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후보

        초등학생용 주장행동척도의 개발과 타당화

        홍상황,이경연 한국초등상담교육학회 2013 초등상담연구 Vol.12 No.3

        본 연구는 초등학생용 주장행동척도를 구성하고 그 신뢰도와 타당도를 알아보는데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먼저 경상남도 소재 초등학교 5, 6학년을 대상으로 비주장행동 상황과 그러 한 상황에서 나타나는 대응행동을 조사하고 분류하여 문항을 작성한 후 5, 6학년 아동 115명 을 대상으로 예비검사를 실시하여 1차적으로 45개 문항을 선정하였고, 4~6학년 346명을 대 상으로 요인분석을 실시하여 최종문항을 선정하였다. 예비검사와 요인분석을 통해 공격적 주 장 15문항, 소극적 주장 11문항, 적극적 주장 13문항 등 총 39문항, 3요인으로 구성된 초등 학생용 주장행동척도를 개발하였다. 척도의 내적 합치도, 검사-재검사 신뢰도, 수렴 및 변 별 타당도는 양호한 것으로 나타났다. 마지막으로 본 연구의 제한점과 향후 연구방향을 논 의하였다.

      • KCI등재후보

        한국아동인성평정척도 아동보고형(KPRC-CRF)의 요인척도

        홍상황,황순택 한국청소년상담복지개발원 2006 청소년상담연구 Vol.14 No.1

        본 연구에서는 한국아동인성평정척도 아동보고형(KPRC-CRF)의 13개 기본척도에 내재된 요인구조를 밝히고, 검사 해석에 필요한 요인척도를 구성하기 위한 것이다. 이 검사의 규준자료(홍상황, 황순택, 2004)를 이용하여 L척도, F 척도, 자아탄력성 척도, 그리고, 10개 임상척도 각각에 대해 탐색적 요인분석을 실시하였다. 그 결과 확인된 각 척 도의 요인들은 해당 척도가 측정하고자 하는 정신병리의 주요 성분들을 잘 반영하고 있는 것으로 판단되었다. 이 결과를 이용하여 각 척도의 요인척도를 구성하고, 규준값을 제시하였다. The aims of this study were to identify the factor structures and to construct factor scales of 13 basic scales of the Korean Personality Rating Scale for Children-Child Report Form(KPRC-CRF). Norm data of the KPRC-CRF were used for this study. The factor structures identified by means of exploratory factor analyses seemed to reflect the major components of child psychopathologies of every one of 13 basic scales. Based on this result, factor scales were constructed and their norms were presented.

      • KCI등재

        남명 인성척도의 개발과 타당화

        홍상황,박우람 한국초등상담교육학회 2024 초등상담연구 Vol.23 No.2

        이 연구는 남명 조식(南冥 曺植)의 철학사상을 인성강점 연구와 인성교육의 측면에서 구인화하여 이를 측 정하는 인성척도를 구성하는데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전국의 초등학교 4학년부터 고등학교 3학년까지 1,089명을 대상으로 연구를 실시하여 자료를 수집하였고, 도출된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남명 인성척도의 영역을 구성하기 위해 탐색적 요인분석을 실시한 결과, 인(仁), 의(義), 예(禮), 지(知), 신(信), 경 (敬)으로 대별되는 6가지 요인구조가 지지되었다. 요인분석으로 도출된 6가지 요인을 ‘인성강점’으로 명명 하였고, 6가지 요인별 문항들을 추가적으로 요인분석한 결과 각각은 단일요인으로 구성되는 것으로 나타 났다. 둘째, 남명 인성척도의 신뢰도를 살펴보기 위해 내적 합치도와 검사-재검사 신뢰도를 검증한 결과, 모두 양호하였다. 셋째, 남명 인성척도의 검사 내용과 구조에 기초한 근거를 살펴본 결과, 확인적 요인분 석을 통해 알아본 요인 타당도는 모형의 적합도와 간명도가 우수하였다. 그리고 학년의 증가에 따라 6가 지 인성강점의 점수가 초등학교 4~5학년 시기에는 높다가 초등학교 6학년~중학교 1학년 시기에 감소하 고, 다시 고등학교 1학년 이후 시기에 소폭 증가하거나 변화가 없는 경향을 나타냈다. 이어서 6가지 영역 의 상호 상관을 검증한 결과, 영역별로 상관이 양호하였다. 넷째, 다른 검사와의 관계에 기초한 근거를 토 대로 타당도를 살펴본 결과, K-BYI-2, KICS, CST-A와의 상관이 양호하였다. K-BYI-2와는 긍정적 심리변인과 는 정적 상관, 부정적 심리변인과는 부적 상관을 나타냈고, KICS와 CST-A와는 개념적으로 유사한 성격강 점들과 뚜렷한 정적 상관을 나타냈다. 이 연구는 기존의 성격강점 검사들보다 우리나라의 전통 문화적 맥 락과 배경을 반영하고, 우리나라 초중고등학교 교육과정의 핵심역량을 반영한 인성척도를 개발하여 남명 학 연구 뿐만 아니라 인성강점 연구의 스펙트럼을 확장하였다는 점에서 의미가 크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construct character strengths scale that measures the philosophical ideas of Nammyeong Jo Sik in terms of character strength research and education. We collected 1,089 data from the fourth grade of elementary school to the third grade of high school across the country, and the derived results ar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as a result of conducting exploratory factor analysis to construct the area of the Nammyeong character strength scale, six factor structures were supported, roughly divided into In(禮), Ui (知), Ye(信), Ji(敬), Shin(仁), and Gyeong(敬). The six factors derived from factor analysis were named ‘Character Strengths’, and as a result of additional factor analysis of the six factor items, each was found to consist of a single factor. Second, in order to examine the reliability of the Nammyeong character strengths scale, the internal consistency and test-retest reliability were verified, and all were good. Third, as a result of examining the evidence based on the inspection content and structure of the Nammyeong character strengths scale, the model’s fit were excellent for factor validity found through confirmatory factor analysis. And as the grade increased, the scores of the six character strengths were high in the 4th to 5th grades of elementary school, then decreased after the 6th and again showed a slight increase or no change after the first year of high school. In addition, as a result of verifying the inter-correlation between the six character strengths, the correlation was good. Fourth, as a result of examining the validity based on the evidence based on the relationship with other tests, the correlation with K-BYI-2, KICS, and CST-A was good. K-BYI-2 showed a positive correlation with positive psychological variables and a negative correlation with negative psychological variables, and a clear positive correlation with character strengths conceptually similar to KICS and CST-A. This study is significant in that it expanded the spectrum of character strengths research as well as Nammyeong studies by developing character strengths scale that reflects the traditional and cultural context and background of Korea, and elementary, middle and high school curriculum rather than the existing character strengths tests.

      • KCI등재

        한국판 아동우울검사 2판의 요인구조

        홍상황 한국초등상담교육학회 2018 초등상담연구 Vol.17 No.1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factor structure of the Korean Children’s Depression Inventory 2nd Edition (K-CDI 2). Data from 2,670 school children were divided randomly for exploratory and confirmatory factor analysis. Three and four factors extracted from exploratory factor analysis seemed appropriate. Negative self-esteem, negative mood, interpersonal problems, physical symptoms 4 factor structure found out to be most proper from confirmatory factor analysis. This study is meaningful in a regard that it explored and found out the factor structure embedded in K-CDI 2. The limitation of this study is that the data includes only 3~6th grade. Further study may extend the scope of the participant to adolescents and other age group and various clinical groups. 이 연구는 한국판 아동우울검사 2판(K-CDI 2)의 요인구조를 알아보는데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초등학생 2,515명의 자료를 무선 분할하여 탐색적, 확인적 요인분석을 실시하였다. 탐색적 요인분석 결과에서 3~4개 요인이 적합한 것으로 나타나 확인적 요인분석을 실시하였고, 그 결과 부정적 자존감과 비효율성, 부정적 기분, 대인관계문제, 신체증상이라는 4요인구조가 가장 적합한 것으로 나타났다. 이 연구는 K-CDI 2에 내재되어 있는 요인구조를 탐색하고 확인하였다는 점에서 의미가 있으나, 초등학교 3~6학년의 자료만 포함되어 있다는 점에서 한계가 있다고 생각된다. 따라서 후속 연구에서는 청소년을 포함한 보다 다양한 연령층과 임상집단을 포함하여 연구할 필요가 있다고 생각된다.

      • KCI등재

        어린이 거부민감성의 연구 현황과 과제

        홍상황,이경연 한국교육치료학회 2016 교육치료연구 Vol.8 No.2

        최근에 아동의 정신건강과 관련하여 많이 연구되고 있는 주제 또는 변인 중 하나는 거부민감성이고, 선행요인과 결과변인인 여러 가지 심리적 문제와의 관계를 설명하는 많은 연구들이 이루어지고 있다. 이 논문에서는 거부민감성을 다룬 최근의 연구들을 중심으로 거부민감성과 관련 변인들을 개관하고 추후 연구 과제를 제안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먼저 거부민감성을 정의하고 거부민감성의 발달과 측정방법에 대한 내용을 고찰하였다. 아울러 거부민감성에 대한 국내외 연구를 통해 거부민감성에 영향을 미치는 환경적 요인, 거부민감성과 부적응 행동과의 연관성 및 조절 변인 등을 탐색함으로써 아동의 거부민감성을 전반적으로 파악하고자 하였다. 마지막으로 이러한 내용을 토대로 아동의 거부민감성이 초등학교 상담의 방향과 과제에 주는 시사점과 추후 연구방향을 제시하였다. Due to the growing interest in the role of rejection sensitivity in children’s mental health, there has been a noteworthy increase in research on rejection sensitivity, psychological maladjustment and maladaptive behavior. The aim of this study was twofold: to review recent research on child rejection sensitivity and its related variables and to suggest directions for future research. For this, definition and early development on rejection sensitivity and commonly used measures of rejection sensitivity were examined. Further, recent studies on the environmental factors on the development of rejection sensitivity, and the association between children’s rejection sensitivity and maladaptive behavior, and the moderator variable were reviewed. Finally, future directions for the study of children's rejection sensitivity were suggested.

      • KCI등재후보

        아동의 시샘과 우울간의 관계 : 자기조절을 통한 친구관계의 질의 매개된 조절효과

        홍상황,박우람 한국초등상담교육학회 2015 초등상담연구 Vol.14 No.4

        이 연구는 아동의 시샘과 우울 간의 관계에서 자기조절을 통한 친구관계의 질의 매개된 조절효과가 나타나는지 알아보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경상남도 소재 4~6학년 466명을 대상으로 시샘, 우울, 친구관계의 질, 자기조절을 측정하여 연구모형인 매개된 조절모형과 경쟁모형인 조절된 매개모형을 분석하였고 그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변인들 간의 상관분석을 실시한 결과, 시샘은 우울과 정적 상관을 보였고, 친구관계의 질과 자기조절과는 각각 부적 상관을 보였다. 또한 친구관계의 질은 자기조절과 정적 상관을, 우울과는 부적 상관을 보였고, 자기조절과 우울 역시 서로 부적 상관을 보였다. 둘째, 시샘과 우울 간의 관계를 친구관계의 질이 매개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위계적 회귀분석을 통해 자기조절이 시샘과 친구관계의 질의 관계에서 조절효과가 있다는 것을 확인하였다. 넷째, 매개된 조절효과를 검증한 결과, 시샘이 우울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친구관계의 매개효과가 자기조절의 수준에 따라 달리 나타난다는 매개된 조절효과를 확인하였다. 이와 같은 결과는 시샘을 강하게 느끼는 아동들은 친구관계의 질이 저하되어 우울을 더 많이 경험할 수 있지만 자기조절이 높을 경우 친구관계의 질의 수준의 저하가 완화되고 친구관계의 질이 어느 정도 유지가 되기 때문에 우울을 적게 지각할 수 있음을 의미하는 것이다. 마지막으로 이 연구에 대한 상담 및 심리치료적 개입에 대한 시사점과 제한점에 대해 논의하였다. The objective of this research was to find whether, in the relationship between a child’s jealousy and depression, mediated regulation effect emerges in the quality of friendship through self-regulation. For this purpose, this study measured jealousy, depression, the quality of friendship, and self-regulation in 466 4th to 6th graders in Gyeongsangnamdo and analyzed the mediated regulation model, which was the research model, and the regulated mediation model, which was the competing model. The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when a correlation analysis was carried out on the variables, jealousy showed a positive relationship with depression and a negative relationship with the quality of friendship and self-control. Also, the quality of friendship showed a positive relationship with self-regulation, and negative relationship with depression; self-regulation and depression also showed negative relationship with each other. Second, it was shown that the quality of friendship mediates the relationship between jealousy and depression. Third, through hierarchical regression analysis, it was confirmed that self-regulation has a regulating effect on the relationship between jealousy and the quality of friendship. Fourth, upon verifying the effect of mediated regulation and the effect of regulated mediation, it was confirmed that the mediation effect of friendship on the influence that jealousy has on depression varies according to the level of self-regulation. Such results mean that children who have a strong sense of jealousy can experience depression more due to the lowered quality of friendship, but that when there is high self-control, the amount of decline in the quality of friendship is moderated; and because the quality of friendship is maintained to a certain degree, they are able to sense less depression. In conclusion, I discussed the implications and limitations of the intervention of counseling and psychological treatment in this research.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