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분리된 두 사각 특징 마스크를 이용한 Adaboost 기반의 얼굴 검출

        홍용희(Yonghee Hong),정환익(Hwanik Chung),한영준(Youngjoon Han),한헌수(Hernsoo Hahn) 대한전기학회 2009 대한전기학회 학술대회 논문집 Vol.2009 No.7

        본 논문은 Haar-like 마스크와 유사한 특징을 갖지만 두 사각형 영역의 크기와 위치를 제한하지 않는 분리된 두 사각 특징 마스크를 이용한 Adaboost 기반 얼굴검출 알고리즘을 제안한다. 기존의 Haar-like 특징이 단순히 두 사각 영역의 화소값들의 차를 구함으로써 계산이 용이하나 인접한 두 사각 영역으로 한정함으로써 고품질 특징을 얻기 어렵다. 이런 Haar-like 특징마스크의 내재된 문제점을 개선하기 위해, 제안하는 특징 마스크는 다양한 크기와 분리된 두 사각 영역을 갖는 형태로 고품질의 특징을 얻는다. 고품질의 특징은 Adaboost 알고리즘의 약 분류기(weak classifier)의 성능을 학습단계부터 높여 전반적으로 얼굴 검출 알고리즘의 성능을 향상시킨다. 제안하는 분리된 두 사각 특징을 이용한 adaboost 기반 얼굴검출 기법의 우수성을 다양한 실험을 통해 검증하였다.

      • KCI등재

        에이다부스트와 신경망 조합을 이용한 표정인식

        홍용희(Yonghee Hong),한영준(Youngjoon Han),한헌수(Hernsoo Hahn) 한국지능시스템학회 2010 한국지능시스템학회논문지 Vol.20 No.6

        표정은 사람의 감정을 표현하는 대표적인 수단이다. 이러한 이유로 표정은 사람의 의도를 컴퓨터에 전하는데 효과적인 방법으로 사용될 수 있다. 본 논문에서는 2D 영상에서 사람의 표정을 보다 빠르고 정확하게 인식하기 위해 Discrete Adaboost 알고리즘과 신경망 알고리즘을 통합하는 방법을 제안한다. 1차로 Adaboost 알고리즘으로 영상에서 얼굴의 위치와 크기를 찾고, 2차로 표정별로 학습된 Adaboost 강분류기를 이용하여 표정별 출력 값을 얻으며, 이를 마지막으로 Adaboost 강분류기 값으로 학습된 신경망 알고리즘의 입력으로 이용하여 최종 표정을 인식한다. 제안하는 방법은 실시간이 보장된 Adaboost 알고리즘의 특성과 정확성을 개선하는 신경망 기반 인식기의 신뢰성을 적절히 활용함으로서 전체 인식기의 실시간성을 확보하면서도 정확성을 향상시킨다. 본 논문에서 구현된 알고리즘은 평온, 행복, 슬픔, 화남, 놀람의 5가지 표정에 대해 평균 86?95%의 정확도로 실시간 인식이 가능하다. Human facial expression shows human's emotion most exactly, so it can be used as the most efficient tool for delivering human's intention to computer. For fast and exact recognition of human's facial expression on a 2D image, this paper proposes a new method which integrates an Discrete Adaboost classification algorithm and a neural network based recognition algorithm. In the first step, Adaboost algorithm finds the position and size of a face in the input image. Second, input detected face image into 5 Adaboost strong classifiers which have been trained for each facial expressions. Finally, neural network based recognition algorithm which has been trained with the outputs of Adaboost strong classifiers determines final facial expression result. The proposed algorithm guarantees the realtime and enhanced accuracy by utilizing fastness and accuracy of Adaboost classification algorithm and reliability of neural network based recognition algorithm. In this paper, the proposed algorithm recognizes five facial expressions such as neutral, happiness, sadness, anger and surprise and achieves 86?95% of accuracy depending on the expression types in real time.

      • KCI등재

        제주의 신화적 원형 상상과 한류미학의 가능성 : ‘차사본풀이’의 현재형을 중심으로

        홍용희 ( Hong Yonghee ) 국제비교한국학회 2020 비교한국학 Comparative Korean Studies Vol.28 No.1

        제주도는 신들의 섬이다. 제주도에 거주하며 활동하는 신들은 1만 8천에 이른다. 제주도의 신들은 낯설고 공포스러운 군림의 대상이 아니라 보살핌의 신이다. 제주도가 일만팔천 신들의 고향이라는 것은 세속적 시간을 멀리하고 거룩한 시간을 추구하는 신성한 성소라는 상징성을 지닌다. 성소는 비속한 현실을 정화하여 태초의 신성성을 회복하는 성화(聖化)의 중심지를 가리킨다. 실제로 제주도는 신과 더불어 신의 성현의 제의로서 유서 깊은 굿이 발달된 지역이다. 근자에 제주도 무속신화 ‘차사본풀이’가 영화 <신과 함께> 1·2편으로 재탄생 되면서 각각 천만 관객을 연이어 상회하는 기록을 세우기도 했다. ‘차사본풀이’는 죽음과 저승을 다루는 많은 신화 중에 이미 의인화된 신의 얼굴을 통해 생활 속의 이야기로 친숙하게 다가온다. 강림의 저승 여행, 염라 대왕의 이승 방문, 이승과 저승의 경계를 넘어서는 상호소통 등은 현대인에게도 큰 이질감 없이 다가오는 서사적 특징을 지닌다. 한류는 한국에서 생산된 세계적 보편성의 문화 원형을 가리킨다고 할 수 있다. 이렇게 볼 때 또한 삶과 죽음, 이승과 저승의 사생관, 인생관에 해당하는 세계적 보편성의 문제를 관통하고 있는 제주도의 원형 상상력은 한류의 자산으로서 중요한 가치를 지닌다고 할 것이다. 이 논문은 이러한 문제의식을 염두해 두면서 제주도의 문화원형에 해당하는 ‘차사본풀이’와 그 현재적 재현에 해당하는 영화 <신과 함께> 그리고 제주도 시인들의 노래를 통해 소생하는 ‘차사본풀이’의 현황, 의미, 가치 등을 살펴본다. Jeju island is an island of gods. Approximately, 18,000 gods are known to reside in Jeju island. Gods in Jeju island are not one of those who scare and dominate human. They are caring gods. The fact that Jeju island is a home for 18,000 gods has a special symbol. It is a sacred place to be apart from secular moment and pursue holy days. A sanctum is the center of holy place to regain holiness from cleansing profanity. Jeju island is actually an area where placation of spirits is well developed with gods and their saints. Recently, shamanistic myth in Jeju island called _chasabonfuly_ was made as movies called < With God > 1·2 in series and each movie reached 10,000,000 audiences. ‘chasabonfuly’ is one of many mythologies which control death and afterlife and it approaches familiarly with humanized gods. Kang-rim’s travel in afterlife, King Yela’s visit to the earth, interactions between life and afterlife and etc. have epic haracteristics which approach to modern people without any difference. Korean stream can be considered as a cultural archetype with global universality that is created from Korea. From this point of view, Jeju island’s archetypical imagination has such a value as it deals with life and death, and views of life and afterlife which are all universal matters. Conserving about these matter, this paper looks into Jeju island’s cultural archetype, ‘chasabonfuly’, its modernized movie < With God >, and chasabonfuly’s current state, meaning, value though songs from poets in Jeju.

      • KCI등재

        정지용의 미의식과 윤동주의 지각 정지용 시의 윤동주 시에 미친 영향을 중심으로

        홍용희 ( Hong Yonghee ) 국제비교한국학회 2019 비교한국학 Comparative Korean Studies Vol.27 No.1

        우리 시사에서 정지용과 윤동주의 시적 삶의 관계성은 매우 각별하다. 윤동주는 정지용의 시 세계에 깊은 영향을 받으면서 자신의 시적 삶을 신장시키는 계기로 삼았고, 정지용은 윤동주 사후 그의 시와 삶을 높이 평가하고 부활시키기 위해 노력하였다. 이것은 기본적으로 이들의 시적 기질, 성향, 창작 방법론 등의 시론이 유사하기 때문이었다. 이들이 견지한 시론에 해당하는 정지용의 ‘자연현상’으로서 시 창작과 절제미의 강조, 윤동주의 ‘나의 화원(花園)’으로서 글쓰기와 성찰적 자의식은 서로 연속성을 지닌다. 그리하여 윤동주는 정지용의 시에 깊은 친숙감을 느끼고 내면화하는 ‘지각 철저론’의 양상을 보인다. 윤동주의 시 세계는 정지용의 시적 표현, 비유 등은 물론 구성 원리 등에 걸쳐 유사한 흔적이 여러 편에 걸쳐 드러난다. 한편, 정지용은 윤동주의 시적 삶에서 “고독”하게 살다 죽었지만 “아름답기 한이 없는 시”를 남긴 점에서 자신이 생각해오던 시인의 삶의 한 전범을 발견한다. 이들의 삶이 지속 되었더라면 정지용이 윤동주의 시적 삶에 영향을 받으면서 창작 충동과 활력을 얻는 생산적인 역전관계도 가능했을 것이다. 그러나 정지용 역시 1950년 사망하면서 이들의 시사적 관계성도 마감된다. The poetic life relationship between Jeong Ji-yong and Yoon Dong-ju is very special in our poetical life. Yoon has been deeply influenced by Jeong Ji-yong’s poetry world and has taken the opportunity to improve his poetic life, and Jung Ji-yong valued and tried to revive his poetry and life after Yoon Dong-ju’s death. This was basically because their poetic temperament, propensity, and creative methodology are similar. Jeong Ji-yong’s “natural phenomenon”, which emphasizes poetry creation and moderation, and Yoon Dong-ju’s “writing as my flower garden” and reflective self-consciousness are consistent with each other. Therefore, Yun Dong-ju is deeply familiar with Jeong Ji-yong’s poems and shows a “perceptible thoroughness” of his inner self. In Yoon’s poem, the world has many similar traces, including poetic expressions and metaphors for Jeong Ji-yong, as well as the principles of composition principles. Meanwhile, Jeong Ji-yong finds a war criminal in the poet’s life he has been thinking of in the sense that he has left behind a poem that has “tornly lived and died” in the poetic life of Yoon Dong-ju. If their lives had been sustained, it would have been possible for them to have a productive reversal in which Jeong Ji-yong was influenced by Yoon Dong-ju’s poetic life and gained creative impulse and vitality. However, Jeong also died in 1950, ending their suggestive relationship.

      • KCI등재

        활동이론에 따른 만 5세 유아들의 수ㆍ조작 활동에 관한 사례연구

        전우용 ( Jeun Wooyong ),홍용희 ( Hong Yonghee ) 한국유아교육학회 2018 유아교육연구 Vol.38 No.2

        본 연구는 활동이론(Activity theory)을 기반으로 유치원 만 5세 슬기반 유아들의 수ㆍ조작 활동양상과 수ㆍ조작 활동의 교육적 함의를 고찰했다. 연구대상은 유아 25명과 교사 1명으로, 참여 관찰, 교사 및 유아 면담, 문서수집 등을 통해 자료를 수집하고, 수집된 자료의 전사본을 만들어 범주화해나가며 분석했다.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슬기반의 수ㆍ조작 활동양상을 제1세대, 제2세대, 제3세대로 구분된 활동체계 모형에 따라 살펴본 결과 유아들은 활동의 주체가 되어 수ㆍ조작 교구를 매개로 주체, 목표, 매개체, 규칙, 공동체, 분업으로 이루어진 활동체계를 구성하고 활동했다. 유아들은 교구의 활동방법을 그대로 수용해 자기주도적인 학습을 하는 한편 활동에 대한 흥미와 관심에 따라 활동방법을 새롭게 고안해내거나 자신의 생각을 추가했다. 둘째, 활동이론의 시각에서 제시한 수ㆍ조작 활동의 교육적 함의는 활동체계의 기본 구조를 구성하는 요소인 주체, 목표, 매개체에 따라 도출되었다. 본 연구는 활동이론을 통해 유아들의 수ㆍ조작 활동이 이루어지는 사회문화적 맥락을 이해하고, 지식을 구축하고 기술을 습득하며 태도를 형성하는 과정을 보다 구체적으로 살펴볼 수 있었다. 본 연구의 결과가 수ㆍ조작 활동에 대한 이해를 돕고 교육현장에서 수ㆍ조작 활동에 대한 관심이 높아져 수ㆍ조작 영역 및 활동이 바람직한 방향으로 활용되고 활성화되기를 기대한다. This study inquired into the math and manipulative activity patterns of five-year-old children in the Seulgi class and examined the educational implications of the math and manipulative activity based on the activity theory. Research participants were 25 five-year-old children and one teacher. The research data were collected using methods such as participatory observation, interviews with the teacher and the children, video shooting, together with document collection, audio recording, and write-ups in the field. The analysis was conducted by categorizing the transcripts made from the collected data. Study results were as follows. First, math and manipulative activity of children in the Seulgi class can be examined according to the activity system model of the activity theory which is divided into the first, second and third generations. As a subject of the activity, children constructed the activity system, which is composed of subject, object, mediating artifact, rules, community, and the division of labor and participated the activity. Second, the educational implications of the math and manipulative activity presented from the perspective of the activity theory were derived by the subject, object, and the mediating artifact which are the factors composing the basic structure of the activity system. It is expected that the results of this study will help to understand and raise the awareness of the math and manipulative activity, so that the math and manipulative area and activity can be utilized and vitalized toward the desirable direction.

      • KCI등재
      • KCI등재

        한국-베트남 다문화가정 어린이들의 그림에 나타난 외갓집 방문 체험

        이예린(Lee, Yaerin),홍용희(Hong, Yonghee) 이화여자대학교 교육과학연구소 2015 교육과학연구 Vol.46 No.1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experiences that Korean-Vietnamese children from multicultural families when visiting their maternal homeland, Vietnam and to investigate the educational implications of the visits. The study analyzed the children"s drawings and stories using a case study research method. Study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the experiences that the children had from visiting their maternal homeland were classified into three categories, which are the experience of the Vietnamese family, that of Vietnamese culture, and that of its nature. The experience of the Vietnamese family includes getting along with one’s maternal family and playing with similarly-aged cousins. The experience of Vietnamese culture includes experiencing its food, clothing, and housing, its language, the life of children, and public transportation. Observing diverse animals, eating tropical plants and fruits, playing outside in nature, and having an experience of a tropical storm belong to the experience of Vietnamese nature. Second, the things that children gained by visiting their maternal homeland were that they came to think more highly of their mothers, formed a bond with their maternal families, and acquired a better understanding of Vietnam. The children’s visit to their maternal homeland and the ensuing positive changes in their perception of their mothers’ home country prove to be crucial in understanding multicultural children.

      • KCI등재

        베트남 결혼이민여성 유아기 자녀의 다중정체성에 관한 질적 연구

        김혜전(Kim, Haejeon),홍용희(Hong, Yonghee) 한국육아지원학회 2018 육아지원연구 Vol.13 No.1

        본 연구의 목적은 베트남 결혼이민여성 유아기 자녀들의 다중정체성을 탐구하고 유아들의 바람직한 다중정체성 형성을 위해 부모들과 교사들이 요구하는 지원 방안을 살펴보는 것이다. 연구 참여자는 베트남 결혼이민여성 유아기 자녀 9명, 어머니 5명, 아버지 4명, 교사 10명이고 질적 연구 방법을 사용하여 심층면담과 참여관찰을 통해 자료를 수집, 분석했다. 본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결혼이민여성 유아기 자녀들의 다중정체성은 자기 정체성(Self Identity), 가족 정체성(Family Identity), 국가 정체성(National Identity)으로 분석되었다. 유아들의 자기 정체성은 ‘성장하는 사람’, ‘능력 있는 사람’, ‘사랑을 주고받는 사람’, ‘특정 집단에 소속된 사람’, ‘친구들과 다른 점이 있는 사람’으로 나타났다. 가족 정체성은 ‘즐거움과 행복을 나누는 사람들’, ‘사랑하고 보살피는 사람들’, ‘한국어와 베트남어를 쓰는 사람들’, ‘소통에 노력이 필요한 사람들’로 나타났다. 마지막으로 국가 정체성은 ‘한국 사람’, ‘베트남 사람’, ‘베트남 사람도 되고 한국 사람도 됨’, ‘모름’으로 나타났다. 둘째, 베트남 결혼이민여성 유아기 자녀들의 바람직한 정체성 형성을 위해 부모들과 교사들은 사회에서 ‘결혼이민여성가족을 보통의 한국 사람으로 생각하기’, ‘유아의 다문화가정 배경에 지나친 관심 자제하기’, ‘다문화가정 배경을 유아의 강점으로 인정하기’, ‘결혼이민여성의 모국문화에 관심 갖기’를 요구했다. 결혼이민여성 유아기 자녀들이 바람직한 다중정체성을 형성하게 하기 위해 이들을 사회구성원으로 존중하고 잠재력을 펼쳐나갈 수 있도록 지원해야 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multiple identities of young children of Vietnamese immigrant married women and explore support strategies for helping them establish desirable multiple identities in their parents and teacher’s perspective. The participants of this study were five families who participated in ‘The Program Supporting Korean-Vietnamese Multicultural Families Visiting the Mother’s Parents’ Home’ in 2014 and 2015. In total, 5 Vietnamese immigrant married women, 4 husbands, 9 children, and 10 teachers participated in this study. The researcher used qualitative methods, including in-depth interviews and participatory observations. The findings of this study were as follows: First, the multiple identities of the young children of the marriage immigrant women were composed of sub-elements such as self identities, family identities, and national identities. The self identities of the young children were ‘a growing person,’ ‘a capable person,’ ‘a person who loves and is loved,’ ‘a person who is a member of a certain group,’ and ‘a person who is different in some ways from his/her friends’. The family identities were analyzed to be ‘people who share joy and happiness,’ ‘people who love and care,’ ‘people who use the Vietnamese and Korean languages,’ and ‘people who need to work on communication.’ Lastly, their national identities were ‘Korean,’ ‘Vietnamese’ ‘Vietnamese and Korean,’ or ‘Unknown.’ Second, the parents and the teachers requested that supports are necessary to help the young children of Vietnamese marriage immigrant women form desirable identities. In this respect, specific strategies included ‘viewing the family of marriage immigrant women as normal Koreans,’ ‘refraining from showing too much interest in the multi-cultural background of the children,’ ‘recognizing the multi-cultural background as an advantage for the children,’ and ‘learning about the culture of the home countries of the marriage immigrant women.’ The children have developed their identities in a positive manner but also having difficulties due to their multi-cultural identities. For future research, more in-depth studies and support concerning the identities of the children from the various types of multicultural families and develop educational program in order to help them to become healthy member of society.

      • KCI등재

        만 5세 자연반 유아들의 음악적 행동에 관한 문화기술적 연구

        김지현(Kim, Jihyun),홍용희(Hong, Yonghee) 이화여자대학교 교육과학연구소 2016 교육과학연구 Vol.47 No.1

        This study used ethnographic research methods to analyze children’s musical behavior and the factors that influenced it during free-play time at a daycare center in Korea. Participants were 15 five-year-old children and 1 teacher. Study results were as follows. First, the musical behavior was classified by musical expression including playing an instrument, vocalizing, singing and physical expression and music appreciation divided into active listening and comprehensive music listening and musical exploration such as exploring musical sounds and trying to make musical sounds with one’s body and various materials. Second, the factors that have influenced the children’s musical behavior were divided into individual factors such as individual interest, purpose, and expression of emotion and social factors. Social factors included physical environment in the classroom, teacher, friends, mass media, shared culture within the class and the children’s regional origin, and educational activities. This study provided a new perspective on children’s musical behavior as a behavior for expressing their inner thoughts and needs and interacting with their environment. Teachers should be aware of children’s life perspectives through their musical behavior and make good use of them by analyzing such behavior.

      • KCI등재

        An Improved Multi-resolution image fusion framework using image enhancement technique

        Hojin Jhee(지호진),Chulhee Jang(장철희),Sanghun Jin(진상훈),Yonghee Hong(홍용희) 한국컴퓨터정보학회 2017 韓國컴퓨터情報學會論文誌 Vol.22 No.12

        This paper represents a novel framework for multi-scale image fusion. Multi-scale Kalman Smoothing (MKS) algorithm with quad-tree structure can provide a powerful multi-resolution image fusion scheme by employing Markov property. In general, such approach provides outstanding image fusion performance in terms of accuracy and efficiency, however, quad-tree based method is often limited to be applied in certain applications due to its stair-like covariance structure, resulting in unrealistic blocky artifacts at the fusion result where finest scale data are void or missed. To mitigate this structural artifact, in this paper, a new scheme of multi-scale fusion framework is proposed. By employing Super Resolution (SR) technique on MKS algorithm, fine resolved measurement is generated and blended through the tree structure such that missed detail information at data missing region in fine scale image is properly inferred and the blocky artifact can be successfully suppressed at fusion result. Simulation results show that the proposed method provides significantly improved fusion results in the senses of both Root Mean Square Error (RMSE) performance and visual improvement over conventional MKS algorithm.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