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A Psychometric Analysis and Revision of the Mathematics Teaching Efficacy Beliefs Instrument Using the Rasch Model: Focusing on Personal Teaching Efficacy

        황성환,Hwang, Sunghwan The Korean School Mathematics Society 2021 韓國學校數學會論文集 Vol.24 No.1

        The purpose of the study was to examine the psychometric properties of the personal teaching efficacy of the Mathematics Teaching Efficacy Beliefs Instrument and revise the scale for the use of Korean elementary school teachers. Data were collected from 299 elementary teachers. A Rasch analysis was used to evaluate unidimensionality and appropriateness of category use and item difficulty levels. Moreover, person separation and reliability as well as item separation and reliability were examined using the revised scale. Results suggested that the original personal teaching efficacy scale (13 items with five categories) had several problems in its psychometric properties. Thus, we revised the scale into eight items with four categories. The follow-up analysis results showed the revised scale provided sufficient psychometric properties for measuring Korean elementary school teachers' self-efficacy beliefs for teaching mathematics. Limitations and implications of the study were also discussed. 본 연구의 목적은 수학 교수 효능감 측정 도구(MTEBI)의 심리측정적 특성을 탐색하고 한국 초등 교사들에게 사용할 수 있게 측정 도구를 수정하는 것이다. 문헌 연구를 바탕으로 MTEBI 중 개인 효능감 요인만을 분석하였다. 299명의 초등 교사들의 설문자료를 Rasch 모형을 이용하여 일차원성 가정, 응답범주 적절성, 문항 난이도 적절성, 분리지수와 신뢰도 측면에서 분석하였다. 분석 결과 5점 범주로 된 13개 문항은 심리측정적 측면에서 몇 가지 문제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후속 분석에서 5점 범주 대신 4점 범주로 수정하였으며 5개의 문항을 삭제한 후 8문항을 사용해 심리측정적 특성을 재분석하였다. 그 결과, 수정된 측정 도구는 초등 교사들의 수학 교수에 대한 개인효능감을 타당성 있게 측정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의 제한점과 제언을 추가 논의하였다.

      • KCI등재

        수학교사의 신념, 교실 규범 및 교실 담화가 교실 내의 공정성에 미치는 영향 연구

        황성환 ( Sunghwan Hwang ) 한국수학교육학회 2018 初等 數學敎育 Vol.21 No.2

        본 연구의 목적은 수학교사의 신념, 교실 규범 및 교실 담화가 교실 내의 공정성에 미치는 영향을 연구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동일한 학교에 근무하는 세 명의 초등 교사의 신념과 수학 수업을 다음과 같이 분석하였다. 첫째, 교사의 수학 교수 학습에 대한 신념과 교실 내 학생들의 수학적 능력과 흥미에 관한 신념을 인터뷰를 통해 분석을 하였다. 둘째, 수학 교실 내의 교실사회규범과 (Classroom social norms) 사회수학적 규범 (Sociomathematics norms)을 탐험적 사례분석 (Exploratory case study) 방법을 통해 분석을 하였다. 셋째, 교실 담화의 주체와 목적을 분석하기 위해 카이 자승 검증을 (Chi-square test) 실시하였으며, 각 교실간의 차이점과 유사점을 비교 분석하였다. 넷째, 수학교사의 신념, 교실 규범 및 교실 담화를 종합적으로 분석하여 교실 내 낮은 학업성취도를 가진 소외된 학생들이 (Marginalized low-achieving students) 어떻게 ‘수학을 하는 학생으로서’의 (doers of mathematics) 정체성을 형성해가고 이것이 어떻게 교실 내의 공정성에 영향을 미치는지를 분석하였다. 분석결과 교사가 학생들의 수학적 탐구과정에 관심을 갖고 개개인의 능력과 참여를 고려해서 수학수업을 구성할 때 소외된 학생들이 긍정적인 자아를 형성하였으며 교실 내의 공정성이 향상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하지만, 교사가 학생의 수학적 흥미나 수학적 정확성에만 관심을 갖고 교사가 제시한 수학적 절차만을 사용하여 정확한 한 개의 답을 구하도록 지도할 경우 수학적 개념을 학원에서 미리 배워서 알고 있거나 기존에 높은 학업성취도를 가진 학생들만이 (Dominant high-achievers) 수학수업에 참여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런 점에서 본 연구는 수학 교사의 신념, 교실 규범 및 교실 담화가 교실 내의 공정성을 미치는 영향을 조사 하는 연구에 시사점을 제시하고 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relations among mathematics teachers’ beliefs, classroom norms and discourse, and equity issues in mathematics classrooms. In order to achieve this purpose, three teachers who work in the same school were analyzed. The analysis revealed that the participating teachers’ beliefs about mathematics teaching and learning and about their students’ abilities and motivation influenced the establishment of classroom norms and discourses that defined what students needed to do to be successful mathematics learners. Also, classroom norms and discourse affected the development of students’ identity and power and the level of equity in the classroom.

      • KCI등재

        초등교사의 수학수업의 질, 수학 교수효능감, 학생의 수학흥미가 수학성취도에 미치는 영향 분석: 다층구조방정식의 적용

        황성환 ( Hwang Sunghwan ),손태권 ( Son Taekwon ) 한국수학교육학회 2020 初等 數學敎育 Vol.23 No.4

        The purpose of the present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structural relationships between elementary teachers’ mathematics instruction, teachers’ mathematics teaching efficacy, students’ mathematical interest, and mathematics achievement. To achieve this goal, we used TIMSS 2015 Korean data and implemented multilevel structural equation modeling given that student data were nested within the school data. The findings reveled that at the student level, the instructional quality rated by students positively affected student mathematical interest. Additionally, student mathematical interest positively affected student mathematics achievement. Although the direct effect of instructional quality on student mathematics achievement was insignificant, the total was significant. At the school level, there were positive direct effects of instructional quality and teacher’s mathematics teaching efficacy on student mathematical interest. The direct effects of instructional quality, teachers’ mathematics teaching efficacy, and student mathematical interest on mathematics achievement were not significant. However, the total effects of instructional quality and teachers’ mathematics teaching efficacy on mathematics achievement were significant. Based on the results, we discussed the implications of the study.

      • KCI등재

        학생의 문제해결전략에 대한 교사의 노티싱 역량 분석: 이분모 분수의 덧셈과 뺄셈에서 나타난 오류를 중심으로

        손태권 ( Son Taekwon ),황성환 ( Hwang Sunghwan ) 한국수학교육학회 2021 수학교육 Vol.60 No.2

        학생의 수학적 사고는 다양한 형태의 산출물로 나타나며, 교사는 이를 통해 학생의 수학적 사고를 추론하고 반응할 수 있어야 한다. 본 연구는 이분모 분수의 덧셈과 뺄셈을 중심으로 오류가 포함된 문제해결전략에 대한 39명의 현직초등교사의 노티싱 역량을 분석하였다. 그로부터 다음과 같은 연구 결과를 도출하였다. 첫째, 교사의 노티싱 역량은 식별하기, 해석하기, 반응하기 순으로 낮아지는 경향을 보였다. 둘째, 반응하기는 교사의 의도와 문제 유형에 따라 범주화할 수 있었다. 이를 바탕으로 교사 노티싱 연구의 시사점을 제언하였다. Students' mathematical thinking is represented via various forms of outcomes, such as written response and verbal expression, and teachers could infer and respond to their mathematical thinking by using them. This study analyzed 39 elementary teachers' competency to notice students' problem-solving strategies containing mathematical errors in fraction addition and subtraction with uncommon denominators problems. Participants were provided three types of students' problem-solving strategies with regard to fraction addition and subtraction problems and asked to identify and interpret students' mathematical understanding and errors represented in their artifacts. Moreover, participants were asked to design additional questions and problems to correct students' mathematical errors. The findings revealed that first, teachers' noticing competency was the highest on identifying, followed by interpreting and responding. Second, responding could be categorized according to the teachers' intentions and the types of problem, and it tended to focus on certain types of responding. For example, in giving questions responding type, checking the hypothesized error took the largest proportion, followed by checking the student’s prior knowledge. Moreover, in posing problems responding type, posing problems related to student’s prior knowledge with simple computation took the largest proportion. Based on these findings, we suggested implications for the teacher noticing research on students' artifact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