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후보

        좌심실 이완기능의 평가에 있어서 도플러 조직영상으로 평가한 승모판륜 속도의 유용성

        그루(Gue Ru Hong),전대진(Dae Jin Jun),배준호(Jun Ho Bae),이종석(Jong Suk Lee),김형준(Hyung Jun Kim),박종선(Jong Sun Park),신동구(Dong Gu Shin),영조(Young Jo Kim),심봉섭(Bong Sup Shim) 대한내과학회 1999 대한내과학회지 Vol.57 No.6

        N/A Background : Doppler echocardiography is widely used for the noninvasive evaluation of left ventricular diastolic function. However the mitral flow velocity pattern is affected by several physiologic factors. The mitral annular velocity profile by Doppler tissue imaging may provide more additional information about left ventricular diastolic function. Thus, this study designed to assess the relationship between cardiac catheterization, MUGA scan, mitral flow velocity, and mitral annular velocity data and to assess the clinical availavility of mitral annulus velocity in the evaluation of left ventricular diastolic function. Methods : The study population consisted of 20 patients with dilated cardiomyopathy( 64±7years), 20 patients with normal left ventricular function (61±7years). Left ventricular catheterization was performed with fluid-filled catheter and left ventricular end diastolic pressure, -dP/dtmax were measured. The mitral flow velocity was recorded at mitral valve tip and the mitral annulus velocity during diastole was measured by Doppler tissue imaging(DTI). Simultaneously EF(ejection fraction), PER(Peak filling rate), PFR(Peak filling rate) were measured by MUGA blood pool scan. Results : Mean peak E velocity, mean peak A velocity, E/A ratio, mean peak E' velocity, mean peak A' velocity, E'/A' ratio and -dP/dtmax significantly difference betweeen two group. -dP/dtmax by cardiac catheterization showed significant correlation with mean peak E' velocity (r=0.552, p=0.003), E'/A' ratio(r=0.507, p=0.003), DT of E'(r=-0.556, p=0.001), TVI of E'(r=0.689, p<0.001) and DT of E wave(r=-0.538, p=0.003). PFR by MUGA scan also showed significant correlation with -dP/dtmax(r=0.537, p=0.01). Conclusion : Among mitral annulus velocity index mean peak E' velocity, E'/A' ratio, DT of E',TVI of E' had significant correlation with -dP/dtmax. And DT by mitral flow velocity, PFR by MUGA scan also had significant correlation with -dP/dtmax. Mitral annulus velocity determined by DTI is relatively convenient, safe, and preload-independent variable in evaluating diastole function. Thus mitral annulus velocity by Doppler tissue imaging is may be useful diagnostic modality for evaluating left ventricular diastolic function.(Korean J Med 57:1021-1029, 1999)

      • KCI등재
      • KCI등재후보

        긴 미만성 관동맥병변에서 단일의 긴 스텐트 삽입 후 초기성적과 추적 검사상 시술성적에 대한 연구

        전대진(Dae Jin Joen),그루(Gu Roo Hong),배준호(Jin Ho Bae),박종선(Jong Seon Park),신동구(Dong Gu Shin),영조(Young Jo Kim),심봉섭(Bong Sub Shim) 대한내과학회 2000 대한내과학회지 Vol.58 No.1

        N/A Background : The results and restenosis after long stent implantation for diffuse long coronary lesion has not been fully evaluated. We evaluated immediate and follow-up results of single long coronary stenting for long coronary disease. Methods : This study report on the use of follow-up examination is possible 48 patients with 50 lesions after stenting in total 70 patients with 72 lesions with long lesion. Diffuse long coronary lesion was defined as a lesion length longer than 20mm. Mean follow-up duration was 8.7±2.9 months and mean patients age was 58±10 years. Total patients was infused 8000-10000IU heparin and added bolus 3000-5000IU heparin for activating clotting time(ACT) was over 250 seconds during procedure. Restenosis was defined over 50% diameter stenosis in 6 months follow-up angiographic study. Results : Angiographic success was achieved 68/70 patients(97.1%) in this study. Mean reference diameter was 3.14±0.1mm and baseline, final, follow-up minimal luminal diameter(MLD) was 0.6±0.4mm, 3.0±0.4mm, 1.6±0.3mm on each occasion and each % diameter stenosis(% DS) was 78.7±0.4%, 4.9±0.4%, 47.4%±0.5% present. The overall restenosis rate was 42%(21/50). Procedure associated complication included 1 myocardial infarction and 1 death. The restenosis rate was significantly increased in diabetics patients(7/21 vs 3/29 p=0.04) and in long lesion length patients(33.9±4mm vs 30.4±0.4mm p=0.02) but, clinical diagnosis and indication of stenting, lesional location, stent length, stent size, reference diameter size were not associated with restenosis rate. Conclusion : Single long stent implantation for diffuse long coronary lesion shown excellent success rate but high restenosis rate present. The restenosis rate was significantly associated with diabetics and lesion length Some further study for improving restenosis rate is needed. (Korean J Med 58:48-56, 2000)

      • KCI등재
      • SCOPUSKCI등재
      • KCI등재후보

        한국인에서 Framingham 관상동맥 위험 점수와 C-반응성 단백의 연관성

        석준호 ( Jun Ho Seok ),김웅 ( Ung Kim ),이상희 ( Sang Hee Lee ),그루 ( Geu Ru Hong ),박종선 ( Jong Seon Park ),신동구 ( Dong Gu Shin ),영조 ( Young Jo Kim ),심봉섭 ( Bong Sup Shim ) 대한내과학회 2007 대한내과학회지 Vol.73 No.3

        목적: C-반응성 단백은 낮은 단계 염증의 대표적 표식자로서 최근 고민감도 검사가 개발되면서 그 활용성이 매우 다양화되었고, 여러 연구에서 심혈관계 질환 발생에 있어 독립된 위험인자로 판명되었으며 전세계적으로 널리 사용되고 있는 프래밍함 위험 점수와도 연관성이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그러나 아직까지 그에 대한 연구 자료는 미비한 실정이며 이에 본 연구는 13,052명의 건강 검진 수검자를 대상으로 C-반응성 단백 수치와 프래밍함 위험 점수 사이의 연관성에 대해 알아보고자 하였다. 방법: 2002년 1월부터 2003년 6월까지 영남대학교의과대학 부속병원 건강 검진 센터를 방문하여 검진을 시행 받은 13,052명의 수검자들을 대상으로 하였는데 남자가 7,978명이었고, 여자가 5,074명이었으며 평균 나이는 45±11세였다. 전체 콜레스테롤 수치를 이용한 프래밍함 관상동맥 위험 점수 계산법을 이용하여 프래밍함 관상동맥 위험 점수를 계산하였으며 C-반응성 단백 수치는 고민감도 면역 분석법을 통해 이루어졌다. 프래밍함 관상동맥 위험 점수 및 추산된 10년 관상동맥 심장질환 발생 위험도와 C-반응성 단백 수치와의 상관관계를 분석하였으며 프래밍함 관상동맥 위험 점수를 구성하는 각 위험인자들과 C-반응성 단백 수치와의 상관관계를 비교하였다. 또한, 프래밍함 관상동맥 위험인자들을 몇 개의 군으로 세분화하였으며 세분화된 각 군과 C-반응성 단백 수치를 비교하였다. C-반응성 단백 수치를 사분위에 의한 분류와 CDC/AHA의 위험도 분류에 따라 각 군으로 구분하고 C-반응성 단백과 프래밍함 관상동맥 위험 점수, 세부 점수, 추산된 10년 관상동맥 심장 질환 발생 위험도 등을 비교하였다. 결과: 전체 대상자의 프래밍함 관상동맥 위험 점수는 2.4±6.3점이었고 남자군이 4.1±3.5점, 여자군이 -0.3±8.4점이었다. 전체 대상자의 프래밍함 관상동맥 위험점수와 C-반응성 단백과의 상관관계 비교에서 유의있는 상관관계를 나타내었고(r(total)=0.373, p<0.01), 남자군(r(men)=0.351, p<0.01)과 여자군(r(women)=0.378, p<0.01)에서도 유의있는 상관관계를 보였다. 프래밍함 관상동맥 위험 점수의 세부 점수들과 C-반응성 단백과의 비교에서는 나이 점수(r(total)=0.302, p<0.01; r(men)=0.330, p<0.01; r(women)=0.287, p<0.01), 혈압 점수(r(total)=0.275, p<0.01; r(men)=0.214, p<0.01; r(women)=0.270, p<0.01), 고밀도 지단백 콜레스테롤 점수(r(total)=0.221, p<0.01; r(men)=0.198, p<0.01; r(women)=0.221, p<0.01) 등에서 유의한 상관관계를 보였다. 프래밍함 관상동맥 위험 점수에 의해 추산된 프래밍함 10년 관상동맥 심장 질환 발생 위험도와 C-반응성 단백과의 상관관계 비교에서 유의있는 상관관계를 나타내었다(r(total)=0.366, p<0.01, r(men)=0.301, p<0.01, r(women)=0.420, p<0.01). 추산된 프래밍함 10년 관상동맥 심장 질환 발생 위험도를 세분화하여 C-반응성 단백 수치와 비교하였는데 위험도가 증가함에 따라 C-반응성 단백 수치의 유의있는 상승을 보였다(p<0.01). C-반응성 단백 수치의 사분위군과 위험도군 사이의 비교에서 사분위와 위험도가 증가함에 따라 프래밍함 관상동맥 위험 점수, 혈압 점수, 나이 점수, 프래밍함 10년 관상동맥 심장 질환발생 위험도 등에서 유의있는 증가 소견을 보였다(p<0.01). 결론: 본 연구에서는 프래밍함 관상동맥 위험 점수와 추산된 프래밍함 10년 관상동맥 심장 질환 발생 위험도가 C-반응성 단백과 유의한 상관관계를 보였으며 개별 요소에서는 나이 점수, 혈압 점수, 고밀도 지단백 콜레스테롤 점수 등이 연관성을 보였다. 이처럼 C-반응성 단백은 프래밍함 관상동맥 위험 점수와 더불어 심혈관계 질환 발생을 예측하는데 유용하게 사용 될 수 있으며 향후 독립적인 인자로서의 역할에 대해서는 많은 연구가 필요할 것으로 사료된다. Background: The Framingham coronary risk score is a simplified coronary prediction tool developed to enable clinicians to estimate cardiovascular risk. C-reactive protein (CRP), a marker of low-grade inflammation, has been extensively studied in several large, prospective, epidemiological studies. However, few studies are available that have directly compared CRP levels with the Framingham coronary risk score. Methods: A total of 13,052 individuals that visited our hospital for comprehensive medical tests between January 2002 and June 2003, were enrolled in the study (7,978 men, 5,074 women, mean age 44.8±11.0 years). Plasma samples were assayed for determination of CRP level by using a clinically validated high-sensitive assay. The Framingham coronary risk score was calculated by using previously published algorithms that used baseline cardiac risk factors including age, HDL cholesterol level, total cholesterol level, smoking status, blood pressure, and history of diabetes. Pearson correlation coefficients relating these individual risk factor scores and a total score were calculated. The CRP levels were divided into different categories; into 4 groups based on the quartiles of the CRP levels and 3 groups based on the baseline CRP levels of <0.1 mg/dL, 0.1 to 0.3 mg/dL and >0.3 mg/dL. The CRP levels were compared with the Framingham coronary risk score and the Framingham 10-year coronary heart disease risk according to each group. Results: CRP levels significantly correlated with the Framingham coronary risk score (r(total)=0.373, p<0.01; r(men)=0.351, p<0.01; r(women)=0.378, p<0.01). The CRP levels also correlated with individual components of the Framingham coronary risk score, which included age (r(total)=0.302, p<0.01; r(men)=0.330, p<0.01; r(women)=0.287, p<0.01), blood pressure (r(total)=0.275, p<0.01; r(men)=0.214, p<0.01; r(women)=0.270, p<0.01) and HDL-cholesterol level (r(total)=0.221, p<0.01; r(men)=0.198, p<0.01; r(women)=0.221, p<0.01). Furthermore CRP levels correlated with calculated the Framingham 10-year coronary heart disease risk (r(total)=0.366, p<0.01, r(men)=0.301, p<0.01, r(women)=0.420, p<0.01). The Framingham coronary risk score and calculated Framingham 10-year coronary heart disease risk increased with each increasing CRP level category(quartiles and risk, p<0.01). Conclusoins: The CRP level correlated well with the Framingham coronary risk score and is a useful factor for predicting cardiovascular risk in Korean patients.(Korean J Med 73:283-292, 2007)

      • KCI등재

        관상동맥질환자에서 동맥경화증의 진행과 염증 표지자의 상관관계

        배준호 ( Jun Ho Bae ),박종선 ( Jong Seon Park ),그루 ( Geu Ru Hong ),신동구 ( Dong Gu Shin ),영조 ( Young Jo Kim ),심봉섭 ( Bong Sup Shim ) 대한내과학회 2008 대한내과학회지 Vol.74 No.1

        목적: 동맥경화의 진행과 동맥 경화반의 불안정화에 혈관내피세포 및 대식세포의 활성과 같은 염증 반응이 중요한 역할을 하는 것으로 알려지고 있다. 동맥경화반의 진행과 관련된 인자들을 알아내는 것은 동맥경화증의 진단과 치료에 중요한 역할을 할 것으로 기대된다. 이에 본 저자는 관동맥협착으로 중재시술을 받고 정규적인 약제를 투약 중인 허혈성 심질환 환자에서 동맥경화증의 진행에 관련된 인자는 무엇이며, 염증반응 표지자가 이를 예견할 수 있는 지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방법: 심외막 관동맥 협착으로 인한 허혈성 심질환으로 관동맥조영술 및 관동맥내 스텐트 삽입술을 받은 150명의 환자(남자 112명, 평균연령 58.4±10.2세)에서 관동맥중재술을 시행하지 않은 265 병변을 대상으로 평균 7.5±2.0개월 후 추적 심혈관 촬영을 시행하여 병변의 진행정도를 추적관찰하였다. 환자들은 관동맥중재시술 전 및 시술 6개월 후에 이학적 검사, 혈액검사 등을 시행하여 전신 감염성 질환이 없음을 확인하였고, 염증 표지자들을 측정하였다. 염증표지자는 혈액에서 hsCRP, MCP-1, IL-6, IL-8, sVCAM-1, sP-selectin, sCD40L 등을 측정하였다. 관동맥조영술상 협착정도가 최초 촬영시보다 30% 이상 협착이 증가한 군(진행군)과 증가하지 않은 군(비진행군)으로 나누어 임상적 특징 및 염증표지자를 비교분석 하였다. 결과: 대상 환자 150명 중 진행군이 32명(21.3%), 비진행군이 118명(78.7%) 이었다. 독립변수로 단변량분석에 의하면 비진행에 비해 진행군에서 당뇨환자가 많았고(p=0.033), 유의한 협착병변을 가진 혈관의 수가 많았으며(p=0.003), 두 군간에 약제사용(Statin, ACE inhibitor, Angiotensin receptor blocker)을 포함한 다른 임상자료는 차이가 없었다. 염증표지자 검사에서 비진행군에 비해 진행군에서 hsCRP (p=0.023), MCP-1 (p=0.036), sVCAM-1 (p=0.000), sP-selectin (p=0.000), sCD40L (p=0.001)이 유의하게 높게 측정되었다. Multiple logistic regression에서 logCRP (relative risk 5.016, CI=1.384-18.177, p=0.014) logVCAM-1 (relative risk 11.854, CI=1.883-74.614, p=0.008), 세관상동맥 질환이 있는 경우(relative risk 5.037, CI=1.550-16.350, p=0.007)가 관상동맥 병변의 진행과 관련이 있었다. 결론: 본 연구 결과 약물치료를 받고 있는 관상동맥질환자에서 미만성 관상동맥병변 뿐만아니라, hsCRP, sVCAM-1과 같은 염증표지자가 증가된 경우 동맥경화반의 진행을 보여 관동맥 질환의 진행을 예측할 수 있는 중요한 인자 중 하나임을 알 수 있었다. 이는 내피세포와 단핵구/대식세포의 활성에 의한 염증반응이 동맥경화의 진행에 중요한 역할이 있음을 알게 해 주었다. 향후 더 많은 연구를 통해서 보다 정확한 검사방법, 표지자의 발견과 함께 치료목표치를 설정할 수 있게 노력해야 할 것으로 생각된다. Background/Aims: Inflammation plays a key role in the pathogenesis and progression of cardiovascular disease (CAD). A small number of recent studies reported anti-inflammatory therapy achieved a reduction of CAD progression. The aim of the present study was to explore the roles of inflammatory markers and the conventional risk factors for CAD progression. Methods: One hundred and fifty patients (58±10 years, 112 men) who underwent percutaneous coronary intervention and follow-up angiography (mean duration, 7.5±2.0 months) were enrolled in this study. On comparison of the coronary angiographic findings, the patients were divided into the progression and non-progression groups. The serologic inflammatory markers were angiography measured at the time of follow up. The clinical characteristic and inflammatory markers were compared between the two groups and the independent predictors of CAD progression were analyzed. CAD progression was defined as more than 30% diameter reduction of a pre-existing luminal stenosis. Results: CAD progression occurred in 32 patients (21.3%). The frequency of diabetes mellitus (37.5% versus 19.5%, respectively, p=0.033) and the number of the disease vessels (p=0.003) were higher in the CAD progression group. In terms of the inflammatory markers, the progression patients had higher hsCRP (p=0.023), MCP-1 (p=0.036), sVCAM-1 (p=0.000), sP-selectin (p=0.000) and sCD40L (p=0.001) levels. Multiple logistic regression analysis of the variables showed that the logCRP (relative risk (RR) 5.016, CI=1.384-18.177, p=0.014) logVCAM-1 (RR 11.854, CI=1.883-74.614, p=0.008) and triple vessel disease of the coronary arteries (RR 5.037, CI=1.550-16.350, p=0.007) were independent predictors of CAD progression. Conclusion: In the present study, the extent of coronary artery disease and inflammatory markers like hsCRP and VCAM-1 were independent predictors for the progression of atherosclerotic lesions. (Korean J Med 74:51-58, 2008)

      • KCI등재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