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영산강유역 송국리식 토기의 특징과 변천

        황재훈 ( Hwang Jae-hoon ) 호남고고학회 2017 湖南考古學報 Vol.56 No.-

        본고의 목적은 송국리식 토기를 대상으로 영산강유역 송국리유형의 지역성과 변화상을 살펴보는데 있다. 이를 위해 우선 영산강유역 송국리식 토기의 성형 및 정면방식과 각 기종·형식 별 특징을 관찰하였다. 다음으로 송국리식 토기의 시간성을 검토하기 위해 영산강유역 및 주변 일대 유적의 분포와 배치구조, 주거 형식, 유구 간 중첩 양상을 분석하고 토기 기종 별 선후 및 공반관계, 세부 속성의 변화상을 살펴보았다. 영산강유역의 청동기시대 중기는 주거 형식과 토기 제작 기술체계의 변화, 신기종의 등장과 같은 획기를 기준으로 크게 2단계로 나눌 수 있으며 토기 세부 속성과 형식의 존속기간, 표지유물을 참고하여 다시 각 2분기로 세분가능하다. Ⅰ단계는 휴암리식 주거지가 조성되는 시점으로 기원전 9~8C를 상한으로 한다. 1기에는 전기 유물이 일부 확인된다. 토기는 축약된 굽에 나팔형 또는 난형 기형의 발형과 직립구연의 호형, 완형토기가 출토된다. 내외면에서는 목리, 손누름, 물손질 등의 정면흔이 관찰된다. 2기 또한 휴암리식이 주를 이루지만 유적에 따라 말각방형 주거지와 같은 평면 형태상의 변이가 나타나기도 한다. 토기는 기형이나 기종에 있어 뚜렷한 변화는 없지만 축약 정도가 약해지고 두께가 얇아진 저부나 희미하게 빗질 정면된 동체가 발견되기도 한다. Ⅱ단계에 들어서면 영산강 전역에 걸쳐 송국리식 주거지가 본격적으로 축조되는데 일부 지역에서는 휴암리식 주거지가 존속한다. 호형과 발형토기의 기형은 장동형 또는 구형으로 변화한다. 축약굽은 대부분 평저 또는 말각평저로 변화하며, 표면에는 빗질 정면이 정연하게 이루어진다. 또한 전용 뚜껑이 새로이 등장하여 송국리식 토기 기종의 하나로 자리 잡는다. 1기와 2기는 뚜껑의 형식 변화를 기준으로 분기할 수 있는데 그 시점은 기원전 5C 즈음으로 추정된다. 특히 2기는 점토대토기관련 유물이 공반하는 시기로 기존 편년 틀과 최근의 탄소연대를 감안하면 기원전 4C 중반을 안정적인 하한으로 볼 수 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regional characteristics and changes in Songguk-ri assemblages, with a particular focus on Songguk-ri type pottery in the Yeongsan River Basin. First, the form, surface treatment techniques, and characteristics of each type of Songguk-ri type pottery from the Yeongsan River Basin were examined. Next, in order to investigate the chronology of Songguk-ri type pottery, the distribution and arrangement of sites in the Yeongsan River Basin and surrounding areas and the types of dwellings and the presence of overlapping features at those sites were analyzed, and the temporal relationships and contemporaneity of pottery types and changes in detailed attributes were examined. Using major developments such as changes in dwelling types and pottery-production techniques and the appearance of new pottery types as criteria, two chronological periods can be distinguished. Additionally, the temporal persistence of certain detailed attributes and certain pottery types and the presence of diagnostic artifacts allowed each period to be further divided into two phases. Period I begins between the 8th and 9th centuries BC with the construction of the Hyuam-ri type dwelling. In Phase 1, some Early-period artifacts have been discovered. Bugle-shaped pottery with protruding bases, egg-shaped pots, straight-rimmed jars, and bowl-shaped pottery are all found in this phase. Traces of surface treatments including wood-scrubbing, hand-pressing, and water treatments are observed on the inner walls and surfaces of vessels. In Phase 2, Hyuam-ri type dwellings continue to dominate, but some variations, such as rectangular dwellings with rounded corners, can be observed at some sites. There is little change in forms and types of pottery, however, the protruding base becomes less pronounced, the vessel walls become thinner, and thin bases and faint traces of combing can be seen on the bodies of some vessels. In Period II, Songguk-ri type dwellings become prevalent throughout the Yeongsan River Basin area, although some Hyuam-ri type dwellings continue to be constructed. The jar and pot-type vessels are replaced with long-bodied and globular vessels. Furthermore, protruding vessel bases are mostly replaced with flat bases and flat bases with rounded edges, and traces of combing become apparent on the surfaces of vessels. Furthermore, vessel lids, a characteristic of one type of Songguk-ri type pottery, first appear. Phases 1 and 2 of this period, which are divided at about the 5th century BC, can be distinguished by vessel lid types. In Phase 2, artifacts related with pottery with clay-band rims become particularly prominent, and considering previous chronologies and recently obtained radiocarbon dates, the lower limit for Phase 2 can be safely set at the mid-4th century BC.

      • KCI등재

        확률ㆍ통계적 건설 프로젝트 파이낸싱 분석 시스템

        황재훈(Hwang Jae-Hoon),임태경(Lim Tae-Kyung),이동은(Lee Dong-Eun) 대한건축학회 2009 大韓建築學會論文集 : 構造系 Vol.25 No.11

        This paper presents an automated tool called Stochastic Project Financing Analysis(SPFA) system which integrates both cash-flow analysis and simulation-based scheduling methods. SPFA automatically integrates CPM schedule data exported from P3 into it, computes the best fit Probability Distribution Functions (PDFs) of historical activity duration data, defines activity durations using the PDFs identified, simulates the schedule network, and computes deterministic and stochastic project cash-flows, plots the corresponding cash-flow diagrams and estimates the best fit PDFs of maximum overdraft and net profit of a project. It improves the reliability of project cash-flow analysis by effectively dealing with the randomness and/or uncertainties of the activity durations and costs rather than existing deterministic systems do. It increases the usability of the schedule data obtained from commercial CPM softwares, facilitates user to incorporate the contract terms involved with payment options, and effectively handles the variability of the maximum overdrafts and net profits by finding the best fit PDF of them. It is implemented as an easy-to-use computerized tool programmed in MATLAB. SPFA can make significant contribution to the field of quantitative analysis relative to project financing, because (1) it analyzes the effect of different distributions of activity durations and cost on the distribution of the maximum overdrafts and net profits, (2) the reliability obtained by the system is higher than deterministic cash-flow analysis system, (3) it simplifies the tedious and burdensome process involved in finding the PDFs of the many activity durations and cost, and (4) it is a welcome replacement for the deterministic assumptions used by existing project financing researchers and generates more accurate results. SPFA allows project manager to estimate the extent of cash-flow unbalance in a specific period by using both deterministic and stochastic analysis modes. Case studies verifies the usability and validity of the system in practice.

      • KCI등재

        청동기시대 전기 편년 연구 검토 : 형식 편년과 유형론, 그리고 방사성탄소연대

        황재훈(Hwang Jae hoon) 중부고고학회 2015 고고학 Vol.14 No.1

        지난 20여 년 동안 한국 청동기시대 편년 연구는 빠른 속도로 활성화되었고, 많은 성장을 하였다. 방대한 자료에 시간성을 부여하고 문화내용을 판별하는 방법론으로 사용된 형식 편년과 유형론은 물질문화의 해상도를 높이는데 매우 지대한 역할을 하였다. 그러나 과도하게 형식 편년에 의존하는 연구 경향성과 지나치게 본질론적으로 접근되는 유형론으로 말미암아 여러 문제점 또한 누적된 것이 사실이다. 본고에서는 현 청동기시대 전기 편년 연구 현상을 비판적 시각에서 검토한다. 편년 방법의 근간을 이루는 형식학적 방법의 논리와 방법론을 살펴보고, 이와 함께 편년 연구와 직 · 간접적으로 관련된 유형론의 문제점을 지적한다. 단일한 논리와 방법만으로 도출된 편년 안은 순환 논리의 오류에 쉽게 노출될 수 있기에 층서법이나 순서배열법, 14C연대와 같은 서로 다른 편년 방법이나 도구를 이용한 교차 검증의 필요성을 강조한다. 이와 함께 청동기시대 전기 사회의 문화변동 양상을 설명하기 위해 양식적 변이에 대한 다양한 연구 시각을 살펴보고, 시기별 취락 변천상, 지역 간 상호작용, 인구 이동 및 결집과 같은 문화상에 대한 접근 방법론을 모색한다. 아울러 14C연대의 적극적 활용이 편년 방법론의 하나의 대안이 될 수 있음을 지적하고, 인구 변동 양상과 같은 다양하고 고차원적 접근 또한 시도될 수 있음을 제안한다. Current chronology based on typological arrangement of pottery rim types and designs does not correspond with archaeological evidence indicated by overlapping features, artifact associations and radiocarbon dates. Different types of pottery designs so far considered time markers were in fact associated with each other and overlapping features does not coincide with current chronology. The supposed process of degeneration or gradual disappearance of pottery design is not supported by the stratigraphic excavations, while pottery remains of several different designs were unearthed associated. Evaluation and analysis of substantial amount of radiocarbon dates so far accumulated which do not support current chronology emphasizing sequential and lineal changes.

      • KCI등재후보

        14C연대 분석을 통해 본 청동기시대 전기 편년 시론

        황재훈 ( Jae Hoon Hwang ),양혜민 ( Hye Min Yang ) 호남고고학회 2015 湖南考古學報 Vol.50 No.-

        방사성탄소연대 무용론이 대두되었던 1990년대 이전과 달리 최근 학계의 14C연대에 대한 활용도는 점차적으로 증가하는 추세이다. 그러나 14C연대의 신뢰도나 적용 정도에 대한 연구자간 시각차는 여전히 작지 않다. 이러한 문제의 근본적인 요인은 이상 측정치의 판단 기준, 동일 유구 내 복수 연대값의 처리 절차와 같은 연구 방법론의 미비에 있다. 본고에서는 14C연대치에 대한 신뢰성 여부 판단, 복수 시료 간 비교·채택 및 결합과 같은 연대조정 방법에 주안점을 두고 고고학적 평가와 함께 통계적 모델을 적용하는 방법을 동원하여 청동기시대 14C연대 자료를 분석한다. 연대조정 절차를 거쳐 도출된 14C연대 자료를 토대로 남한 각 지역, 토기 문양별 시·공간성을 분석한 결과, 전기 이른 시기 이래 지역을 달리하여 공존한 여러 토기 문화는 14C연대 분포상의 급격한 기울기의 변화가 관찰되는 ‘2950 B.P.’와 ‘2830 B.P.’를 기점으로 각각의 공간적 범위가 맞물려 확장·축소·소멸되는 문화변동 양상이 간취된다. While radiocarbon dates in Korean archaeology were heavily criticized during the 1990s, more researchers now began to utilize available absolute dates to construct chronology for the Bronze Age. Nevertheless, researchers still do not agree over the reliability of specific radiocarbon dates that were obtained from different features and contexts along with variable range of standard deviations. Many problems originate from different standards and processes used to deal with the outliers and multiple dates obtained from the same feature. The present study reconsiders a large set of radiocarbon dates for the early Bronze Age using statistical methods to assess the reliability of dates, compare multiple samples and adopt and determine relevant dates. Based on the evaluated radiocarbon dates, we attempt to analyze spatial and temporal distributions of different pottery types, or cultural complexes, which reveals an abrupt change of gradient during the period between 2950 BP and 2830 BP in which coexisting pottery types or complexes underwent significant cultural change.

      • 주민의식조사를 통한 체육시설의 선호도 분석 -충청북도를 대상으로

        황재훈 ( Jae Hoon Hwang ),윤선근 ( Seon Geun Yoon ),김동준 ( Dong Jun Kim ) 충북대학교 건설기술연구소 2014 建設技術論文集 Vol.33 No.1

        본 연구는 도시민의 경제수준 향상과 여가 활동 시간의 증가를 바탕으로 체육시설의 추가적 배치 계획 수립시 충청북도의 지방자치단체 별 선호도를 분석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설문 조사를 통해 이루어진 선호도 분석은 주민들의 생활수준과 현재 체육시설 이용 실태를 분석할 수 있으며 공공체육시설을 확충함에 있어 계획적이고 체계적으로 추진함에 따라 도시민이 쉽게 체육시설을 이용할 수 있도록 기초 자료를 구축한다. 최근에는 체육정보의 접근성과 활용성이 증대되고 인터넷을 통한 체육정보의 확산이 급속히 이루어지고 있기 때문에 기초 자료의 구축은 매우 중요한 요소 중 하나이다.또 한 최소 시설 투자로 효과를 극대화 할 수 있는 체게적·효율적인 공공체육시설 확충계획 수립에 이바지 함을 목적으로한다. The Purpose of this research is to analyze the preference by municipal corporation groups in north chungcheong province on the basis of improvement of residents`s economic standard and increase in the leisure time when the additional arrangement plan of sports facilities is established. Preference analysis through a survey can analyze the standard of living and the current actuality of utilization. This research constructs the base data to enable residents to use sports facilities easily by promoting the plan deliberately and systematically in expanding public sports facilities. Recently, It is one of the very significant elements to construct the base data because accessibility and utilizability of information about sports have increased and the information through the internet spreads rapidly. The purpose is also to contribute to the establishment of systematical and efficient additional arrangement plan of public sports facilities that can maximize an effedt by investing in facilities minimally.

      • 다양한 유기성 폐자원에서 바이오 수소 생성 연구

        황재훈(Hwang, Jae-Hoon),최정아(Choi, Jeong-A),전병훈(Jeon, Byong-Hun) 한국신재생에너지학회 2009 한국신재생에너지학회 학술대회논문집 Vol.2009 No.11

        The effects of various organic wastes on anaerobic fermentative hydrogen production were studied using enriched mixed microflora in batch tests. Rotten fruit, corn powder and organic wastewater enriched with sulfate (up to 1,000 mg/L) were used for experiments. Maximum hydrogen production (547.1 mL) was observed from rotten apple with initial substrate concentration of 132.2 g COD/L. The experimental result on sulfate enriched organic wastewater indicated that hydrogen production is not adversely influenced by relatively high sulfate concentration. Residual sulfate content remained at 96-98 % after 75 hours of reaction, which showed that no major sulfate reduction was occurred at pH 5.3-5.5 in the reactor. The volatile fatty acid (VFA) fractions produced during the reaction was in the order of butyrate > acetate > propionate in all experiments. The results of this study would be useful for controlling the conditions on fermentative hydrogen production using different feedstocks.

      • KCI등재
      • KCI등재

        다양한 유기성 폐자원을 적용한 바이오 수소 생성 연구

        황재훈(Hwang, Jae-Hoon),최정아(Choi, Jeong-A),전병훈(Jeon, Byong-Hun) 한국신재생에너지학회 2009 신재생에너지 Vol.5 No.4

        The effects of various organic wastes on anaerobic fermentative hydrogen production were studied using enriched mixed microflora in batch tests. Rotten fruit, corn powder and organic wastewater enriched with sulfate (up to 1,000 mg/L) were used for experiments. Maximum hydrogen production (547.1 mL) was observed from rotten apple with initial substrate concentration of 132.2 g COD/L. The experimental result on sulfate enriched organic wastewater indicated that hydrogen production is not adversely influenced by relatively high sulfate concentration. Residual sulfate content remained at 96-98 % after 75 hours of reaction, which showed that no major sulfate reduction was occurred at pH 5.3-5.5 in the reactor. The volatile fatty acid (VFA) fractions produced during the reaction was in the order of butyrate > acetate > propionate in all experiments. The results of this study would be useful for controlling the conditions on fermentative hydrogen production using different feedstocks.

      • KCI등재

        한국고고학과 방사성탄소연대

        황재훈(Hwang, Jae Hoon) 영남고고학회 2021 嶺南考古學 Vol.- No.90

        본 글에서는 1950년대 이래 한국고고학에 있어 방사성탄소연대 측정의 역사와 연구사를 검토하여 현 학계의 탄소연대에 대한 인식과 연구 동향을 살펴보았다. 70년대 탄소연대 무용론이 제기되기도 하였지만 현재 탄소연대 자료는 고고 자료의 편년 도구로서의 역할을 넘어 인구역학적 연구의 지표로서 활용되고 있다. 이러한 연구 시각의 전환은 탄소연대의 원리와 의미, 고고학적 활용성을 학계에 꾸준히 발표한 연구자와 시료 채집 전략과 매뉴얼을 충실히 수행한 조사원 그리고 99년 도입되어 1만 건에 가까운 시료를 측정해낸 서울대 공동기기원 가속기질량분석기기의 역할이 합치된 결과이다. 1만 7천 건에 달하는 우리나라 탄소연대 자료는 청동기시대 데이터가 가장 높은 비중을 점하는 가운데 원삼국-삼국시대 순으로 이어지며, 초기철기시대의 데이터가 가장 적게 수집되었다. 시료가 채집된 유구는 대부분 주거지와 수혈에 해당하며, 시료 종류는 목탄이 절대다수를 차지하지만 최근 고고학 연구의 다양성이 증대되면서 종실, 뼈, 탄착물, 침전물 등 다양한 시료의 측정이 이루어지고 있다. 탄소연대 측정값에는 다양한 원인에 의한 체계적 오차(systematic error)가 내재되어 있다. 실험실 간 연대차, 고목효과, 뼈와 패각 시료의 문제, 해양·담수저장 효과 등은 고고학 연구에서 자주 맞닥뜨리는 문제들로 이를 바로잡기 위해서는 통계학적 검증, 물리·화학적 점검 그리고 고고학적 접근이 동시적으로 이루어져야 한다. 고고학 연구에 있어탄소연대 자료를 보다 안정적이고 적극적으로 활용하기 위해서는 데이터에 대한 고고학적 평가와 점검이 필수적이며근본적으로 오차가 발생하는 원인을 구명하기 위한 실증적 연구가 후속되어야 한다. This article examined the current academia s perceptions and research trends of radiocarbon dating through a review of the history and research of radiocarbon dating from the 1950s in Korean archaeology. Although the useless theory of radiocarbon dating was raised in the 1970s, radiocarbon dating data has been actively used as an indicator of population dynamics beyond its role as a tool for dating archaeological data. This shift was achieved by bringing the following factors together: 1) Researchers who have consistently informed the academic world about the archaeological utility of the radiocarbon dating; 2) Investigators who faithfully carried out the strategy and manual of sample collection; 3) The role of the accelerator mass spectrometer laboratory at the Seoul National University’s NCIRF, which has measured nearly 10,000 samples since its first introduction in 1999. The Bronze Age accounted for the highest proportion of Korea s 17,000 radiocarbon dating data, followed by the Proto-Three Kingdoms and Three Kingdoms periods, with the lowest collection of the Early Iron Age. The remains of which samples were collected are mostly dwellings and pits, and the majority of the samples are charcoal, but as diversity has been emphasized in recent archaeological studies, various samples such as seeds, bones, coal deposits, and sediments are also being measured. There are systematic errors in the radiocarbon dating measurement values ​due to various causes. These are the problems frequently encountered in archaeological research, such as the chronological difference between laboratories, the old wood effect, the problems of bone and shell samples, and the effect of storing marine and fresh water. To correct this, statistical verification, physical and chemical examination, and archaeological review must be carried out simultaneously. In order to use radiocarbon dating data more stably and actively in archaeological research, continuous evaluation and inspection of the data is essential, and empirical studies to find out the cause of fundamental errors should be followed.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