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 KCI등재

        ‘동아리’ 참가 대학생의 메타인지와 진로적응성 탐색

        황순희,주나형,조한나 한국교양교육학회 2019 교양교육연구 Vol.13 No.1

        This research aims to explore metacognition and career adaptability of extracurricular club activity participants’ considering their demographic variables as well as to analyze relationship between factors, and to draw educational implications for the improvement of college extracurricular activity related program. There has been much research on college extracurricular activity and on each of two factors (metacognition & career adaptability). However, to date, little attention has been paid to extracurricular activity participants’ metacognition as well as their career adaptability. This study was conducted with a total of 226 extracurricular activity participants at H University, and their metacognition and career adaptability have been evaluated. Our findings show that firstly, there were significant differences in career adaptability of extracurricular club activity participants. They obtained higher scores than their counterparts. Secondly, there were significant differences in career adaptability according to majors. Third, there were no significant differences in career adaptability according to gender and grade. Fourth, there were significant differences in metacognition according to gender, and females scored significantly higher. Fifth, there were no significant differences in metacognition according to grade and majors. Finally, there was a significant correlation between career adaptability and metacognition as well as their effects on each other. Furthermore, this study suggested that the appropriate application of extracurricular activities would enhance diverse competencies of students. 이 연구의 목적은 비교과 활동 중 대표적 유형에 속하는 ‘동아리’ 참가 대학생의 메타인지와 진 로적응성을 동아리 활동 이후 측정하여 성별, 전공별, 학년별 차이를 분석하고, 두 변인을 구성 하는 하위 요인들 간의 상관관계, 영향관계를 분석하는 것이다. 이를 통해 대학의 비교과 활동에 의 활용을 위한 기초자료를 제공하고 교육적 시사점을 도출하고자 하였다. 본 연구의 연구 대상 은 세종시 소재 H 대학교 교수학습지원센터가 운영한 비교과 프로그램 참가자 226명(동아리, 동아 리 이외 활동)으로, 이들의 메타인지와 진로적응성을 각각 측정하여, 최종분석하였다.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동아리 참가자는 동아리 이외 활동 참가자보다 진로적응성이 유의미하게 높 게 나타났다. 둘째, 동아리 참가자의 진로적응성은 전공에 따라 유의미한 차이를 보였고, 예술계 열생이 높고, 인문사회, 공대생 순이었다. 셋째, 동아리 참가자의 진로적응성은 성별, 학년에 따 른 유의미한 차이가 없었다. 넷째, 동아리 참가자의 메타인지는 성별에 따라 유의미한 차이가 있 고, 여학생이 남학생보다 높게 나타났다. 다섯째, 동아리 참가자의 메타인지는 학년, 전공에 따라 유의미한 차이가 없었다. 여섯째, 동아리 참가자의 진로적응성과 메타인지는 정적 상관이 높았으 며(r= .59), 영향관계 또한 확인되었다.

      • KCI등재

        프랑스 <의사소통 교육> 현황에 관한 고찰 : 교육 제도와 국어 교육을 중심으로

        황순희 부산대학교 인문학연구소 2009 코기토 Vol.- No.65

        This study aims to examine diverse aspects concerning the education of "communication" (meaning here, comprising both speaking and writing) in France and to ameliorate the education of speaking for the students in Korean university. The education of communication in France is performed throughout the whole public education and all of the disciplines, which is possible in part by means of the "transverse approach". In this paper, the French education of communication as well as education system showing a considerable difference, compared with those of other countries is investigated by and large. The capability of "speaking" and "writing" is trained mainly, by four representative types of communication, exposition, text explanation, composed comment, dissertation and finally, evaluated by Baccalauréat. There is no education of "communication" for students in French university. The reason is explained by the following: first, the education of communication in France is performed throughout the whole public education and all of the disciplines; second, all of disciplines and linguistic activities are designed to be integrated each other; third, the communicative capability continues to be evaluated by all sorts of exams.

      • KCI등재

        공과대학생의 팀워크 역량과 사고양식의 관계

        황순희 한국공학교육학회 2017 공학교육연구 Vol.20 No.2

        This research aims to explore the relationships between ‘teamwork skills’ (often called team activity competence) and ‘thinking styles’ of engineering students in Korea, and to provide an explanation for the application of team-based environment as well as for the increase of teamwork skills. Teams and team activity are pervasive in today’s organization and there has been relatively much research on teamwork skills and its related factors. However, to date, little attention has been paid to the teamwork skills, essential factor in team-based environment and its relationships with thinking styles. This study was conducted with 383 engineering students at P University, and students’ teamwork skills as well as thinking styles have been measured before and after team-based learning class (hereafter TBL). Our findings show that firstly, there was a significant increase of teamwork skills between before and after TBL class. Second, team activity competence was found to have a higher correlation with most of creativity generating styles (i.e. legislative, judicial, hierarchical and global styles). Third, hierarchical style was found to influence team activity more than other components, and also legislative, external, global and judicial styles contributed to team-based activity. These findings are expected to provide an explanation for the application of thinking styles in team-based environment and will be useful for the improvement of related courses in engineering school.

      • KCI등재

        공과대학생의 핵심역량 분석과 비교과 활동의 활용

        황순희 한국공학교육학회 2018 공학교육연구 Vol.21 No.6

        This research aims to analyze core competencies of engineering students in Korea as well as to explore the application plans of extracurricular activities(hereafter, ECA) and programs in order to enhance their core competencies. Participation in ECA has long been recognized as having positive benefits and impacts upon students. To achieve the purpose of this study, first, we investigated whether there were differences between core competencies in undergraduates according to majors, gender and grades. ‘Core competencies’, first introduced in management theory as ‘core competency' can be defined as personal attributes or underlining characteristics, capable of delivering a role or job. ‘Core competencies’ has received particular attention in recent years and there has been much related research (domestic and foreign) combined with diverse factors. However, few studies have addressed the question on engineering student’s core competencies as well as the ways of their enhancement. This study was conducted with a total of 286 students, and core competencies have been measured online, through K-CESA. Our findings show that firstly, there were significant differences in undergraduate students’ core competencies by majors. Engineering students scored significantly lower in core competencies overall. Second,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in students’ core competencies by gender and grade. Third, there was a significant correlation among components of core competencies. Finally, there was a significant correlation between core competencies and grades(GPA, grades in major subject & liberal arts subject), rather levels in the correlation were low. Furthermore, the study suggested that the appropriate application of extracurricular activities would enhance core competencies of students.

      • KCI등재

        대학의 번역강의 내용개발 연구 - 프랑스어 중급 학습자의 번역물 평가 분석을 중심으로 -

        황순희 한국프랑스어문교육학회 2010 프랑스어문교육 Vol.33 No.-

        Cette étude vise à développer le contenu du cours de traduction universitaire et à scruter les méthodes évaluatives de la qualité de la traduction en analysant les traductions produites par l'apprenant (désormais, produits). La traduction en formation doit différer de celle professionnelle par les quatre points suivants : l'objectif de l'enseignement, le contenu de l'enseignement, la méthode utilisée de l'enseignement, et l'évaluation sur les produits. Nous avons analysé les produits en traduction franco-coéenne et celle contrastive franco-coréenne, en établissant chacun des deux critères de « typologie du contresens » ainsi que de « traduction créative » pour le premier, et ceux de « faute de traduction faite par le traducteur professionnel » ainsi que de « l'intervention du traducteur professionnel » pour le dernier. L'analyse de l'exercice de la traduction franco-coéenne montre que l'apprenant fait des erreurs du sens lexical et celles d'au delà des items lexicaux. Ce qui résulte d'une part de la polysémie des items lexicaux et d'autre part du registre de langue en traduction. Quand on s'en tient à la traduction contrastive franco-coréenne, il faudrait développer le contenu du cours en profondeur ainsi que les méthodes de l'enseignement. A travers cet exercice, l'apprenant est capable non seulement d'acquérir la compétence linguistique, mais aussi d'appréhender la faute de traduction par le traducteur, l'aspect des stratégies de la traduction, et l'intervention du traducteur. 번역행위와 번역물의 역사는 문명의 시작만큼 오래되었지만, 번역 traduction이 체계적인 학문분야로 등장하기 시작한 것은 1950년대 말이다. 이후 다양한 번역 방법론과 번역과정의 모델에 관한 연구가 지속적으로 이어지고 있다. 번역분야와 관련하여 국내 대학의 학부과정에는 최근 10여 년 전부터 통번역학과가 다수 개설되었고, - 물론 대부분이 영한, 한영 전공 과정이지만 - 다양한 교육과정이 개발되었다(김련희 2001, Cho 2009, Nam 2009). 이러한 현상은 전문 통·번역사를 양성하려는 통번역 교육과정 개설의 일차적 목표와는 무관하게 대학 졸업 이후 취업 및 진로 결정에 자유로운 외국어, 특히 영어 구사능력 compétence linguistique이 매우 중요하다고 여기는 현실적 이유가 크게 작용한 탓이다. 그러나 이러한 현실적 이유를 고려하지 않더라도 번역은 외국어 학습에서 언어학습자가 반드시 거치는 필수적인 과정으로, 학습자에 의한 번역과정은 자신이 학습한 내용을 스스로 확인하고 자가진단하는 중요하고도 기초적인 활동이다. 따라서 외국어 학습자를 대상으로 한 번역교육은 전문 번역가 양성을 위한 번역교육과는 분명히 차별화된 학습목표와 내용, 교육방법, 평가방법 등이 마련되어야 한다. 이 논문은 중급 이상의 프랑스어 능력을 지닌 학습자를 대상으로 하는 대학의 번역강의 내용 및 방법개발과 효율적인 설계를 위해 계획되었다. 아울러 학습자가 직접 산출한 번역물을 분석 평가하여 보다 효율적인 강의 내용개발의 기초 연구로 삼고자 한다. 응용 언어학 linguistique appliquée 연구의 연장선 상에서 설계된 번역강의는 먼저 ‘학습목표는 무엇으로 해야 할 것인가?’, ‘무엇을 강의할 것인가?’, ‘어떻게 교육할 것인가?’, ‘어떻게 평가할 것인가?’ 등의 제 문제와 직면하게 된다. 이 논문의 목적은 다음 두 가지이다. 첫째, 이 연구는 대학 번역강의에 활용 가능한 강의모형 및 내용개발을 위한 기반연구로 한 학기 동안 진행한 전공생 대상의 번역강의 내용과 학습자의 번역활동 사례를 실증적으로 분석한다. 보다 구체적으로 번역강의의 세부적 내용을 소개함과 동시에 학습자의 번역연습 결과물을 기초로 발견된 ‘오류 erreur및 오역 contresens; faux-sens; faute de traduction’ 유형의 분석과 평가를 통해 보다 효율적인 번역강의 내용을 제안한다. 둘째, 번역강의에서 학습 결과물에 대한 ‘평가 évaluation’는 그 어떤 강의에 비해 보다 효율적이고 세부적인 평가기준과 방법이 요구된다. 학습자의 번역연습은 ‘실용번역 traduction instrumentale/pragmatique’ 영역으로 국한하고, 중간고사 이전에는 ‘불한번역 traduction franco-coréenne’을, 이후에는 ‘불한 대조번역 traduction contrastive franco-coréenne’ 연습을 시행하며, 학습자가 번역 결과물을 발표 exposé형식으로 표현하게 한다. 또한, 발표 직후 교수자는 학습자에게 즉각적인 피드백 rétroaction을 제시하여 동료들 간의 논의를 유도하도록 한다. 이러한 번역연습에 대한 평가는 <불한번역>의 경우, 학습자가 직접 산출한 번역 결과물에 대해 ‘오류유형 분석 평가’와 ‘창의적 번역 평가 évaluation de la traduction créative’로 나눠 실시한다. 그리고 <불한 대조번역> 평가는 ‘전문 번역자의 오류 및 오역 분석’과 ‘번역가의 개입’을 추출, 분류하여 평가하게 된다. 논문의 구성은 다음과 같다. 2장에서는 번역강의 내용개발을 위해 기반이 되는 제반 요소를 고찰한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