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항장무(項莊舞)>의 오락적(娛樂的)요소 연구(硏究)

        허영일 ( Hur Young-il ) 한국예술종합학교 세계민족무용연구소 2007 민족무용 Vol.12 No.-

        지금까지 <項莊舞>의 史的背景과 그 淵源을 추적해 보고 <項莊舞>의 구성에 대해 살펴보았다. <項莊舞>는 여러 記錄을 살펴볼 때 宣川에서 시작되었음이 확실시 되며, 宣川地方에서 시작된 <項莊舞>가 인기를 끌면서 주면 지역에서도 演戱가 되고 결국에 가서는 전국적으로 <項莊舞>가 演戱되었던 것으로 보인다. 이러한 대중의 인기가 계기가 되어 드디어는 高宗癸酉1873에 宮中에서 演戱된 것으로 추측된다. 民間에서 유래하여 宮中으로 전래된 경우는 <項莊舞>와 <獅子舞> 그리고 <船遊樂> 밖에 없으며 이러한 사실에서 알 수 있듯이 <項莊舞>의 宮中呈才화는 여러 면에서 의미가 있다고 할 수 있다. 呈才에 대한 기본 개념은 朝鮮末期로 접어들면서 조금씩 바뀌기 시작한다. 이전까지 宮中에서 創作된 呈才들은 국왕을 칭송하거나 의례를 위한 것이거나 驅儺의식을 위한 것 등 대부분의 경우로 단지 遊戱만을 위해 제작된 것은 아니다. 그러나 <項莊舞>의 경우 코믹한 연기와 娛樂的인 요소가 곳곳에 내재해 있어 확실히 娛樂的이다. <項莊舞>가 임금에 대한 忠誠을 강조하기 위해 만들어졌다고도 볼 수 있지만 이런 시작으로 <項莊舞>를 바라볼 경우 沛公을 위해 뛰어든 樊噲가 여기서처럼 戱畵되는 것은 납득하기 어렵다. 오히려 <項莊舞>의 경우 제작 동기가 당시 대중적으로 인기 있던 이야기를 재미있고 흥미로운 볼거리로 만들었다고 보는 편이 훨씬 설득력 있어 보인다. 흥미로운 줄거리의 구성과 다양한 볼거리의 제공을 위해 <項莊舞>는 吹打에서 三絃六角그리고 잦은 한잎까지 다양한 음악을 사용하고 있으며 춤도 劇중간에 劇의 전개를 위한 對舞, 劍舞와 巾舞등을 사용하였으며 또 마지막에는 妓生들이 나와 추는 <劍舞>가 있어 매우 다채로운 呈才였음을 알 수 있다. Previously the historical background, origin and elements of HangJangMoo was introduced. According to the variety of records, it is clearly mentioned that HangJangMoo first began at SunCheon district where it gained popularity and was also performed in the surrounding regions. This was then finally performed as a national ceremony. It is predicted that through the public interest, in 1873 GoJong GaeYou, HangJangMoo was finally performed in the royal palace. The fact that HangJangMoo, SaJaMoo and SunYooRack are the only civilian dances introduced to the royal palace, HangJangMoo, the royal court dance carries a significant meaning in diverse terms. The basic concept of the royal court dance gradually changed in the last stage of the Chosun dynasty. Before, the dances created by the royal palace were not created for entertainment purposes in most cases, but to praise the king, celebrate palace ceremonies or for "GooNa" rituals. Unlikely HangJangMoo carried substantial amount of entertaining factors such as comical acting. Though HangJangMoo could be considered as a dance to emphasize the loyalty to the king, the humorous scene in crediting the king makes it hard to relate such meanings. Therefore, the purpose of the dance is far persuasive if understood as a dance that created entertaining divertissement based on popular stories at that point. In order to present interesting plots and variety of spectacles, “Chuita” “SamHyungRyukGak” and “Hanyip” was used as an instrument in the HangJangMoo. In addition, “DaeMoo”, “GumMoo” and “GunMoo” was danced for the evolution of the drama. The “GunMoo” danced by the gisaeng made HangJangMoo a colorful royal court dance.

      • KCI등재후보
      • 한국 궁중 정재의 전승과정과 유희성(遊戱性)에 관한 연구

        허영일 ( Hur Young-il ) 한국예술종합학교 세계민족무용연구소 2006 민족무용 Vol.10 No.-

        한국 궁중 무용은 정재(呈才)라고 불리며, 글자 그대로 “봉헌 재능”을 의미한다. 정재는 왕의 시민 업적을 찬미하기 위해서 그리고 유생의 정신을 보여주기 위해 만들어졌다. 따라서, 명상적으로 보이기도 하고, 의식처럼 취급되는 경향도 있다. 이제까지의 한국 궁중 무용 연구는 주로 이러한 점에 초점을 맞추어 왔다. 하지만, 한국 궁중 무용은 왕에 대한 찬미를 표하고 화합과 평화의 정신을 보여주는 것뿐만 아니라, 무용 레퍼토리의 해석을 통해 궁정의 오락으로서 공연되었다. 전형적인 예는 ‘포구락(抛毬樂)’ 일 것이다. 고려(高麗) 시대부터 여러 종류의 연회에서 공연되었던 유명한 궁중무용의 하나로, 무용수는 한명씩 문 모양을 한 소품인 포구문(抛毬門)의 작은 구멍에 공을 던진다. 만약 무용수가 구멍에 공 던지기를 성공시키면 상으로 꽃을 받고, 실패하면 벌로 얼굴에 먹물을 칠한다. 무용뿐 만 아니라 오락까지 두 가지를 즐길 수 있었던 것이다. 고려 시기에, 이 연회는 연희의 흥겨움과 어울려져 큰 인기를 모았다. 그러나, 그것의 오락성은 조선시대 금욕주의 신유생들에 의해 혹독하게 비판 받았다. 비록 유생들이 이 작품에 비판적인 태도를 가지고 있긴 했지만, 조선시대에도 이 작품은 인기를 끌었다. 포구락은 그것이 전해주는 즐거움과 유쾌함으로 인해 대중들에게 많은 호응을 얻었으며, 이 후 아무런 장애 없이 전승될 수 있었다. 한국 궁중 무용은 의식으로서나 오락으로서나 아주 훌륭한 공연물이다. 포구락은 서울뿐 아니라 지방에서도 공연되면서, 원래의 형태가 상황과 환경에 따라 약간 변형되었다. 그 결과 한국 궁중무용은 시류에 뒤떨어지지 않게 변화, 보존될 수 있었다. Korean court dances is called Jeongjae(呈才) literally meaning "offering talent". Jeongjae, which is conceived as a symbol of a universe, was made to praise civil achievements of the kings and to show the Confucian spirit. Therefore it seems to be contemplative, and the performance tends to be treated as a ceremony. In many cases of the study about Korean court dances are focused on this point. But, it is found that Korean court dances had been not only presented for the praise of the kings and showed for the spirit of harmony and peace but also performed for amusement in the court through the analysis of the repertory of the dances. A typical example of the cases should be 'Pogurak(抛毬樂)'. It has been one of the popular court dances performed since the Goryeo(高麗) period at various banquets. In this dance the performers, one after another, throw a ball into the small hole of the Pogumun(抛毬門) which is a gate-shaped dance property. If a dancer succeeds in throwing the ball into the hole, she receives a flower for a reward, otherwise, her face is smeared with ink for punishment. Both the dance movements as well as the game can be enjoyed. In Goryeo period, for its entertainment went well with the fuss and feathers of banquets, it was quite popular. However, the entertainment of it had been sternly criticized by abstinent neo-Confucian in Joseon(朝鮮) period. Although Confucian had assumed a critical attitude toward it, it had acquired popularity during Joseon period. Then it can be transmitted without any break that is only because the aspects of its fun and enjoyment had strongly appealed to people. Korean court dances are excellent performances either as the ceremony or as the entertainment. Moreover, it was performed the provinces as well as Seoul and the original form has been slightly altered by the situations and the circumstances. The Korean court dances, therefore, has been changing and keeping abreast with the times.

      • KCI등재

        해동성국(海東盛國) 발해조(渤海朝) 악무(樂舞)의 문화사적(文化史的) 탐색(探索)

        허영일 ( Young Il Hur ) 동방한문학회 2013 東方漢文學 Vol.0 No.55

        발해는 200여 년간 소위 해동성국으로 만주와 한반도 북부를 통치한 국가였고, 그 문화 역시 찬란했다. 자체 문자를 가졌을 뿐 아니라, 선진 중원문화를 수용하여 禮樂制度 역시 찬연한 바가 있었고, 발해악무는 일본에 전해져 일본 악무에도 적지 않은 영향을 끼쳤다. ‘발해악무와 발해신악’은 전투적인 말갈족의 영향을 받아 대단히 역동적이고 강건한 음률과 춤사위를 가졌던 것으로 유추하였다. 대표적인 발해악무인 ‘답추가무’는 前隊와 後隊가 서로 주고받는 형식으로 노래하며 춤추는 것으로 일종의 군무로 보았다. 노래하며 둥글게 원을 그리고 춤을 춘다는 점에서 오늘날 전해지는 강강수월래와 비슷한 가무가 추론하였다. 발해는 고구려 악무를 근간으로 하고 당시 만주지역 말갈족의 악무 등을 수렴하여 ‘新樂’을 만들었다. 이 발해신악은 당시 동북아시아의 최고 수준의 악무였다고 평가할 수 있는데, 저급한 문화를 지녔던 거란이 무력으로 발해를 강점했지만 발해의 우수한 문화는 오히려 요나라(契丹)를 압도하였을 가능성이 높다. 한편, 발해신악은 일본에 전래되어 ‘당악·오악·오절·전무·구미무’ 등의 동아시아 악무가 동시에 연희되었다. 동아시아 여러 악무가 이미 보편화되어 국경을 넘나들고 있었음이 확인되었다. 발해가 일본에 파견한 교빙사행을 통해 전수한 ‘발해신악’은 일본의 궁중악무로 자리 잡았다. 동북아시아 대륙의 악무를 동경했던 일본은 다른 여러 나라의 악무보다 발해악무를 흠모했다. 일본이 발해악무를 즐겨 수용한 이유는 당시 최고수준에 있던 당나라와 이른바 四夷樂舞를 종합한 ‘발해신악’을 통해, 완성도 높은 선진악무를 접할 수 있기 때문이다. 일본에도 자체 악무가 있었지만 ‘발해신악’의 수용으로 일본악무는 가일층 풍성하고 격조가 높아졌다. 바로 이 점에서 해동성국 발해조 악무가 지닌 문화사적 위상을 가늠할 수 있다. Ancient Balhae kingdom was a flourishing land in the East Asia that ruled Manchuria and the north region of Korean peninsula for more than 200 years(698~926 A.D) while possessing glorious culture. Balhae had its own language and developed radiant music and dance by actively accepting the culture of Chinese main land. Further, the music and dance of Balhae had been spread to Japan and influenced the development of Japanese court music and dance. The music and dance of Balhae is presumed to had been characterized by highly dynamic, energetic rhythm and movement which reflected the aggressive spirit of Malgal tribe. A representative dance of Balhae called `Dapchu-gamu` seems to had been a sort of group dance in which front group and following group exchange song and dance together. Its circular dance formation indicates a similar style as `Ganggang-suwolrae` that has been transmitted in Korea up to the present. Balhae newly composed `Sinak(new dance)` based on the music and dance of Goguryeo kingdom while accepting the influence of Malgal tribe who resided at Manchuria region at that time. Balhae`s Sinak might be evaluated as the highest artistic level in the North-east Asia of the time. Even though the Kitan tribe`s Yo dynasty occupied Balhae by force, Balhae`s superior culture might have overwhelmed Yo in every respects. Balhae`s Sinak had been introduced to Japan where various music and dance items of East Asia including Dangak, Oak, Ojeol, Jeonmu, Gumimu were performed as well, which proves the lively exchange of music and dance among countries in the East Asian region. Balhae`s music and dance was also delivered to Japan by Balhae`s envoys to be settled as the most attractive items of Japanese court dance. Japanese had a special affection and respect for Balhae`s Sinak as it displayed excellent artistic level by integrating the advanced music and dance of Tang dynasty as well as those of other surrounding countries called `Saiak`. Japanese court music and dance made a significant progress by the acceptance of Balhae`s music and dance, which indicates its high cultural status in the historical context.

      • 한국과 일본의 불교무용 비교 연구 -영산재와 엔넨(延年)을 중심으로-

        허영일 ( Hur Young-il ) 한국예술종합학교 세계민족무용연구소 2005 민족무용 Vol.7 No.-

        이 논문은 한국과 일본 불교무용의 면모를 비교무용학적 관점에서 추찰하기 위한 목적에서 우리나라 봉원사 영산재의 의식무용과 일본 모쓰지(毛越寺)의 엔넨(延年)의식에서 연행되는 무용 종목들을 중심으로 그 제의적 연행구조와 취의, 양식특성 등에 관해 살펴보았다. 우선 양국의 불교무용의 취의와 기능을 확인하기 위해 영산재와 엔넨의 전체의 구조를 살펴보고 나아가 각 무용 종목들의 내용과 의도 및 양식특징에 관해 고찰해 보았다. 결론적으로 두 불교의식에 포함된 양국의 불교무용은 제불과 보살, 신도들에 대한 행위공양으로서 공히 불승들에 의해 연행된다는 제의적 취지 면에서 공통점을 지니는 반면 양식면에서는 엔넨무용이 영산재의 작법무용에 비해 연극성과 오락성이 상대적으로 높은 변별양상을 노정하였다. 이는 영산재의 작법무용이 제의절차의 일부로서 연행되는 데 반해 엔넨무용은 선행되는 법회의식이 끝난 후 일종의 축하행사의 일환으로 연행된다는 점에서 그 변별근거를 찾을 수 있다. Yeongsanjae is a representative form of Korean Buddhist ritual dance performed by Buddhist monks in the temple. Basically, it is a typical Buddhist ceremony which has been executed to appease and, thereby, to guide dead spirits to the other world by consoling them by music and dance. In the historical context, it is said that this ritual dance had been performed to commemorate, praise the Buddha's first preach, and later came to be adopted as an important part of the mass for the repose of the dead. On the other hand, Yennen is a Japanese Buddhist ritual enacted not only to bless the Buddhist temple where the Buddha is believed to reside but also to pray the long life and prosperity of all beings in this world. Dance and music are important parts of the ceremony under the belief that they vitalize life power and thereby ensure the longevity. Likewise, Yeongsanjae and Yennen have some common features in the point that they are Buddhist rituals where various forms of traditinal music and dance are performed as the offerings to the Buddha to procure the prosperity and appeasement of mankind. In Yeongsanjae, Bara-chum(cymbal dance) and Nabi-chum(butterfly dance) are performed while Bugaku and Dengaku Odori are performed in Yennen as main dance numbers. However, there is found a basic difference between both, in that the sequences of Yennen have less corelation that those of Yeongsanjae. This difference comes from the fact that dance is performed as a part of entertainment after the formal rite in case of Yennen whereas it is enacted as a part of the rite itself in Yeongsanjae. Another clear difference is observed in dance style. Dance in Yeongsanjae has more ritualistic, symbolic elements in its atmosphere and movement patterns while Yennen dance shows more realistic style with its imitative gestures and movements which represent dramatic episodes.

      • 가미가타마이(上方舞)의 전승양상과 공연미학

        허영일 ( Young-il Hur ) 한국예술종합학교 세계민족무용연구소 2009 민족무용 Vol.13 No.-

        Kamigatamai(上方舞)- so called Zasikimai(座敷舞), Ziutamai(地唄舞) was developed around Kamigatamai(上方舞) through the middle to the end of Edo age, which is the form of dance performed indoor at banquet without makeup or arms. Kamigatamai(上方舞) is quiet and makes much of coherent inner world while Kabukibuyou(歌伎舞踊) is visual and dynamic. Kamigatamai(上方舞) shows its delicacy and refinement on very limited space in scene 2, today it has been come down as tradition through Iemoto(家元).

      • KCI등재

        조선시대 사신연의 특징과 변화 양상 -사신연의 궁중정재를 중심으로-

        허영일 ( Young Il Hur ) 대한무용학회 2013 대한무용학회논문집 Vol.71 No.2

        This paper discusses difference between envoy ceremony and other ordinary ceremonies. It focusses on comparing the ceremony presented for the envoys of Ming Dynasty(early Chosun) under King Taejong with that for the Qing Dynasty envoys(late Chosun) under King Youngjo. This comparison examines how the court dances of the ceremonies changed overtime. In conclusion, in the ceremonies during King Taejong, dances are accompanied by Dangak then Hyangak. In King Youngjo`s time, four Hyangaks are danced. Female artists` performances gradually fades out, replaced by performances of young male artists.

      • 조선(朝鮮) 전기(前期) 창작(創作)된 당악(唐樂) 형식(形式)의 향악(鄕樂) 몽김척(夢金尺)의 성격(性格)과 전승(傳承) 양상(樣相)

        허영일 ( Hur Young-il ) 한국예술종합학교 세계민족무용연구소 2007 민족무용 Vol.11 No.-

        몽금척(夢金尺)은 조선 초기에 창작된 당악(唐樂) 형식의 정재로, 꿈에 한신인이 금척을 주었다는 태조의 고사에서 유래하여 조선 왕조 개국의 정당성과 왕실의 권위를 높이는데 사용된 정재이다. 몽금척은 다른 정재들과 차별되는 몇 가지 특이점을 보이고 있다. 가장 큰 특징은 모든 궁중 연회 행사의 거의 첫 부분에 사용되고 있다는 점이다. 이러한 이유는 조선의 정당성을 알리는 국가 의례적(儀禮的)인 성격을 지닌 것으로 볼 수 있으며, 몽금척이 수보록과 더불어 왕의 문덕과 무공을 기리는 역할을 하고 있음에서 알 수 있다. 몽금척의 또 하나의 특징은 조선에서 만들어진 정재임에도 불구하고 당악의 형식을 띄고 있다는 점이다. 그 이유는 당악의 형식을 따르는 작품들의 대체적인 성격은 유희적이고 심미적인 것이 아니라 왕실의 권위와 정당성을 부여하는 작품에 사용되고 있기 때문이다. 이는 몽금척뿐 아니라 이 당시 창작된 유사한 성격의 정재들에서 보이고 있는 공통된 특징으로, 조선 전기 창작된 대부분의 작품이 당악의 형식을 따르는 이유는 바로 이러한 정치적 목적에서 제작되었다는 것을 반증하는 것이다. 세 번째는 몽금척이 국가의 정당성을 부여하는 작품임에도 조선 중기에 오면서 몽금척이 담고 있는 내용이 성리학적 합리주의와 충돌하고 있는 양상을 보이고 있다는 것이다. 특히 성리학적 사상을 신봉하는 사림들이 득세하기 시작하는 중종 대에는 몽금척 또한 잡희로 불리며 위기를 맞는다. 그러나 이후 영조와 정조 대에 다시 왕권이 강화 되면서 몽금척은 왕실의 권위와 조선의 정당성을 알리는데 적극적으로 사용된다. 특히 정조 대에는 몽금척의 고사가 사대부들의 관리 등용문인 과거 시험의 문제로 등장하기까지 한다. 이러한 현상은 학문적 사상적 관점에서 해석해 볼 수도 있으나 또 한편으로 왕권 정치와 신권 정치의 권력 대결 사이에 몽금척을 비롯한 정재들이 놓여져 있었음을 알 수 있다. 이는 궁중 정재가 단순한 궁중 연향에 사용된 것이 아니라 각 정재가 지닌 의미하는 정치적 상징성이 매우 큰 것임을 보여 주는 것이라 할 수 있다. Mong geum-chuck, created in early Chosun, is Dang-awk in Jung-jae style. This Jung-jae is originated from the folklore of Tae-jo about the Geum-chuck given by one poet in the dream and is used to justify the foundation of Chosun dynasty and to hold the authority. Mong-geum -chuck has some differences with other Jung-jaes. The most distinctive characteristic is that it is used in the beginning of the Royal ceremony. This is because Jung-jae has national ceremonial trait announcing the justification of Chosun and applauding king's both military and literary achievement like Suborog. One of the other characteristics of Mong-geum-chuck is that it has Dang-awk Style even though this Jung-jae is made in Chosun. It is because the general characteristic of the pieces following the Dang-awk is not for entertainment and athletic but for giving the authority and justice. It is the common trait represented not only in Mong geum-chuck but also in other similar characteristic Jung-jae created at that time. The reason why most pieces created in early Chosun followed Dang-awk style is that this artistic creation is based on the political intention. Lastly, though Mong geum-chuck is the piece giving the justification of nation, the text included in Mong geum-chuck conflicts with rationalism in the middle Chosun. Especially, Mong geum-chuck was at the crucial moment when the votary of the Sungrihack gained power and called it silly entertainmet. But after strengthening the authority in Young-jo and Jung-jo period, Mong geum-chuck is aggressively used to announce the power and justice of Chosun. Specially in Jung-jo period, the folklore of Mong geum-chuck became one of questions for Sadebu's test. Considered from the criteria mentioned above, it can be approached relying on the academic view however, on the other wise, it can also be explained that there was Mong geum-chuck as well as other Junng-jaes between the conflicts of theocracy and royal powers. It infers that each Jung-jaes has their own powerful political symbolism.

      • 중국 고대의 제례악무 연구 ―주(周)나라의 육대무(六代舞)를 중심으로―

        허영일 ( Hur Young-il ) 세계민족무용연구소 2018 민족무용 Vol.22 No.-

        It was during the Xizhou(西周) Dynasty, while the lord reorganized the Yuewu(樂舞) of the previous generation and established etiquette music; the Liudai-Wu(六代舞) was created and became a representative ritual dance for the Zhou(周) Dynasty. The Liudai-Wu is a dance for an emperor who ruled the world, as well as being an unrivaled art form of the culturally superior Chinese Huaxia tribe, who ruled the central districts. From the Liudai-Wu, the < Yunmendajuan(雲門大卷) > of the Huangdi(黃帝), <Daxian(大咸) of the Yao(堯), < Dashao(大韶) > of Shun(舜), < Daxia(大夏) > of Yu(禹), < Dahuo(大濩) > of Tang(湯), and < Dawu(大武) > of Wuwang(武王). This thesis paper will inspect the contents and form of the Liudaiwu, and furthermore, generally inspect how the Han(漢) Dynasty, Tang(唐) Dynasty, Song(宋) Dynasty, Yuan(元) Dynasty, Ming(明) Dynasty, and Qing(淸) Dynasty, have inherited the ritual music and dance. In addition, the Liudai-Wu, which was created by the lord, is a part of the ‘Zhili-Zuoyue(制禮作樂)’ Project, and by showing through the ancient dance art, China’s contribution in the construction of a civilized country, it provides insight in understanding the music and dance culture of Korea, China, Japan, and going further, East Asia.

      • 갑상선 초음파 의료영상을 이용한 정량분석 소프트웨어 개발과 양성 결절 환자에서의 임상 적용

        유영재 ( Young Jae Ryu ),허영회 ( Young Hoe Hur ),권성영 ( Seong Young Kwon ),채일석 ( Il-seok Chae ),김민중 ( Min Jung Kim ),김태훈 ( Tae-hoon Kim ) 한국정보처리학회 2021 한국정보처리학회 학술대회논문집 Vol.28 No.2

        갑상선 결절(thyroid nodule)은 검진 인구에서 빈번하게 진단되는 질환이지만 현재까지 진단방법은 경험적이며 정성적 판단에 의존하고 있는 실정이다. 본 연구는 갑상선 결절을 평가하기 위하여 시행한 초음파 의료영상을 이용하여 정량 분석할 수 있는 소프트웨어를 개발하였으며 갑상선 양성 결절 환자에서의 임상활용 가능성을 평가하고자 한다. 임상 연구는 총 13명의 갑상선 양성 결절 환자를 대상으로 하였다. 환자별 갑상선 초음파영상을 이용하여 정상부위와 병변부위에서 정량 지표인 변동 계수를 각각 측정하였다. 환자별 정상부위와 병변부위의 변동계수 차이는 대응표본 T 검정을 사용하여 비교하였으며 유의한 차이를 확인할 수 있었다. 본 연구를 통하여 개발한 정량분석 소프트웨어를 실제 갑상선 양성 결절 환자에서 갑상선 결절을 분석·평가하는데 활용할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