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SCOPUSKCI등재
      • KCI등재후보

        임상 간호사의 고객지향이 직무열의에 미치는 효과: LMX의 조절효과를 중심으로

        허창구 ( Chang-goo Heo ),이은경 ( Eun Kyung Lee ) 대한의료커뮤니케이션학회 2016 의료커뮤니케이션 Vol.11 No.1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moderating role of LMX between customer orientation and job engagement. Our survey was administered to 155 nurses at 2 university hospitals in Seoul during May to June, 2014. We found that customer orientation had negative influence on job engagement and this influence was weakened when LMX was high, that is moderating effect of LMX. In sequence, the simple slope test was conducted to examine simple main effect of customer orientation to job engagement. As a result, customer orientation reduced engagement at low LMX but customer orientation have no influence to engagement at high LMX. In summary, through the moderating role of LMX, we had implication that LMX between nurse and their supervisor was increased in order to improve nurse’s job engagement.

      • KCI등재

        대구・경북 일부지역 학교급식 조리종사자의 감정노동이 직무 소진 및 직무 열의에 미치는 영향

        허창구(Chang-Goo Heo),이경아(Kyung-A Lee) 한국식품영양과학회 2015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Vol.44 No.4

        본 연구는 대구?경북지역 학교급식소 조리종사자들의 감정노동이 직무 소진 및 직무 열의에 미치는 영향을 확인함으로써 이들의 감정노동에 대한 기초자료를 확보하고 조리원의 감정노동에 대한 적절한 대책 및 개입요소를 알아보기 위해 실시되었다. 조사는 2014년 3월 3일부터 2014년 4월 25일까지 총 358명을 대상으로 실시되었으며 350부를 분석에 사용하였다. 조리종사자의 일반적 특성에 따른 표면행동과 내면행동, 직무 소진과 직무 열의의 전체 평균 점수를 살펴보면 표면행동 2.38/5.00점, 내면행동 3.46/5.00점, 직무 소진 2.67/5.00점, 직무 열의 3.41/5.00점으로 나타났다. 표면행동 점수는 일반적 특성 가운데 조리사 자격증의 유무(P<0.001)와 이직 횟수(P<0.001), 연봉(P<0.001), 근무학교(P<0.01) 항목에서 유의적인 차이를 보였고, 다른 항목에서는 유의적인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내면행동 점수는 학력(P<0.001), 조리사 자격증 유무(P<0.001), 고용형태(P<0.001), 연봉(P<0.001), 근무학교(P<0.01), 1일 급식 횟수(P<0.05) 항목에서 유의적인 차이를 나타냈으나 다른 항목에서는 유의적인 차이가 없었다. 직무 소진 점수는 학력(P<0.01), 조리사 자격증 유무(P<0.05), 고용형태(P<0.001), 근무학교(P<0.001), 1일 급식 횟수(P<0.001) 항목에서 유의적인 차이를 보였고, 다른 항목에서는 유의적인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직무 열의 점수는 조리사 자격증 유무(P<0.01), 고용형태(P<0.001), 근무학교(P<0.001), 1일 급식 횟수(P<0.001) 항목에서 유의적인 차이를 나타냈으나 다른 항목에서는 유의적인 차이가 없었다. 학교급식 조리종사자의 감정노동이 직무 소진과 직무 열의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 본 결과 그들이 사용하는 감정노동의 두 가지 전략에 따라 매우 상이한 결과를 유발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다시 말해 이들이 표면행동을 사용할수록 직무 소진이 높아졌으나 직무 열의는 변화하지 않았으며, 이들이 내면행동을 사용할수록 직무 열의가 높아졌으나 직무 소진은 변화하지 않았다. 특히 조리원의 감정노동은 표면행동이 내면행동에 비해 강한 영향력을 보여주었는데, 이는 감정노동 상황에서 주로 관심을 기울여야 할 변인은 표면행동으로 인한 직무 소진임을 말해주는 것이라 하겠다. 하지만 표면행동이 직무 열의를 낮추지는 않는다는 점과 내면행동과 표면행동의 상관관계가 매우 높지는 않았다는 점을 통해 표면행동 상황에서도 내면행동이 유발될 수 있으며, 내면행동의 증가로 직무 소진을 낮추지는 못하지만 직무 열의를 증가시킴으로써 긍정적인 직무태도를 유지시킬 수 있다 하겠다. 이상의 결과를 바탕으로 본 연구의 시사점을 살펴보면 먼저 이론적인 측면에서 감정노동의 두 가지 전략, 즉 표면행동과 내면행동을 직무장면의 주요 결과변인인 직무 소진과 직무 열의에 대하여 분석하였으며 그 결과 감정노동 전략의 차별적 영향력을 확인했다는 점이다. 다음으로 실제적인 측면에서 감정노동자의 감정노동 행위가 부정적인 결과로만 나타나는 것이 아니라 긍정적인 결과를 유발할 수 있음을 확인하였다. 따라서 향후 조리원을 대상으로 내면행동의 의미, 필요성, 결과에 대한 교육을 통해 긍정적 감정노동 전략을 학습시킴으로써 감정노동 종사자의 직무태도를 긍정적으로 전환시키는 노력을 수행할 기초자료를 확보하였다. 또한 표면행동이 직무 소진에 강하게 영향을 미치는 결과를 바탕으로 볼 때 주기적인 감정노동 진단을 통해 낮은 내면행동과 높은 표면행동을 주로 사용하는 종업원의 경우 직무 소진으로 진행하지 않도록 사전에 개입할 필요가 있다 하겠다. 본 연구는 몇 가지 제한점을 지니는데 먼저 자기보고식 설문조사 연구가 지닌 공통방법편의(common method bias)의 제한점을 본 연구 역시 지니고 있다. 즉 독립변인과 종속변인을 동일한 설문지에서 측정함으로써 변인의 영향 관계가 역전될 수 있는 가능성이 존재한다. 또한 응답자의 응답환경을 통제하지 못했다. 즉 각 작업장 별로 동일한 시간과 환경 하에서 조사가 이루어지지 못함으로써 그로 인한 오염요소가 존재했을 것으로 판단된다. 따라서 향후 연구에서는 위의 제한점이 보완되어야 할 것이며, 연구주제와 관련해서는 학교급식뿐 아니라 다양한 형태의 단체급식소에서 근무하고 있는 영양사와 조리종사자의 감정노동과 그로 인한 결과에 대한 비교연구가 진행될 필요가 있을 것이며, 감정노동 이외의 직무 소진 및 직무 열의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들에 대한 연구가 진행될 수 있을 것이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analyze differences in emotional labor strategies, burnout, and work engagement according to general characteristics of school foodservice employees as well as verify differential effects of two emotional labor strategies on burnout and work engagement. Our survey was administered to 400 school foodservice employees in Gyeongbuk from March 3 to April 25, 2014. A total of 358 completed questionnaires were returned, and 350 questionnaires were used for final analysis. For verification of mean differences, the mean scores for surface acting, deep acting, burnout, and work engagement were shown to be 2.38/5.00, 3.46, 2.67, and 3.41, respectively. The mean surface acting was significantly different according to cooking certification (P<0.001), turnover number (P<0.001), salary (P<0.001), and school level (P<0.01). The mean deep acting was significantly different according to educational background (P<0.001), cooking certification (P<0.001), employment status (P<0.001), salary (P<0.001), school level (P<0.01), and meal service time (P<0.05). The mean burnout was significantly different according to educational background (P<0.01), cooking certification (P<0.05), employment status (P<0.001), school level (P<0.001), and meal service time (P<0.001). The mean work engagement was significantly different according to cooking certification (P<0.001), employment satus (P<0.001), salary (P<0.001), school level (P<0.01), and meal service time (P<0.05). Verification of causal models found that surface acting and deep acting increased burnout and deep acting, respectively (research model). Additionally, surface acting did not influence work engagement, and deep acting did not influence burnout (alternative models). In other words, we identified that emotional labor strategies have differential influences on burnout and work engagement. Finally, implications and limitations of this study are discussed.

      • KCI등재

        노인의 자살생각을 높이는 지각된 짐스러움과 절망감에 대한 사회적 지지의 역할

        전영선(Young-Sun Jeon),허창구(Chang-Goo Heo) 한국산학기술학회 2019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Vol.20 No.1

        본 연구는 노인의 자살생각에 중요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밝혀진 지각된 짐스러움과 절망감을 감소시킬 변인으로 사회적 지지를 제안하고, 사회적 지지가 지각된 짐스러움과 절망감을 매개로 노인의 자살생각에 미치는 부적 영향을 확인하기 위해 수행되었다. 연구결과, 사회적 지지의 하위차원 중 가족지지는 노인의 지각된 짐스러움을 줄여줌으로써 자살생각을 감소시킬 뿐 아니라, 감소된 짐스러움이 절망감을 감소시켜 노인의 자살생각을 줄여주는 것으로 나타났다. 친구지지는 노인의 지각된 짐스러움 및 절망감을 줄여줌으로써 자살생각을 줄여줄 뿐 아니라, 감소된 짐스러움이 절망감을 낮춤으로써 노인의 자살생각을 줄여주고 있었다. 지역사회지지는 노인의 지각된 짐스러움에 영향을 미치지는 못했으나 노인이 느끼는 절망감을 줄여줌으로써 자살생각을 줄여주는 것으로 나타났다. 한편, 사회적 지지의 하위요인들(가족, 친구, 지역사회)은 자살생각에 대해 직접적인 효과를 보여주기보다, 다른 부정적인 요인을 감소시킴으로써 자살생각에 대한 간접적인 효과를 보여주었다. 이상의 결과에 근거하여, 고령화 사회와 핵가족화 사회에서 자칫 소원해 질 수 있는 가족관계를 개선하기 위한 노력의 필요성과 노인의 대인관계 및 사회적 네트워크 형성에 대한 지원, 그리고 지역사회 지원정책의 이용을 장려하는 적극적인 홍보 노력이 병행될 필요가 있음을 제안하였다. The aims of this study were verifying the influences of social support(family, friend, community) on perceived burdensomeness and hopelessness and mediating effects of perceived burdensomeness and hopelessness between social support and suicidal ideation. In results, family support reduced suicidal ideation of the elderly through mediating role of perceived burdensomeness as well as serial mediating effect of perceived burdensomeness and hopelessness. Friend support reduced suicidal ideation of the elderly through parallel and serial mediating effects of perceived burdensomeness and hopelessness. Community support reduced suicidal ideation of the elderly through mediating role of hopelessness. Social support show not direct effect but indirect effect on suicidal ideation through reduction of negative influencing factor(burdensomeness, hopelessness). In conclusion, we proposed it were needed that various efforts which improve the relation between family members in the age of nuclear family and ageing era, social policy support which development social network of the elderly, and the efforts which keep informed the social policy support of the community.

      • KCI등재

        직무환경 요인이 학교급식 조리종사자의 이직의도에 미치는 영향과 조직몰입의 매개효과

        이경아(Kyung-A Lee),허창구(Chang-Goo Heo) 한국산학기술학회 2018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Vol.19 No.4

        본 연구의 목적은 학교급식 조리종사자의 이직의도에 미치는 직무환경 요인(six areas)과 태도 요인(조직몰입)의 영향을 확인하고, 직무환경이 요인이 이직의도에 영향을 미치는 과정에서 조직몰입의 매개역할을 확인함으로써 이직의도를 낮추기 위해 조직이 개입할 수 있는 요소를 찾기 위함이다. 연구대상은 학교급식 현장에서 근무 중인 조리사로 총 205명의 자료를 분석에 이용하였다. 측정변인 중 직무환경은 여섯 가지 요인(작업량, 통제감, 보상, 공정성, 커뮤니티, 가치)이 측정되었으며, 조직몰입은 정서적 몰입과 계속적 몰입으로 구분하여 측정하였다. 연구결과 직무환경 요인 중 직무의 가치, 작업량, 보상 및 직원 간 커뮤니티를 부정적으로 지각할수록 정서적 몰입이 낮게 나타났고, 통제감과 공정성을 부정적으로 지각할수록 계속적 몰입이 높게 나타났으며, 보상과 커뮤니티를 부정적으로 지각할수록 이직의도가 높게 나타났다. 조직몰입과 이직의도의 관계에서는 정서적 몰입만이 이직의도에 부적 영향을 미치고 있었다. 이러한 관계를 직무환경 요인이 조직몰입을 매개로 이직의도에 영향을 미치는 매개모형으로 구성하여 검증한 결과, 직무환경 요인들 중 이직의도에 직접영향을 미치는 요인은 보상과 커뮤니티뿐이었으며, 여섯 하위요인 모두 정서적 몰입의 매개를 통해 이직의도에 통계적으로 유의한 영향을 미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는 직무환경 변인이 개인의 태도 변인을 통해 행동으로 이어지는 과정을 보여주는 것으로써, 물리적 보상이나 작업량 등 조직이 쉽게 조정하기 어려운 직무환경 요인의 영향이 존재하는 경우에도 교육이나 사회적 지지 등 다양한 개입을 통해 종업원의 정서적 몰입을 유지해 줌으로써 이직의도의 증가를 통제할 수 있음을 확인하였다는데 의미가 있다. The study aims were to verify the influences of job environment factors and work attitude on turnover intention of school foodservice employees, and then to verify the mediating effect of organization commitment between six areas of worklife and turnover intention so that organizations can intervene to reduce the turnover intentions of employees. The subjects were 205 employees who were working in the school foodservice field. The job environment factors were measured by six areas of worklife (workload, control, reward, fairness, community, value) and the organizational commitment was measured by two types of commitments (affective, continuance). The results were as follows. First, workload, reward, community and value of six areas of worklife reduced affective commitment, control and fairness increased continuance commitment, and affective commitment reduced turnover intention. Second, only reward and community showed direct effect on turnover intention, but all six areas of worklife had a statistically significant indirect effect on turnover intention through affective commitment. These results showed that job environment factors had both direct and indirect effect on employees’ behavior through employees’ affection. These findings imply that organizations can control employees’ turnover intention by providing education or social support to maintain their affective commitment even when organizations cannot change job environment.

      • KCI등재

        학교급식 조리종사원의 고객지향성이 감정노동과 고객관련 스트레스에 미치는 영향

        이경아(Kyung-A Lee),허창구(Chang-Goo Heo) 한국식품영양과학회 2016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Vol.45 No.11

        본 연구에서는 대구·경북지역 초·중·고등학교 학교급식소에 근무하는 조리종사자 323명을 대상으로 고객지향성이 감정노동의 두 가지 전략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고 선택된 두 가지 감정노동 전략이 고객관련 스트레스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 알아보고자 실시되었다. 조사대상자의 고객지향, 감정노동, 고객관련 스트레스의 전체 평균 점수는 고객지향성은 3.81/5.00점, 감정노동 중 표면행동은 2.39/5.00점, 내면행동은 3.45/5.00점, 고객관련 스트레스는 2.47/5.00점으로 나타났다. 고객지향성과 내면행동 점수는 전문대졸 이상, 정규 조리직 공무원, 초등학교 근무자에서 높게 나타났다. 표면행동 점수는 조리사 자격증 미소지자, 이직경험자, 초등학교와 고등학교 근무자에서 높게 나타났으며, 고객관련 스트레스 점수는 고졸 이하, 조리사 자격증 미소지자, 고등학교 근무자, 1일 급식횟수 2회 이상인 군에서 높게 나타났다. 또한, 본 연구는 고객지향성과 고객관련 스트레스의 관계를 감정노동이 매개할 것으로 가정하고, 고객지향성이 표면행동을 감소시켜 고객관련 스트레스를 줄이는 동시에 고객지향성이 내면행동을 증가시켜 고객관련 스트레스를 감소시키는 병렬다중매개모형을 연구모형으로 검증하였다. 그 결과 고객지향성은 고객관련 스트레스에 직접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고객지향성이 표면행동에 직접 영향을 미치지 않은데 반해 표면행동은 고객관련 스트레스에 정적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고객지향성이 내면행동에 정적 영향을 미치지만, 내면행동이 고객관련 스트레스에는 직접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상의 결과를 바탕으로 진행된 사후 모형수정을 통해 고객지향성이 내면행동을 증가시키고, 증가된 내면행동이 표면행동을 감소시키며, 감소된 표면행동이 고객관련 스트레스를 줄이는 연속다중매개모형을 수정모형으로 제안하였다. 수정모형 검증 결과, 고객지향성과 고객관련 스트레스의 관계를 내면행동과 표면행동이 매개하는 이중매개 간접효과가 유의한 것으로 확인되었다. 이는 고객지향성이 고객관련 스트레스나 표면행동을 직접 줄여주는 것이 아니라, 고객에게 진심어린 정서를 표현하려는 노력인 내면행동을 유발하며, 또한 내면행동도 고객관련 스트레스를 직접 줄여주는 것이 아니라 감정적 불일치를 유발하는 표면행동을 줄여줌으로써 고객관련 스트레스를 감소시키고 있음을 보여주는 결과이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how customer orientation (CO) reduces employee stress to customers (CSS). As emotional labor strategies [surface acting (SA) and deep acting (DA)] may mediate a role between CO and CSS, we verified multiple parallel mediator roles of SA and DA between CO and CSS. Our survey was administered to 323 school foodservice employees in Daegu and Gyeongbuk. The results show that CO increased DA but did not decrease SA, and SA had a positive effect on CSS while DA did not influence CSS. These results did not support the parallel multiple mediator model. We conducted post-hoc model modification and proposed the serial multiple mediator model as a modified model. As a result, CO increased DA, DA reduced SA, and SA showed a positive relation with CSS. This double mediating effect through DA and SA between CO and CSS was significant. Based on these results, we found that CO did not have a direct effect on SA and CSS. DA did not directly reduce CSS while CO reduced SA and CSS through DA indirectly. DA had a negative effect on CSS through SA indirectly. Finally, implications and limitations of this are discussed.

      • KCI등재

        상사의 꼰대평가 우려가 피드백 회피 행동에 미치는 영향

        강민균(Min Gyun Kang),허창구(Chang goo Heo) 한국자료분석학회 2023 Journal of the Korean Data Analysis Society Vol.25 No.6

        본 연구는 조직 내 세대 갈등의 발전으로 나타난 꼰대 용어가 상사들에게 평가에 대한 두려움을 발생시키는지 검증하고자 시행되었다. 선행연구를 기반으로 꼰대평가 우려 척도를 개발하고, 체면민감성에 의해 높아진 꼰대평가 우려가 부정적 피드백 회피 행동에 미치는 영향을 확인하고, 상사의 인상관리 동기가 이를 조절하는지 검증하였다. 이를 위해, 국내 기업의 부하 직원이 있는 30-50대 중간관리자급 근로자들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해 총 246명을 분석하였다. 주요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체면민감성은 꼰대평가 우려를 증가시켰고, 둘째, 꼰대평가 우려는 부정적 피드백 회피 행동을 증가시켰다. 셋째, 체면민감성은 꼰대평가 우려를 매개하여 부정적 피드백 회피 행동에 정적인 영향을 미쳤다. 넷째, 체면민감성과 꼰대평가 우려 간의 관계를 상사의 인상관리 동기가 정적으로 조절하였다. 마지막으로, 꼰대평가 우려의 간접효과에서 상사의 인상관리 동기가 높을수록 부정적 피드백 회피행동이 증가하여 조절된 매개효과가 유의한 것으로 나타났다. 연구를 통해 조직 내 상사들에게 꼰대로 평가받을 것에 대한 우려가 있음을 실증적으로 확인하였으며, 연구의 제한점과 추후 연구 방향에 대해 제시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whether the term ‘Kkondae', which emerged as a result of the development of generational conflict within the organization, causes supervisors to apprehension of evaluation. Based on the previous studies, we developed a scale Apprehension of kkondae evaluation, confirmed the effects of Apprehension of kkondae evaluation, which is increased by Chemyeon sensitivity, on negative feedback avoidance behavior, and verified whether Supervisors' impression Management motive moderates it. For this purpose, a survey was conducted on middle managers in their 30s and 50s who have subordinates in domestic companies, and a total of 246 employees were analyzed. The main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Chemyeon sensitivity increased Apprehension of kkondae evaluation, Second, Apprehension of kkondae evaluation increased Negative feedback avoidance behavior. Third, Chemyeon sensitivity had a positive effect on Negative feedback avoidance behavior by mediating Apprehension of kkondae evaluation. Fourth, the relationship between Chemyeon sensitivity and Apprehension of kkondae evaluation was positively moderated by the Supervisor's impression management motive. Finally, in the indirect effect of Apprehension of kkondae evaluation, the higher the Supervisor's impression management motive, the higher the negative feedback avoidance behavior, verifying that moderated mediating effect was significant. This study empirically confirmed that there is a apprehension about being evaluated Kkondae by supervisors in organizations, and suggested limitations and future research directions.

      • KCI등재

        성격 6요인과 과업수행 및 조직시민행동 간의 관계 : 동기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이종현(Jong Hyun Lee),신강현(Kang Hyun Shin),유지훈(Ji Hoon Ryu),허창구(Chang Goo Heo) 한국인사·조직학회 2010 인사조직연구 Vol.18 No.3

        본 연구는 기업 종사자 234명을 대상으로 하였으며, 성격과 수행 간의 내적 프로세스에 관한 기존연구를 바탕으로 각각의 HEXACO 성격요인이 동기를 거쳐 수행영역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 알아보고자 하였다. 연구목적과 가설에 따른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성격변수, 동기변수, 수행변수에 대한 상관분석 결과에서 기존 연구들과 마찬가지로 성격과 수행 사이의 상관은 성실성과 과업수행을 제외하고 모두 무의미하였으며, 성격-동기, 동기-수행 간의 상관은 대부분 유의미하였다. 둘째, 성격-동기-수행 간의 각각의 매개효과를 검증한 결과, 성실성-성취동기-과업수행, 외향성-직위동기-과업수행, 성실성-조직관여동기-OCB(조직),원만성-친사회성동기-OCB(개인), 정직성-조직관여동기-OCB(조직)의 완전매개모형이 검증되었으며, 외향성-인상관리동기-OCB(개인)의 가설은 기각되었다.끝으로, 성격의 예측력과 동기의 중요성, 조직차원에서의 시사점이 논의되었다. The purpose of present study is to examine the mediating role of motivation in its relationship between personality and job performance. 234 South Korean employees data is used. The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findings from the intercorrelations among personality variables(HEXACO) and job performance variables (OCB, task performance) indicate that only conscientiousness is a significant predictor of task performance. Second, the mediating role of motivation variables has found five fully mediating effects : conscientiousness-accomplishment striving-task performance, conscientiousness-organizational concern-OCB toward organization, extraversion-status striving-task performance, agreeableness-prosocial concern-OCB toward individual and honesty-organizational concern-OCB toward organization. The limitations and future research directions are discussed.

      • 비만도에 따른 고등학생들의 다이어트 행동과 의식

        허창구,옹수일 江原大學校附設體育科學硏究所 2004 江原大學校附設體育科學硏究所論文集 Vol.- No.27

        This study is designed to research dietary behavior and awareness as degree of obesity in highschool students.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improvement of dietary awareness and provide basic data for dietary avareness. In order to accomplish these pruposes, we researched into 1,410 students in a highschool from C city.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 First, we researched into awareness of physical fitness, health condition and present body-weight by degree of obesity using Broca Index(BMI). There we get outcome as follow : weak 20.2%, normal 67.0% and obese 12.8%. By the subjective opinions, the weak·normal group judged their physical strength as 'normal, good' and the obese group thought theirs as 'normal. bad'. In this regard, there were significance among groups. In the matter of health condition, all three groups gave positive answers like'normal, good' and there was no significannce among them. The weak group answered 'under weight' to the question about present weight, the normal group said they were 'normal' and the obese group answered 'obese' to the same question. Here we can find significance among groups. Second, in th awareness of dietary behavior by degrees of obesity, students who had tried diets were 'none' in the weak·normal group. By contrast, in the group obese answered they 'tried'. There were significance among groups. For the reason on a diet, whereas no significance, they all answered to 'slimming'. Means for diet varied in groups. The weak·normal group chose 'control diet pattern' and the obese group chose 'control diet pattern +exercise'. There were singificance among groups. All group tries to 'avoid eating snack' for their meal regulation and do 'jogging and walking' for exercises. In status of achieving diet goal, th weak group answered the results are 'insensible' but the normal·obese group judged themselves 'failed'. Significance among groups were found. Third, taking diet in the awareness about diets, though there were significance among groups, all group answered they are 'not on a diet'. Also, the part that students want to lose weight showed significance. It was the belly that all the group pointed out. The increasing amount of weight was in the range of 'more than 5kg' and there were significance. Each group regards their present weght has gap to the ideal however there noted some significance. The weak group estimated disparity in weight from standard weight is 'more than 1kg' the normal group judged it as 'less than -5∼3kg' and the obese group thought 'below -5kg'. All the group answered their diet expenses is 'less than 10,000won'. Significance were found in here and the following. The weak·normal group noted the problem of diet as 'declining health and physical fitness' while the obese group focused on'mental stress'. Fourth, in all the group, students' favorite food is 'meat and fast-food'. The food they dislike, however, is 'vegetables and soup'. In the matter of sports, the weak group likes 'soccer and basketball', the normal group like 'soccer and walking' and the obese group like' baketball and walking'. We found significance among groups here. Also, there all some similar differences in the sports they dislike : the weak group doesn't like 'running and basketball' and the normal·obese group dislike 'running and gymnastics'. All groups think the exercises that help diet are 'jogging, walking and jumjping rope'. There are significance found.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