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Active PDP Discovery에 기반한 정책 기반 MANET 관리 시스템 구현

        허지완(Huh, Jee-Wan),송왕철(Song, Wang-Cheol) 한국산학기술학회 2009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Vol.10 No.11

        MANET에서 정책 기반 망 관리(PBNM)에 대한 연구는 이동 노드들 간의 신뢰성과 효율성을 확보하기 위 해 연구되고 있다. 그러므로 노드의 이동을 감지하고 정책을 배포할 관리영역을 효과적으로 결정하는 것이 필수적이 다. 정책 기반 망 관리 메커니즘에서 정책결정자(PDP)노드가 관리 영역(cluster)을 결정하고, 정책수행자(PEP) 노드들 을 관리함에 있어 기존의 k-hop cluster 기법보다 효율적인 메커니즘으로써 Active PDP Discovery 기법이 제안되었다. k-hop cluster에서는 PDP노드가 관리할 PEP노드들을 선택하는 데 비해 Active PDP Discovery는 이동하는 PEP노드에 서 능동적으로 PDP 노드를 선택할 수 있게 한다. 이 방법은 k-hop cluster에 비해 PDP에 연결되지 않은 고아노드를 방지하고 주기적인 방송메시지를 감소시킨다. 본 논문에서 노드의 이동감지를 하기 위하여 COPS-PR을 확장하고 PDP노드에 MNL을 추가하여 관리영역을 결정하는 Active PDP Discovery를 실제 네트워크에서 구현하고 성능을 분 석한다. The PBNM on MANET is being researched to ensure the reliability and efficiency between mobile nodes. Therefore, it is essential to determine the cluster effectively which will perceive the movements of nodes and distribute the policies. In PBNM mechanism, to determine the node cluster for PDP and manage PEP nodes, Active PDP Discovery Protocol is proposed as a mechanism which is more efficient than preexistent techniques. While k-hop cluster selects the PEP nodes which PDP node manages, Active PDP Discovery actively selects the PDP node among the moving PEP node. This method prevents orphan nodes that are not connected to PDP and reduces continual broadcasting messages. This paper implements Active PDP Discovery which determines cluster in the real networks and analyzes its capability, expanding COPS-PR to detect the movement of nodes and adding MNL to PDP node.

      • VANET에서 QoS Provisioning모델의 구현

        허지완(Jee-Wan Huh),송왕철(Wang-Cheol Song) 한국콘텐츠학회 2009 한국콘텐츠학회 종합학술대회 논문집 Vol.7 No.1

        Vehicular Adhoc Networks(VANET)은 차량과 노변장치 또는 차량간 통신 기술로 MANET의 보다 구체적인 활용 분야이면서 MANET의 Quality of Service(QoS) 기술이 Video on Demand(VoD), Video streaming, Voice over IP(VoIP) 등 멀티미디어 데이터의 품질을 위하여 연구되고 있다면, VANET에서는 사고나 기타 예상될 수 있는 응급한 상황에 대하여, 즉시 주변 차량에 전달하여 사고를 미연에 방지하는 등의 부분에 초점이 맞추어져있다. 본 논문에서는 Link State Routing(LSR)을 이용하여 실제 네트워크를 구성하고, Common Open Policy Service(COPS)를 이용한 QoS Provisioning 모델을 구현하였다. 그리고 VANET의 특성에 맞는 보다 효율적인 k-hop Cluster, inter-domain policy negotiation에 대하여 제안한다. Vehicular Adhoc Networks (VANET), a Vehicle-to- Infrastucture or Vehicle-to- Vehicle communication technology, is an area that makes more specific use of Mobile Adhoc Networks(MANET). VANET's Quality of Service(QoS) focuses on preventing possible emergencies like car crash from happening by immediately transmitting information to the cars around, while MANET's QoS is being studied for the quality of multimedia data such as Video on Demand(VoD), Video streaming, Voice over IP(VoIP), etc. In this paper, I structure the actual network configuration using Link State Routing(LSR), implement QoS Provisioning Model using Common Open Policy Service(COPS), and suggest more effective k-hop Cluster and inter-domain policy negotiation which fit better to the characteristics of VANET.

      • 센서네트워크와 Nano-Q+를 이용한 전시물 환경 정보 모니터링 시스템

        김강석 ( Gangseok Kim ),허지완 ( Jee-wan Huh ),송왕철 ( Wangcheol Song ) 한국정보처리학회 2007 한국정보처리학회 학술대회논문집 Vol.14 No.1

        TinyOS기반 무선센서노드를 사용한 실시간 계측 데이터 측정 및 제어기술은 유비쿼터스 센서 네트워크 분야에 주로 사용되어 왔으나 다양한 응용이나 신뢰성 있는 무선 네트워크 연구 개발에 한계가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본 논문에서는 ATMega128L을 장착한 최소 8대 이상의 nano-24 센서 노드 모듈과 메모리 용량이 매우 제한적인 무선 센서 노드에 적합하다고 평가받고 있는 Nano-Q+를 사용하여 전시물 주변의 환경 정보를 실시간 측정하는 시스템을 구현하였다. 전시물 주변의 센서들은 하나의 PAN Coordinator를 중심으로 Start-Mesh 네트워크를 구성하여 환경 정보를 측정한다. 환경 정보를 전송하기 위해 측정된 계측 데이터를 센서 네트워크의 PAN Coordinator 노드로부터 환경 모니터링 서버로 효율적으로 전송하기 위한 TCP기반 전송 프로그램을 구현하였다. 실험 결과 센서 노드 수와 관련된 PAN의 크기 및 샘플링 주기에 상관없이 안정적으로 계측 데이터 수신이 이루어짐을 확인 하였다.

      • KCI등재

        오픈플로우 네트워크를 위한 QoS 서비스 모듈 개발

        강동훈(Dong-Hun Kang),송왕철(Wang-Cheol Song),최덕재(Deok-Jai Choi),허지완(Jee-Wan Huh),석승준(Seung-Joon Seok) 한국정보과학회 2013 정보과학회논문지 : 정보통신 Vol.40 No.1

        오픈플로우(OpenFlow) 기술은 개별 네트워크 장비들에 제어부(Control Plane)를 중앙의 컨트롤러 디바이스가 대신하도록 함으로써 컨트롤러에서 소프트웨어 모듈 구현을 통해 새로운 미래인터넷 아이디어들을 쉽게 네트워크 상에 구현할 수 있다. 국가수리과학연구소(NIMS)도 최근 오픈플로우 테스트베드를 구축하고 미래인터넷 연구를 진행하고 있다. 원활한 망 시험을 위해서는 시험 데이터들의 대역을 보장하고 관리할 수 있는 방법이 필요하다. 본 논문에서는 KREONET(Korea Research Environment Open NETwork) 2에 구축된 오픈플로우 기반 테스트베드에 원활한 운영을 위해서 QoS 기능을 개발하고 그 시스템을 구축한다. 개발한 시스템은 오픈플로우 컨트롤러의 모니터링 및 라우팅 모듈과 웹서버 시스템의 관리자 모듈로 구성되어 있다. 모니터링 모듈은 링크의 가용대역폭을 주기적으로 모니터링하고 라우팅 모듈이 이를 고려하여 대역폭을 보장하는 경로를 계산한다. 웹 기반 관리자 시스템은 컨트롤러와 통신을 통해 네트워크 상황을 사용자에게 보여 준다. 실험을 통하여 개발된 시스템을 검증하며 그 실험 결과는 대역폭 요구사항이 잘 관리됨을 보여 주고 있다. New contributions to future Internet can be easily implemented in real networks through OpenFlow technology where a centralized OpenFlow controller manages all network elements instead of the control plane of each device. Researchers can implement their ideas through developing software functions and inserting them into the centralized controller. NIMS is working on developing future Internet technologies and deploying a OpenFlow based future Internet testbed. However, it is needed how to guarantee and manage the bandwidth of test flows for efficient experiments. This paper develops QoS functions to efficiently operate the OpenFlow based future Internet testbed which is deployed on KREONET2. The system consists of monitoring and routing modules in OpenFlow controller and an administration module at a web server. Monitoring module checks the available bandwidth of link and routing module calculates bandwidth guaranteed path for experimental flows according to user requirements or application types. Web-based administration system presents the network situation to user. We verify the developed system through some experiments, and the results are shown that the bandwidth requirements are satisfied within OpenFlow testbed.

      • OpenFlow Network에서의 QoS 포워딩 메커니즘

        강민협 ( Min-hyup Kang ),강진혁 ( Jin-hyeok Kang ),송왕철 ( Wang-cheol Song ),석승준 ( Seung-jun Seok ),최덕재 ( Doek-jae Choi ),허지완 ( Jee-wan Huh ) 한국정보처리학회 2011 한국정보처리학회 학술대회논문집 Vol.18 No.2

        최근 현재 인터넷이 가지는 한계를 극복하기 위해 전세계적으로 연구가 되고 있는 미래인터넷 테스트베드 분야에서 QoS(Quality of Service)에 대한 요구가 계속 증가되고 있다. 본 논문에서는 시뮬레이션을 통한 검증과 실용성은 한계와 확장성의 문제가 있기 때문에, 기존 네트워크의 정상적인 서비스를 간섭하지 않고 새로운 네트워킹 기술을 실험할 수 있고, 가장 각광 받고 있는 OpenFlow를 이용하여 실제 상용 스위치인 Pronto 3290을 기반으로 한 테스트 베드를 구성하였다. 구성한 테스트 베드를 통하여 패킷 정보에 따라 Path를 사용자 요구에 맞게 변경, 삭제, 생성 할 수 있는 QoS 메커니즘을 설계하고 사용자가 사용하기 편하도록 웹 기반의 인터페이스를 구현을 통하여 검증할 것이다.

      • KCI등재

        혼합트래픽 환경에서 Open Flow 네트워크 성능 평가

        염재근(Jae Keun Yeom),이창무(Chang-Moo Lee),최덕재(Deok Jae Choi),석승준(Seung Jun Seok),송왕철(Wang Cheol Song),허지완(Jee-Wan Huh) 한국콘텐츠학회 2012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Vol.12 No.12

        네트워크의 새로운 구조와 신개념 서비스 연구를 위한 연구망에서의 트래픽은 매우 다양한 속성을 지니게 된다. 이러한 연구망에서 단일 라우팅 프로토콜을 이용하는 것은 다양한 트래픽 속성을 만족시키는데 한계가 있다. 본 연구에서는 트래픽 특성을 두 가지 유형으로 분류하고 각 유형별로 최적화 기법을 이용한 알고리즘을 적용하여 독립적인 다중 포워딩 경로를 제공함으로써, 전체적으로 최적화 효과를 얻을 수 있는 방안을 제시하고, 실험으로 이를 입증한다. 구분된 유형별 트래픽은 스위치의 각 포트별로 할당되며, 각 유형별 포워딩 경로를 제공하기 위하여 OpenFlow 기술을 사용한다. 즉, 하나의 망에 트래픽 유형별로 복수 개의 경로를 OpenFlow Controller에서 구동하여 그 결과를 Forwarder에서 실행함으로써 트래픽의 만족도를 향상 시키는 시스템을 구현할 수 있는 방안을 제시한다. The traffic in research network for the new structure of the network and new service research has the various properties. From the perspective of a specific traffic point of view, transmission of traffic with different requirements using a single routing protocol is an obstacle to satisfy requirements. In this study, we classify the properties of the traffic into two types. We propose the way that we can get the overall optimization effect, the experiment proves it by providing independent multiple forwarding path by applying optimized algorithm by types. In order to distinguish each type of traffic we use the ports on the switch and in order to implement independent path we apply OpenFlow system. In other words, we present the measure that can be implemented to improve the satisfaction of the traffic by making multiple paths by OpenFlow controller according to the type of traffic and by enforcing in Forwarder.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