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나이브 베이스 분류기를 이용한 유전발현 데이타기반 암 분류를 위한 순위기반 다중클래스 유전자 선택

        홍진혁,조성배,Hong, Jin-Hyuk,Cho, Sung-Bae 한국정보과학회 2008 정보과학회논문지 : 시스템 및 이론 Vol.35 No.8

        최근 활발히 연구가 진행 중인 유전발현 데이타를 이용한 다중클래스 암 분류는 DNA 마이크로어레이로부터 획득된 대규모의 유전자 정보를 분석하여 암의 종류를 판단한다. 수집된 유전발현 데이타에는 대상 암과 관련이 없는 유전자도 포함되어 있기 때문에 높은 성능의 분류 결과를 얻기 위해서 유용한 유전자를 선택하는 것이 필요하다. 기존의 순위기반 유전자 선택은 이진클래스를 대상으로 고안되었고 이상표식 유전자(Ideal marker gene)를 이용하기 때문에 다중클래스 암 분류에 직접 적용하기에는 한계가 있다. 본 논문에서는 이상표식 유전자를 사용하지 않고 유전발현 수준의 분포를 직접 분석하는 순위기반 다중클래스 유전자 선택 기법을 제안한다. 유전발현 수준을 이산화하고 학습 데이타로부터 빈도를 계산하여 클래스 간 분별력을 측정한 후, 선택된 유전자를 이용하여 나이브 베이즈 분류기를 사용해 다중 암 분류를 수행한다. 제안하는 방법을 다수의 다중클래스 암 분류 데이타에 적용하여 기존 유전자 선택 방법에 비해 우수함을 확인하였다. Multiclass cancer classification has been actively investigated based on gene expression profiles, where it determines the type of cancer by analyzing the large amount of gene expression data collected by the DNA microarray technology. Since gene expression data include many genes not related to a target cancer, it is required to select informative genes in order to obtain highly accurate classification. Conventional rank-based gene selection methods often use ideal marker genes basically devised for binary classification, so it is difficult to directly apply them to multiclass classification. In this paper, we propose a novel method for multiclass gene selection, which does not use ideal marker genes but directly analyzes the distribution of gene expression. It measures the class-discriminability by discretizing gene expression levels into several regions and analyzing the frequency of training samples for each region, and then classifies samples by using the naive Bayes classifier. We have demonstrated the usefulness of the proposed method for various representative benchmark datasets of multiclass cancer classification.

      • KCI등재

        영화 오프닝 시퀀스에 대한 소고

        홍진혁(Hong, Jin-Hyuk) 강원대학교 인문과학연구소 2015 인문과학연구 Vol.0 No.44

        본 연구는 하나의 내러티브를 시작하는 부분으로서 오프닝 시퀀스의 분절점을 탐구한다. 1960년대 오프닝 타이틀 시퀀스는 영화의 한 부분이라기보다는 부속물적인 개념이었다. 이후 솔 바스(Saul Bass), 카일 쿠퍼(Kyle Cooper) 등의 활약으로 오프닝 타이틀 시퀀스는 하나의 그래픽 디자인의 개념으로 발전한다. 때문에 많은 연구들이 해당 시퀀스를 별도의 창작물로 떼어내어 진행되어왔다. 이에 본고는 기존의 오프닝 시퀀스에 대한 연구들이 전체 내러티브로부터 유리된 별개의 독립적 구조 단위로 분석한다는 점을 지적하며, 오프닝 시퀀스의 전체 내러티브에 속한 한 부분으로서의 도입부라는 정체성을 바탕으로 그 개념적 정의를 고찰한다. 오프닝 시퀀스는 앞으로 전개될 전체 내러티브를 압축적으로 지시하고 반영하며 영화 매체의 고유하고 차별적인 능력을 집중적으로 발휘하는 지점이다. 중심 질문은 어디에서부터 어디까지를 오프닝 시퀀스로 보아야 할 것인가이다. 이때 타이틀 시퀀스는 오프닝 시퀀스 안으로 포괄된다. 하지만 가장 중요한 기준은 실제적인 디제시스 이미지가 제시되는 시점부터이다. 즉 별도로 제작되어 본편과 표현기법이 완전히 다른 시퀀스는 영화의 오프닝 시퀀스에서 제외된다. 동시에 오프닝 시퀀스가 담고 있는 에피소드는 전체 내러티브와의 연속적인 관계에 있어야 하며, 시각적 또는 내러티브적인 연속성을 지니고 있어야 한다. 내러티브는 유기적이기 때문에 오프닝 시퀀스의 엄정한 경계를 설정하는 일은 불가능하다. 또한 끊임없이 변하는 영화의 미학은 그러한 고정된 개념정의를 허락하지 않는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이러한 시도는 영화에 대한 심도 있는 사유의 장을 마련하는데 기여할 것이다. 해석을 위해서는 철저한 분석이 우선되어야 할 것이며 분석은 정밀한 개념으로부터 출발해야 한다. This article studies segment point of opening sequence as a beginning part of the narrative. Before 1960"s, Opening title sequence comparability simply recited pictures that included minimum level of readability text. Therefore, it was treated an adjunct rather than a part of film. Opening title sequence has developed in terms of graphic design since Saul Bass, Kyle Cooper and more designer"s showed their remarkable works. For that reason, most of the study regarding opening title sequence of film have been dealing with it as a different creative work. This article would like to point out that existing studies about opening sequence analyze it as independent structure unit which is separated from whole narrative. Accordingly, this study considers conceptual definition of opening sequence is based on identity as a introduction belongs to a part of whole narrative. Opening sequence compressively suggest and reflect entire narrative will come, and it is a focused point to show inherent and distinct ability of film. The questions is from where to where should be called opening sequence. At that time, title sequence is belongs to opening sequence. Not only to divide opening sequence by the position of title sequence but also to set the break point of opening sequence as the beginning of entire narrative. Opening sequence includes title sequence, the most important thing is the starting point where the actual diegesis image provides. Which means the sequence that using totally different expression technique because it is produced separately from a feature, that would be excluded from opening sequence. This definition is based on premise that opening sequence is always working for entire narrative. The episode in opening sequence should be in continuos relationship with entire narrative. it should be continuos relationship narratively or should have visual continuity. It is impossible to set strict boundary of opening sequence because narrative is organic actually. Furthermore, esthetic of constantly changing film does not allow fixed conceptual definition. Nevertheless, this effort will contribute to make consider an in-depth study of film. In order to interpret, thorough analysis will come first and analysis will be started from precise concept.

      • KCI등재

        2단계 베이지안 네트워크를 이용한 대화형 에이전트의 문맥 관리

        홍진혁(Jin-Hyuk Hong),조성배(Sung-Bae Cho) 한국정보과학회 2004 정보과학회 컴퓨팅의 실제 논문지 Vol.10 No.1

        Conversational agent is a system that provides users with proper information and maintains the context of dialogue on the natural language. Analyzing and modeling process of user's query is essential to make it more realistic, for which Bayesian network is a promising technique. When experts design the network for a domain, the network is usually very complicated and is hard to be understood. The separation of variables in the domain reduces the size of networks and makes it easy to design the conversational agent. Composing Bayesian network as two stages, we aim to design conversational agent easily and analyze user's query in detail. Also, previous information of dialogue makes it possible to maintain the context of conversation. Actually implementing it for a guide of web pages, we can confirm the usefulness of the proposed architecture for conversational agent. 대화형 에이전트는 언어를 이용하여 사용자에게 적절한 정보를 제공하고 대화의 문맥을 유지하는 시스템이다. 대화형 에이전트를 더욱 현실적으로 만들기 위해서는 사용자 질의에 대한 분석과 모델링 과정이 필수적이며, 베이지안 네트워크가 이를 위한 대표적인 방법 중 하나이다. 보통 대상영역을 위한 네트워크는 매우 복잡하고 이해하기가 어렵기 때문에 네트워크를 구성하는 변수들을 분리함으로써 대화형 에이전트를 보다 쉽게 설계할 수 있다. 본 논문에서는 대화형 에이전트의 질의 분석모듈을 2단계 베이지안 네트워크로 구성하여, 설계를 보다 용이하게 하였고 문형을 고려한 세부적인 질의분석을 가능하도록 하였다. 웹 페이지를 소개하는 에이전트에 적용하여 제안한 대화형 에이전트 구조의 유용성을 보였다.

      • KCI등재

        〈사랑은 비를 타고〉의 자기반영성을 활용한 교육심리학의 메타인지 개념 교수법 연구

        홍진혁(Hong, Jin Hyuk),김지훈(Kim, Ji Hoon) 한국영상제작기술학회 2019 영상기술연구 Vol.- No.30

        This study is int ended to suggest that analyzing and explaining a film can be used in teaching educational psychology by relating the metacognition concept in learning to the self-reflexivity of Singin’ In The Rain. In other words, while teaching film analysis in film subjects, study the metacognition concept among the concepts of educational psychology, and study the educational method that explains the mechanism of learning by cinematic representation again. The self-reflexivity of the film is emphasized when it is changing its contents reflecting what the film"s representation indicate. Behind the scenes of representation is the perception of how the essence of reality shown by film images such as the Hollywood star system, the cinematic quality of sound as an independent element of image, the reality of the genre, the convention of romantic comedy, and the scene of the contemporary Hollywood film industry is refracted through the medium, film. This discussion is ultimately aimed at providing an insight into the wide range of film education phenomena by bridging between film studies and educational psychology research traditions.

      • KCI등재

        나이브 베이스 분류기를 이용한 유전발현 데이타기반 암 분류를 위한 순위기반 다중클래스 유전자 선택

        홍진혁(Jin-Hyuk Hong),조성배(Sung-Bae Cho) 한국정보과학회 2008 정보과학회논문지 : 시스템 및 이론 Vol.35 No.7·8

        최근 활발히 연구가 진행 중인 유전발현 데이타를 이용한 다중클래스 암 분류는 DNA 마이크로어레이로부터 획득된 대규모의 유전자 정보를 분석하여 암의 종류를 판단한다. 수집된 유전발현 데이타에는 대상 암과 관련이 없는 유전자도 포함되어 있기 때문에 높은 성능의 분류 결과를 얻기 위해서 유용한 유전자를 선택하는 것이 필요하다. 기존의 순위기반 유전자 선택은 이진클래스를 대상으로 고안되었고 이상표식 유전자(Ideal marker gene)를 이용하기 때문에 다중클래스 암 분류에 직접 적용하기에는 한계가 있다. 본 논문에서는 이상표식 유전자를 사용하지 않고 유전발현 수준의 분포를 직접 분석하는 순위기반다중클래스 유전자 선택 기법을 제안한다. 유전발현 수준을 이산화하고 학습데이타로부터 빈도를 계산하여 클래스 간 분별력을 측정한 후, 선택된 유전자를 이용하여 나이브 베이즈 분류기를 사용해 다중 암 분류를 수행한다. 제안하는 방법을 다수의 다중클래스 암 분류 데이타에 적용하여 기존 유전자 선택 방법에 비해 우수함을 확인하였다. Multiclass cancer classification has been actively investigated based on gene expression profiles, where it determines the type of cancer by analyzing the large amount of gene expression data collected by the DNA microarray technology. Since gene expression data include many genes not related to a target cancer, it is required to select informative genes in order to obtain highly accurate classification. Conventional rank-based gene selection methods often use ideal marker genes basically devised for binary classification, so it is difficult to directly apply them to multiclass classification. In this paper, we propose a novel method for multiclass gene selection, which does not use ideal marker genes but directly analyzes the distribution of gene expression. It measures the class-discriminability by discretizing gene expression levels into several regions and analysing the frequency of training samples for each region, and then classifies samples by using the naive Bayes classifier. We have demonstrated the usefulness of the proposed method for various representative benchmark datasets of multiclass cancer classification.

      • KCI등재

        연상호 <사이비>의 내레이션 분석

        홍진혁(Hong, Jin Hyuk) 동국대학교 영상미디어센터 2015 씨네포럼 Vol.0 No.22

        형식은 내용을 어떻게 전달하는가? 본 논문의 목적은 내러티브의 형식에 초점을 맞추어 연상호의 애니메이션 <사이비>의 내레이션 전략을 살펴보는데 있다. 이러한 분석은 연상호의 전작들 <돼지의 왕>과 단편 <창>과의 관계 속에서 이루어진다. 독특한 영역을 차지할 기대주라는 상찬과 애니메이션으로서는 불편한 주제를 다루고 있다는 점에서 충격적이라는 반응이 함께 했다. 충격적이라는 말은 종종 불편하다는 것으로 표현되기도 한다. 이는 연상호의 작품들이 그려낸 현실이 우리에게는 익숙해져 있기 때문에 볼 수 없는 것을 보게 만들기 때문이다. 관객이 정서적으로 불편함을 느끼는 순간은 바로 자신을 타자로 접촉하는 순간이다. 이는 자신을 타자로 성찰하는 시간이기도 하다. 장편으로 데뷔한지 불과 5년밖에 지나지 않았기 때문에 연상호의 애니메이션을 다룬 연구가 그리 많지 않지만 그렇다고 해서 전혀 없었던 것은 아니다. 연상호에 대한 연구들은 대체적으로 내용적인 측면에 초점이 맞춰져 있다. 계급투쟁 우상화의 문제, 괴물성의 전이 등으로 의미를 설명한다. 선행연구들과 달리 본 연구는 플롯이 어떻게 나타나는가와 같은 텍스트의 내러티브 기법에 초점을 맞춘다. 즉 관객을 불편하게 만들면서 성찰적 자리를 제공하는 연상호 애니메이션의 힘이 바로 내러티브 형식에 있다고 주장한다. 그것은 오프닝 시퀀스, 이분법적인 갈등 구조, 그리고 플래시백으로 요약된다. 연상호의 애니메이션들은 공통적으로 인물간의 이분법적인 구도위에서 내러티브를 진행해 나간다. 이는 오프닝 시퀀스에서 관객을 특정한 관점에 위치시킴으로써 더욱 효과적으로 강화된다. 이는 단순히 인물의 성격이나 배경을 제시하는 것을 말하는 것만이 아니라 관객으로 하여금 인물을 바라보는 관점을 제공한다는 점에서 중요하다. 이후 클라이맥스에 이르러서는 플래시백을 통해 관객에게 인식의 전환을 제공하면서 텍스트의 핵심적인 메시지를 전달한다. 그렇게 함으로써 연상호의 애니메이션들은 선과 악, 진실과 거짓과 같은 흑백논리로는 포획될 수 없는 현실 세계의 부조리한 영역을 관객의 내러티브 이해과정에서 드러내보인다.

      • KCI등재

        〈오발탄〉, 〈박서방〉, 〈혈맥〉의 스타일적 차이에 따른 해방촌 재현의 의미

        홍진혁(Hong, Jin-Hyuk) 동국대학교 영상미디어센터 2017 씨네포럼 Vol.0 No.26

        본 연구는 1960년대 세 편의 가족드라마 〈오발탄〉(유현목, 1961), 〈박서방〉(강대진 1960), 〈혈맥〉(1963, 김수용)의 공통적인 배경인 해방촌에 초점을 맞추어 현실 공간이 영화 속에서 어떻게 재현되고 있는지 이를 스타일과 결부지어 살펴보는데 목적이 있다. 이는 영화 스타일을 통한 재현을 현실 공간에 대한 당대의 인식이자 하나의 담론 형성과정으로 보고 그 의미를 읽어내려는 작업이다. 각 영화의 인물과 해방촌과의 관계를 도식화해보면, 〈오발탄〉의 해방촌 공간은 중심인물이 끊임없이 달아나려고 시도하는 일종의 원심력 관계에 있다면, 다른 두 편 〈박서방〉, 〈혈맥〉은 그러한 공간을 통해서 가족이 화합하는 장으로 기능하는 일종의 구심력 관계에 놓여있다고 할 수 있다. 〈오발탄〉은 중심인물이 해방촌의 집으로 들어오는 장면을 의도적으로 배제한다. 이는 반복적인 쇼트 구성과 쇼트들의 조형적 일치를 통해 인물과 공간의 관계를 스타일에 새겨놓은 것이다. 〈박서방〉은 분절된 쇼트와 프레이밍을 통해 전근대와 근대의 공간을 나누어 제시한다. 이와 함께 중심인물이 근대의 공간에서 겪은 불편함과 갈등을 해방촌 공간에서 해소시키는 것으로 구성함으로써 해방촌을 고정된 삶의 터전으로 묘사한다. 〈혈맥〉은 항상 와이드 한 앵글을 통해 후경의 도시 공간과 함께 해방촌을 위치시키고, 여기에 움직임이 많은 카메라 워킹으로 해방촌 공간에 활력을 부여한다. 엔딩 쇼트는 이러한 스타일적 규범을 압축한 핵심적인 쇼트로 도약을 위한 활기찬 전통의 공간으로서의 해방촌을 묘사한다. 이는 영화의 재현이 그 자체로 이데올로기적인 것이며, 동일한 공간을 각기 다른 방식으로 묘사하는 영화 스타일은, 프레드릭 제임슨이 말을 빌자면, 미적 형식이나 서사 형식의 생산 역시 해결 불가능한 사회적 모순들에 상상적 또는 형식적 해결들을 제공하는 기능을 지닌, 그 자체로 이데올로기적인 행위임을 말해주는 것이다. This study focuses on Hea Bang Chon, the same narrative space of three films, Aimless Bullet, Mr. Park , Bloodline.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style of how real space is represented in film as narrative space. It is to regard the representation through film style as the perception of the contemporary. It is a process of forming a discourse and reading the meaning of it.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characters of each film and Hea Bang Chon space is as follows. The Hea Bang Chon space of Aimless Bullet is in a centrifugal relationship in which the person tries to escape constantly. In contrast to this, Mr. Park, Bloodline function as a place where family is harmonized through the Hea Bang Chon. This can be said to be a kind of centripetal relationship. Aimless Bullet intentionally excludes the scene where a character enters a house of Hea Bang Chon. It is a style that embodies the relationship of characters and spaces through repetitive shot set up and the visual match of the shorts. Mr. Park divides pre-modern and modern space through segmented shot and framing. In addition, it consists of resolving the discomfort and conflict experienced in the modern space in the Hea Bang Chon. This depicts the Hea Bang Chon as a stable living space. The Bloodline always places the Hea Bang Chon with a background of urban space through a wide angle. It gives the Hea Bang Chon a revitalization by using motion-intensive camera walking. Ending shot is a key shot that compresses this stylistic norm. The Hea Bang Chon is portrayed as a lively traditional space for the development. From this perspective, According to Fredric Jameson, ideology is not something which informs or invests symbolic production; rather the aesthetic act is itself ideological, and the production of aesthetic or narrative form is to be seen as an ideological act in its own right, with the function of inventing imaginary or formal solutions to unresolvable social contradiction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