KCI등재

        비교과 활동과 대학생활적응이 학업적 자기효능감과 학업성취에 미치는 영향

        양정모 한국교양교육학회 2019 교양교육연구 Vol.13 No.4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effects of extracurricular activities, adaptation to college life, self-efficacy and academic achievement of undergraduates. The subject of study was conducted among 601 undergraduates from a four-year university in Chungbuk province in Korea and analyzed the relations among those variables. The data collected through the Academic Self-Efficacy Scale, University Life Scale, Student Competence Scale, the relationship among the variables can b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of all, the higher their school years and their grade point averages were, the higher their academic self-efficacy was. In addition, the higher the frequency of their participation in extracurricular programs was, the higher their academic self-efficacy was. Next, In case of adaption to college life, the higher the frequency of participation in extracurricular programs was, the higher their ability to adapt to college life was. We could also find that, based on the results of competence of students, the higher their GPAs and the frequency of program participation were, the higher their competence was. Finally, the structural model analysis was conducted to investigate the effects of extracurricular activities and adaptation to college life on self-efficacy and academic achievement. It was found to have. In conclusion, it was found that that participation in extracurricular activities and college life adaption had a significand effect on academic self-efficacy, and academic self-efficacy was a significant preditor of academic achivement. Therefore, this study suggests the necessity of institutional support and the importance of adequate environment for extracurricular activities since the degrees of participation in extracurricular activities and adaptation to college life had influence on academic achievements. 본 연구는 대학생의 ‘비교과활동’과 ‘대학생활적응’이 ‘학업적 자기효능감’과 ‘학업성취’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 확인하고자 하였다. 연구대상은 충청북도 소재의 4년제 대학교 재학생 601명으로 설정하였다. 학업적 자기효능감 척도, 대학생활적응척도, 학생역량척도 등을 통해 수집된 자료를 통해 각 변인 간의 관계는 다음과 같이 정리할 수 있다. 우선 학업적 자기효능감을 살펴보면 학년과 평균성적이 높을수록 학업적 자기효능감도 높다는 것을 확인했다. 또한 비교과 교육과정 프로그램의 참여도가 높은 학생일수록 학업적 자기효능감이 높은 것을 알 수 있었다. 다음으로 대학생활적응을 살펴보면 평균성적이 높은 집단보다는 상대적으로 낮은 집단이 대학생활적응에 어려움을 겪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비교과 프로그램 참여 개수가 많을수록 대학생활적응이 뛰어난 것을 확인하였다. 마지막으로 비교과활동과 대학생활적응이 학업적 자기효능감과 학업성취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기 위해 구조모형분석을 실시한 결과, 학업적 자기효능감은 비교과활동과 대학생활적응 및 학업성취와의 관계에서 매개효과를 갖는 것으로 나타났다. 결론적으로 비교과활동 참여와 대학생활적응은 학업적 자기효능감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며, 학업적 자기효능감은 학업성취도를 예측하는 유의한 변인인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본 연구결과는 적합한 비교과 학습 환경 조성의 중요성과 제도적 지원의 필요성을 시사하고 있다.

      • 시간연구법에 의한 1석 리플렉스 라디오 만들기의 효과적인 실습 방법 제시

        양정모,김채복,최준섭 한국기술교육학회 2003 한국기술교육학회지 Vol.3 No.1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propose effective ways of teaching students how to assemble one transistor reflex radio. In order to obtain that purpose, following steps were applied.First of all, five male students of the second grader in middle school assembled one transistor radios according to the way illustrated in a teacher's guide book. Next, new ways of assembling radio were developed based on the analysis of problems shown in students' performance. The unit work, work elements, and operator process charts were developed. Then, 15 male and female students performed the same project by different approach based on the developed ways. While they were working, time required in each work element was checked. Finally, the standard time was computed by the time results obtained from the project. The differences between male and female students, and between the performance based on the ways of the teacher's guide book and that based on the developed ways were tested by employing t-test (p<0.05).The results obtained by statistic analysis were as follow.1) It was more effective to combine two unit works, inserting parts and soldering, into one unit work. 2) The required time to finish all works was about 130 minutes, and it was shown that female students needed more time than male students. 3) Only 0.52% of students could complete their assembly work within allowed time proposed in the teacher's guide book. In order to finish the project 63.31% of students needed 3 periods. If we want 90% of students to complete their works, 3.3 periods are necessary. 4) It was shown that 4 work elements should be given to students as homework in advance in order to make it possible for 90% of students to finish their work within two periods, and 3 work elements were essential to complete theradio assembly within 3 period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