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제품의 무형적 가치를 강화하기 위한 산업디자인 방법론 -문학적 그리고 행태 심리적 접근방법 중심으로-

        황성걸 한국일러스아트학회 2012 조형미디어학 Vol.15 No.3

        Industrial design of Korea has matured rapidly in past few decades despite its short history and has made immense contribution to success of Korean manufacturing businesses. Moving forward and looking back, there are chasms we still need to cross in order to make the next big design leap, sustain the design leadership position and increase the design economics in business. The key area of absence is the knowledge and implication of 'intangible value' in consumer experience and industrial design. A few approaches are being proposed as to reinforce industrial design competence in understanding and reflecting the knowledge of intangible values. Currently, in Korea, product value propositions are mainly made based on specification upgrades and competitive benchmark, and also designs are conveyed to consumers as such. This way of competing and leading the market with tangible value only is turning into a rat race - where in less than a few years, Korea will face serious challenge in leading the market with current tactics in industrial design especially up against emerging countries and moreover China who is on the verge of making higher performance and better quality products still with the fastest time-to-market and at the lowest cost. The first area is to reinforce the understanding and application of 'story based design approach' especially as to make the next leap in building trust with consumers through design attributes like brand equity, emotional attachment and moreover intangible value by offering not just artifacts to consumers but stories that consumers can socialize. The other area of reinforcement is in inspirational research. Korea industries are more use to quantitative and demographic research as to validate facts, but not inspirational research that provide key insights and ideas that trigger innovative experiences and differentiation. Inspiration gained and concepts developed through behavioral observation will make noticeable shift in how Korea competes in the market with intangible values, not technical specifications. 한국 산업디자인은 지난 20년간 급성장을 이루었고, 특히 한국 제조업의 세계적인 성과를 가져오는데 있어서 지대한 기여를 하였다. 그러나 앞으로 나아가면서 그리고 뒤를 돌아 봤을 때, 한국이 산업디자인에 있어서 다음 도약을 준비하고, 현재 디자인 주도권을 이어나가고, 사업적 측면에서 디자인의 경제성을 보다 강화하기 위해서, 한국 산업디자인은 여전히 극복해야할 중대한 미션이 남아있다. 현재 한국 기업에서 상품 기획과 제안은 일반적으로 경쟁사 대비 제품 사양의 업그레이드로 이뤄진다고 해도 과언이 아니며, 디자인 역시 많이 다를 바가 없다. 이러한 방법으로 계속 경쟁하고 시장을 주도 한다면, 향후 2~3년 안에 막다른 골목에 다다를 것이다. 특히 여러 신흥국과 더불어, 중국은 한국보다 더 좋은 성능과 품질의 제품을, 더 빨리 더 저렴하게 만들 수 있다는 점에 대해서는 아무런 의심의 여지가 없다. 이와 같이 유형적 가치로 계속 경쟁하기 보다는 무형적 가치로의 전환이 급선무이다. 무형적 가치에는 브랜드 자본가치, 감성적 로열티 등 여러 가지가 있으나, ‘문학적인 접근 방법’을 통해, 소비자에게 제품만을 판매하는 차원을 넘어, 소비자가 열망하고 자랑스러워할 수 있는 디자인 스토리(story)를 제공하고 신뢰감을 증진하는 것이 무형적 도약의 첫 단추일 것이다. 또 다른 개선의 여지는 ‘인스퍼레이션(inspiration) 리서치’에 있다. 한국 기업은 대부분 정량적 그리고 통계학적 리서치에 익숙하며, 리서치는 사실을 검증하는 용도라는 선입견을 가지고 있다. 그러나 인스퍼레이션(inspiration) 리서치를 통하여 혁신적인 상품 체험과 경쟁력을 갖추는데 필요한 행태 심리적 인사이트(insight)와 아이디어를 얻을 수 있다. 기술적인 스펙이 아닌, 무형적인 가치로 경쟁을 주도 하는 데에 있어서 ‘행태 심리 접근 방법’ 또한 중요한 역할을 할 것이다.

      • KCI등재

        모바일 웰니스 제품/서비스의 현황 분석 및 기회영역 발굴

        이장미,황성걸 한국일러스아트학회 2015 조형미디어학 Vol.18 No.1

        As Korea becomes an aging society due to the prolonged life span, not only the elderly-group but also the young-aged group is becoming interested in general health-care. Among the health-care related products, the wellness market, with its purpose of continuous health management is gaining more attention; one of the major attributes of the wellness market is that it is established in the form of the mobile health-care products and services through direct connection to smart devices. In this thesis, the research field is limited the spectrum of wellness to the general life-style and health management, and critically researched the mobile wellness connected products and services. First, the study analyzes 10 mobile wellness-related firms including leading companies and start-ups. Also, the trends of the wellness products and services were looked at closely by subcategorizing the scope of wellness into beauty/anti-aging, fitness/exercise, healthy eating/nutrition, and prevention/personal health. Through this analysis, under-developed areas are distinguished and the possible direction and opportunities for the wellness products and services to be pioneered are suggested. Firstly, the mobile wellness market is expected to grow in the form of personal wearables and domestic smart-home goods. Secondly, it is also expected to develop into a customized open-source management system as 'connected-elite' between products and services. Lastly, in line with private and social services, personal health information management and social sharing are predicted to proceed simultaneously. As the wellness market is continuously showing its potentials to grow, there is an urgent need to develop related products and services through pioneering an area for opportunities and immediate market analysis. Our hope is to suggest an appropriate direction and pioneer an area for opportunities. 평균 수명 연장과 고령화 사회로의 진입은 노년층 뿐 아니라 청장년층에게도 건강에 대한 많은 관심을 불러일으키고 있다. 이에 따라 다양한 헬스케어 제품이 출시되고 있는데, 웰니스 제품은 메디컬 제품에 비해 제도적 제재에서도 상대적으로 자유로울 뿐만 아니라, 지속적인 건강 관리를 목적으로 한다는 점에서 주목받고있다. 특히 모바일 스마트 기기와의 연동을 통한 제품/서비스이 많이 출시 되고 있다는 것이 큰 특징 중 하나이다. 하지만 국내의 경우 지속적인 성장 가능성을 보이고 있는 웰니스 시장에 관한 정의나 시장 전략이 미흡한 상태이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모바일 웰니스 제품/서비스 분석을 통해 제품 개발을 위한 기회영역을 발굴하고자 한다. 본 연구에서는 모바일 웰니스 제품/서비스 업체 10개를 선정하고 분석을 진행하였다. 시장을 이끌고 있는 선도기업과 스타트업 기업을 선정하여, 각 기업의 주요 제품과 서비스를 분석하였다. 또한 웰니스시장의 영역을 뷰티/안티에이징, 피트니스/운동, 식생활/영양, 예방/퍼스널 헬스의 영역으로 분류하여, 각 영역에 출시된 주요 모바일 웰니스 제품/서비스를 분석하였다. 이를 통해 시장가능성이 있으나, 아직 개발이 미흡한 부분을 발견하고, 이를 바탕으로 웰니스 제품 서비스의 기회영역을 발굴하고, 방향을 제시하였다. 웰니스 제품/서비스는 첫째, 웨어러블 형태의 개인용과 가정내 연결이 가능한 스마트 홈 기기의 형태로 진행될 것이며 둘째, 제품 및 서비스간의 서로 연결이 가능한 커넥티드 엘리트(Connected Elite)형태로 발전할 것이다. 셋째, 서비스는 개인화/소셜화(Social)된 두개의 서비스 방식으로 진행될 것이다. 웰니스 시장은 지속적인 성장 가능성을 보이는 만큼 정확한 시장 분석과 기회영역 발굴을 통한 발빠른 제품/서비스 개발이 시급하다. 이에 본 연구는 지속적인 모바일 웰니스 시장의 개발전략의 바탕이 될 수 있을 것이라 기대한다.

      • KCI등재

        크라우드 펀딩의 바이럴 마케팅 효과 사례 및 분석-디자인 브랜드 창업을 중심으로-

        박주영,황성걸 한국일러스아트학회 2018 조형미디어학 Vol.21 No.3

        There are many variables and situations in the start-up market. But what is common to success in business startup is money, distribution channels, and marketing strategies. Basically, operating a company requires funds, distribution channels that can implement a business model, and marketing strategies that can inform consumers of the business model. In recent years, more and more entrepreneurs are raising money through crowd funding. This has a virtuous cycle in which projects are validated and funded by the public before being released to the market, and the public participating in the project voluntarily promotes and market as a fandom effect. Use crowd funding to reduce time and cost, efficiency in project production, and capture consumer data to identify customer demand to lower entry barriers to the startup market. Crowd funding in Korea is mainly a cultural and artistic project. This can be seen as an opportunity for the creation of a design brand and by promoting the idea with less capital, initial market response can be observed. For the long term effect, this study used crowd funding as a strategic channel for launching a domestic design brand, and the sponsors of the project promoted the brand through voluntary viral marketing. The company's success in the crowd funding platform is expected through case studies in the design brand start-up field as it provides direction for future businesses, such as market entry, brand value, and not one-time projects. 창업 시장에는 다양한 변수와 상황이 존재한다. 하지만 창업 성공에 공통으로 필요한 것은 자금, 유통채널, 마케팅 전략이다. 기본적으로 기업을 운영하기 위해서는 자금, 비즈니스 모델을 실현할 수 있는 유통채널, 그리고 소비자에게 비즈니스 모델을 알릴 수 있는 마케팅 전략이 반드시 필요하다. 최근 창업 시장에서는 크라우드 펀딩을 통해 자금을 마련하는 창업자들이 증가하고 있다. 이는 시장에 출시하기 전에 대중에게 직접 프로젝트를 검증받고 자금 조달을 받으며, 프로젝트에 참여한 대중이 팬덤 효과로서 홍보와 마케팅에 자발적으로 참여하는 선순환 구조를 갖고 있기 때문이다. 크라우드 펀딩을 활용하여 시간과 비용의 절감, 프로젝트의 생산 기간의 효율성, 소비자 데이터를 확보해 고객의 수요를 파악하여 창업시장의 진입장벽을 낮출 수 있다. 국내 크라우드 펀딩은 문화⦁예술 분야의 프로젝트가 주를 이루고 있다. 이는 디자인 브랜드 창업에 대한 기회의 장으로 꼽을 수 있고, 적은 자본으로 아이디어를 홍보하여 시장 초기 반응을 관찰할 수 있다. 이에 대한 장기적인 효과를 위하여 본 연구는 국내 디자인 브랜드 창업을 위하여 크라우드 펀딩을 전략적인 채널로 활용하고, 프로젝트의 후원자들이 자발적인 바이럴 마케팅으로 브랜드를 홍보하는 사례를 분석하였다. 크라우드 펀딩 플랫폼에서의 창업은 1회성 프로젝트가 아닌 앞으로 나아갈 시장 진입, 브랜드 가치 상승 등의 창업기업의 방향성을 제시하기 때문에 디자인 브랜드 창업 분야의 사례 분석을 통하여 앞으로 다양한 창업 성공 사례가 많아지길 기대하는 바이다.

      • KCI등재후보

        스마트 카메라 디자인의 발전방향 연구

        진병욱,황성걸 한국인더스트리얼디자인학회 2013 산업디자인학연구 Vol.7 No.3

        In this digital age, the camera has also been transformed into ‘the smart camera’ by digital technology. While this newly-born camera genre provides new services with various wireless networks, the demand for it is increasing fast just like other IT devices today. Accordingly, in order to open this new genre called ‘smart camera’ wide, related businesses should prepare new marketing strategies with absolutely differentiated products and usability. For example, unlike conventional camera products, today’s smart cameras are now able to be sold and purchased via network providers, instead of consumer electronics shops or specialized camera stores. It means, from the point of network providers including mobile careers, they have just got a new product that can broaden their business markets, and at the same time, from manufacturers and buyers’ viewpoint, such intense competition in distribution means taking the advantageous position in prices. When it comes to chronological changes, there was an explosive technological convergence in the smart device in the late 90s. Camera modules began to be mounted on mobile phones, gaming consoles, electronic dictionaries and GPS navigations, and a camera itself started to equip WiFi and GPS (Global Positioning System) features. In fact, with the birth of the digital camera in the early 80s, photo journalists and cameramen who mainly produce news photos would bring bulky extra computing equipments with them for swift news reporting. But now in the 2010s, built-in WiFi cameras enable ordinary users to easily transmit photo images to mobile phones, sharing the images with their friends and acquaintances. What’s more, the entrance of the smart phone, which are fully equipped with advanced camera performance and photo-editing applications, has made many users enthusiastic photographers with tremendous passion for photos. This phenomenon decreases the low-priced compact camera market and increases the demand for advanced, luxury cameras, while reorganizing the industry. Only manufacturers who own authentic camera producing know-hows, such as excellent lens technology, and brand reliability can survive now. In this transitional phase, the smart camera was born as a sort of survival strategy of the camera industry. In order for the smart camera, the most innovative camera genre ever, to establish a strong foothold in the market, it should aim at smartphone-friendly users as the main target. Futhermore, to make a successful landing on the telecommunication distribution network, there may be mainly three choices for the smart camera – 1. adopting mobile phone feature in the camera, 2. reinforcing WiFi application for those who are unsatisfied with current camera performance of the smart camera, and 3. establishing system smart camera that is expandable with various types of lens or additional accessories. Based on the development of technology applied to each of the three suggestions, these choices might show some minor differences. However, what is in common here is that the smart camera will continuously emphasize camera’s own features, evolving with better portability and easy usability. 본 연구는, 휴대용 디지털 디바이스에 컨버젼스(Convergence)화 가 급격히 진행되면서, 휴대폰 제품이 통신기능 외에도 이미지를 생성하고, 재미있게 편집하거나 공유하는 기능을 더욱 발전시켜 감에 따라 점차 잠식되어 가는 카메라 시장에서의 생존전략에 의해 탄생한 ‘스마트카메라’의 향후 발전방향에 있어서 디자인의 발전방향을 예측 해 보고자 한다. 시대적으로 스마트단말기의 컨버젼스화 가 폭발적으로 일어났던 90년대 후반에는 휴대폰, 게임기, 전자사전, 네비게이션등에 카메라 모듈이 장착되기 시작했고, 카메라에는 근거리 통신기술(WiFi)과 GPS수신기술이 적용된 제품들이 출시되기 시작했다. 사실, 80년대 초 디지털카메라 시스템이 탄생할 때부터 사진전문기자등 보도사진을 다루는 분야에서는 취재현장에서 촬영한 이미지의 빠른 전송을 위해 별도의 컴퓨팅기기등 많은 부대장비들을 동원하였던 것이, 2010년에 이르러서는 카메라에 간단히 내장된 근거리 통신기술 WiFi의 활용으로 일반 사용자들도 간편하게 카메라로 촬영한 이미지를 휴대폰과의 연결을 통해 친구와 지인들에게 곧바로 전송할 수 있게 되었다. 이후, 우수한 카메라의 성능과 재미있게 영상을 편집할 수 있는 다양한 어플리케이션으로 무장된 스마트폰의 탄생에 의해 일반 User가 일상에서 사진을 찍는 활동이 급격히 늘어나게 되었고, 좋은 사진을 찍고자 하는 요구도 그만큼 확대되게 되었다. 이로 인하여 저가격대의 콤팩트 카메라 시장수요는 점차 축소되고 있는 반면, 고기능의 고급형 카메라 수요는 증가하고 있어서 우수한 렌즈기술 등 카메라 본연의 기술과 브랜드 신뢰성을 확립한 메이커만이 살아남게 되는 업계전반의 재편이 빠르게 이루어 지고 있는 가운데, 카메라 업계에서는 나름대로 생존전략의 일환으로 ‘스마트카메라’ 라고 하는 새로운 장르의 제품을 개발하게 되었다. 카메라가 발명된 이후 가장 혁신적인 모습으로 재탄생을 하게된 스마트카메라가 자신의 영역을 확고하게 구축해 가기 위해서는 디자인의 역할이 클 것으로 생각되어, 관련기술의 발전에 의한 디자인의 발전방향에 대해 예측 해 보고자 한다.

      • KCI등재

        글로벌 및 한국 자동차 시장의 소비컬러 선호도에 따른 사회심리적 의미 해석

        양태유,황성걸 한국기초조형학회 2020 기초조형학연구 Vol.21 No.3

        Recent product design studies explored ways to satisfy users’ emotional needs, but consumers are reluctant to express their needs. To better understand consumer characteristics, it is necessary to draw implications from consumers’ unconscious reactions. This research unraveled the truths of consumer minds by studying the color consumption of automobile consumers and analyzing the symbolic meaning of colors. In general, consumers consider functionality, convenience and outstanding style when buying a car. In addition, they also take into account social values, such as maintenance cost and colors that play an advantageous role in secondhand sale. Due to these diverse factors, consumers do not always choose the color of their preference. However, most of the consumers tend to take the most careful approach when buying an automobile and think deeply about selecting the color that is suitable to express themselves. This study, therefore, aims to practically and realistically comprehend the undisclosed consumer desire through research on automotive consumers’ color consumption and the symbolism of colors. This research took a qualitative and quantitative method to define words through deconstructive and constructive theory and detailed the meaning of color symbolism through contextual analysis. This paper adopted and analyzed the data of regional color consumption trends across the globe and drew consumer characteristics utilizing a matrix structure. The findings indicated that North American consumers are authoritative, and South American consumers are more ostentatious. European consumers are the most neutral and authoritative. Asian consumers ostentatious and a bit authoritative, while Koreans tend to be neutral. Across all regions, the study found that consumers’ psychological mechanism of ostentation is valued the most. 최근 제품 디자인은 사용자의 감성 만족을 위해 다양한 연구가 이루어지고 있지만 정작 소비자들은자신의 내적 욕구를 사회적으로 드러내기를 꺼려하는 특징이 있다. 이러한 소비자들의 특징을 정확하게 읽기 위해서는 소비자의 무의식적 반응에서 유의미한 결과를 얻을 수 있는 접근이 필요하다. 따라서 본 연구는 자동차 소비자들의 컬러 소비량과 컬러의 상징적 의미 고찰을 통해 소비자의 내적 욕구의 진실성을 파악했다. 일반적으로 소비자들은 자동차를 구매할 때 기능성, 편의성, 훌륭한 스타일을고려하며, 또한 관리 비용 및 중고차 매매에 유리한 역할을 하는 컬러 등과 같은 사회적 가치를 고민한다. 이러한 다양한 구매 조건의 작용으로 개인이 가장 선호하는 컬러를 선택할 수 있는 것은 아니지만 대부분 소비자들은 고가인 자동차를 구매할 경우 어떤 제품보다도 신중하게 접근하는 성향을 가지며 제품을 통해 자신을 표현할 수 있는 최상의 컬러를 선택하기 위해 사려 깊게 생각한다. 따라서 본연구에서는 자동차를 구매하는 소비자들의 컬러 소비량과 다양한 컬러의 상징적 의미 연구를 통해 소비자의 드려내지 않은 욕구를 실질적이고 현실성 있게 파악하려고 한다. 연구 범위는 용어의 의미 고찰과 글로벌 자동차 외장 컬러의 소비 트렌드와 소비자의 특성을 분석하였다. 연구 방법은 전체적으로정성적, 정량적 기법을 사용하였으며, 용어의 의미를 맥락적으로 고찰하고, 내용 분석법을 통해 컬러의 상징성의 의미를 구체화하였다. 그리고 컬러 소비 트렌드를 차용하여 비교 분석하고, 소비자의 특성 도출은 매트릭스 기법을 활용하였다. 연구 결과에 의하면 북미시장 소비자들은 권위적이며, 남미시장 소비자들은 과시성이 매우 강하다. 유럽시장 소비자들은 글로벌 시장에서 가장 중립적이고 가정 권위적인 성질을 가진다. 아시아 시장 소비자들은 과시적이면서도 약간의 권위적인 면을 가진다. 그리고한국 시장 소비자들은 중간적 자세를 취하려는 것이 특징이다. 하지만 전 지역에서 가장 높은 가치로여기는 것은 자신을 드러내는 과시적 심리 작용이 있다.

      • KCI등재

        개인용 전기 이동수단 ‘EPM(Electronic Personal Mobility)’의 시장분석과 향후 방향 제시

        김하영,황성걸 한국일러스아트학회 2015 조형미디어학 Vol.18 No.2

        Although the EV(Electronic Vehicle), PHV(Plug-in Hybrid Vehicle) are considered as one of the solution for relieving exhaust gases and traffics, commercialization of the solutions has been delayed due to the lack of relevant regulations, policies and infrastructures. Unlike foreign markets, where the use of bicycle is active, Korea is facing difficulties with PM(Personal Mobility) due to its perceptions and mountainous geographical issues . PM is a personal transportation that covers all of the electrically driven personal mobile devices which can run short or intermediate distance. It has been introduced both in domestic and foreign markets as a solution for the problem mentioned above. Conducting R&D on the domestic EPM(Electronic Personal Mobility) market is essential for PM to be commercialized and to be perceived as a means of transportation in everyday life ranging across all ages. While domestic market for bicycles has been steadily grown since 2008, it reached the limitation since bicycles are mainly utilized as a means of transportation for parks where there are cycle lanes and short-distance commutes to school or work. It is expected to cater to all ages’ tastes if we can commercialize PM by developing a reasonable EPM considering the geographical conditions of Korea along with relieving the parking difficulties and traffic congestion. Also, invigorating the domestic EPM market will accelerate the market revival for both domestic major automakers and midsize companies that deals with related components in all aspects including technologies, infrastructures. 현재 배기가스 문제 등의 해결 방안으로 EV(Electronic Vehicle), PHV(Plug-in Hybrid Vehicle) 등이 대두되었지만, 관련 법규와 정책 등 관련 인프라의 부족으로 인해 대중에게 상용화가 지연되고 있다. 자전거 이용이 활성화 된 해외 시장과 달리, 한국은 지형 특성상 언덕이 많기 때문에 순수 인력만으로 모빌리티를 다루기에는 어려움이 따른다. PM(Personal Mobility)은 근거리 및 중거리를 주행할 수 있는 전기구동 방식의 개인용 이동수단을 통칭하는 소형 이동기로 위의 상기한 문제점을 해소시킬 수 있는 대안으로 국내외에서 제시되고 있다. 전 연령층을 아우르는 생활 속 교통수단으로 인식되고 상용화되기 위해서는 국내 EPM(Electronic Personal Mobility) 시장의 연구와 개발은 필수적이다. 이러한 세계적인 추세에 따라 국내 자전거 시장은 2008년 이래로 꾸준히 성장하고 있지만, 자전거 도로가 형성되어 있는 공원이나 단거리 통학, 통근길 이동 수단으로 주를 이루고 있다는 것이 한계이다. 뿐만 아니라, 국내 퍼스널 모빌리티 수요의 대부분은 수입품이 주류를 이루고 있다. 주차난 및 교통난을 해소하고 국내 지형적 특성에 부합하며 한국인의 사고방식에 맞는 합리적인 EPM의 개발을 통해 상용화 한다면 전 연령층의 사용 기호를 충족시킬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또한, 국내 EPM 시장의 활성화는 관련 기술, 인프라 등의 여러 가지 면에 있어 국내 대형 자동차업체뿐만 아니라 관련 부품을 취급하는 중소기업 시장 부흥의 촉매 역할을 할 것이다.

      • KCI등재

        브랜드 충성도에 영향을 미치는 SNS활동에 대한 연구 : 인스타그램과 밀레니얼 세대 중심으로

        서은하,황성걸 커뮤니케이션디자인학회(구 시각디자인학회) 2020 커뮤니케이션 디자인학연구 Vol.73 No.-

        스마트폰의 보편화와 소셜 네트워킹 서비스(SNS)의 급속한 확산으로 인해 소비자들과 기업 및 브랜드와의 상호작용 방식이 변화하고 있다. SNS 중에서도 특히 인스타그램의 활용도가 제일 높은 것으로 나타나면서, 인스타그램 주 사용자인 젊은 세대의 브랜드와의 상호작용 형태와 내용을 이해하는 것이 중요하다. 본 연구는 인스타그램 상의 소비자와 브랜드의 상호작용에 대한 연구로서, 밀레니얼 세대 소비자들의 브랜드와의 상호작용 활동 현황을 파악하고, 이러한 상호작용 활동이 어떻게 브랜드 충성도에 영향을 미치는지를 파악하는데 목적을 두고 있다. 본 연구를 위한 조사방법은 2단계로, 먼저 107개 브랜드의 인스타그램을 대상으로 상호작용의 내용을 분석하였으며, 이를 바탕으로 200명의 20~30대를 대상으로 상호작용 참여 활동에 대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인스타그램 활동현황에 대한 분석은 브랜드· 제품을 선경험하는 소비자, 브랜드에 관여하는 소비자, 브랜드를 홍보하는 소비자, 소통하는 브랜드와 소비자로 나타났다. 설문조사에 대한 분석 결과, 상호작용 활동은 브랜드측 소통, 자발적 홍보, 소비자측 소통, 선경험, 관여 순으로 나타났으며, 브랜드 충성도에 영향을 미치는 것은 브랜드측 소통만이 유의미한 것으로 나타났다. The universalization of smartphones and rapid propagation of social networking services (SNS) have transformed the mode of interaction between consumers and businesses/brands. Among such services, Instagram exhibits the highest rate of usage, and thus it is important to understand the mode and contents of interaction between brands and the young generation, the main users of Instagram. This study focuses on the interaction between consumers and brands on Instagram, examining the status of interactive activities between brands and Millenial consumers, and investigating the influence of such interactive activities on brand loyalty. The method of this study is in two parts; first, the contents of the interactions were analyzed for the Instagram accounts of 107 brands, and based on this analysis, a survey was conducted on the interactive participation against 200 subjects in their 20s and 30s. The analysis on Instagram activities showed that the activities were comprised of consumers experiencing the brand/product in advance, consumers getting involved with the brand, consumers advertising the brand, and consumers and brands communicating with each other. The result of the survey showed that the interactive activities were in the order of brand-side communication, voluntary advertisement, consumer-side communication, experience in advance, and invovleement, and only brand-side communication showed a significant influence on brand loyalty.

      • KCI등재

        기사와 승객의 택시 이용 경험 개선 디자인을 위한 기초 연구

        하미영,황성걸 한국일러스아트학회 2015 조형미디어학 Vol.18 No.1

        The rate of negative experience of using taxi has been growing, and the reasons are connected to each other making a vicious circle. Through this study, a research about two main taxi users, drivers and passengers, has conducted simultaneously to find design solutions for providing a positive taxi experience. Dissatisfaction is occurred when value doesn't meet one's standard. Firstly, value systems of both users were discovered by understanding dissatisfactions through in-depth interviews. The two users shown common value domain which are economic, safety, pleasant/cleanness, and comfort/easy section. However, there were differences in detail. For example, from a driver's point of view, the dissatisfaction from economic section is from insecurity of social status and income, but from a passenger's side, it was from time and cost effectiveness. About safety section, drivers felt insecurity from passengers as strangers, but passengers felt insecurity from both drivers and external environment(reckless driving, crime-prone areas). Research data was analysed by social, cultural, physical, and psychological factors. The social factor comes from general perception about taxi drivers and passengers from one another, and cultural factors are related to Korean traditional Confucian culture and linguistic property. Physical factors are from the influence of limited space and fixed structure of the car(mainly sedan), and psychological factors are highly related to psychological distance and closeness in social relations. When value domains and cause factors are intersected, solutions that improve taxi experience including interface, user experience, product, service, etc can be designed and suggested. 오늘날 택시 이용에 관한 부정적 경험의 비중은 날로 증가하고 있으며, 이에 대한 원인은 서로가 긴밀하게 연결되어 악순환이 반복 되고 있다. 본 연구를 통해 택시를 이용하는 두 사용자인 운전기사와 승객의 입장을 동시에 연구하여, 주 이용객이 긍정적으로 택시를 이용할 수 있는 디자인 해결을 위한 기초조사를 진행하였다. 불만족은 가치를 두는 사항이 기대만큼 충족되지 못할 경우 발생한다. 우선 기사와 승객을 대상으로 심층 인터뷰를 진행하여 그들이 느끼는 불편사항을 파악하고 이를 통해 그들의 가치체계를 규명하였다. 이를 통해 기사와 승객의 입장 차이를 분석하였다. 기본적인 가치 체계는 경제적인 부문, 안전에 관한 부문, 쾌적/청결에 관한 부문, 편안/안락에 관한 부문으로 동일한 결과를 보였다. 그러나 세부적인 내용으로는 기사와 승객이 차이를 나타냈다. 예를 들어 기사의 입장에서는 경제적 보장에 위협을 받는 데에서 기인하는 불만의 경우 세부적으로는 사회적 위치의 불안함과 직접적 수익에 관련된 내용으로 이루어진 반면, 승객의 입장에서는 지불 비용과 시간 효율에 관한 것으로 차이를 보였다. 또한 신변 안전에 관한 부문에서 기사의 입장에서는 낯선 승객으로부터 오는 불안이 발생하는 반면, 승객의 입장에서는 기사로부터 오는 불안함과, 차량 외부환경(난폭운전 및 우범지역)으로부터 오는 불안함을 보여 차이를 나타냈다. 각 불만사항을 종합하여 그에 대한 원인을 사회적 요인, 문화적 요인, 물리적 요인, 심리적 요인으로 분석하였다. 사회적 요인으로는 사회적으로 보편적으로 자리 잡고 있는 택시기사라는 직업과 승객에 대한 인식에 큰 원인을 둘 수 있으며, 문화적 요인으로는 한국이 갖고 있는 특유의 유교적 정서와 언어의 특성에 원인을 둘 수 있다. 물리적 요인으로는 승용차라는 제한된 공간과 고정된 물리적 구조의 영향을 받는 것을 알 수 있었으며, 심리적 요인으로는 운전기사와 승객 관계, 즉 사회적 관계의 친밀도와 관련이 높았다. 위의 항목들과 가치요소들을 교차하면 디자인적으로 서로의 관계를 개선할 수 있는 방안을 도출하는 발판이 마련될 수 있다. 이로써 인터페이스, 사용자 경험, 제품디자인, 서비스 등이 종합적으로 갖추어지는 디자인 방향을 도출하여 택시 이용 경험을 개선하는 체계적인 디자인 토대를 마련할 수 있다.

      • KCI등재

        1인 창업 브랜드 노출을 위한 온라인 플랫폼 활용방안 연구

        박주영,황성걸 한국일러스아트학회 2018 조형미디어학 Vol.21 No.3

        As online platforms are actively utilized in today's economy, they also have brought significant changes in business platforms and activities. When the Internet and mobile-based media allowed businesses to interactively communicate with customers for marketing purposes, many new communication channels emerged, and channels that deliver contents also increased accordingly. Therefore, the importance of online platform is more emphasized since it embraces various means of communication, and as interactively communicative strategies such as promotion, marketing, and events are spotlighted, a variety of creative platforms are continuously developed. Notably, many one-person-operated businesses and their brands utilize online platforms not only interactively communicate with customers but also keep the balance between effective marketing strategies and a positive relationship with customers. Because online platforms have no time and place limitations and the low maintenance costs allow new start-up brands to conduct effective marketing through continuous exposure and exposed channels. Thus, in this study, the channel was compared to the channel of online platforms by deriving Crowdfunding, SNS and Homepage, including properties such as participation, disclosure, communication, and connection. It is meaningful to find ways to use online platforms to promote start-ups and expose the brand on a consistent basis to better establish early entry into the market for start-ups and follow-up measures. Amid the continued expansion and evolution of online platforms, it is expected that the brand's actions to regenerate brand identity and brand will bear fruit for short-term and long-term performance, profit generation and continuous development. 온라인 플랫폼을 활용한 경제활동이 활발해지면서 기업의 경영활동에도 큰 변화를 가져오고 있다. 인터넷, 모바일 매체는 기업과 소비자가 의사소통할 수 있는 상호작용적 마케팅 도구로 활용되면서 새로운 소통채널들의 대거 등장으로 콘텐츠를 운반하는 채널의 수가 증가했다. 이로써 콘텐츠를 포함하는 다양한 커뮤니케이션 수단들을 포용하는 온라인 플랫폼의 중요성이 더욱 강조되고 프로모션, 마케팅, 이벤트 등 고객과 소통할 수 있는 활동들이 예전보다 훨씬 더 많은 주목을 받으며 다양한 플랫폼이 나타나고 있다. 특히 온라인 플랫폼을 활용한 1인 창업 브랜드가 고객과의 커뮤니케이션을 통해 의사소통뿐만 아니라 효과적인 마케팅 전략과 고객과의 관계를 유지하면서 온라인 플랫폼을 한 번의 이벤트성으로 활용하는 것이 아니라 브랜드 형성에 기여하고 지속적으로 고객에게 브랜드의 진정성을 반영하고 있다. 이는 온라인 플랫폼이 시간과 장소의 제한이 없으며, 유지비용의 부담이 적어 지속적인 노출과 노출되는 채널을 통해 새롭게 신생한 창업 브랜드가 효과적인 마케팅을 시행할 수 있기 때문이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온라인 플랫폼의 채널로서 참여, 공개, 소통, 연결 등의 속성을 포함한 Crowdfunding, SNS, Homepage를 도출하여 비교 분석하였고, 창업의 진흥과 지속적인 브랜드의 노출을 위한 온라인 플랫폼의 활용방안을 모색하여 창업의 초기 시장 진입과 이후의 유지 방안을 보다 효과적으로 구축하는데 의의를 두고 있다. 또한 온라인 플랫폼의 확장과 진화가 계속되는 관계망 속에서 브랜드의 단기적·장기적 성과, 수익창출뿐만 아니라 앞으로의 지속적인 발전을 위해 브랜드 아이덴티티와 브랜드 재생의 행보에도 많은 결실이 맺어지길 기대하는 바이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