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현행 교육헌법의 개정 방안에 관한 연구

        황준성 ( Hwang Jun Seong ),정필운 ( Jung Pil Woon ),이덕난 ( Lee Deok Nan ) 대한교육법학회 2020 敎育 法學 硏究 Vol.32 No.1

        이 논문은 교육 관련 헌법 조항들의 개헌 논의를 다시 활성화시키는 계기가 되기를 기대하며, 현행 제9차 개정 헌법상 교육 조항들에 대한 구체적인 개헌안을 도출하여 제시함을 목적으로 한다. 이를 위해 현재까지 개헌 논의의 경과에 대한 분석과 교육헌법의 개헌안 도출 원칙을 찾았으며, 교육법 학자들을 대상으로 실시한 델파이 조사 결과 및 기존 개헌안들을 법리적으로 분석하면서 구체적인 개헌안을 도출하였다. 연구 결과를 요약하면, 기존 헌법과의 동일성 유지, 적극적 변화 도모 경계, 국민 기본권과 민주주의 보장 강화 방향 준수, 완전한 국민적 공감대 형성 과제로 제한, 과도한 명문화 경계를 교육헌법 개헌 원칙으로 제시하였다. 그리고 학습의 자유 규정 추가, 무상의 범위와 내용의 법률유보 조항 추가, 지방교육자치제도 보장의 명문화, 교육제도 법률주의 규정 조항의 표현 수정, 대학의 자율성을 대학의 자치로 하여 학문과 예술의 자유조항으로 이관 등을 핵심으로 하는 헌법 제31조와 제22조 개정안을 제시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propose for revision of the Constitution of the Republic of Korea on education-related constitutional provisions(hereafter ‘education constitution’). A proposal focus on internal system, content, expression and so on. In order to achieve this goal, first of all, we look at the current discussions on propose for revision on education-related constitutional provisions. In addition, based on the Delphi survey conducted to understand the degree of convergence of educational law scholars' demands for constitutional revision, a concrete revision proposal is proposed through a legal theory review. As a result of our research, we present the principle of constitutional revision on education including to (ⅰ) maintain the same constitution as the existing Constitution, (ⅱ) prohibit active change, (ⅲ) abiding by the direction of strengthening the people's basic rights and democracy, (ⅳ) limitation to the task of full national consensus, and prohibit excessive legislation. And we propose concrete proposals for revision of article 31 and article 22 of the Constitution: (ⅰ) adding the right to learn, (ⅱ) adding a provision that National Assembly should provide by Act the scope and content of free compulsory education, (ⅲ) adding constitutional guarantee of local education self-governing system, (ⅳ) revising a expression relating to legal reservation of constitutional rights formation(Ausgestaltungsvorbehalte der Grundrecht), (ⅴ) moving the clause relating to autonomy of university from article 31 to article 22 of the Constitution.

      • KCI등재후보

        국소 진행성 췌장암에서의 내시경적 국소 치료

        황준성 ( Jun Seong Hwang ),고성우 ( Sung Woo Ko ),소훈섭 ( Hoonsub So ),송태준 ( Tae Jun Song ) 대한췌장담도학회 2020 대한췌담도학회지 Vol.25 No.2

        췌장암은 예후가 불량하며, 수술적 절제를 통해서만 완치를 기대할 수 있으나 20% 내외의 환자만이 근치적 절제가 가능한 병기에서 진단이 된다. 또한 전신 항암화학치료에 대한 반응도 좋지 않아 항암화학 요법의 개선에도 불구하고 절제 불가능한 췌장암의 예후는 특히 불량하다. 국소진행성 췌장암의 경우 조기의 적극적인 치료로 종양의 용적을 감소시켜 병기를 낮출 수 있다면 수술적 치료가 가능해질 가능성이 있기 때문에 전신 항암화학요법과 병행하는 내시경적 국소 치료의 중요성이 더욱 높다고 할 수 있다. 국소 치료의 종류로는 항암제나 바이러스 벡터를 종양에 주입하는 EUS-FNI와 RFA, IRE 등의 국소 종양제거술(local ablative therapy), 정위적 방사선 치료를 위한 표식자 삽입(fiducial marker insertion), 악성 담도 폐쇄 시 삽입한 스텐트 기능 유지를 위한 약물-배출 스텐트 삽입 등이 있다. Pancreatic adenocarcinoma is one of the cancers with the poorest prognosis, and its incidence has gradually increased to become the 9th most common cancer in Korea in 2016. Surgical resection is the only treatment option to improve the cure and longterm survival rate. Unfortunately, only 10% to 20% of all pancreatic cancer patients present with resectable disease, because of common symptoms are rarely noticeable in its early stages and disease progress very quickly. Unresectable pancreatic cancer can be divided into locally advanced pancreatic cancer (LAPC) and metastatic disease. Pancreatic cancer with distant metastasis accounts for about 40–60% of the total pancreatic cancer and systemic chemotherapy is considered as standard treatment. LAPC is observed in 30–40%, defined as the tumor surrounding major blood vessels (especially, celiac artery and superior mesenteric artery) more than 180° without distant metastasis which cannot be completely removed by surgery. Standard treatment for LAPC has not yet been established, and chemotherapy and radiotherapy have mainly been used, but in most cases, response to these therapeutic options has been limited. As imaging techniques, endoscopic devices and procedures have recently been developed and the role of local endoscopic therapies for LAPC has expanded. This article provides an overview of local endoscopic treatment for LAPC such as injection therapy, radiofrequency ablation (RFA), irreversible electroporation (IRE), radiotherapy and drug-delivery stent insertion.

      • 한국 시장경제에서 하이에키안 자유주의와 오이케니안 자유주의의 비교

        황준성 ( Jun-seong Hwang ) 한국질서경제학회 2006 질서경제저널 Vol.9 No.2

        최근 한국 시장경제 정립을 위해 논의되고 있는 대표적 자유주의로 하이에크의 경제사상(철학)에 기초하여 형성되는 하이에키안 자유주의(Hayekian Liberalism)와, 오이켄의 경제사상(철학)에 기초한 오이케니안 자유주의(Euckenian Liberalism)로 나누어 볼 수 있다. 여기서 하이에키안 자유주의는 시장에서의 경쟁질서를 중시하고 이러한 경쟁질서의 형성과 유지를 하기 위한 방법론에 있어 한 마디로 시장근본주의(Market Fundamentalism)적 사고를 갖고 시장경제에 접근하고 해결한다는 특징을 갖는 자유주의라고 볼 수 있다. 반면 시장경제의 경쟁질서를 중시하면서도 하이에키안 자유주의와는 다르게 시장경제에 접근하고 경제문제를 해결하는 자유주의로 오이케니안 자유주의를 들 수 있다. 오이케니안 자유주의는 시장의 경쟁을 통한 효율성을 중시한다는 점에서는 하이에키안 자유주의와 같으면서도 하이에키안 자유주의와는 달리 시장경제의 경쟁질서 유지를 위한 정부의 역할을 강조한다는 점에서 차이가 있다. 본 논문에서는 시장에서의 자유와 경쟁질서의 중요성을 똑같이 강조하면서도 경쟁질서를 유지하는데 있어 차이점을 보이고 있는 하이에키안 자유주의와 오이케니안 자유주의의 특징을 살펴보고, 특히 두 자유주의의 차이점을 (1)질서개념, (2)질서이론의 핵심,(3)경쟁, (4)경쟁질서의 유지, (5)독점, (6)사회정책, (7)학문적 관심의 출발과 발전방향 및 (8)시대적 배경 등 8 가지의 주요기준(Criteria)을 중심으로 비교ᆞ분석함으로써 21세기 경쟁력 있는 한국 시장경제 정립을 위한 바람직한 이상적인 자유주의는 어떠한 자유주의이어야 하는지를 모색해 보고자 한다. The representative liberalism, generally classified into two kinds - Hayek economic thought and Eucken economic thought , and recently being discussed for thesis of the Korean market economy, can be compared and assessed. The study of this paper will be focused on them by designating Liberalism based on Hayek economic thought as Hayekian Liberalism and Liberalism based on Eucken economic thought as Euckenian Liberalism. In this paper, the former is characteristic in making much of the economic order in market and accessing and solving the market economy with market fundamentalism thought in methodology for formation and preservation of the competition order in market. The latter, the Euckenian Liberalism, also laying stress on competition order in market and efficiency through the competition in market, is different from the Hayekian Liberalism in that it emphasize the role of government for keeping competition order in market economy. In this paper, the characteristics of Hayekian Liberalism and Euckenian Liberalism that both similarly emphasize the importance of liberty and competition order in market and have different view of the preservation of the competition order in market will be treated and the differences between them are compared and analyzed on the basis of 8 Criteria - order concept, the core order theory, competition, preservation of competition order, monopoly, social policy, the invent and course of scientific interest so that we find out what ideal Liberalism it is to establish the thesis of Korean market economy with competitive power in the 21th century.

      • KCI등재

        법제적 차원에서 본 교권의 의미

        황준성 ( Jun Seong Hwang ) 한국교육철학회 2014 교육철학 Vol.52 No.-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duce the legal implications of ‘Teachers` educational authority’ by analyzing equivocal concept, act and legal theory relevant to ‘Teachers` educational authority’. This study analyzes the meanings of ‘Teachers` educational authority’ as teachers` authority, as teachers` right to education, as well as total rights for teachers. In addition, this study reviews how the current laws such as 「Constitution of the Republic of Korea」, 「Framework Act on education」, 「Public Education Officials Act」, 「Private School Act」, 「Special Act on Enhancement of Teachers` Status」, 「Regulations regarding teachers honored」 legalize ‘Teachers` educational authority’. From the legal institution`s standpoint, ‘Teachers educational authority’ is viewed as a source of influence on students, parents and the society based on teachers` professionalism. As such, the needs of authority concerns guaranteeing the right to education for teachers with professional positions. The current legal institution takes ``the Legislative Reservation for Teachers`` Status` in order to assure teachers` rights to education, and its realization. And this position suggests that the current legal institutions make efforts and focus on securing teachers` positions, as well as strengthening their socio-economic status.

      • KCI등재

        「인성교육진흥법」 입법화 과정 및 쟁점 분석

        황준성(Jun-Seong Hwang),서정화(Suh ChungWha) 한국교육행정학회 2015 敎育行政學硏究 Vol.33 No.4

        「인성교육진흥법」이 제정되어 금년 7월부터 시행되고 있다. 이 연구는 동법의 올바른 해석 과 적용 그리고 향후 개정 과정에 필요한 판단의 준거를 제시하기 위하여 동법의 제정 의미 를 명확히 하는 동시에 동법이 올바로 정착되기 위하여 필요한 과제들을 제안함에 그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하여 인성교육 개념 및 진흥 필요성 등의 논의를 거쳐 동법 및 하위법령이 어 떠한 요구에 터하여 어떻게 입법화되었고 그 과정에서의 쟁점은 무엇이었는가를 분석하였다. 동법의 제정은 유사 입법례를 찾기 쉽지 않은 인성교육 관련 단일법이라는 형식적 특성과 함께 법적 강제력을 빌려서라도 현재의 인성교육에 변화를 가져오고자 하는 국민적 합의의 결과라는 점에서 그 의미를 찾을 수 있다. 한편, 동법은 조성법으로서 법률뿐만 아니라 하위 법령에서도 지나친 상세화는 경계되어야 하며, 동법의 해석과 적용에 있어 교원들과의 충분 한 소통을 통해 그들의 협력과 변화를 유도하되 학교에 과한 부담을 지우지 않도록 하여야 한다. 「The Character Education Promotion Act」 has been enacted and implemented from July 2015.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clarify legislative intent of 「The Character Education Promotion Act」 as well as to suggest required tasks to make 「The Character Education Promotion Act」 well established to cast necessary value criterion for the authentic interpretation, application and revision process in the future. In order to accomplish the above purpose of the study, analysis of the meaning of the character education and case studies of foreign countries has been carried out. And then, for what purpose 「The Character Education Promotion Act」 and its lower statues have served, how they have been enacted and what major issues are present during that process haven been analyzed. The research findings and implication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the real meaning of enactment 「The Character Education Promotion Act」 is building a national consensus that character education should be done not only in school but also in local community with harmonious families. Second, for the accomplishment of real meaning of enactment, 「The Character Education Promotion Act」 and regulations related should not be enacted excessively in details. Finally, positive communication with teachers and reasonable role burden of teachers are most important. These shall bring the valid application of 「The Character Education Promotion Act」 and regulations related.

      • 동기강화 재활음악치료 프로그램이 정신장애인의 자기효능감과 기능-증상에 미치는 효과

        황준성(Hwang, Jun Seong) 한국재활음악치료학회 2017 한국재활음악치료학회지 Vol.3 No.1

        본 연구의 목적은 정신장애인에게 동기강화 상담이론에 근거한 동기강화 재활음악치료를 실시하여 일반적 자기효능감과 사회적 자기효능감에 미치는 효과를 알아보는데 있다. 연구 대상은 대구광역시에 있는 D재활원을 이용하고 있는 정신장애인들에게 사전 동질성 검사에서 동질하다 평가된 26명을 무선으로 선정하여 실험집단과 통제집단으로 나누었다. 이 연구에서는 동기강화 재활음악치료가 정신장애인의 자기효능감에 미치는 효과와 자기효능감과 기능-증상에 미치는 효과를 알아보기 위해 집단(실험집단, 통제집단)을 독립변인으로 자기효능감을 종속변인으로 하여 공변량 분석을 실시하였고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재, 동기강화 재활음악치료가 정신장애인의 일반적 자기효능감에 효과가 있었고 일반적 자기효능감의 하위영역인 주도성, 노력성 그리고 인내성에서도 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동기강화 재활음악치료가 정신장애인의 사회적 자기효능감에 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정신장애인들의 자기효능감이 동기강화 재활음악치료를 받은 실헙집단이 받지 않은 통제집단에 비해 확연히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동기강화 재활음악치료 프로그램이 정신장애인의 자기효능감과 기능-증상에 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에서 동기강화 재활음악치료가 정신장애인의 자기효능감과 기능-증상에 긍정적인 변화를 가져왔고 이는 직업적응훈련 중인 정신장애인의 심리적인 역량을 강화하는데 동기강화 재활음악치료가 효과가 있음을 의미한다. 이를 통해 사회복귀준비를 위한 직업적응훈련 중인 정신장애인에게 심리적 개입의 필요성을 제안하고자 하였다. 또한 후속 연구에서는 종속변인의 하위영역에 대한 구체적 사항을 분석 연구와 추후연구가 지속적으로 필요할 것이다. This research aimed at investigating the effect of motivation rehabilitation music therapy on disabled people’s general self-efficacy and social self-efficacy by implementing it based on motivation consultation theory. As the research objects, the researcher wirelessly selected 26 mentally disabled people who were utilizing D rehabilitation facility in D-si, evaluated same in the preliminary homogeneity inspection, and divided them into the experimental group and control group. In order to investigate the effect of motivation rehabilitation music therapy on mentally disabled people’s self-efficacy, this research conducted covariance analysis by adopting the groups(experimental group, control group) as the independent variables and self-efficacy as dependent variable, and the research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motivation rehabilitation music therapy had effect on mentally disabled people’s general self-efficacy, and had effect also on initiative, effort, and tolerance, the subordinate scope of general self-efficacy. Second, motivation rehabilitation music therapy had effect on mentally disabled people’s social self-efficacy. self efficacy of the experimental group of mentally disabled people who received motivation rehabilitation music therapy showed definitely higher effect on self-efficacy than control group who did not receive motivation rehabilitation music therapy. Third, self efficacy of the experimental group of mentally disabled people who received motivation rehabilitation music therapy showed definitely higher effect on self-efficacy than control group who did not receive motivation rehabilitation music therapy. This research determined that motivation rehabilitation music therapy displayed positive change in mentally disabled people’s self-efficacy positively, which means that motivation rehabilitation music therapy is effective for the mentally disabled people who receive work adjustment training to enhance psychological capability. Through this, the researcher intended to suggest the necessity of psychological intervention for the mentally disabled people who receive work adjustment training for rehabilitation preparation. Also, for the follow-up study, analysis research and further research on concrete points of subordinate scope of dependent variables are consistently necessary.

      • KCI등재

        교육입법정책에 관한 기초 연구

        황준성 ( Hwang Jun Seong ) 대한교육법학회 2012 敎育 法學 硏究 Vol.24 No.2

        이 연구는 입법학의 한 축인 입법정책에 관한 논의를 교육법 분야에 적용하여 양적, 질적 측면에서 날로 그 영향력이 증가하고 있는 교육 영역에서의 입법정책에 대한 학문적 접근의 기초를 제공함을 목적으로 하였다. 먼저 본 연구에서는 교육입법정책을 관련된 정책 가운데 법률안에 담을 것을 제반의 법적 원리에 입각하여 정리·종합하는 것으로 보는 협의의 개념에서 벗어나, 새로운 입법 요구에 응하여 필요한 법안을 만들고 심의·의결과정을 거쳐 입법화한 후 이를 집행하고 그 결과에 대한 평가 후 환류의 과정을 거치는 광의의 개념으로 정의하였다. 이와같은 정의는 교육입법정책을 체제론적이고 동태적으로 인식하도록 함으로써 교육입법의 실효성을 제고함에 기여할 것이다. 그리고 교육입법정책의 대상으로서 교육법 체제의 특수성도 함께 고찰하였다. 한편, 교육입법정책은 입법의 필요성, 입법의 정당성 및 타당성, 체계정당성, 법적 안정성이라는 일반 입법정책의 원리에도 기속되지만, 그와 함께 ``능력에 따라 교육받을 권리``와 ``균등하게 교육받을 권리``의 조화, 교육의 자주성·전문성·중립성 보장, 교육제도 법률주의의 실현 등 교육입법정책의 특수원리 또한 존중하여야 한다. 아울러 다른 입법정책과 구분되는 특징으로 교육입법정책의 주체, 시간, 공간의 특수성도 살펴보았다. 이상과 같은 논의를 통하여 교육입법정책은 교육 본질에 대한 우선 고려를 토대로 아동·학생의 교육받을 권리의 보장을 최우선으로 지향하여야 함을, 정책 생산자 중심의 입법정책에서 수요자 중심의 교육입법정책으로 전환되어야 함을 제안하였다. 또한, 교육제도법률주의라고 하는 헌법정신의 준수 그리고 사후교육입법평가제도의 도입 필요성 등도 제안하였다. This study analyzes the legislation policy in the areas of educational legislation, to free itself from limitations in traditional studies which focused on interpretation or application of current educational laws. First of all, the concept of educational legislation policy must be fixed not in the narrow sense but in the broad sense of including law making process from the policy cycle of setting agendas properly to educational legislation evaluation. Also, a legislator must obey the educational legislation policy not only to the general principal of legislation policy but also the special principal of educational law along with the balance ``right to receive education equally`` and ``right to receive education according individual to student`s abilities``. Finally, this study suggests four things to carry out educational legislation policy desirably. Firstly, educational legislation policy should aim at the guarantee of right to receive education essentially. Secondly, educational legislation policy should be changed which centers on the students and parents, not for government. Thirdly, in educational legislation policy should be observed, the spirit of the constitution that fundamental matters pertaining to the educational system shall be strictly obeyed by act. Lastly, the educational legislation evaluation system should be introduced.

      • KCI등재
      • KCI등재

        전륜 현가장치의 기구학적 최적설계

        황준성 ( Jun Seong Hwang ),한석영 ( Seog Young Han ) 조선대학교 공학기술연구원 2010 공학기술논문지 Vol.3 No.3

        Performance parameters related to controllability or stability of a vehicle have an effect on each other while wheels are under the wheel stroke. Thus, it is essential to consider simultaneously for the kinematic design of the suspension mechanism. Exemplary model was established as a double wishbone type of a front suspension mechanism, and various performance parameters were classified into two objective functions related to controllability and stability. Multi-objective optimization was performed by using a genetic algorithm which is very effective for obtaining a global solution. In the case of considering of the objective function related to controllability performance, variations of each performance parameter, such as camber, toe, king pin, and caster angle, were relatively minimized by emphasizing the weighting factor for controllability performance. While, variations of each performance parameter related to stability, such as roll center height and percent anti-dive, were relatively minimized by emphasizing the weighting factor of stability perfom1ance. Also, in the case of considering only each objective function, variations of each performance parameter were minimized by emphasizing each partial weighting factor. It was concluded that the method of distance functions provides the effective kinematic performance a designer more preferred by using the weighting factors.

      • KCI등재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