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녹차, 삼백초, 귀룽나무 등을 포함한 식물성 추출물의 샴푸로서의 특성

        황단비 ( Dan Bi Hwang ),신혜진 ( Hye Jin Shin ),정향리 ( Hyang Li Jeong ),노대영 ( Dae Young Noh ),김미성 ( Mi Sung Kim ),김진홍 ( Jin Hong Kim ),김동욱 ( Dong Uk Kim ) 한국화학공학회 2015 Korean Chemical Engineering Research(HWAHAK KONGHA Vol.53 No.6

        본 연구에서는 녹차, 삼백초, 귀룽나무 등을 포함한 식물성 추출물의 샴푸로서의 특성에 대해 연구하였다. 녹차와 삼백초의 잎은 열수추출 후 동결건조하여 유효성분을 획득하였으며, 귀룽나무 줄기는 숙성과정을 거쳐 열수 추출 후 역삼투 및 초음파 추출로 유효성분을 획득하였다. 식물성 추출물을 함유한 샴푸, 계면활성제(Sodium dodecylsulfate,Quillaja Bark Saponin)와 피마자유 간의 계면장력을 측정한 결과, 샴푸의 계면장력은 저농도에서는 SDS와 QBS보다 낮았으나, 100% 원액에서는 대조군과 유사한 계면장력을 나타내었다. 식물성 추출물을 함유한 샴푸는 황색포도상구균과 칸디다균에 대해서는 약간의 항균력을 보였다. 식물성 추출물의 세포독성시험(MTT assay) 결과, 100~350 μg/ml 범위의 농도에서는 80% 이상의 세포생존율을 보였으나 그 이상의 농도에서는 세포독성을 나타내었다. 식물성 추출물을 함유한 샴푸의 시간변화에 따른 장기 안정성 시험결과, 제조 후 초기 3개월은 pH, 점도, 외관의 변화가 안정적이었으나 그 이후 상온이 높아짐에 따라 pH와 점도의 변화가 심하여 제형의 보완이 필요한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샴푸의 제형을 다소 개선한다면 녹차, 삼백초, 귀룽나무 등을 함유한 식물성 추출물은 샴푸로의 사용 시 높은 가능성을 보였다. In this research, botanical extracts containing green tea, Saururus chinensis and Prunus padus were tested to see possibility as shampoo. Leaves of Green tea and Saururus chinensis were extracted with hot water. Prunus padus bark extract was applied reverse osmosis and ultrasonic extraction. When interfacial tension was measured among shampoo including botanical extracts, Sodium dodecylsulfate(SDS) and Quillaja Bark Saponin(QBS), that of shampoo was lower than that of SDS and QBS at lower concentration, however, it showed similar interfacial tension at 100% concentration. Shampoo showed moderate antimicrobial activity in Staphylococcus aureus and Candida albicans. Botanical extract did not indicate cell toxicity up to 350 μg/ml concentration in MTT assay. Shampoo containing botanical extract was stable for 3 months, however, it showed considerable variation in pH and viscosity. In conclusion, shampoo containing botanical extract shows strong possibility for natural shampoo if the formulation is modified.

      • KCI등재

        수영선수들의 체격 및 신체조성이 전신반응시간에 미치는 영향

        황단비(Hwang, Dan-Bee),조정호(Cho, Jung-Ho) 한국체육과학회 2016 한국체육과학회지 Vol.25 No.2

        This research is about analyzing the motor activity reaction of elite swimmers, related to their physique and body composition and in use of this data is for collecting basic essential data for elite swimmers performance enhancing. From the measurement held from the Korea Institute of Sport Science has collected data from 5 different Regional Sports Science Center’s, middle school and high school students physical ability measure scale was used to 586 students that are elite swimmers the measure was held throughout 5 years, from 2011 to 2014. The measurements were height, weight, sitting height, thigh and measurement of circumference of chest. Swimmers reaction time was measured and body fat percentage, BMI were used for the body composition’s variable. The research results that were correlated were the weight for middle school girl students and high school boy students, for middle school boy students the physique and body composition’s variable were not correlated. In the multiple linear regression with the reaction time, middle school girl students and high school boy student’s data was shown that there is a significant correlation with the BMI and also for high school girl student’s body fat percentage was shown a significant correlation. In conclusion, high school students in both sex showed that the higher BMI and body fat percentage the lower in reaction timing, for middle school girl students when the BMI grows the reaction time got faster.

      • KCI등재

        여주 열매 추출물의 기능성화장품 소재 특성

        김현우 ( Hyun Woo Kim ),신혜진 ( Hyejin Shin ),황단비 ( Danbi Hwang ),이지은 ( Jieun Lee ),정향리 ( Hyangli Jeong ),김동욱 ( Donguk Kim ) 한국화학공학회 2015 Korean Chemical Engineering Research(HWAHAK KONGHA Vol.53 No.3

        본 연구에서는 여주열매의 열수 및 에탄올 추출물에서 기능성화장품소재로서의 가능성을 검토하였다. 여주열매의 열수 및 에탄올 추출물은 유효성분으로 폴리페놀의 함량이 각각 69.45±0.07 mg/g, 70.87±0.06 mg/g로 높은 농도를 나 타내었다. 여주열매의 열수 및 에탄올 추출물은 세포독성시험(MTT assay) 결과, 100~1,000 μg/ml 범위의 농도에서 전 혀 세포독성을 나타내지 않았다. 미백효과 시험결과 tyrosinase 억제능은 대조군인 arbutin 보다는 다소 낮았으나, DOPA 산화억제효과는 arbutin 보다 우수하였다. 주름개선 효과는 elastase 억제효과로 평가되었으며 열수 및 에탄올 추출물 은 대조군인 adenosine 보다는 다소 떨어졌으나 농도가 증가할수록 비슷한 수치를 보여주었다. 여주열매 추출물을 함 유한 액제 및 로션제의 온도 안정성 시험결과,액제는 28일 동안 pH, 점도, 외관의 변화가 안정적이었으나 로션 제형의 경우 점도의 변화가 심하여 제형의 보완이 필요한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여주열매의 열수 및 에탄올 추출물은 필요 에 따라 미백 혹은 주름개선 기능성화장품소재로서 높은 가능성을 보여주었다. In this research, water and ethanol extract of Momordica charantia shells, fruits and seeds were tested to see possibility as natural functional cosmetic agent. Water and ethanol extract showed 69.45 mg/g and 70.87 mg/g polyphenol concentration, respectively. Momordica charantia water and ethanol extracts did not indicate cell toxicity up to 1,000 μg/mL concentration in MTT assay. Tyrosinase inhibition effects of water and ethanol extract were lower than arbutin, however, ethanol extract showed better DOPA oxidation inhibition effect than arbutin. Elastase inhibition effects of ethanol extract displayed similar efficacy with adenosine at higher concentrations. Solution formulations (5% extract) were stable for 28 days in both extracts, however, lotion formulation (1% extract) showed considerable variation in viscosity whereas ethanol extraction indicated relative stability. In conclusion, water and ethanol extract of Momordica charantia shells, fruits and seeds indicated strong possibility for whitening and antiwrinkle functional cosmetic ingredient.

      • KCI등재

        꾸지뽕나무 뿌리 열수추출물로부터 미백 및 주름개선 화장품 소재의 개발

        신혜진 ( Hye Jin Shin ),정향리 ( Hyang Li Jeong ),황단비 ( Dan Bi Hwang ),김동욱 ( Dong Uk Kim ) 한국화학공학회 2014 Korean Chemical Engineering Research(HWAHAK KONGHA Vol.52 No.6

        본 연구에서는 꾸지뽕나무의 뿌리, 줄기, 열매 및 잎으로부터 유효성분을 열수 추출하고 다양한 화장품 소재 시험을 실시하여 화장품 소재로서의 개발 가능성을 검토하였다. 세포독성시험에서 꾸지뽕나무의 뿌리, 줄기 그리고 열매 추출물은 독성을 나타내지 않았지만 잎 추출물은 200 μg/ml 이상의 농도에서 다소의 독성을 나타내었다. 꾸지뽕나무 뿌리추출물은 500 μg/ml의 농도에서 81%의 tyrosinase 억제효과(미백효과)와 58%의 elastase 억제효과(주름개선효과)를 나타내었고, UVB 자외선 흡수능도 다소 보여주었다. 21일간의 온도 안정성 시험 결과, 꾸지뽕 뿌리 추출물을 포함한 액제와 로션제형은 25℃에서는 안정하였으나 47℃에서 점도와 입자크기가 불안정하였다. 본 연구 결과 꾸지뽕 뿌리추출물은 높은 폴리페놀 및 플라보노이드의 함량, 우수한 미백 및 주름개선 효과를 나타내어 천연 기능성 화장품 소재로서 높은 가능성을 보여주었다. Water extracts of root, leaf, branch and fruit of Cudrania tricuspidata were tested to use as natural antiwrinkle and whitening cosmetic ingredient. Root extract indicated 86.5 mg/g polyphenol concentration and 55.5 mg/g flavonoid concentration. From MTT test, root, branch and fruit extract did not show cell toxicity up to 1,000 μg/mL, however, leaf extract displayed significant cell toxicity in concentrations higher than 200 μg/mL. Cudrania tricuspidata root extracts displayed excellent 81% tyrosinase inhibition (whitening effect), 58% elastase inhibition (antiwrinkle effect) at 500 μg/mL and showed minor UVB absorbance. When solution and lotion formulation were made including Cudrania tricuspidata root extract, they are stable at 25 ℃ for 21 days, but showed significant deviation in viscosity and particle size at 47 ℃. From the study, Cudrania tricuspidata root extract demonstrated good potential for natural whitening and antiwrinkle cosmetic agent.

      • KCI등재

        황벽나무, 두충나무 등을 포함하는 복합수목추출물의 항균활성 및 안전성 시험

        김현우 ( Hyun Woo Kim ),신혜진 ( Hye Jin Shin ),황단비 ( Dan Bi Hwang ),이지은 ( Ji Eun Lee ),박만춘 ( Man Chun Bak ),김진홍 ( Jin Hong Kim ),김동욱 ( Dong Uk Kim ) 한국화학공학회 2013 Korean Chemical Engineering Research(HWAHAK KONGHA Vol.51 No.5

        본 연구에서는 황벽나무, 두충나무 등을 포함하는 복합수목추출물의 항균활성 효과 및 안전성에 대해 검토하였다. 항균활성은 피부상재균이며 기회 병원성균인 Staphylococcus aureus, Pseudomonas aeruginosa, Escherichia coli 및 Candida albicans에 대해 disc 확산법으로 실험되었다. 안전성 시험으로는 단회 경구투여 독성시험, 단회투여 흡입독성 시험, 반복투여 흡입독성시험이 실시되었다. 항균력효과시험 결과 추출물은 Staphylococcus aureus, Pseudomonas aeruginosa, Candida albicans에 대해 우수한 항균활성을 보여주었으나, Escherichia coli에서는 항균활성이 없었다. 복합수목추출물의 단회 경구투여 독성시험, 단회투여 흡입독성시험 및 반복투여 흡입독성시험의 결과 독성은 관찰되지 않았다. 따라서 황벽나무, 두충나무 등을 포함한 복합수목추출물은 천연 항살균제로서 상업화 가능성이 매우 높음을 알 수 있었다. In this study, mixed plant extracts including Phellodendro namurense and Eucommia ulmides Oliv were tested for antimicrobial activity and safety. Antimicrobial activity was measured by disc diffusion method using normal skin flora and opportunistic microbes such as Staphylococcus aureus, Pseudomonas aeruginosa, Escherichia coli and Candida albicans. As safety test, single dose oral toxicity test, single dose inhalation toxicity test and repeat dose inhalation toxicity test were done. From antimicrobial test, plant extracts showed significant antimicrobial activity Staphylococcus aureus, Pseudomonas aeruginosa, Candida albicans, however, did not indicate any antibacterial effect on Escherichia coli. From 3 kinds of safety tests, toxicity of mixed plant extracts was not observed. From experimental results, mixed plant extracts including Phellodendro namurense and Eucommia ulmides Oliv showed good potential for natural antimicrobial agent.

      • KCI등재

        중,고 학생 운동선수 체력 평가기준 개발

        최규정 ( Kyoo Jeong Choi ),고병구 ( Byung Gu Go ),김언호 ( Eon Ho Kim ),황단비 ( Dan Bee Hwang ),홍성인 ( Sung In Hong ),장채욱 ( Chae Ouk Jang ) 한국스포츠정책과학원(구 한국스포츠개발원) 2015 체육과학연구 Vol.26 No.4

        본 연구는 지방에 거주하는 중·고 학생선수의 경기력을 향상시키고자 추진했던.학생선수 통합지원센터 사업’의 일환으로 추진한 체력측정을 통해 수집된 자료를 기초로 우리나라 중·고 학생선수들의 성별.학교수준별 .학년별 체력 수준을 파악하고, 평가기준을 설정하는데 목적을 두었다. 2011 ~ 2014년 사이에 전국 5개 지역(부산, 광주, 대전, 경기, 전북)에서 중·고 학생운동선수 연인원 4,243명을 대상으로 체격 및 체력을 측정한 자료를 이용하여 통계분석을 실시하고, 각 항목의 평균, 표준편차 및 Cajori 5단계 평가기준을 제시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valuate the physical performance and develop the criteria of 4243 middle and high school students across 5 provinces (Busan, Gwangju, Daejeon, Gyeongi and Jeonbuk) in Korea that took part in the talent development project. The data was collected between 2011 and 2014. The criteria was divided by gender and age across different grades, and the mean, standard deviation and 5 evaluation levels were calculated and analyzed.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