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방송의 시사·보도 프로그램의 다양성 연구: 패널의 속성을 중심으로

        홍주현(Ju-Hyun Hong),조인숙(In-Sook Cho),이종임(Jong-Im Lee) 한국정치정보학회 2024 정치정보연구 Vol.27 No.1

        In a situation where expertise and overlapping appearances of panels appearing on current affairs programs are a problem, this study conducts a content analysis and network analysis of the gender, age group, occupation, and political inclinations of panels appearing on current affairs and reporting programs during the five years of the Moon Jae-in administration. As a result of content analysis, more men than women appeared on the broadcast, and over 70% of the total was in their 50s or older. Regarding political orientation, there were relatively more progressive panelists than conservative panelists. The most preferred occupation was a member of the National Assembly. On terrestrial broadcasting, there were relatively more progressive panels than conservative panels, and among the professions, lawmakers and professors appeared. Looking at the top 20 influential panelists during the Moon Jae-in administration, there were many overlapping appearances on multiple channels. Frequent appearances on broadcasts give viewers the perception that person is an important person, so the repeated appearance of a specific person is not desirable in terms of diversity of opinion. This study is significant in that it analyzed all panels that appeared on broadcast current affairs and reporting programs during the five years of the Moon Jae-in administration, and there is a need to ensure diversity in terms of gender, age, occupation, and political orientation when selecting panelists on broadcast.

      • KCI등재

        사회적 환경변화에 따른 부동산 투자 포트폴리오 효과성 연구

        홍주현(Hong, Ju-hyun),유승훈(Yoo, Sung-hun),민규식(Min, Guy-sik) 대한부동산학회 2022 大韓不動産學會誌 Vol.40 No.1

        코로나 19와 같은 사회적 환경 변화가 국내는 물론 미국을 비롯한 경제 대국들의 유동성이 풍부해지면서 자산에 대한 투자환경이 바뀌면서 소득분위가 낮은 청년 등 저소득 가구가 상대적으로 높은 비율의 부동산 자산을 보유함으로써 금융시장 불안과 강대국들의 불확실성 확대와 저성장과 저소비 경제구조에서 부동산가격하락 리스크에 그대로 노출되어 있어 하우스푸어와 같은 현상이 2014년에 이어서 소득이 낮은 가구에서 더 심각하게 재현 될 수 있다고 본다. 이에 부동산자산에 보다 안정적으로 투자하기 위한 자산관리 차원에서 개별 투자자산의 위험을 고려한 전체 수익을 높이면서 보다 안정적인 수익을 얻기 위해서 포트폴리오 분산투자 원리에 기초하여 투자지역과 투자자산의 유형을 적절히 분산하여 투자하는 자산별 포트폴리오를 구성하여 전체 수익을 높일 수 있는 포트폴리오 분산 효과성을 분석하였다. As the social environment changes such as Corona 19 change the liquidity not only in Korea but also in the United States and other large economic powers, the investment environment for assets changes. As they are exposed to the risk of falling real estate prices in the economic structure of low growth and low consumption as well as the increased uncertainty of large and powerful countries, a phenomenon such as the house poor can be reproduced more seriously in low-income households following 2014. Accordingly, in order to obtain a more stable return while taking into account the risks of individual investment assets in the aspect of asset management for more stable investment in real estate assets, based on the portfolio diversification investment principle, the investment area and type of investment are appropriately diversified. The portfolio diversification effectiveness was analyzed to increase the overall return by composing a portfolio for each asset to be invested.

      • KCI등재

        유튜브 채널에서 코로나19 중국관련 허위정보 확산에 관한 연구: 확산 주체와 정보유형 분석을 중심으로

        홍주현(Ju-Hyun Hong),설진아(Jin-ah Seol),이종임(Jong-Im Lee) 한국콘텐츠학회 2021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Vol.21 No.2

        유튜브 채널에서 중국 관련 코로나19 정보의 확산과정을 네트워크 분석을 통해 알아봤다. 중국 관련 코로나19 정보를 사실 정보와 허위정보로 구분했고, 사실 정보는 긍정적, 부정적으로 분류했다. 네트워크 분석결과 부정적 정보와 허위정보가 많았고, 긍정적 정보는 가장 적었다. 허위정보 중에서 우한연구소 유출설 관련 동영상이 많았고, 유전자 조작설 관련 동영상의 조회 수와 매개 중심성 평균이 가장 컸다. 언론사 채널은 허위정보에 대한 팩트 체크보다 있는 그대로 전달하는데 그쳤다. 중국 관련 코로나19 동영상 중 부정적 정보와 허위정보가 많았다는 것은 중국 관련 비판적이거나 자극적인 내용이 유튜버의 관심을 끌었다는 것을 보여준다. 결론적으로 유튜브 채널의 허위정보는 이용자들이 유사한 주제의 동영상을 시청하게 하는 확산 효과를 가져왔다. This study explores diffusion of information on Covid-19 relating to China on You Tube. For this, information on Covid-19 relating to China was divided into factual information and disinformation, with factual information being categorized into positive and negative information. According to network analysis, there are lots of negative information and disinformation. On the contrary positive information is rare. There are lots of videos about rumor on the leak of Wuhan institute among disinformation. Rumor on the manipulation of genes has the highest average value of view count and betweenness centrality. Main stream youtube channel has only role of messenger which delivers messages as it is instead of fact-checking on disinformation. The fact which there are much more negative information or disinformation among videos about Covid-19 relating with China shows that Youtube users skewed toward negative information and disinformation than positive ones. In summary, disinformation on youtube brings spreadable effect by making user watch similar contents.

      • KCI등재

        뉴스생산 환경 및 조직과 기자의 정치적 성향, 업무 수행 자유도가 언론의 전문성, 공정성 인식에 미치는 영향 연구

        홍주현(Ju-Hyun Hong),최선영(SunYoung Choi) 한국콘텐츠학회 2017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Vol.17 No.5

        이 연구는 언론인들이 기사를 생산함에 있어서 스스로 전문성, 공정성을 판단할 때 영향을 미치는 요인은 무엇인가에 대한 것이다. 슈메이커와 리즈의 계층 모델을 이론적 근거로 하여 뉴스생산 환경의 차이, 조직과 개인의 정치적 성향 일치도, 기자들의 업무 수행 자유도에 따라 언론인이 전문성과 공정성 인식에 어떠한 영향을 받는지 분석하였다. 연구 결과 첫째, 온라인 매체 종사자들이 오프라인 매체 종사자들보다 자신들의 보도 공정성을 높게 평가했다. 둘째, 오프라인과 온라인 매체 종사자 간에 조직의 정치 성향 일치도 판단에 있어서 차이가 났고, 이러한 인식이 언론 공정성 평가에 영향을 미치고 있었다. 셋째, 업무 수행자유도가 높을수록 언론의 공정성을 높게 평가했고, 언론 보도의 공정성을 높게 평가할수록 업무를 전문적이라고 평가했다. 이는 소속 매체 특성에 따라 인식의 차이가 있음을 보여주는 것이다. 이 연구의 의의는 한국언론진흥재단에서 실시하고 있는 ‘언론인 의식조사’의 설문 원시 자료를 활용하여 2차 자료 분석을 통해 연구했다는 점이다. 특히 소속 매체에 따라 조직의 정치적 성향, 업무 수행 자유도 측면에서 뉴스 생산환경에 대한 우리나라 언론인들의 인식이 어떠한지 분석했다는 점에서 저널리즘 측면의 의의가 있다. 언론의 공정성과 전문성 평가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은 결국 기사의 질이라는 결과물로 나타나기 때문에 뉴스생산 환경의 정치적 자유가 매우 중요하다는 것을 추론할 수 있다. This study explores what are the factors which influence the perception of press professionalism and fairness of journalist in the process of their news production. This study focused on how the difference between mainstream media and online media, the political tendency and the degree of freedom during working effected on the judgement of the freedom of press based on the model of Shoemaker and Reese’ hierarchical model. As a result, Research finding is as follows: First, online media journalist evaluated the fairness of press higher than offline media journalists. Second, the consistency of political tendency of offline media is different from online media. Online media journalists evaluated the fairness of the press higher than offline media journalists. Finally, the degree of freedom during performance is the most importance factor which affects the evaluation of press fairness. This study highlights the factors which influence the perception of journalists on the quality of the press based on the survey data which have conducted by Korean press foundation This study implicates how working environment is importance in journalist’s writing as a journalist. The freedom of press is very important in the process of news production because the factors which influence the evaluation of the fairness and the professionalism of press reveals the quality of press.

      • KCI등재

        중국의 인터넷 포털 게시판 댓글의 파동 분석

        홍주현(Ju Hyun Hong),이창현(Chang Hyun Lee) 사이버커뮤니케이션학회 2011 사이버 커뮤니케이션 학보 Vol.28 No.2

        이 연구는 중국의 인터넷 포털 게시판 댓글의 피동성을 분석한 것이다. 구체적으로 인터넷 포털에서 민족주의 이슈 괸련 이슈의 댓글이 형성되는 과정을 파동으로 나타내고, 파동의 성격을 분석하였으며, 파동성 분석 결과를 토대로 파동 유형을 개념화친였다. 중국의 포털 게시판에 올라온 댓글의 파동성을 분석한 결과 이슈 생성기에는 ‘완만한 잔파동 모델’이, 여론 형성기나 여론 확산기에는 ‘폭발적 급등 파동 모델’이 나타나는 것을 발견하켰다. 아울러 인터넷 여론형성 과정에서 Y파동, p파동, S파동이 순환적으로 나타나면서 여론이 형성되며, 이슈 확산기에는 Y파동과 P파동이, 이슈 생성기나 이슈 소멸기에는 S파동이 나타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이와 같이 이 연구는 인터넷에서 전통적인 매체와 달리 끊임없이 파동을 그리며 여론이 형성된다는 것을 실증적으로 밝혔다. 중국에서 다른 이슈와 비해 민족주의와 관련된 여론이 활성화된 것은 중국의 정치 체계의 특성에 기인한 것으로 생각된다. 네티즌들이 자국의 정치적 문제보다는 정부의 통제를 덜 받는 대외적 문제에 관심을 쉽게 갖고, 여기에 중국 언론의 선정적 보도가 네티즌들을 자극하여 감정적인 여론을 형성하고 있는 것이다. 또한 한국의 언론 보도를 접한 중국의 네티즌들이 이를 자국 포털 사이트에 올리고 감정적인 의견을 개진하면서 민족주의 이슈가 확산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This study explored the formation of internet nationalism based on public opinion delivered through Chinese portals which are under the strict control of government. This studytraced the diffusion of reply over time and conceptualized the pattern of reply. In order to compare the type of reply of the same public issue between the Korean portal and the Chinese portal, this study traced the cycle of reply over time. The public opinion was formed by a fluent curve at the issue starting stage and at the issue extinction stage. This wave displayed the gentle wave model. The public opinion was formed as an explosive diffusion at issue diffusion stage. This wave displayed the explosive sharp rise wave model. Because of the Chinese government's control on political issues, Chinese netizens have the tendency to focus on nationalistic issues. The sensationalism on the Chinese media urges Chinese netizens to speak out their opinions. Internet nationalism therefore is diffused by a feedback cycle.

      • KCI등재

        선거 기간 중 트위터에 나타난 후보자와 유권자의 정치적 행위(political action) 연구

        홍주현(Ju Hyun Hong),박미경(Mi Kyuong Park) 사이버커뮤니케이션학회 2011 사이버 커뮤니케이션 학보 Vol.28 No.4

        이 연구는 트위터에 나타난 후보자와 유권자의 정치적 행위 분석을 통해 선거에서 트위터가 어떤 역할을 하는지 밝히고, 트위터에 나타난 유권자의 정치 참여 행동을 유형화하였다. 지난 4ㆍ27 재보선에서 분당 을 선거구에 출마한 강재섭 후보와 손학규 후보의 트위터, 유권자의 트윗을 분석한 결과 강재섭 후보는 ‘전달형 홍보 매체’로, 손학규 후보는 ‘소통형 홍보 매체’로 트위터를 활용한 것으로 나타났다. 트위터에 나타난 유권자들의 정치적 행위는 형식적 측면에서는 ‘의견 표출’과 ‘의견 확산’이 많았고, 내용적 측면에서는 ‘지지의견 표명’이 가장 많았다. 지지 후보에 따라 유권자의 정치 행위에 차이가 나타났는데, 손학규 후보 지지자들의 경우 후보의 의견이나 정책에 대한 주장을 표명하는 ‘정책적 지지’를, 강재섭 후보 지지자들의 경우 주로 찬반 의견만 표명하는 ‘일방적 지지’를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결론적으로 선거 기간에 트위터에서 정치적 의견 표출이 많지만 트위터는 주로 단순 홍보 수단으로 활용되고 있으며, 정책적 논의가 부족해 유권자와의 공감대를 형성하지 못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 연구는 후보자의 트위터 활용 방식에 차이가 있고, 지지후보에 따라 유권자의 정치참여 유형에도 차이가 있다는 결과를 통해 트위터가 분화된 공론장 기능을 한다는 것을 실증적으로 밝혔다. 이 연구는 이론적 측면에서 소셜 미디어 중심의 공론장 논의에 기여하였으며, 실무적 측면에서는 후보자의 선거 전략에 유용하게 활용될 수 있다. This study explores whether Twitter functions as a public sphere in election campaign by candidates and voters. For exploring these themes the political action of candidates and voters via Twitter was discussed by content analysis. This study finds, first, that Twitter is seen as a public relation channel by the analysed candidates, with the difference between candidates. In case of Kang, he used Twitter as a ‘one-sided media’, while in case of Sohn, Twitter was as a ‘communicative media‘ with actively reacting to Tweets of voters. Second, Twitter is seen as a speaking out channel by voters, while voters’ political action was showed differently according to their supporting candidate. Sohn’s supporters expressed their opinion based on policy and issue, on the other hand, Kang’s supporters expressed their opinion blindly without foundation. Finally, this study discuses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candidate’s use of Twitter and the result of their election. Sohn who communicates actively with voters via Twitter and whom his supporters supports by discussing his policy and his opinion via Twitter won the local by-election. In conclusion, while there are lots of comments via Twitter during election times, it hasn’t yet to be used effectively by candidates. The quality of candidates’ interaction with voters might be higher due to useful political information. For voters, they need to speak out their opinion of candidates with foundation. The results of this study will be used effectively by candidates and voters in political campaign.

      • KCI등재

        정책변화를 고려한 공동주택 사업타당성 분석절차에 관한 연구

        홍주현(Hong Ju-Hyun),고성석(Go Seong-Seok) 대한건축학회 2008 大韓建築學會論文集 : 構造系 Vol.24 No.1

        Current construction companies have many difficulties in developing apartment house and obtaining developing order because of whole economic slump and government's strengthening of private and public house regulation. To overcome these difficulties construction companies are groping active strategy such as business developing of apartment houses for coping with the situation of economic slump and receiving competition. Actually, many researches and studies are carrying out in operating stage for the purpose of successful apartment project conduction and result. But, construction business of apartment house has a feature of uncertainty accompanied by the repeatable risk. The feasibility analysis of apartment house business in earlier planning stage has significant meaning for successful performance. The business feasibility analysis must be conducted through analyzing policies related with land and house to cope with market flow. Thus, this study aims to suggest the operating process of apartment house business in earlier planning stage through analyzing earnings and expenses of domestic apartment house business cases which were operated after 2000 considering changes of government policies.

      • KCI등재

        가해자와 피해자의 위계(hierarchy)에 따른 매체가시성(media visibility)의 양과 질 네트워크 분석

        홍주현(Ju-Hyun Hong) 한국콘텐츠학회 2017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Vol.17 No.8

        기존의 성범죄 보도는 피해자 중심으로 이루어져 피해자에게 이중 고통을 주었다. 이 연구는 성범죄 보도에서 가해자와 피해자의 위계가 어떻게 작용하는지 보도량과 네트워크 분석을 통해 밝혔다. 가해자가 유명인인 가해자 우위의 관계와 가해자와 피해자의 지위가 비슷한 수평적 관계를 비교한 결과 가해자 우위의 관계의 보도량이 더 많았다. 가해자 우위의 관계에서 언론은 가해자의 사생활을 집중적으로 보도한 반면, 가해자-피해자 수평적 관계에서는 일반인 가해자보다 여성 피해자에게 주목했다. 가해자 우위의 관계에서는 사건의 귀인을 유명인에게 했고, 가해자-피해자 수평적 관계에서는 가해자의 주장을 지지하고, 피해자에게 사건을 귀인했다. 네트워크 분석과 프레임 분석을 통해 가해자 우위의 관계에서 언론은 가해자의 인권, 사생활을 보호하지 않는다는 것을 밝혔다. A sex offense report highlights the victim as well as the offender involved in the sex crime. This study explored the hierarchy between the offender and the victim, based on the frequency analysis and network analysis. In case that the perpetrator is a celebrity, the media focuses more on the celebrity’s actions. The volume of reports for cases where the offender has a position superior to the victim’s (offender superior relationship) is larger than for those where the two have a horizontal relationship. The press highlights the celebrity in offender superior relationships and the victim in horizontal relationships. The celebrity is held responsible for the cause of the crime in the offender superior relationship. However, the victim him/herself is held responsible for the perpetrated offense in horizontal relationships. According to the results of the analyses in this study, the press fails to protect human rights and privacy in offender superior relationships.

      • KCI등재

        중국 웨이보를 통한 인터넷 민족주의의 확산 연구: 메시지의 확산 추이와 메시지에 대한 정서 분석을 중심으로

        홍주현 ( Ju Hyun Hong ),윤해진 ( Hae Jin Yun ) 한국커뮤니케이션학회 2014 커뮤니케이션학연구 Vol.22 No.4

        이 연구는 중국의 민족주의가 SNSs를 통해 어떻게 확산되는지 확산 추이를 파동을 중심으로 알아보고, 정서 분석을 통해 여론을 파악했다. 중국인 선장의 한국 해경 살해 사건을 중심으로 웨이보에 올라온 2011개의 의견을 분석 대상으로 했다. SNSs를 통해 여론이 얼마나 역동적으로 형성되는지 파악하기 위해 시간의 경과에 따른 파동을 유형화했다. 시시각각 변화하는 여론을 파악하기 위해서 여론의 주기성 분석을 했다. 여론의 주기성은 메시지에 언급된 긍정적인단어와 부정적인 단어의 차이로 측정했다. 이 연구는 역동적이고 변동성이 큰 SNSs 여론을 파악하기 위해 시간의 경과에 따른 추이 분석을 통해 파동의 유형을 찾고, 주요 쟁점 별로 주기성을 측정하는 새로운 방법을 제시했다는데 연구의 의의가 있다. 연구 결과는 정책 결정자나 저널리스트들이 현안을 단기간에 파악하는데 유용하게 활용될 수 있을 것이다. This study seeks to inquire into the formation of public opinion via socialnetworking sites (SNSs) under the topic “Internet Nationalism.” The researchersselected the 2011 case of a corporal in the Korean Coast Guard killed by a Chineseship captain. The present study focuses on (a) how the messages posted on Weibodiffuses as time passes; and (b) how the propensity of said messages changes withtime. This study highlights the dynamics of public opinion utilizing social wave andthe periodicity of public opinion on SNSs based on sentiment analysis. The maintopic of the issue is then further classified in detail by subject through thecategorization of key words. This method of analysis was used to show the dynamicsand the general leaning of public opinion. Wave type analysis showed public opinionfluctuation while the sentiment analysis showed public opinion changes resulting ineffective detection of public opinion. The present research for the detection ofpublic opinion on SNSs will help policy makers and journalists to gauge publicopinion on controversial issues, giving them the chance to offer alternativeviewpoints.

      • KCI등재

        트위터를 통한 루머의 확산 과정 연구

        홍주현(Ju-Hyun Hong),윤해진(Hae-Jin Yun) 한국언론정보학회 2014 한국언론정보학보 Vol.66 No.2

        이 연구는 소셜 네트워크 사이트를 통해 루머가 급속하게 확산될 뿐만 아니라 정책 결정과정에까지 영향을 미치는 현상에 주목하였다. 이에 거시적 관점에서 한미 FTA와 관련된 여론의 확산 추이를 살펴보고 미시적 관점에서 이용자 간에 상호작용성이 얼마나 활발하게 나타나는지 분석하였다. 이 연구는 루머의 자극성을 루머의 확산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으로 보았다. 한미 FTA 관련 루머 중 트위터 검색 엔진을 통해 연관 검색어로 나타난 맹장수술 괴담, 약값 폭등, 건강보험 붕괴를 중심으로 루머의 자극성과 자극성에 따른 확산 추이, 상호작용성을 분석하였다. 루머의 자극성을 사실적 측면과 표현적 측면으로 구분해 분석한 결과, 사실적 측면의 자극성은 맹장 수술 괴담이, 표현적 측면의 자극성은 약값 폭등이 가장 컸다. 루머의 자극성에 따른 여론의 확산 유형을 분석한 결과, 맹장 수술 괴담의 경우 ‘폭발적 소멸형 파동’이, 약값 폭등의 경우 ‘잠재적 소멸형 파동’이, 건강 보험 붕괴의 경우 ‘반복적 파동’이 형성되었다. 루머의 자극성과 상호작용의 관계를 상관관계 분석한 결과, 맹장 수술 괴담의 경우 약한 정도의 상관관계가, 건강 보험의 경우 높은 정도의 상관관계가 나타났다. 건강 보험 붕괴의 자극성이 맹장 수술 괴담의 자극성보다 낮았지만, 건강 보험의 경우 이용자들이 체감하는 이슈 관여도가 높아 논의가 더 활발하게 이루어진 것으로 생각된다. 이 연구를 통해 한미 FTA 체결과 관련하여 트위터가 부정적인 메시지가 확산되는 통로의 역할을 한 것으로 판단된다. 향후 정부는 소셜네트워크사이트를 통한 루머의 확산 과정을 파악하고, 이에 대한 대책을 마련해야 할 것이다. This study explored how rumor is diffused via Twitter and how the characteristics of rumor affect the interactivity among users in the Korea-U.S. FTA case. A key word search located three issues as major ones related to the Korea-U.S. FTA: appendectomy myth, collapse of health insurance, and increases in medicine prices. The arousal of rumor has two dimensions: fact and expression. The fact arousal was the highest in the issue of ‘appendectomy myth,’ and the expression arousal the highest in ‘increases in medicine prices.’ The rumor diffusion took the ‘explosive wave’ in the issue of appendectomy myth, the ‘latent wave’ in the issue of increase in medicine prices, and the ‘repetitive wave’ in the issue of collapse of health insurance. Correlation analyses revealed a high correlation between the arousal intensity of rumor and the user interactivity in the issue of collapse of health insurance. The study showed that Twitter took a role of diffusing negative messages about the Korea-U.S. FTA. Results implies that government officials and journalists pay attention to Twitter for sensing the public opinion when building policies and managing crise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